KR20110017366A - 리필용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366A
KR20110017366A KR1020107026267A KR20107026267A KR20110017366A KR 20110017366 A KR20110017366 A KR 20110017366A KR 1020107026267 A KR1020107026267 A KR 1020107026267A KR 20107026267 A KR20107026267 A KR 20107026267A KR 20110017366 A KR20110017366 A KR 20110017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opening
container
container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351B1 (ko
Inventor
마사치 고토
다카시 데라야마
노리유키 사사키
다케시 사이토
다이지 다케우치
도요아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1001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 B65D2231/007Funn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의 동작으로 내용물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한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용기의 자기 지지 특성을 성공적으로 보장하는 리필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컵 형상 용기의 본체 (2) 의 개구부 (2A) 에는 개구부 (2A) 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호퍼 (3) 가 내부적으로 제공된다. 리브 (12) 가 링 (3A) 의 내측과 호퍼 (3) 의 외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둘레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브 (12) 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호퍼 (3) 의 개구 (3C) 로의 높이 (H) 는 대략 호퍼 (3) 의 개구 (3C) 의 직경 (φ) 의 1/4 이상이다. 프레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는 리드 (4) 가 개구부 (2A) 에 부착되어 인스턴트 커피 (P) 가 용기 본체 (2) 를 뒤집고 리드 (4) 를 찢기 위해 용기 (13) 의 입구 (13A) 에 대하여 리드 (4) 를 프레스함으로써 호퍼 (3) 에 의해 중앙 부분으로 모이면서 리필 가능한 용기 (13) 의 입구 (13A) 를 통하여 직접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리필용 용기{CONTAINER FOR REFILL}
본 발명은 분말, 과립 재료 등으로 리필하기 위한 것이며 주로 종이로 만들어진 컵 형상 용기 본체,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호퍼 (hopper), 및 개구부를 폐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밀봉 리드 (lid) 를 포함하는 리필용 종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종이 용기에서, 호퍼는 인스턴트 커피와 같은 내용물의 전달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개구부를 향해 테이퍼지고 합성 수지 재료, 더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과 같은 재료 또는 용기 본체의 재료와 동일한 종이로 형성된다. 종래의 리필용 용기에 있어서, 합성 수지 필름으로 만들어진 패키징 백 (bag) 이 종종 사용되었다. 이러한 용기의 예는 레토르트 (retort) 음식을 포장하는 파우치 또는 상부에 재밀폐하기 위한 지퍼를 갖는 자기 지지 거셋 백 (self-supported gusset bag) 이다. 다른 한편,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내측에 링을 갖는 종래의 구조로서, 주로 용기의 강도를 개선하도록 의도되는 하나의 링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링의 플랜지가 용기 본체의 중간의 상부 단부에 외측으로 뻗어있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플랜지 또는 컬 부분의 상부 표면에 장착되고, 용기 본체의 플랜지의 상부 표면은 링의 플랜지의 바닥 표면과 결합된다. 또한, 배리어 특성을 갖는 시트형 리드가 링 플랜지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캡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일본 문헌 : 특허 출원 문헌 제 2007-290373, 심사된 특허 출원 문헌 제 63-24464, 특허 출원 문헌 제 08-58764, 특허 출원 문헌 제 2002-264918 과 유사하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구조는 인스턴트 커피와 같은 내용물을 리필하는데 거셋 백 또는 용기를 예비적으로 개봉하는 것이 필요하고 리필 동안 내용물이 쏟아지기 쉽기 때문에 리필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리필 시에, 인스턴트 커피와 같은 내용물이 공기에 노출되어 내용물의 향 또는 맛을 저하시키고 내용물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한다는 다른 문제가 있다. 특히, 파우치 또는 거셋 백은 가위 등을 사용하여 이들의 가장자리를 절단함으로써 개봉되고, 그 후 내용물을 전달하기 위해 뒤집어진 위치로 리필 가능한 용기에 파우치 또는 거셋 백을 세워놓는다. 따라서, 2 개의 행동이 전달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예컨대 백 내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백이 팽창되지 않는다면 내용물이 매끄럽게 전달될 수 없다는 문제가 또한 있다.
다양한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향 또는 맛의 저하의 위험을 줄이는 쉽고 신뢰할 수 있는 리필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한 번의 행동으로 내용물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한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용기의 자기 지지 특성을 성공적으로 보장하는 리필용 종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
-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
-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일체형으로 위치되며 용기 개구부를 향해 테이퍼지는 호퍼를 포함하는 호퍼 조립체로서 상기 호퍼 조립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호퍼 조립체의 외부 둘레 벽으로부터 호퍼의 내부 테이퍼진 벽으로 뻗어있는 리브가 제공되고, 리브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개구의 상부 에지로의 높이는 대략 호퍼 개구의 직경 (φ) 의 1/4 이상인 호퍼 조립체,
- 용기 본체 개구부를 폐쇄하는 찢어질 수 있는 밀봉 리드를 포함하는 리필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호퍼에는 그의 테이퍼진 개구의 단부에 관형 부재가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관형 부재는 테이퍼진 개구의 단부와 같은 동일한 내부 직경 (φ) 으로 축선 방향으로 뻗어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호퍼 조립체의 외부 둘레 벽은 링이며, 이 링은 용기 개구부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외부 형상을 갖고, 이에 의해 링을 용기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호퍼가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링은 용기 본체의 내부에 더 가까운 호퍼의 에지에 부착될 수 있다.
호퍼 조립체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과 같은 수지 재료 또는 종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만들어진다.
