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225A -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225A
KR20110016225A KR1020090073827A KR20090073827A KR20110016225A KR 20110016225 A KR20110016225 A KR 20110016225A KR 1020090073827 A KR1020090073827 A KR 1020090073827A KR 20090073827 A KR20090073827 A KR 20090073827A KR 20110016225 A KR20110016225 A KR 2011001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motion
laundry
ri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279B1 (ko
Inventor
조인호
김형용
최병걸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279B1/ko
Priority to CN201010161841A priority patent/CN101818433A/zh
Priority to CN201080027407.3A priority patent/CN102471976B/zh
Priority to UAA201202777A priority patent/UA103697C2/uk
Priority to TW99126791A priority patent/TWI432624B/zh
Priority to EP10808345.2A priority patent/EP2464777B1/en
Priority to US12/854,346 priority patent/US8763184B2/en
Priority to MX2011012259A priority patent/MX349451B/es
Priority to BR112012002347-0A priority patent/BR112012002347B1/pt
Priority to ES10808348.6T priority patent/ES2614489T3/es
Priority to EP10808346.0A priority patent/EP2496750B1/en
Priority to RU2011147906/12A priority patent/RU2499091C2/ru
Priority to RU2011146829/12A priority patent/RU2497987C2/ru
Priority to MX2011012606A priority patent/MX2011012606A/es
Priority to US12/854,330 priority patent/US20110030149A1/en
Priority to EP10808348.6A priority patent/EP2464778B1/en
Priority to CN201080026380.6A priority patent/CN102471972B/zh
Priority to PCT/KR2010/005257 priority patent/WO2011019196A2/en
Priority to PL10808348T priority patent/PL2464778T3/pl
Priority to UAA201113553A priority patent/UA100209C2/uk
Priority to US12/854,372 priority patent/US8746015B2/en
Priority to PL10808345T priority patent/PL2464777T3/pl
Priority to ES10808346.0T priority patent/ES2655588T3/es
Priority to TW99126790A priority patent/TWI424107B/zh
Priority to EP16184841.1A priority patent/EP3130694A1/en
Priority to PL10808346T priority patent/PL2496750T3/pl
Priority to TW99126789A priority patent/TWI429803B/zh
Priority to AU2010283165A priority patent/AU2010283165B2/en
Priority to TW99126788A priority patent/TWI410547B/zh
Priority to ES10808344T priority patent/ES2755887T3/es
Priority to PCT/KR2010/005258 priority patent/WO2011019197A1/en
Priority to PCT/KR2010/005260 priority patent/WO2011019199A2/en
Priority to ES10808345.2T priority patent/ES2608812T3/es
Priority to EP10808344.5A priority patent/EP2496747B1/en
Priority to BR112012002451A priority patent/BR112012002451B1/pt
Priority to PCT/KR2010/005255 priority patent/WO2011019195A2/en
Priority to US12/854,263 priority patent/US20110047716A1/en
Priority to AU2010283168A priority patent/AU2010283168B2/en
Publication of KR2011001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225A/ko
Priority to US13/420,839 priority patent/US8713736B2/en
Priority to US13/420,819 priority patent/US89669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79B1/ko
Priority to US15/715,417 priority patent/US201800579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구동모션을 다양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브 또는 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단계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 후 낙하되는 것이 반복되는 드럼구동모션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세탁장치, 드럼구동모션, 세탁코스,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Description

세탁장치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구동모션을 다양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세탁장치는 크게 교반식과 와류식 및 드럼식 세탁장치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식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구비되며, 터브의 배면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샤프트가 구비된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장치는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드럼에 저 장된 세탁물의 마찰력, 세탁수에 저장된 세제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은 세탁장치의 세탁성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상기 드럼은 터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세탁장치의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계되는 드럼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은 반드시 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고려되어야 한다.
드럼 세탁기의 경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유동되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에서의 세탁물 손상은 교반식이나 와류식에 비해 적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의 드럼 세탁기의 경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들어 올려졌다 떨어지는 텀블 구동으로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텀블 구동은 세탁물을 부드럽게 두드려 빠는 형태이다. 따라서, 특정한 형태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어 세탁 성능 향상에는 한계가 불가피하였다.
또한, 세탁행정은 본세탁단계와 아울러 급수, 세제 용해, 포적심 또는 히팅 등 다양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단계에서 일률적으로 텀블 구동이 이루어져 각각 단계에서의 효율 향상과 시간 절약에 일정한 한계가 불가피하였다.
아울러, 텀블 구동은 드럼 내부의 공간이 일정하기 때문에 포량에 따라 세탁 효율 등은 달라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왜냐하면 두드려 세탁하기 때문에 포량이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 세탁물에 가해지는 기계력은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행정과 아울러 헹굼행정과 탈수행정에서도 효율 향상과 시간 절약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즉, 이러한 행정들이 조합된 코스에서뿐만 아니라, 하나의 행정이 독립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독자적으로 수행되거나 코스 내의 일부로 수행되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에서의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행정에서 수행되는 세부 단계들 각각에서 드럼구동모션을 달리하여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포량에 관계없이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신뢰성이 높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헹굼행정과 탈수행정에서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잔류하는 세제를 최대한 세탁물에서 제거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 각각에서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한편, 이들 행정들이 조합되어 수행되는 세탁코스에서의 효율도 증진시킨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터브 또는 드럼으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여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급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에서, 상기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유동하는 모션(드럼구동모션)은 스텝모션을 포함하도록 상기 드럼의 구동을 제어하여 세제용해촉진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급수단계는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세탁장치 내부로 공급되어 세제와 함께 드럼 또는 터브로 공급되어 완료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단계는 본격적으로 드럼 내에서 세탁이 수행되는 본세탁단계 전에 수행되는 예비단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는 급수단계의 초기에 세제가 세탁수에 골고루 섞여 용해되도록 수행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에서 드럼구동모션은 스크럽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에서 드럼구동모션은 상기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의 순서적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소정시간 동안 스텝모션이 수행된 후 스크럽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이 소정 횟수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은 드럼이 회전 후 급격히 정지하는 모션이므로 세탁물의 유동 방향이 급격히 변경된다. 따라서 세탁물에 강한 충격력이 가해지는 모션이라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모션은 세탁수에도 강한 충격력을 가하는 모션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의 조합으로 세탁물의 유동 양상과 세탁수의 유동 양상을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에 세제가 신속히 용 해되도록 하여 세제 용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탁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제동은 회전하는 드럼의 반대 방향으로 토크를 가하는 역상 제동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세탁물의 유동 방향을 더욱 급격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단계 초기에 드럼을 회전시켜 공급되는 세제가 액상 세제인지 분말 세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세탁행정 종료 후 수행될 수 있는 헹굼행정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이나 헹굼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과 관련된 사항은 세탁장치의 구동 초기에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제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는 급수 초기, 특히 상기 세제용해촉진 단계 이전에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에서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재공급하는 순환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드럼 세탁기의 경우 세탁물이 세탁수에 완전히 잠겨서 세탁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세탁물에 골고루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순환단계가 수행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순환단계는 드럼 하부 외측의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세탁수를 유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세제용해촉진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 후에는 포적심을 촉진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급수단계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 수행되고 급수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세제용해촉진단계에서 포적심이 일부 이루어지고, 세탁수위가 상승하여 드럼 내부에도 세탁수가 고여있게 된다. 