호퍼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 및 최대 8 개의 리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는 리브는 외부 둘레 벽 및 호퍼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리브, 호퍼 및 외부 둘레 벽은 단일 종류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필용 용기는 :
- 주로 종이로 만들어지는 컵 형상 용기, 및
-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개구부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호퍼로서, 이 호퍼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호퍼의 외부 둘레 벽으로부터 개구부의 내부 둘레 벽으로 뻗어있는 리브가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리브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개구의 상부 에지로의 높이는 대략 호퍼의 외부 직경의 1/4 이상인 호퍼를 포함하고,
- 프레스함으로써 찢어질 수 있는 밀봉 리드는 개구부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 본체를 뒤집고 리드를 찢기 위해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에 대하여 리드를 프레스함으로써 호퍼에 의해 중앙부에 모아지면서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직접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주로 종이로 만들어진 용기 본체 및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개구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호퍼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일체형으로 제공" 되는 것에 의해, 전체 호퍼가 용기 본체 내측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컵 또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호퍼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개구를 또한 갖는다. 호퍼 조립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호퍼의 외부 둘레 벽으로부터 호퍼 개구의 내부 둘레 벽으로 뻗어있는 리브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리브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개구의 상부 에지로의 높이는 호퍼의 출구의 직경의 대략 1/4 이상이고, 호퍼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찢어질 수 있는 밀봉 리드가 호퍼 개구에 부착된다. 리드는 호퍼 개구 및 용기 개구를 동시에 폐쇄한다. 리드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스함으로써 찢어질 수 있다. 이는 용기 내용물이 용기 본체를 뒤집고 리드를 찢기 위해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에 대하여 리드를 프레스함으로써 호퍼의 중심에 모아지면서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직접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구성되는 리필용 용기는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위에 놓이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캡은 제거되고 용기 본체는 뒤집어지고, 그 후 호퍼가, 예컨대 단지 (jar) 일 수 있는,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와 내부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호퍼가 장착된다. 용기 본체에 있는, 인스턴트 커피와 같은, 벌크 재료 또는 파우더는 호퍼 안으로 흘러내리지만, 리드에 의해 유지된다. 그 이후, 프레싱력이 단지의 입구를 향하여 호퍼를 밀도록 용기 본체에 대하여 가해진다. 이러한 프레싱력은, 일반적으로, 본체 단지로부터 원통형으로, 상방으로 뻗어있는 관형부인, 단지의 입구를 프레스하고 리드를 찢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써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단지의 입구가 리드를 상방으로 밀고 리드를 호퍼 내부 벽과 용기 본체 주변 벽 사이의 삼각형 영역으로 규정되는 공간 안으로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프레싱력이 가해지는 리드는 찢어지고, 예컨대 리드에 예비적으로 제공되는 강도약점부 (weakened portions) 인 방사상의 천공부 또는 절단선을 따라 다수의 조각으로 나누어진다. 동시에, 호퍼는 단지의 입구에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호퍼의 개구는 개봉되고 인스턴트 커피와 같은 분말은 호퍼에 의해 중심으로 안내되면서 용기 본체로부터 단지 안으로 흘러내린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호퍼의 외측에 둘레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제공되는 리브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개구의 상부 에지로의 높이는 호퍼의 직경의 약 1/4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의 최대 절반으로 설정된다. 그 후, 리드의 찢어진 조각은 적어도 용기 본체의 개구로부터 호퍼 개구의 직경의 적어도 1/4 만큼 호퍼 개구를 미는것에 의해 호퍼 출구 위로부터 외부로 그리고 측면으로 젖혀진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리브는 성공적으로 리필 용기를 지지하고 그의 밀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의 상부 에지에 인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용기는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에 대하여 용기 본체를 프레스함으로써 리드가 프레스되고 찢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의 입식 (standing) 파우치와는 확실히 다르게, 용기 본체가 리필 가능한 용기와 직접 연통하는 것을 쉽게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쉽고 신뢰할 수 있게 리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용물을 공기중에 노출시켜 향 및 맛을 저하시키지 않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찢어진 리드 조각이 호퍼의 출구 위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측면으로 젖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미는 길이는 호퍼 개구의 직경의 적어도 1/4 로 설정되고, 따라서 찢어진 리드 조각은 대략 호퍼 출구 위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측면으로 젖혀질 수 있고 내용물의 매끄러운 전달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리브는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여 리필 용기는 성공적으로 지지되고 밀어진 위치가 유지되며, 이에 의해 한번의 조작으로 내용물의 안정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조에서, 호퍼에는 호퍼의 테이퍼진 개구의 단부에 관형 부재 또는 가이드가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관형 부재는 단부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가지며 축선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가 어떠한 경우에 인접한 위치를 불안정하게 하기 위해 그의 기울어진 벽에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를 인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호퍼에 연결되는 관형 부재는 직선 관형 가이드로서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 안으로 신뢰할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분말을 리필 가능한 용기의 입구 안으로 안내하고, 리필 동안 습기 또는 공기로의 분말의 노출 및 용기의 외측으로 분말의 분산을 억제하고, 향의 저하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공기 또는 습기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분말을 위해 관형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호퍼 조립체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더 가까운 호퍼의 에지에 링이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링은 용기 개구부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외부 형상을 갖고, 이에 의해 호퍼가 링을 용기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열 융합 접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링을 접착시킴으로써 용기 본체의 개구부의 내측에 호퍼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리필용 종이 용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 단면도이며 내용물이 단지에 공급되기 전에 리드, 용기 및 단지 사이의 관계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주요 단면도이고 리드가 찢어질 때 리드, 용기 및 단지 사이의 관계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단지에서 본 도 2 에 나타낸 특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리필용 종이 용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분해 사시도이며 용기의 확대된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를 포함한다.