따라서, 이 후 포적심을 더욱 촉진시키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적심촉진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세제용해촉진단계에서와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포적심촉진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롤링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적심촉진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트레이션모션과 롤링모션은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탁행정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드럼 내의 세탁물의 양, 즉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수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이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수단계 수행 전 드럼 내의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포량 판단은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모션을 수행하면서 소요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에서 판단된 포량이 소정의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는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는 소정의 포량레벨 이하인 경우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계력을 강하게 공급하는 드럼구동모션은 소량의 포량인 경우 더욱 효과적이고, 포량이 적기 때문에 세탁물이 세탁수와 충분히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대량의 포량인 경우 기계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세탁물이 세탁수와 충분히 접촉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량이 소정의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세제용해촉진단계가 생략되고 포적심촉진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포량이 소정의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세제용해를 더욱 촉진시키는 데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단계에서,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재공급하는 순환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적심촉진단계에서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트레이션모션과 아울러 텀블링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필트레이션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표면적을 넓혀 세탁수를 공급하고, 텀블링모션을 통해 세탁물이 엉키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게 하여 세탁수가 세탁물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은 본세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세탁단계와 상기 급수단계 사이에는 본세탁을 준비하기 위하여 드럼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히팅단계는 터브 하부에 구비되는 히터를 통해 세탁수를 가열하거나,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세탁수의 온도 또는 드럼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히팅단계는 필요에 따라 수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히팅단계는 급수 단계 후 히팅 준비를 위한 히팅준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단계 후에는 포적심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급수단계 후에 보다 정확한 포량 판단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포적심 이전 포량 보다는 포적심 이 후 포량이 더욱 실제 포량에 가깝기 때문이다. 일례로, 포적심 이전에는 젖어 있는 세탁물은 실제 포량보다는 크게 판단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히팅단계 또는 히팅준비단계에서는 본세탁 전에 정밀 포량판단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히팅단계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히팅준비단계와 대응되는 단계가 정밀 포량판단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세탁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스텝모션, 텀블모션 그리고 롤링모션의 순서적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세탁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과 텀블모션의 순서적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세탁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상기 드럼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의 포량은 급수 전에 판단된 포량일 수 있고, 급수 후 본세탁 전에 판단된 포량일 수 있다.
상기 포량이 소정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량이 소정 포량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스텝모션을 포함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터브 또는 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단계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 후 낙하되는 것이 반복되는 드럼구동모션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헹굼행정은 독자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세탁행정과 함께 하나의 세탁코스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을 포함하는 세탁코스를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은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포량에 따라 상기 헹굼행정의 행굼단계에서 드럼구동모션이 달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독자적으로 수행되거나 코스 내의 일부로 수행되는 세탁행정에서의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량에 관계없이 세탁 성능을 증진시키고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신뢰성을 높인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세탁행정에서 수행되는 세부 단계들 각각에서 드럼구동모션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표준코스를 최적화하여 다양한 의류 세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헹굼행정과 탈수행정에서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잔류하 는 세제를 최대한 세탁물에서 제거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 각각에서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한편, 이들 행정들이 조합되어 수행되는 세탁코스에서의 효율도 증진시킨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대상인 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30)과, 상기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140)와, 사용자가 세탁코스의 선택 및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패 널(115)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본체(11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커버(112)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2)는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114)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30)은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드럼(130)은 상기 모터(140)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130)은 다수의 통공(131)을 구비하므로 상기 터브(120)에 저장된 세탁수는 상기 통공(131)을 통해 상기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터브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은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마찰하는 과정에서 오물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15)은 사용자가 세탁과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과 관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115)은 사용자가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117, 118)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을 포함하여 세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드럼이 다양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텀블 구동과 스핀 구동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형태로 드럼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텀블 구동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세탁이나 헹굼 시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 후 낙하하는 드럼구동모션이며, 상기 스핀 구동은 탈수 시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붙어 있는 상태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는 드럼구동모션이다.
본 발명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드럼이 회전하는 RPM 만 아니라 이와 연관되어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이 유동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으로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드럼의 회전, 특히 드럼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활용되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드럼구동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을 의미하고, 상기 드럼구동모션에 의해 드럼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은 낙하방향, 낙하시점이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드럼 내부에서의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상기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트(135)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세탁물간의 마찰, 세탁물과 세탁수 간의 마 찰, 그리고 세탁물의 낙하 충격 등의 기계력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두드리거나 비비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고, 세탁물의 분산이나 뒤집힘 정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비한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세탁물의 종류, 세탁물의 오염정도, 각각의 행정, 각각의 행정을 이루는 세부적인 단계에 따라 드럼구동모션을 달리 하여 최적의 기계력으로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물의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일관된 드럼구동모션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세탁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140)는 직결식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즉, 모터의 스테이터가 터브(120)이 후방에 고정되고, 모터의 로터가 회전하여 상기 드럼(120)을 직접 구동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모터의 회전 방향, 토크 등을 제어함으로써, 시간적인 지연이나 백래시(backlash)를 최대한 방지하여 즉각적으로 드럼구동모션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모터의 회전력을 풀리 등을 통하여 회전축에 전달하는 형태에서는 시간적인 지연이나 백래시가 허용되는 형태의 드럼구동모션, 예를 들어 텀블링 구동이나 스핀 구동 등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모터와 드럼의 구동 방식 형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a)는 롤링모션(roll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롤링모션은 상기 모터(140)가 드럼(1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즉, 모터(140)가 드럼을 약 40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드럼(140)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드럼(14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상승한 뒤 상기 드럼의 최저점에서 회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구르듯이 상기 드럼의 최저점으로 유동하게 된다. 시각적으로는 드럼이 시계방향 회전 시 드럼의 3사분면에서 세탁물들이 지속적으로 구르는 형태가 된다.
세탁물은 상기 롤링모션을 통해 세탁수와의 마찰, 세탁물간의 마찰, 그리고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뒤집힘이 충분히 발생되어 세탁물을 부드럽게 비벼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드럼 RPM은 드럼의 반경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즉, 드럼의 RPM이 커질수록 드럼 내의 세탁물에는 원심력이 발생된다. 상기 원심력과 중력과의 크기 차이로 인해 드럼 내부에서의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물론, 드럼의 회전력과 드럼과 세탁물 사이의 마찰력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롤링모션은 원심력과 마찰력이 중력(1G)보다 적게 발생되도록 드럼의 RPM이 결정된다.
도2의 (b)는 텀블링모션(tumbl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텀블링모션은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 기 드럼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내지 110도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상기 텀블링모션은 드럼을 적정한 RPM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만 하면 기계력이 발생되므로 세탁과 헹굼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럼구동모션이다.
즉, 드럼(140)에 투입된 세탁물은 모터(140)가 구동되기 전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에 토크를 제공하면 상기 드럼(130)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트(135)는 드럼 내 최저점에서 소정높이까지 세탁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만약, 상기 모터(140)가 상기 드럼(140)을 약 46RPM정도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최저점에서 회전방향 약 90도 내지 110도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텀블링모션는 롤링모션에서의 원심력 보다는 큰 원심력이 발생하되, 중력보다는 적게 발생되도록 드럼의 RPM이 결정된다.
시각적으로 텀블링 모션은 드럼이 시계방향 회전 시 드럼의 최저점에서 3사분면으로부터 2사분면의 일부로 이동한 뒤 드럼 내주면에서 벗어나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텀블링모션은 세탁물이 세탁수와의 마찰 및 낙하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력에 의해 세탁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롤링모션에서 기계력 보다 더 큰 기계력으로 세탁 및 헹굼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정도 드럼 내부를 벗어나 낙하하는 모션이므로 엉켜진 세탁물을 분리하고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2 (c)는 스텝모션(step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텝모션은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최고점(약 180도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상기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을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낙하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스텝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 내주면에서 낙하하지 않는 속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상기 드럼을 급제동함으로써 세탁물에 충격력을 극대화하는 모션이다.
상기 스텝모션에서 상기 모터(140)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드럼의 외주면에서 낙하하지 않는 속도(약 60RPM 이상)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세탁물이 드럼의 최고점(회전방향 180도) 부근에 위치한 경우 역토크를 상기 드럼(130)에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서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모터(140)의 역토크에 의해 드럼이 정지하는 순간 드럼(130)의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상기 스텝모션은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이 최대낙차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충격력에 의해 세탁하는 모션이다. 이러한 스텝모션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력은 전술한 롤링모션이나 텀블링모션보다 크게 된다.
시각적으로 스텝모션은 드럼이 시계방향 회전 시 드럼의 최저점에서 3사분면으로부터 2사분면을 지나 드럼의 최고점으로 이동한 후 갑자기 드럼 내주면에서 벗어나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스텝모션에서 드럼 내부에 서 낙하하는 거리가 가장 크기 때문에 포량이 적은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기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역상제동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상제동은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모터를 제동하는 방식이다.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유발하기 위해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상(phase)을 역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역상제동은 모터의 급제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역상제동은 세탁물에 강한 충격을 주는 상기 스텝모션에 가장 적절한 제동방식이 된다.
이후, 상기 모터(140)는 다시 상기 드럼(130)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의 최저점에 있는 세탁물을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한 후 순간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하여 급정지시키고, 이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하여 스텝모션이 구현된다.
결국, 상기 스텝모션은 드럼의 회전 시에는 통공(131)으로 유입된 세탁수와 세탁물을 마찰시켜 세탁하고, 세탁물이 드럼의 최고점에 위치하면 낙하시켜 충격력에 의해 세탁하는 모션이다.
도2 (d)는 스윙모션(sw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윙모션은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즉, 모터(140)가 드럼(130)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40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세탁물이 드럼의 반시계방향 약 90도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켜 세탁물이 드럼의 반시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후, 상기 모터(140)는 드럼(130)을 시계방향으로 약 40RPM으로 회전시켜 낙하하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소정높이 상승시킨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세탁물이 드럼의 시계방향 약 90도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세탁물이 드럼의 시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 방향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즉, 스윙모션은 드럼의 일방향 회전 및 정지 그리고 역방향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되는 모션으로, 시각적으로는 세탁물이 드럼의 3사분면으로부터 2사분면 일부까지 상승하여 부드럽게 낙하한 후 드럼의 4사분면으로부터 1사분면 일부까지 상승하여 부드럽게 낙하함을 반복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140)의 제동은 발전제동을 이용함으로써 모터(140)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모터(140)의 기계적 마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전제동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OFF 시킬 경우 회전관성에 의해 모터가 발전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이용한 제동방식이다. 모터에 인가된 전류를 OFF시키면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전원 OFF전 전류의 방향과 반대가 되므로 모터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이 작용하여 모터가 제동된다. 상기 발전제동은 상기 역상제동과 달리 모터를 급제동시키지는 않 으나 드럼의 회전방향 전환을 부드럽게 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상기 스윙 모션은 드럼의 3사분면과 4사분면에 걸쳐 옆으로 누운 8자 형태로 세탁물이 유동하는 형태가 된다.
도2 (e)는 스크럽모션(scrub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크럽모션은 모터(140)가 드럼(13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이상의 위치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즉, 모터(140)가 드럼(130)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세탁물이 드럼의 반시계방향 약 90도의 위치를 지난 뒤 드럼에 역토크를 제공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면, 드럼의 내주면에 있던 세탁물은 급격히 낙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모터(140)는 드럼을 시계방향으로 약 60RPM으로 회전시켜 낙하한 세탁물을 시계방향으로 소정높이 상승시킨다. 상기 모터(140)는 세탁물이 드럼의 시계방향 90도 위치를 지나면 드럼(130)에 역토크를 제공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일시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내주면에 있던 세탁물은 드럼의 시계방향 90도 이상의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럽모션은 세탁물이 소정높이에서 급격히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역상제동됨이 바람직하다.
드럼의 회전 방향이 급격히 전환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드럼 내주면을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되어 매우 강력하게 비벼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럽모션은 3사분면을 지나 2사분면 일부까지 이동한 세탁물이 급격히 낙하하여 다시 4사분면을 지나 1사분면 일부까지 이동한 후 낙하함을 반복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상승한 세탁물이 드럼 내주면을 따라 하강함을 반복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도2 (f)는 필트레이션모션(filtration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모터(140)가 드럼(130)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의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모션이다.
즉,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펼쳐진 후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동안 세탁수를 드럼의 내부에 분사하므로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 드럼의 통공(131)을 거쳐 터브(120)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의 표면적을 넓히는 한편, 세탁수가 세탁물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세탁수를 골고루 세탁물에 공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2 (g) 는 스퀴즈모션(squeeze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퀴즈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회전시킨 후 드럼(13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드럼의 내주면에서 세탁물을 분리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 중 세탁수를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모션이다.