도 5 는 폐쇄된 위치의 도 4 의 용기의 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단면도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은 도 8 의 라인 A-A 을 따라 취해진 리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낸 리드의 저면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리드의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내용물이 단지에 공급되기 전에 리드, 용기 및 단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작업을 나타내는 주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리드의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내용물을 단지에 공급하는 동안 리드, 용기 및 단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작업을 나타내는 주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을 어떠한 컬 부분 없이 용기 본체에 적용하는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낸 단면도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 는 관형 가이드를 갖는 호퍼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형태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 은 링에 플랜지가 없이 도 15 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 은 8 개의 강도약점부를 갖는 도 8 에 대응하는 리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종이 용기를 인스턴트 커피 리필용 용기 (1) 에 적용하는 실시형태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일부가 개구부에 결합되는 호퍼를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내용물이 효과적으로 리필될 수 있게 하는 전체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필 용기 (1) 는 용기 본체 (2), 예컨대 깔때기인 호퍼 (3), 배리어 특성을 갖는 시트형 리드 (4), 및 위에 놓이는 캡 (5) 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 (2) 는 바닥부를 갖는 원통형 형상이고 직사각형 조각의 종이로 만들어진다. 종이 원통은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종이 층, 알루미늄 호일 층,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층을 포함하는 복합물로 형성되고 가스 (산소, 수증기, 또는 내용물로부터 증발될 수 있는 성분) 에 대해 높은 배리어 특성을 갖는다. 공지된 기술은 층을 적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예컨대, 코팅 또는 적층과 같은 공통의 기술이 사용된다. 용기 본체 (2) 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높은 가스 배리어 특성을 갖는 직사각형 조각의 종이는 원통으로 말리고, 왼쪽 및 오른쪽 단부 양측은 겹치고, 겹쳐진 부분은 적절한 접착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 부분으로서 사용된다. 접착을 위한 수단으로서, 접착제 또는 열 융합 접합에 의한 접착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알려진 기술이 사용된다. 상부 단부에서,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측 및 환형으로 컬이 있는 컬 부분 (6) 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4 ~ 도 6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호퍼 (3) 즉,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를 향해 테이퍼진 깔때기 (이후에 간단하게 "호퍼" 라고 함) 가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에 끼워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호퍼 (3) 는 용기 본체 (2) 와 동일한 재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0.8 ㎜ 의 두께를 갖는 어떠한 적절한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다. 호퍼 (3) 는 그의 주위의 링으로서 수직 벽 (3A) 을 갖는다 (수직 벽은 이후에 간단하게 링으로 부를 것이다). 링 (3A) 은 그 상부 단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외부로 돌출하는 플랜지 (3B) 를 갖는다. 링 (3A) 은 링 (3A) 의 바닥 표면이 개구부 (2A) 의 상부 단부, 즉 컬 부분 (6) 의 상부 단부면 (6A) 에 놓이고 대략적으로 결합되면서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안으로 끼워진다. 호퍼 (3) 는 또한 링 (3A) 의 하부 단부로부터 일체형으로 뻗어있고, 점진적으로 중심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지는 벽으로 형성된다. 호퍼 (3) 의 테이퍼 각은 내용물에 따라 적어도 1 ~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로 설정된다. 테이퍼 각이 더 예각이 될수록, 호퍼 (3) 의 높이 (길이) 는 증가하고, 이에 의해 호퍼 (3) 를 형성하는 수지의 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테이퍼 각은 비용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중심을 향해 기울어진 벽의 상부 단부, 즉 개구 (3C) 는 플랜지 (3B) 의 상부 단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즉, 상부 단부면 (6A) 과 실질적으로는 동일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열 융합 접합, 무선 전파 접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과 같은 가장 바람직한 수단이 호퍼를 용기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도면에서, 6B 는 컬 부분 (6) 에서 발생하는 단차부를 나타내지만, 이는 시트형 리드 (4) 의 최내층에 형성되는 실란트 층 (7) (이후에 언급됨) 에 의해 성공적으로 밀봉된다.
배리어 특성을 갖는 리드 (4) 는 호퍼 (3) 의 상부 단부에 밀봉식으로 접착된다.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내층 (7) 으로서 폴리에틸렌 실란트 층을 갖는 높은 가스 배리어 특성을 갖는 복합물 시트가 배리어 특성을 갖는 리드 (4) 를 위해 사용된다. 복합물 시트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8) 이 실란트 층 (7) 의 외측에 부착되고, 금속 호일 막 (10) 이 접착제 층 (9) 을 통하여 층 (8) 의 외측에 부착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내 실란트 층 (7) 에는 그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강도약점부 (11) 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최내층 (7) 및 또한 금속 호일 막 (10) 이 쉽게 찢어져서 밀봉을 파손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4, 도 5 및 도 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드 (4) 의 전체 형상은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와 대략 동일한, 즉 약 90 ㎜ 의 직경을 갖는 원이고, 그의 주변 (4B) 은 호퍼 (3) 의 플랜지 (3B) 의 상부 표면에 적절하게 부착된다. 통상적으로, 열 융합 접합이 수행된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리드 (4) 는 단지 호퍼 (3) 의 상부 단부 즉 개구 (3C) 의 상부 에지와 접촉하며 호퍼 (3) 의 개구 (3C) 는 신속하고 쉽게 개봉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리어 특성을 갖는 리드 (4) 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강도약점부 (11) 와 같은 절단 라인 (나타낸 예에서, 천공부) 또는 천공부가 또한 제공되어 이들은 최내층 (7) 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8) 에 도달한다. 강도약점부 (11) 와 같은 절단 라인 또는 천공부는 최내층 (7) 및 또한 금속 호일 층 (10) 이 쉽게 찢어질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밀봉을 파손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4 및 도 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천공부 또는 절단 라인은 중심을 가로지르는 3 개의 직선이고, 라인의 길이는 9 ㎜ 이고 연결의 길이는 1 ㎜ 이다. 3 개의 라인의 개수는 본 발명의 주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개수이다. 라인의 최대의 개수는 리드 (4) 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개이다. 개수가 10 이상이라면, 리드 (4) 의 강도는 약해질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개수는 이상적으로는 3 ~ 8 (8 개의 라인을 갖는 예가 도 17 에 나타나 있음) 이다.