즉,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는 속도 로 계속회전되나 상기 스퀴즈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세탁물을 드럼(130)의 내주면에 밀착 및 분리를 반복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과 스퀴즈모션 중 상기 드럼(130)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과정은 도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순환유로 및 펌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터브(120)의 저면과 연통하여 세탁수를 가압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측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드럼의 상부로부터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비돌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순환유로 및 펌프는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이므로, 캐비닛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분사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분사급수유로가 일측은 급수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되 상기 드럼의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한다면 필트레이션모션과 스퀴즈모션 중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3은 상기 스텝모션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터(140)가 드럼(130)에 일정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면 드럼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세탁물은 드럼(1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드럼은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승할 수 있도록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드럼의 회전 속도는 드럼의 내경과의 관계에서 결정되며, 원심력이 중력보다 커지게 되는 회전속도로서 결정되어 진다.
세탁물이 드럼(130)의 회전방향 90도 지점을 지나 드럼 내 최고점에 이르기 직전 모터(140)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해 역상제동된다. 모터(140)의 역상제동 시점은 드럼(130) 내 세탁물의 위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세탁물의 위치를 판단 또는 예상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로터의 회전각을 판단할 수 있는 홀센서(Hall effect sensor)를 구비한 감지장치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를 통해 제어부는 로터의 회전각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드럼의 회전각을 판단할 수 있게 되고, 드럼이 180도에 이르기 전에 상기 모터(140)를 역상제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역상제동이라 함은 드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역상의 전류를 인가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에 전류가 인가된 후 갑자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류를 인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던 드럼은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되고, 이때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180도가 되어 드럼 내부의 최고점에서 드럼 내부의 최저점으로 세탁물이 낙하하게 된다. 이후, 계속해서 시계방향으로 드럼이 회전하도록 전류는 계속해서 인가된다.
도3은 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반시계방향의 회전 중 스텝모션이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스텝모션은 모터(140)에 높은 부하를 발생시키므로 실동율을 낮추어 실행함이 바람직하다.
실동율이란 모터(140)의 구동시간 및 정지시간의 총합에 대한 모터가 구동시 간의 비로서 실동율 1은 모터가 정지시간없이 구동함을 의미한다. 상기 스텝모션의 경우 모터의 부하를 고려할때 약 70%의 실동율로 제어됨이 바람직하고, 10초간 구동후 4초간 정지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도4는 스크럽모션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터(140)가 드럼(130)에 토크를 인가하면 드럼 내의 세탁물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130)은 약 60RPM 이상의 회전수를 가지도록 모터(14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90도 지점을 통과하면 모터(140)는 역상제동되므로,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된 세탁물은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된다.
세탁물이 최저점에 낙하하면 상기 모터(140)는 드럼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를 제공한다. 따라서, 낙하된 세탁물은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세탁물이 드럼의 최저점에서 반시계방향 90도 지점과 드럼의 최고점 사이에 있을때 상기 모터는 역상제동되므로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된 세탁물은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술한 스크럽모션도 상기 스텝모션과 같이 모터(140)에 높은 부하를 발생시키므로 실동율을 낮추어 실행됨이 바람직하며, 10초동안 스크럽모션의 실행 후 4초 동안 정지를 반복하여 70% 실동율로 제어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윙모션은 상기 스크럽모션에서 모터의 제동방식을 발전제동으로 변경하고, 발전제동의 시점을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90도 지점에 이른 때로 변경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는 도2에 개시된 각 모션의 세척력 및 진동의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세척력을 나타내는 축으로 왼쪽으로 갈 수록 세탁물에 포함된 오물의 분리가 용이하다. 세로축은 진동 또는 소음수준을 나타내는 축으로 상부로 갈수록 진동수준은 높아지나 동일 세탁물에 대한 세탁시간은 줄어든다.
상기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은 세척력이 우수하여 세탁물의 오염이 심한 경우 및 세탁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세탁코스에 적합한 모션이다. 또한, 상기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은 진동과 소음의 수준이 높은 모션이다. 따라서, 세탁물이 민감한 의류인 경우나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세탁코스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모션이다.
상기 롤링모션은 세척력이 우수하고 진동수준이 낮으며, 세탁물 손상 최소화 및 모터부하가 낮은 것이 특징인 모션이다. 따라서, 모든 세탁코스에 적용가능하나 특히 세탁초기 세제용해 및 세탁물 적심에 적합한 모션이다.
상기 텀블링모션은 세척력은 상기 스크럽모션보다 낮으나 진동수준은 상기 스크럽모션과 롤링모션의 중간수준의 모션이다. 상기 롤링모션은 진동수준이 낮은 대신 상기 텀블링모션에 비해 세탁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상기 텀블링모션은 모든 세탁코스에 적용가능하나 특히 포분산을 위한 단계에 유용한 모션이다.
상기 스퀴즈모션은 세턱력에 있어서는 텀블링모션과 유사하고, 진동수준은 텀블링모션보다 높다. 상기 스퀴즈모션은 드럼의 내주면에 세탁물의 밀착과 분리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세탁물을 지나 드럼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헹굼을 위한 단계에 유용한 모션이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척력은 스퀴즈모션보다 낮고, 소음의 정도는 롤링모션과 유사한 모션이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드럼의 내주면에 세탁물이 밀착된 상태에서 세탁수가 세탁물을 지나 드럼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포적심이 요구되는 단계에 유용한 모션이다.