위에 놓인 캡 (5) 은 용기 본체 (2) 와 동일한 재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약 0.8 ㎜ 의 두께를 갖는 적절한 수지로 만들어진다. 도 4 ~ 도 6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캡 (5) 은 리드 (4) 를 보호하고 또한 내부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와 외부적으로 끼워진다. 특히, 주변 하방 벽 (5A) 의 하부 단부에는 언더컷 (5B) 이 제공된다. 이 언더컷 (5B) 은 용기 본체 (2) 의 컬 부분 (6) 의 바닥 표면과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이 연결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리필 용기 (1) 의 내측에 분말의 인스턴트 커피 (P) 를 공급하는 작업은 호퍼 (3) 의 개구 (3C) 를 통하여 수행된다.
기본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구조를 갖는, 특히 본 발명의 리필 용기 (1) 에서, 호퍼 (3) 로부터 링 (3A) 으로 뻗어있는 4 개의 리브 (12)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둘레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간격 (도면에서는 90 도) 으로 호퍼 (3) 의 주위에 제공된다.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리브의 개수는 4 개이지만,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 그리고 최대 8 개이다. 두께는 호퍼 (3) 및 링 (3A), 즉 약 0.8 ㎜ 와 동등하고 필요하다면 이 값은 더 작을 수 있다. 재료는 용기 본체 (2) 와 동일하거나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0.8 ㎜ 의 두께를 갖는 어떠한 적절한 수지 재료이며, 이는 리브가 호퍼 (3) 및 링 (3A) 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연스럽다. 리브 (12) 의 상부 단부로부터 개구 (3C) 의 상부 단부로의 높이 (H) 는 호퍼 (3) 의 개구 (3C) 의 직경 (φ) 의 절반의 길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리브 (12) 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3) 의 개구 (3C) 의 상부 에지까지의 길이는 호퍼 (3) 의 개구 (3C) 의 직경 (φ) 의 절반의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는 이유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 (2) 가 장착되고 용기 본체 (2) 가, 리필 가능한 용기의 예인, 단지 (13) 의 원통형 입구 (13A) 와 내부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밀어질 때, 리드 (4) 는 천공부 (11) 에서 찢어지면서 입구 (13A) 의 상부 단부의 링 (3A) 과 호퍼 (3) 사이에 규정되는 삼각형 구역을 갖는 공간 (S)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리드 (4) 의 찢어진 조각은 점진적으로 호퍼 (3) 의 개구 (3C) 의 외부 주변을 향해 젖혀진다. 젖혀진 거리는 필수적으로는 리드 (4) 를 삼각형 구역을 갖는 공간 (S) 안으로 미는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즉,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로부터 주어진 밀봉된 위치에서 리드 (4) 의 호퍼 (3) 의 개구 (3C) 로 뻗어있는 직선 부분 (A) 이 어느 정도의 거리로 삼각형 구역을 갖는 공간 (S)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지에 따라 상이하다. 미는 거리는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의 내부 에지로부터 단지 (13) 의 입구 (13A) 의 단부로의 리드 (4) 의 치수 (B) 의 제곱 더하기 직선 부분 (A) 의 제곱만큼 뺀 이 입구 (13A) 의 말단부로부터 호퍼 (3) 의 개구 (3C) 의 에지로의 리드 (4) 의 치수 (C) 의 제곱에 의해 결정된다. 분석을 통하여, 미는 길이, 즉 리브 (12) 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3) 의 개구 (3C) 의 상부 에지로의 높이 치수 (H) 는 호퍼 (3) 의 개구 (3C) 의 직경 (φ) 의 최대 절반인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높이 (H) 는 리브 (12) 의 상부 단부와 호퍼 (3) 의 개구 (3) 의 상부 에지를 포함하는 평면사이에서 측정되었고 즉 높이 (H) 는 호퍼 중앙 축선과 평행하다. 리드 (4) 가 찢어질 때, 찢어진 조각 (4A) 은 호퍼 (3) 의 개구 (3C) 의 중심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방사상으로 젖혀지기 때문에, 호퍼 (3) 의 개구 (3C) 를 완전히 개봉하기 위해 직경 (φ) 의 절반의 길이를 채택하는 것이 권장된다. 하지만, 바람직한 범위를 고려할 때, 최소 범위는 직경 (φ) 의 1/4 이다. 높이 (H) 가 1/4 미만이라면, 천공부 또는 절단 라인과 같은 강도약점부 (11) 가 있더라도 리드 (4) 는 덜 성공적으로 찢어지고, 이에 의해 호퍼 (3) 의 개구 (3C) 의 개봉된 영역은 줄어든다. 결과적으로는, 단지 (16) 안으로의 내용물의 흐름은 지연될 수 있고 리필 작업은 매끄럽게 수행된다. 다른 한편, 높이 (H) 가 절반보다 더 크다면, 호퍼 (3) 의 길이 자체는 너무 길어서 더 많은 양의 재료가 필요하고, 이는 낭비적이며, 또한 리필 용기의 크기가 또한 커지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적어도 3 개의 리브 (12) 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유는, 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인스턴트 커피 (P) 가 리필 가능한 용기 (12) 로 전달될 때, 규칙적인 간격으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3 개의 리브 (12) 에 의해 리필 용기 (1)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달 동안 손으로 리필 용기 (1) 를 유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한번의 조작으로 더 매끄러운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리브 (12) 대신 도넛형 디스크가 미리 정해진 높이, 즉 개구 (3C) 의 직경 (φ) 의 절반의 길이를 갖는 위치에서 링 (3A) 과 호퍼 (3) 사이에 규정되는 삼각형 구역을 갖는 공간 (S) 에 제공되는 대안적인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리필의 전달 동안 리필 용기 (1) 의 위치의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고, 필요하다면, 한번의 조작의 전달이 또한 크게 개선된다.