상기 스윙모션은 진동수준과 세척력이 가장 낮은 모션이다. 따라서, 스윙모션은 저소음 또는 저진동 세탁코스에 유용한 모션이고, 민감한 의류 세탁에 적합한 모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구동모션은 장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드럼구동모션은 포량과의 관계에서도 장단점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동일 코스, 동일 행정 등의 경우에도 포량과의 관계에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적절히 사용하는 거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세탁행정에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세탁행정은 세탁코스의 일부로서의 세탁행정일 수도 있으며, 독립적인 세탁행정일 수 있다. 세탁코스는 코스선택부(117)을 통해 선택될 수 있고, 독립적인 세탁행정은 옵션선택부(118)을 통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세탁행정(S100)은 터브(120) 또는 드럼(130)으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여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급수단계(S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세탁을 위해 세탁장치의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세제와 함께 공급하는 것이다. 아울러, 세탁행정은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본세탁단계(S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급수단계(S120)은 본세탁을 위한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탁행정의 효율(세탁 효율 및 시간 단축 효과 포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급수단계에서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급수단계(S120)에서는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과정이 수행될 것이다. 세탁행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급수단계 초기에 세제용해가 효과적으로 완료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단계에서는 세제용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과정(S122)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세제용해촉진을 위해서 상기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유동하는 모션(드럼구동모션)은 강한 기계력을 세탁수와 세탁물에 공급하는 모션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제용해촉진단계(S122)에서는 회전하는 드럼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제동에 의해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벗어나 낙하함을 반복하는 스텝모션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텝모션이 아닌 회전하는 드럼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제동과 역회전으로 인해 하강 후 재상승함을 반복하는 스크럽모션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은 드럼이 회전 후 급격히 정지하는 모션이므로 세탁물의 유동 방향이 급격히 변경된다. 따라서 세탁물에 강한 충격력이 가해지는 모션이라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모션은 세탁수에도 강한 충격력을 가하는 모션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단계(S120) 초기에 강한 기계력을 제공하여 세제용해를 촉진시켜 세탁행정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의 순서적 조합을 반복함으로써 세제용해촉진단계(S122)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형태의 드럼구동모션이 조합되기 때문에 세탁물의 유동 형태, 세탁수의 유동 형태 등을 더욱 다양화시켜 세탁행정의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단계(S120) 초기에 드럼을 회전시켜 공급되는 세제가 액상 세제인지 분말 세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1)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탁행정 종료 후 수행될 수 있는 헹굼행정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이나 헹굼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과 관련된 사항은 세탁장치의 구동 초기에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119)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제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121)는 급수 초기, 특히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S122) 이전에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급수단계(S120)에서는 세제의 용해와 아울러 세탁물을 세탁수로 충분히 적시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드럼 세탁기의 경우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탁행정의 초기에 신속히 포적심이 수행되도록 해야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S122)에서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재공급하는 순환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단계는 드럼 하부 외측의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세탁수를 유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포적심을 신속히 할 수 있게 되고 세제용해촉진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S122) 후에는 포적심을 촉진시키는 단계(S123)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급수단계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 수행되고 급수단계(S120)가 종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즉, 포적심촉진단계(S123)는 포적심을 완전하게 수행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세제용해촉진단계(S122)에서 포적심이 일부 이루어지고, 세탁수위가 상승하여 드럼 내부에도 세탁수가 고여있게 된다. 따라서, 이 후 포적심을 더욱 촉진시키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적심촉진단계(S123)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세제용해촉진단계(S122)에서와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포적심촉진단계(S123)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롤링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적심촉진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트레이션모션과 롤링모션은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의 넓게 분산하여 세탁물의 표면적을 넓히는 모션이므로 포적심을 골고루 수행하는 데 매우 바람직하다. 아울러, 롤링모션은 세탁물을 지속적으로 뒤집는 과정을 수행하므로 드럼 하부에 고여 있는 세탁수를 골고루 세탁물과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포적심을 골고루 수행하는 데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드럼구동모션, 즉 필트레이션모션과 롤링모션을 순서대로 반복 수행하여 상기 포적심촉진단계(S123)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단계(S120)은 본세탁단계(14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세제 용해, 포적심 등을 신속하고도 완전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포량의 많고 적음과 관계없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드럼 용량의 한계, 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세탁수의 한계 등을 고려하면, 급수단계(S120)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포량에 따라 달리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포량에 따라 세제 용해와 포적심 효과를 최대로 나타낼 수 있는 드럼구동모션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단계(S1200) 전에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 즉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S11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량판단단계(S1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급수단계(S120)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달리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량 판단은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모션을 수행하면서 소요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텀블모션 수행을 위해 제어부에서는 46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포량에 따라서 인가되는 전류값이 달라질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포량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포량판단단계(S110)에서 판단된 포량이 소정의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S122)는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용해촉진단계는 소정의 포량레벨 이하인 경우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계력을 강하게 공급하는 드럼구동모션은 소량의 포량인 경우 더욱 효과적이고, 포량이 적기 때문에 세탁물이 세탁수와 충분히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포량 이 적다는 것은 세탁물이 세탁수와 접촉해야하는 표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하고, 세탁물을 뒤집는 등 기계력을 가하여 짧은 시간에 세제 용해 및 포적심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텝모션이나 스크럽모션을 통해 본세탁 효과도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어, 본 세탁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대량의 포량인 경우 기계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세탁물이 세탁수와 충분히 접촉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세탁물이 뭉쳐있는 경우 내부에 있는 세탁물에는 세탁수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량이 소정의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세제용해촉진단계가 생략되고 포적심촉진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포량이 소정의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세제용해를 더욱 촉진시키는 데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단계(S120)에서,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부로 재공급하는 순환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적심촉진단계(S123)에서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트레이션모션과 아울러 텀블링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필트레이션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표면적을 넓혀 세탁수를 공급하고, 텀블링모션을 통해 세탁물이 엉키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게 하여 세탁수가 세탁물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급수단계(S120) 초기부터 세탁수를 충분히 세 탁물에 공급하여 본세탁에서의 세탁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급수단계(S120)에서 포량에 따라 드럼구동모션을 달리 제어하여 급수단계에서 요구되는 결과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탁행정(S100)은 본세탁단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세탁단계(S140)와 상기 급수단계(S120) 사이에는 본세탁을 준비하기 위하여 드럼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히팅단계는 터브 하부에 구비되는 히터를 통해 세탁수를 가열하거나,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세탁수의 온도 또는 드럼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히팅단계는 필요에 따라 수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즉, 냉수로 세탁하는 경우에는 히팅단계(S130)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코스 선택 시 디폴트로 냉수보다 온도가 높도록 세탁수의 온도가 기설정되었거나, 옵션선택부(118)을 통해 세탁수의 온도가 냉수보다 높은 온도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히팅단계(S130)가 수행될 것이다.
상기 히팅단계(S130)에서 발생되는 열은 어떠한 형태로든 충분히 세탁물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히팅단계(S130)에서의 드럼구동모션도 포량에 따라 달리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포량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텀블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포량이 소정 포량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롤링모션이 수행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포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세탁물 분산 보다는 드럼 하부에서 세탁물이 뒤집힘이 반복되는 것이 가열 및 세탁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히팅단계(S130)에서는 포량이 적은 경우에는 텀블모션과 롤링모션의 조합, 그리고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텀블모션이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히팅단계(S130)는 급수 단계 후 히팅 준비를 위한 히팅준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단계(S120) 후에는 포적심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급수단계(S120) 후에 보다 정확한 포량 판단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포적심 이전 포량은 젖은 세탁물과 마른 세탁물을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일례로, 포적심 이전에는 젖어 있는 세탁물은 실제 포량보다는 크게 판단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세탁(S140)전 상기 히팅단계(S130)에서 본세탁 전에 정밀 포량판단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히팅단계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히팅준비단계와 대응되는 단계가 정밀 포량판단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히팅단계가 생략되는 경우 급수단계(S120) 종료 후 본세탁단계(S140) 수행 전에 정밀포량판단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급수단계(S120)와 히팅단계(S130)가 모두 종료되면 본격적으로 세탁이 수행되는 본세탁단계(S140)이 수행되며, 이러한 본세탁단계(S140)가 종료됨으로써 세탁행정(S100)이 종료하게 된다.
상기 본세탁단계(S140)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스텝모션, 텀블모션 그리고 롤링모션의 순서적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구동모션은 강한 기계력을 제공하는 한편 다양한 형태로 세탁물을 유동시켜 세탁 효율을 더욱 증진시키게 한다. 또한, 상기 본세탁단계(S140)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과 텀블모 션의 순서적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구동모션은 세탁물에 세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세제로 인한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고, 아울러 세탁물에 골고루 기계력을 가하여 기계력으로 인한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게 한다.
따라서, 본세탁단계(S140)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포량에 따라 최적의 세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드럼구동모션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의 포량은 급수단계(S120) 수행 전에 판단된 포량일 수 있으며, 히팅단계(S130)에서 판단된 포량일 수도 있을 것이다. 소량의 젖은 세탁물을 포량이 많은 것으로 착오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세탁단계(S140)에서는 급수단계(S120) 후 판단된 포량에 따라 드럼구동모션을 달리 제어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포량이 소정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트레이션 모션과 아울러 텀블모션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세탁수 순환을 위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텀블모션만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세탁물에 골고루 지속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기계력을 가하는 것이 세탁 효율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포량이 소정 포량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스텝모션이나 롤링모션이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강한 기계력을 가하는 한편 다양한 형태로 세탁물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세탁 효율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모션과 함께 텀블링모션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행정의 제어방법은 세탁행정(S100)을 구성하는 급수단계(S120), 히팅단계(S1300), 그리고 본세탁단계(S140)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을 다양하게 하여 세탁행정의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아울러, 포량에 따라서도 각각의 단계들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을 다양하게 하여 포량에 따라 최적화된 세탁행정(S100)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옵션선택부(S118)을 통해서 세탁물의 오염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에 따라 상기 히팅단계(S130)과 본세탁단계(S140)에서의 실동률은 달리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오염 정도가 낮은 경우 실동률을 크게 하면 세탁물이 불필요하게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선택된 오염 정도에 따라 급수단계(S120)에서의 실동률을 달라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급수단계(S120)는 세제용해와 포적심을 최적화하도록 실동률이 기설정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세탁물이 불필요하게 손상될 우려는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동률을 감소시키게 세제용해와 포적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행정(S100)은 세탁코스의 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세탁코스는 표준코스임이 바람직하다. 즉, 범용코스로서, 별도의 옵션 조작없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일반의류를 세탁할 때 사용하는 코스임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행정은 다양한 의류 및 오염 정도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럼 세탁기는 도어(113)을 통해 외부에서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세탁행정 내지는 이를 포함하는 세탁코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드럼구동모션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럼 내부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직접 볼 수 있게 된다. 즉, 가볍게 두드려 세탁하는 형태(텀블링모션), 강하게 두드려 세탁하는 형태(스템모션), 부드럽게 비벼 세탁하는 형태(롤링모션) 그리고 강하게 비벼 세탁하는 형태(스크럽모션)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감성적으로 세탁이 잘 이루어진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인 세탁 성능 향상과 아울러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감을 더욱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헹굼행정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세탁행정(S100)과 함께 하나의 코스로서 수행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코스에서 전술한 세탁행정이 종료 후 수행되는 헹굼행정(S2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세탁행정(S100), 헹굼행정(S200) 그리고 탈수행정(S300)으로 이루어지는 세탁코스에서는 여러 번의 탈수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세탁행정(S100) 종료 후 탈수, 헹굼행정(S200) 내에서의 탈수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세탁코스 마지막에서의 탈수행정(S300)과 구분되도록 간탈이라 칭할 수 있다.
탈수 또는 간탈에서의 탈수 정도는 드럼의 RPM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간탈은 약 200 내지 400RPM으로 수행되고, 탈수행정에서의 RPM은 섬세(약 400RPM), 약(약 600RPM), 중(약 800RPM) 그리고 강(약 1000RPM) 등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간 탈은 저공진주파수 보다 높은 RPM에서 수행되고, 탈수행정(S300)은 고공진주파수 보다 높은 RPM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공진주파수는 세탁장치 고유의 물리적 값으로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세탁장치의 진동은 급격히 커지게 된다. 만약, 드럼 내에 세탁물이 고루 분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세탁장치의 진동은 매우 급격하게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세탁장치에서는 공진주파수 이상에서 탈수를 하는 경우 드럼 내부에 세탁물이 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포풀림 단계를 수행하고, 공진주파수 대역은 신속히 벗어나도록 하는 가속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헹굼행정(S200)에서 급수와 헹굼이 여러 번 반복될 수록 중간에 수행되는 간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세제찌꺼기가 세탁 완료 후 잔류하는 문제 해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헹굼행정(S200)이 적어도 3번 이상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수행되는 간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헹굼행정(S200)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헹굼행정(S200)을 포함하는 세탁코스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도록 하는 문제 또한 야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행정(S200)에서 급수와 헹굼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경우 중간에 수행되는 간탈의 RPM을 달리 설정한다. 즉, 특정 간탈에서는 저공진주파수 미만인 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도록 하고, 특정 간탈에서는 고공진주파수 이상의 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도록 한다.