이전에 언급된 것과 같이 구성되는 리필 용기 (1) 의 사용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위에 놓인 캡 (5) 이 제거되고, 그 후 도 1,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 (2) 가 뒤집어지고 호퍼 (3) 가 리필 가능한 용기의 예인 단지 (13) 의 원통형 입구 (13A) 와 내부적으로 끼워지는 위치로 위치된다. 용기 본체 (2) 내의 인스턴트 커피 (P) 는 호퍼 (3) 안으로 흘러 내리지만, 이는 리드 (4) 에 의해 유지된다. 그 이후, 도 2,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싱력이 용기 본체 (2) 에 대하여 가해져서 단지 (13) 의 입구 (13A) 를 향하여 호퍼 (3) 를 밀게 된다. 이러한 프레싱력은, 일반적으로, 본체로부터 원통형으로, 상방으로 뻗어있는 관형 부분인 단지 (13) 의 입구 (13A) 가 리드 (4) 를 프레스하고 찢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즉, 이 프레싱력은 단지 (13) 의 입구 (13A) 가 리드 (4) 를 상방으로 밀고 리드 (4) 를 링 (3A) 과 호퍼 (3) 사이에 규정되는 삼각형 구역을 갖는 공간 (S) 안으로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강도약점부 (11) 인 천공부가 방사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프레싱력이 가해지는 리드 (4) 는 매우 쉽게 찢어지고 다수의 분열 조각, 즉 천공부를 따라 찢어진 조각 (4A) 으로 쪼개어 진다. 동시에, 호퍼 (3) 는 단지 (13) 의 입구 (13A) 에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호퍼 (3) 의 개구 (3C) 는 개봉되고 용기 본체 (2) 내의 인스턴트 커피 (P) 는 호퍼 (3) 의 중심으로 안내되면서 스트레치부에서 단지 (13) 안으로 흘러내린다. 리필 용기 (1) 는 단지 (13) 의 리필이 끝난 이후 버려진다. 도면에서, 2B 는 용기 본체 (2) 의 바닥부를 나타낸다.
용기 본체 (2) 의 인스턴트 커피 (P) 가 리드 (4) 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고 개봉되기 전까지 공기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리필 용기 (1) 의 기밀성은 높게 유지된다. 단지 (13) 의 입구 (13A) 와 내부적으로 끼워지는 호퍼 (3) 가 인스턴트 커피 (P) 를 단지 (13) 의 외측으로 쏟거나 인스턴트 커피 (P) 를 공기에 불필요하게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향 및 맛의 열화를 가능한한 많이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브 (12) 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3) 의 개구 (3C) 로의 높이 (H) 가 호퍼 (3) 의 개구 직경 (φ) 의 1/4 ~ 절반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리드 (4) 의 찢어진 조각 (4A) 이 개구 (3C) 를 신뢰할 수 있게 개봉하기 위해 호퍼 (3) 의 개구 (3C) 로부터 외부 주변으로 확실하게 젖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내용물을 리필 용기 (1) 로부터 단지 (13) 로 매끄럽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브가 뒤집어진 위치의 리필 용기 (1) 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떨어지는 위험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종래의 파우치 또는 거셋 백과는 달리 한 번의 동작으로 리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매우 유용한 리필 용기를 제공한다.
리필이 수행되기 전까지, 리드 (4) 는 호퍼 (3) 의 개구 (3C) 의 에지에 긴밀하게 부착된다. 게다가, 위에 놓인 캡 (5) 으로부터의 프레싱력에 의해 더 긴밀하게 부착된다. 그 결과, 불필요한 틈이 리드 (4) 와 호퍼 (3) 의 개구 (3C) 사이에 발생되지 않을 것이며, 혹시 있다면, 이 틈은 작고, 따라서 용기 본체 (2) 의 인스턴트 커피 (P) 가 호퍼 (3) 의 외측 주위에 이동하는 위험이 성공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필 작업 동안, 호퍼 (3) 의 주위에 이동되는 인스턴트 커피 (P) 에 의해 단지 (13) 의 입구 (13A) 또는 그 주변이 우발적으로 더러워지는 위험은 줄어들고, 이에 의해 리필 용기 (1) 를 위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호퍼 (3) 는 플랜지 (3B) 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용기 본체 (2) 에 항상 부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부착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리필 작업은 적절하게 수행되고 인스턴트 커피 (P) 가 주위에 이동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의 컬 부분 (6) 이 개구부 (2A) 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그의 변형을 줄이기 때문에, 호퍼 (3) 를 원하는 것과 같이 그의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단단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틈이 리드 (4) 와 호퍼 (3) 의 개구 (3C) 사이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조된 리드 (4) 의 성능의 시험에서, 그의 중앙부는 성공적으로 찢어진다. 프레싱력은 100 N 보다 크지 않다. 종이 컵의 개구부 (2A) 의 단차부 (6B) 에서의 침투 거동을 체크하는 시험에서, 누수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종이 컵의 개구부 (2A) 로부터의 리드 (4) 의 제거는 높은 온도를 보존하는 동안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 리드 (4) 의 배리어 특성은 알루미늄 리드의 배리어 특성과 동등하고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졌다. 고온 용융 리드와 대조적으로, 어떠한 나쁜 냄새가 발생되지 않았다.