저공진주파수 미만으로 간탈이 수행되는 경우 별도로 포풀림, 진동량 감지 그리고 가속단계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헹굼행정(S200)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간탈에서의 RPM은 약 100 내지 110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공진주파수 미만의 RPM으로 간탈을 수행하는 경우 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지만,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충분히 세탁물에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세탁수에서 세제찌꺼기와 오염물 찌꺼기가 가장 많이 잔류되는 시기는 세탁행정(S100)이 종료된 시기일 것이다. 따라서, 세탁행정(S100) 종료 후에는 최대한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배출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행정(S100) 후 고속탈수(S210)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탈수(S210)에서는 고공진주파수 이상의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최대한 세탁물에서 세탁수를 배출시킨다. 이때의 RPM은 약 1000RPM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탈수(S210)이 종료되면 급수가 이루어지고 드럼이 구동하여 헹굼이 수행되는 제1헹굼단계(S220)이 수행된다. 여기서의 헹굼 수위는 도어 외부에서도 수위를 볼 수 있는 정도, 즉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겨있는 것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도의 고수위임이 바람직하다. 즉, 헹굼행정(S200) 초기에 많은 세탁수로 충분히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헹굼행정(S200)에서는 드럼구동모션은 스크럽모션 또는 스윙모션이 바 람직하다. 즉, 세탁수에 최대한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물을 유동시켜 헹굼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스크럽모션 또는 스윙모션은 세탁물을 세탁수에 담근 후 세탁수 내부에서 세탁물을 지속적으로 비비는 것에 해당한다. 이와 대비되는 텀블링모션과 스텝모션은 세탁물을 세탁수에 담갔다 꺼냈다를 반복하는 것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헹굼단계(S220)은 고수위에서 스크럽모션 또는 스윙모션으로 드럼이 구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럽모션 또는 스윙 모션과 아울러 고수위는 시각적으로 충분히 헹굼이 이루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감성적으로 헹굼이 충분히 이루어짐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헹굼단계(S220)에서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시켜 흐르는 물로 헹굼이 수행되는 것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스프레이 헹굼이라 할 수 있고, 이 또한 사용자에게 감성적으로 헹굼이 충분히 이루어짐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제1헹굼단계(S220)가 종료된 후 제1배수및간탈(S230)이 수행된다. 여기서, 배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은 스텝모션 또는 텀블링모션으로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탁물을 들어 올려 낙하시키면서 부가적으로 세탁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여 헹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드럼구동모션은 포량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포량이 적은 경우에는 낙하 차이를 최대한 발생시킬 수 있는 스텝모션으로 구동되고, 포량이 많은 경 우에는 텀블링모션이 구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수및간탈(S230)에서는 약 100 내지 110 RPM, 즉 1G 이상 그리고 저공진주파수 미만의 RPM으로 간탈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풀림단계, 진동감지단계, 그리고 가속단계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요되는 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배수및간탈(S230)에서는 저속공진주파수 이상의 약 400RPM으로 간탈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 시 스텝모션 또는 텀블링모션이 수행되어 충분히 세탁물의 분산이 발생되었으므로, 포풀림단계를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감지단계와 한 번의 가속단계로 짧은 시간에 간탈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간탈은 고속탈수(S210)을 통해서 미처 배출하지 못한 세제찌꺼기와 오염물을 배출하도록 비교적 높은 RPM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진동감지단계에서 측정되는 진동량이 허용치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감지단계가 반복되어 가속단계로 진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헹굼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감지단계는 약 100 내지 110 RPM에서 수행되고, 소정 회수 내에 가속단계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 제1배수및간탈(S230)단계를 종료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수및간탈단계(S230)가 종료되면 제2헹굼단계(S240)이 수행된다. 상기 제2헹굼단계(S240)은 전술한 제1헹굼단계(S240)와 동일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헹굼단계(S240)이 종료되면 제2배수및간탈단계(S250)이 수행된다. 상기 제2배수및간탈단계(S250)은 상기 제1배수및간탈단계(S250)와 동일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배수및간탈단계(S250)에서는 약 100 내지 110 RPM으로 간탈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속탈수(S210)과 제1배수및간탈단계(S250)에서 충분히 세제찌꺼기가 배출되었기 때문으로, 헹굼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세탁행정(S100)에서 세제종류판단단계(S121)의 판단 결과를 헹굼행정(S200)에서 이용할 수 있다. 즉, 판단 결과 액상세제인 경우에는 세제가 거의 잔류되지 않는다. 따라서, 헹굼행정(S200)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상기 제2헹굼단계(S240)은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단 결과 분말세제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헹굼단계(S220)와 제2헹굼단계(S230)은 디폴트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 액상세제인 경우 최종 헹굼단계로서 제1헹굼단계(S220) 후 최종 헹굼단계로서 제3헹굼단계(S26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판단 결과 분말세제인 경우 최종 헹굼단계로서 제2헹굼단계(S240) 후 최종 헹굼단계로서 제3헹굼단계(S26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3헹굼단계(S260)에서 거품이 감지되는 경우 최종 헹굼단계로서 제4헹굼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헹굼단계에서는 세탁수위는 저수위임이 바람직하다. 즉, 드럼이 소정 각도 기울어진 틸팅형 드럼 세탁기의 경우 드럼의 후방부분 일부에서만 세탁수가 고일 수 있는 정도의 수위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탁기 외부에서는 수위를 감지할 수 없는 정도의 수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는 세탁물에서 더이상 거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거품이 발생되더라도 드럼 내부가 아닌 터브 내에 발생되어 세탁물에서는 거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종 헹굼단계에서 거품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감성적으로 헹굼 성능에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최종 헹굼단계 종료 후에는 탈수행정(S300)을 수행하기 위한 제3배수단계(S270)가 수행된다. 상기 배수단계(S270)에서도 마찬가지로 세탁물의 분산을 위해 스텝모션 또는 스크럽모션으로 드럼이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행정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세탁행정(S100), 헹굼행정(S200)과 함께 하나의 코스로서 수행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코스에서 전술한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이 종료 후 수행되는 탈수행정(S3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탈수행정(S300)은 탈수 RPM으로 지속적으로 드럼이 회전하여 탈수가 이루어지는 정상탈수(S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상탈수 시 약 1000RPM이 되도록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함수량을 최소화하여 잔류 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탈수행정(S300)은 전술한 고속탈수단계(S210)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속탈수단계(S210)는 사용자의 선택과는 관계없이 항상 고속탈수, 즉 약 1000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 하게 헹굼 전에 최대한 잔류 세제를 배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탈수행정(S300)에서의 RPM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탈수 정도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최종 탈수에서의 RPM은 최종 탈수 후의 함수율과 세탁물의 구김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함수율과 세탁물의 구김 정도와 관련되어 최종 탈수에서의 RPM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행정(S300)은 드럼을 구동하여 엉켜있는 세탁물을 풀고,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포풀림단계(S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행정(S300) 직전에 배수 시에 스텝모션 또는 스크럽 모션으로 드럼이 구동되었기 때문에 포풀림단계(S310)에 소요되는 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풀림단계(S310)에서 드럼 회전을 가속시켜 저공진주파수 아래의 RPM에서 소정 시간 동안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편심량을 측정하는 단계(S32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진동량을 측정하여 드럼 내부에 세탁물이 골고루 분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편심량측정단계(S320)은 상기 포풀림단계(S310) 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왜냐하면 헹굼단계(S200)에서 포풀림이 충분히 이루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탈수행정(S300)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탈수행정(S300)은 상기 편심측정단계(S320)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측정 편심량을 기준편심량과 비교(S330)하여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가속단 계(S340)가 수행되고,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비로소 포풀림단계(S310)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포풀림단계(S310)에서는 포풀림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스텝모션으로 드럼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포풀림단계(S310) 후 다시 편심측정단계(S320)이 수행된다.
상기 편심측정단계(S320) 후에 정상탈수 RPM으로 드럼 회전이 가속되는 단계(S340)가 수행되며, 이 후 정상탈수 RPM으로 드럼이 회전하여 탈수하는 정상탈수단계(S350)이 수행되어 탈수행정(S300)이 종료된다.