상기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부분적으로 상이한 구성을 갖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개구부 (2A) 에 컬 부분 (6) 이 없는 용기 본체 (2) 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호퍼 (3) 의 플랜지 (3B) 의 돌출 길이는 컬 부분 (6) 을 갖는 용기 본체 (2) 가 사용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위에 놓인 캡 (5) 의 하방 벽 (5A) 의 수직 길이는 컬 부분 (6) 의 수직 길이만큼 짧아져서 언더컷 (5B) 은 플랜지 (3B) 의 바닥 표면과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대안적인 구조에서, 도 1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관형이며 바람직하게는 그의 상부 단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인 가이드 (3D) 가 호퍼 (3) 의 개구 (3C) 의 에지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상기 에지와 일체인 관형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는, 관형 가이드 (3D) 의 상부 단부의 높이는 플랜지 (3B)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언급된 미는 길이, 및 따라서 가이드 (3D) 의 높이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참조로서 사용되는 호퍼 (3) 의 개구 (3C) 의 직경 (φ) 은 가이드 (3D) 의 출구의 직경 (φ) 으로 필연적으로 대체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가이드 (3D) 는 단지 (13) 의 입구 (13A) 안으로의 적절한 삽입을 위해 도움이 된다. 테이퍼부만을 갖는 호퍼 (3) 에 있어서, 개구 (3C) 가 단지 (13) 의 입구 (13A) 와 연결되는 위치는 정렬되지 않을 것이며 인스턴트 커피 (P) 를 단지 (13) 의 외측으로 우발적으로 쏟는다. 다른 한편, 관형 가이드 (3D) 에 있어서, 가이드 (3D) 를 단지 (13) 의 내부 안으로 입구 (13A) 를 통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스턴트 커피 (P) 를 단지 (13) 외측으로 우발적으로 쏟는 위험을 제거한다.
또 다른 구조에서, 도 16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 (3A) 의 상부 단부에 플랜지 (3B) 가 없는 호퍼 (3) 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링 (3A) 의 상부 단부가 용기 본체 (2) 의 컬 부분 (6) 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인 것이 중요하다. 링 (3A) 의 상부 단부가 컬 부분 (6) 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면, 바람직하지 않게 용기 본체 (2) 의 개구부 (2A) 는 리드 (4) 에 의해 적절하게 밀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플랜지 (3B) 가 링 (3A) 의 상부 단부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 (2) 의 대기를 플랜지 (3B) 를 통하여 공기에 노출하는 위험이 제거되고 품질의 저하는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내용물은 인스턴트 분말 커피이지만,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을, 수용성 우유 (분말 우유), 코코아 분말, 티 분말, 또는 이러한 종류의 분말의 조합과 같은 다른 음식 또는 음식이 아닌 분말 재료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는 건조된 으깬 감자 또는 다른 건조된 음식, 소스 또는 그레이비 분말, 스프 분말, 및 또한 복사기용 토너일 수 있다.
단지 (13) 대신, 본 발명을 커피 메이커 기구의 커피 분말 탱크 또는 복사기의 토너용 리필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
먼저, [용기의 외부] 종이층 (기본 중량 300 g/㎡)/접착제 층/알루미늄 호일 층 (7.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12 ㎛)/ 접착제 층/저밀도 폴리에틸렌 층 (50 ㎛) [용기의 내부] 로 구성되는 다층 부재가 만들어졌다. 또한, [용기의 외부] 저밀도 폴리에틸렌 층 (20 ㎛)/ 종이층 (기본 중량 230 g/㎡)/저밀도 폴리에틸렌 층 (20 ㎛)/알루미늄 호일 층 (7.0 ㎛)/접착제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12 ㎛)/접착제 층/저밀도 폴리에틸렌 층 (50 ㎛) [용기의 내부] 로 구성되는 다층 부재가 바닥 부재로서 만들어졌다. 이러한 다층 부재는 PMC Inc 로부터의 컵 성형 기계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중간의 상부 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제공되는 컬 부분을 갖는 컵 형상 용기 본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그 이후, 링 (3A), 플랜지 (3B) 및 호퍼 (3C) 를 갖는 호퍼 (3) 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Mitsui Chemicals 2100K) 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졌다. 링 (3A), 플랜지 (3B) 및 호퍼 (3C) 뿐만아니라 리브 (12) 는 약 0.8 ㎜ 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부 측] 금속 호일 층 (10) 으로서의 알루미늄 호일 층 (15 ㎛)/접착제 층 (9)/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8) (12 ㎛)/실란트 층 (7) 으로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층 (40 ㎛) [하부 측] 으로 구성되는 다층 부재가 만들어졌고 리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 후, 상기 언급된 컵 형상 용기 본체는 엔빌 (anvil) 안으로 끼워져서 이는 아래로부터 중간의 상부 단부의 컬 부분을 지지하고 또한 중간 부분을 고정한다. 호퍼는 중간의 상부 단부의 내측의 개구부 안으로 삽입되고 부착되며 링의 외부 표면은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결합된다.
그 이후에, 용기 본체는 상기 언급된 부분의 깔때기의 개구를 통하여 인스턴트 커피로 채워졌다. 마침내, 상기 리드는 용기의 상부 단부를 폐쇄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열 밀봉 방법에 의해 컬 부분의 상부 표면에 열 융합 접합되고 위에 놓인 캡은 그 부분을 갖는 종이 용기를 얻기 위해 위로부터 리드에 부착되었다.
게다가, 컬 부분이 없는 용기 본체는 상기 언급된 방법 및 수단에 의해 제조되었다.
또한, 내부 관형 가이드를 포함하는 호퍼는 상기 언급된 방법 및 수단에 의해 제조되었다.
또한, 링 (3A) 의 상부 단부의 플랜지 (3B) 가 없는 호퍼 (3) 는 상기 언급된 방법 및 수단에 의해 만들어졌다.
어떠한 얻어진 제조품은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쉽고 신뢰할 수 있게 리필을 수행할 수 있고 인스턴트 커피 (P) 를 공기에 노출하지 않고, 종래의 입식 파우치와는 확실히 다르게 향 및 맛이 유지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리브 (12) 가 상부 단부 (뒤집어진 위치에서 하부 단부) 에 의해 리필 용기 (1) 를 단지 (13) 의 입구 (13A) 의 상부 단부에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해 작용되어, 바람직한, 뒤집어진 위치는 리필 작업 동안 용기 (1) 에서 손을 떼더라도 떨어지지 않고 성공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리드 (4)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1/4 ~ 절반의 범위로 리드 (4) 의 어떠한 미는 길이에서 예상되는 것과 같이 천공부 (11) 를 따라 찢어지고 호퍼 (3) 의 개구 (3C) 는 인스턴트 커피 (P) 로 단지 (13) 를 매끄럽게 리필하기 위해 적절하게 개봉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1 : 리필 용기 2 : 용기 본체
2A : 개구부 2B : 바닥부
3 : 호퍼 3A : 링
3B : 플랜지 3C : 개구
3D : 가이드 4 : 리드
4A : 찢어진 조각 4B : 주변
5 : 위에 놓인 캡 5A : 주변 하방 벽
5B : 언더컷 6 : 컬 부분
6A : 상부 단부면 7 : 실란트 층
8 : 접착제 층 9 : 접착 층
10 : 금속 호일 층 12 : 리브
13 : 단지 13A : 입구

Claims (8)

  1. 리필용 용기 (1) 로서 :
    - 개구부 (2A) 를 갖는 용기 본체 (2),
    -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 (2A) 에 일체형으로 위치되며 용기 개구부 (2A) 를 향해 테이퍼지는 호퍼 (3) 를 포함하는 호퍼 조립체 (3, 3A, 3B, 3C, 12) 로서 상기 호퍼 조립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호퍼 조립체의 외부 둘레 벽 (3A) 으로부터 호퍼 (3) 의 내부 테이퍼진 벽으로 뻗어있는 리브 (12) 가 제공되고, 상기 리브 (12) 의 상부 단부로부터 호퍼 개구 (3C) 의 상부 에지로의 높이는 대략 호퍼 개구 (3C) 의 직경 (φ) 의 1/4 이상인 호퍼 조립체,
    - 상기 용기 본체 개구부 (2A) 를 폐쇄하는 찢어질 수 있는 밀봉 리드 (4) 를 포함하는 리필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3) 에는 그의 테이퍼진 개구의 단부에 관형 부재 (3D) 가 일체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관형 부재는 테이퍼진 개구의 단부와 같은 동일한 내부 직경 (φ) 으로 축선 방향으로 뻗어있는 리필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조립체의 외부 둘레 벽 (3A) 은 링 (3A) 이며, 상기 링은 용기 개구부 (2A) 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외부 형상을 갖고, 이에 의해 링을 용기 개구부 (2A) 의 내부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호퍼가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리필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3A) 은 용기 본체 (2) 의 내부에 더 가까운 호퍼의 에지에 부착되는 리필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조립체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과 같은 수지 재료 또는 종이로 만들어지는 리필용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조립체는 0.8 ㎜ 의 두께를 갖는 리필용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조립체는 적어도 3 그리고 최대 8 개의 리브 (12) 를 포함하는 리필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12) 는 외부 둘레 벽 (3A) 및 호퍼 (3) 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리필용 용기.
KR1020107026267A 2008-04-24 2009-04-24 리필용 용기 KR101607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4572A JP4885905B2 (ja) 2008-04-24 2008-04-24 詰め替え用紙容器
JPJP-P-2008-114572 2008-04-24
PCT/EP2009/054984 WO2009130315A1 (en) 2008-04-24 2009-04-24 Container for ref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66A true KR20110017366A (ko) 2011-02-21
KR101607351B1 KR101607351B1 (ko) 2016-03-29

Family

ID=4081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267A KR101607351B1 (ko) 2008-04-24 2009-04-24 리필용 용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555936B2 (ko)
EP (1) EP2279126B1 (ko)
JP (1) JP4885905B2 (ko)
KR (1) KR101607351B1 (ko)
CN (1) CN102015466B (ko)
AR (1) AR071507A1 (ko)
AT (1) ATE535454T1 (ko)
AU (1) AU2009239890B2 (ko)
BR (1) BRPI0911353A2 (ko)
CA (1) CA2722350A1 (ko)
CL (1) CL2009000989A1 (ko)
HK (1) HK1152688A1 (ko)
MX (1) MX2010011648A (ko)
MY (1) MY163142A (ko)
NZ (1) NZ589000A (ko)
PE (1) PE20100214A1 (ko)
RU (1) RU2493066C2 (ko)
TW (1) TW201008843A (ko)
UY (1) UY31783A (ko)
WO (1) WO2009130315A1 (ko)
ZA (1) ZA2010083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7110A1 (de) * 2007-06-13 2008-12-18 Wacker Chemi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polykristallinem Siliciumbruch
JP4981739B2 (ja) * 2008-04-24 2012-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バリア性を有する蓋
JP5463721B2 (ja) * 2008-04-24 2014-04-09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5290905B2 (ja) * 2009-07-31 2013-09-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替え容器
WO2011078078A1 (ja) 2009-12-25 2011-06-30 株式会社 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及び継続使用容器と詰替え容器の組合せ
JP5594458B2 (ja) * 2010-01-29 2014-09-24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US10023348B2 (en) 2010-03-10 2018-07-17 Seda S.P.A. Stackable container
EP2371342A1 (de) * 2010-04-01 2011-10-05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Products GmbH Vorrichtung zum Lagern und Dosieren eines Lösungsmittels
KR101958045B1 (ko) 2011-09-09 2019-03-1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깔때기 부품, 깔때기 부품을 사용한 포장 용기
TW201345804A (zh) * 2012-02-01 2013-11-16 Toppan Printing Co Ltd 漏斗零件及使用漏斗零件之包裝容器的製造方法
FR3014419A1 (fr) * 2013-12-09 2015-06-12 Patrick Montagne Contenant dont l'orifice de sortie est constitue par l'epaisseur du jable
US20150321782A1 (en) * 2014-05-08 2015-11-12 Houser Products, Llc Dispensing Vessel and Method of Use
SE1550130A1 (sv) 2015-02-05 2016-08-06 A & R Carton Lund Ab Paperboard packaging container for bulk solids.
SE1550128A1 (sv) * 2015-02-05 2016-08-06 A & R Carton Lund Ab Packaging container with rim and lid.