전술한 세탁행정(S100), 헹굼행정(S200)과 탈수행정(S300)은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연관되어 각 행정에서의 효율 증진 및 소요시간 단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행정들이 조합된 하나의 세탁코스로 세탁 효율 증진, 잔류 세제 제거 및 소요 시간 단축된 세탁코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음.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3 은 도 2의 스텝묘션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스크럽모션의 상세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각 모션의 세척력 및 진동수준을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순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10 : 캐비닛 120 : 터브
130 : 드럼 140 : 모터

Claims (17)

  1. 터브 또는 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단계와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 후 낙하되는 것이 반복되는 드럼구동모션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회전하는 드럼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제동에 의해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벗어나 낙하함을 반복하는 스텝모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회전하는 드럼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벗어나 낙하함을 반복하는 텀블링모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의 초기에 드럼을 고공진주파수 이상의 RPM으로 회전시켜 탈수 하는 고속탈수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탈수단계는 사용자의 탈수 RPM 옵션 선택과 무관하게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단계는 적어도 두 번 이상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먼저 수행되는 헹굼단계에서의 수위는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고수위이며, 최종 헹굼단계에서의 수위는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지 않은 저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단계는 세 번 수행되며, 첫번째와 두번째 헹굼단계 이후에는 간탈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헹굼단계 후 저공진주파수 이상 그리고 고공진주파수 미만의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간탈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탈단계에서는 1G 이상 그리고 저공진주파수 미만의 RPM으로 드럼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헹굼단계에서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2.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을 포함하는 세탁코스를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은 드럼을 회전시켜 드럼 내의 포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포량에 따라 상기 헹굼행정의 행굼단계에서 드럼구동모션이 달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 종료 후 상기 헹굼행정의 초기에 드럼을 고공진주파수 이상의 RPM으로 회전시켜 탈수하는 고속탈수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의 배수단계에서는 상기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 후 낙하되는 것이 반복되는 드럼구동모션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포량이 소정 포량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배수단계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드럼의 회전과 정지가 반복되는 스텝모션 또는 스크럽모션이며, 소정 포량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텀블링모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은 공급된 세제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헹굼행정에서 수행되는 헹굼단계의 횟수가 달리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먼저 수행되는 헹굼단계에서의 수위는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고수위이며, 최종 헹굼단계에서의 수위는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지 않은 저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73827A 2008-08-0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1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827A KR101611279B1 (ko) 2009-08-1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201010161841A CN101818433A (zh) 2009-08-11 2010-04-08 洗衣装置的控制方法
TW99126790A TWI424107B (zh) 2009-08-11 2010-08-11 洗衣機之控制方法
EP16184841.1A EP3130694A1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EP10808345.2A EP2464777B1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US12/854,346 US8763184B2 (en) 2008-08-0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MX2011012259A MX349451B (es) 2009-08-11 2010-08-11 Método de control de una máquina de lavandería.
BR112012002347-0A BR112012002347B1 (pt) 2009-08-11 2010-08-11 Método de operação de uma máquina de lavar
UAA201202777A UA103697C2 (uk) 2009-08-11 2010-08-11 Спосіб керування пральною машиною, спосіб прання білизни в пральній машині та спосіб прання предметів білизни
EP10808346.0A EP2496750B1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RU2011147906/12A RU2499091C2 (ru) 2009-08-11 2010-08-11 Способ стирки белья в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RU2011146829/12A RU2497987C2 (ru) 2009-08-11 2010-08-11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MX2011012606A MX2011012606A (es) 2009-08-11 2010-08-11 Metodo de control de una maquina de lavanderia.
ES10808346.0T ES2655588T3 (es) 2009-08-11 2010-08-11 Procedimiento de control de una lavadora
EP10808348.6A EP2464778B1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CN201080026380.6A CN102471972B (zh) 2009-08-11 2010-08-11 洗衣机的控制方法
PCT/KR2010/005257 WO2011019196A2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PL10808348T PL2464778T3 (pl) 2009-08-11 2010-08-11 Sposób sterowania maszyny pralniczej
UAA201113553A UA100209C2 (uk) 2009-08-11 2010-08-11 Спосіб керування пральною машиною (варіанти)
US12/854,372 US8746015B2 (en) 2008-08-01 2010-08-11 Laundry machine
CN201080027407.3A CN102471976B (zh) 2009-08-11 2010-08-11 洗衣机的控制方法
US12/854,330 US20110030149A1 (en) 2008-08-0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ES10808348.6T ES2614489T3 (es) 2009-08-11 2010-08-11 Procedimiento de control de una lavadora
TW99126791A TWI432624B (zh) 2009-08-11 2010-08-11 洗衣機
PL10808346T PL2496750T3 (pl) 2009-08-11 2010-08-11 Sposób sterowania maszyną pralniczą
TW99126789A TWI429803B (zh) 2009-08-11 2010-08-11 洗衣機之控制方法
AU2010283165A AU2010283165B2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TW99126788A TWI410547B (zh) 2009-08-11 2010-08-11 洗衣機之控制方法
ES10808344T ES2755887T3 (es) 2009-08-11 2010-08-11 Máquina de lavandería
PCT/KR2010/005258 WO2011019197A1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PCT/KR2010/005260 WO2011019199A2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ES10808345.2T ES2608812T3 (es) 2009-08-11 2010-08-11 Procedimiento de control para una máquina de lavar
EP10808344.5A EP2496747B1 (en) 2009-08-11 2010-08-11 Laundry machine
BR112012002451A BR112012002451B1 (pt) 2009-08-11 2010-08-11 máquina de lavar compreendendo um tambor girável
PCT/KR2010/005255 WO2011019195A2 (en) 2009-08-11 2010-08-11 Laundry machine
US12/854,263 US20110047716A1 (en) 2008-08-0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AU2010283168A AU2010283168B2 (en) 2009-08-11 2010-08-11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PL10808345T PL2464777T3 (pl) 2009-08-11 2010-08-11 Sposób sterowania dla pralki
US13/420,839 US8713736B2 (en) 2008-08-01 2012-03-15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13/420,819 US8966944B2 (en) 2008-08-01 2012-03-15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15/715,417 US20180057992A1 (en) 2008-08-01 2017-09-26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827A KR101611279B1 (ko) 2009-08-1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225A true KR20110016225A (ko) 2011-02-17
KR101611279B1 KR101611279B1 (ko) 2016-04-11

Family

ID=4265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827A KR101611279B1 (ko) 2008-08-0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1279B1 (ko)
CN (1) CN1018184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193A (zh) * 2017-12-18 2018-07-20 浙江喜创联电子商务有限公司 全涤面料窗帘的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411B1 (ko) * 1996-08-31 1999-08-02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JP2001224886A (ja) * 2000-02-15 2001-08-21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5124764A (ja) * 2003-10-23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4402123B2 (ja) * 2007-02-14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8433A (zh) 2010-09-01
KR101611279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6226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2504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001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7493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89848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417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2210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22294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22361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326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5112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007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22363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092460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33910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38901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595027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225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33908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33909A (ko) 세탁장치
JP2011115431A (ja) 洗濯機
KR10109245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7468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329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