WO2016136269A1 (ja) * 2015-02-26 2016-09-0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WO2020001855A1 (en) 2018-06-26 2020-01-0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US10596429B1 (en) * 2018-12-17 2020-03-24 Drew Danboise Divot repair bottle
CN114455192B (zh) * 2022-02-24 2023-10-24 正元合谷(北京)健康科技发展有限公司 自流蜜脾的包装盒、自流蜜脾包及自流蜜脾取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298A (en) * 1972-10-25 1976-06-01 The Cornelius Company Container assembly for use with a separator dispenser
US3938639A (en) * 1973-11-28 1976-02-17 The Cornelius Company Portable dispenser for mixed beverages
DE3781903T2 (de) * 1986-06-05 1993-02-11 Akerlund & Rausing Licens Ab Wiederverschliessbarer behaelter.
JPS63187272A (ja) * 1987-01-30 1988-08-02 Tokyo Electric Co Ltd 現像器のトナ−補給装置
FR2631536B1 (fr) * 1988-05-20 1991-10-04 Gros Maurice Distributeur de produits alimentaires en fragments ou grains
US4981229A (en) * 1989-07-12 1991-01-01 Kraft General Foods, Inc. Innerseal liner for containers
IT1237155B (it) * 1989-12-22 1993-05-24 Serbatoio con bocchettone di collegamento
DE9111080U1 (ko) 1990-09-10 1991-10-31 Staeger & Co. Ag, Villmergen, Ch
JPH06324464A (ja) 1993-05-14 1994-11-25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処理装置の摺動部構造
JP3865795B2 (ja) 1994-08-23 2007-01-10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ップ状振出し紙容器
US7387216B1 (en) * 1996-07-17 2008-06-17 Smith James C Closure device for containers
JPH10203542A (ja) * 1997-01-20 1998-08-04 Kao Corp 詰め替え用袋
US6533113B2 (en) 2000-12-01 2003-03-18 Brett Moscovitz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mixing substances
US6527110B2 (en) * 2000-12-01 2003-03-04 Brett Moscovitz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by mating with a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s
JP2002264918A (ja) 2001-03-08 2002-09-18 Toppan Printing Co Ltd 開口部補強リング付カップ状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7169418B2 (en) * 2001-06-04 2007-0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ing system to provide fresh packed coffee
JP2003002350A (ja) * 2001-06-19 2003-01-08 Masayuki Makita 原料及び圧力気体の収容室を備えたボトルキャップ
US6974024B2 (en) * 2003-04-12 2005-12-13 Young Kook Cho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6994211B2 (en) * 2003-04-12 2006-02-07 Young Kook Cho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6935493B2 (en) * 2003-04-12 2005-08-30 Young Kook Cho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6994129B2 (en) * 2003-10-29 2006-02-07 Key Plastics, Llc Fluid bottle with refill bottle opener
JP2007290373A (ja) 2006-03-28 2007-11-08 Tokai Rubber Ind Ltd 樹脂複合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樹脂複合ホース
US7635012B2 (en) * 2006-06-12 2009-12-22 Jpro Dairy International, Inc. Sealed storage container with a coupling assembly
PL2008553T3 (pl) * 2007-06-28 2011-04-29 Nestec Sa Pojemnik do przechowywania i wyładowywania materiałów sypkich
CA2687194A1 (en) * 2007-06-28 2008-12-31 Nestec S.A. Port system for fastening a container to a connection system
JP5365789B2 (ja) * 2008-04-24 2013-12-1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パッケージ及び漏斗パーツ
MX2010011537A (es) * 2008-04-24 2011-02-15 Toppan Printing Co Ltd Recipiente de empaquetamiento y paquete que utiliza el mismo.
EP2163867B1 (de) * 2008-09-11 2014-09-10 Mettler-Toledo AG Einwaagegefäss zum Einwägen von Substan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2350A1 (en) 2009-10-29
UY31783A (es) 2009-11-10
US20110036868A1 (en) 2011-02-17
RU2010147823A (ru) 2012-05-27
ZA201008393B (en) 2012-04-25
CN102015466B (zh) 2012-12-12
EP2279126B1 (en) 2011-11-30
HK1152688A1 (en) 2012-03-09
KR101607351B1 (ko) 2016-03-29
TW201008843A (en) 2010-03-01
ATE535454T1 (de) 2011-12-15
CN102015466A (zh) 2011-04-13
AU2009239890B2 (en) 2014-11-27
PE20100214A1 (es) 2010-03-23
CL2009000989A1 (es) 2010-04-09
WO2009130315A1 (en) 2009-10-29
EP2279126A1 (en) 2011-02-02
NZ589000A (en) 2013-03-28
US8555936B2 (en) 2013-10-15
JP4885905B2 (ja) 2012-02-29
RU2493066C2 (ru) 2013-09-20
AU2009239890A1 (en) 2009-10-29
MX2010011648A (es) 2011-03-04
JP2009262956A (ja) 2009-11-12
BRPI0911353A2 (pt) 2018-05-02
AR071507A1 (es) 2010-06-23
MY163142A (en)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366A (ko) 리필용 용기
CA2722070C (en) Container and package using the same
AU2009239888B2 (en) Lid with barrier property
EP3797077B1 (en) Flexible membrane with valve
JP5304990B2 (ja) バリア性を備えた詰め替え用容器
JP5354329B2 (ja) 詰め替え用紙容器
JP5262453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容器
JP5131015B2 (ja) パーツ付紙容器
JP5262472B2 (ja) パーツ付詰め替え用容器
JP5417466B2 (ja) バリア性を有する蓋
JP5229465B2 (ja) バリア性を有する蓋
JP5168569B2 (ja) 詰め替え用容器
JP2010254337A (ja) 易開封性及びバリア性を有する蓋
NZ588930A (en) Container and package using the same allowing for easy transfer to another container without spil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