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005A -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005A
KR20110013005A KR1020090070959A KR20090070959A KR20110013005A KR 20110013005 A KR20110013005 A KR 20110013005A KR 1020090070959 A KR1020090070959 A KR 1020090070959A KR 20090070959 A KR20090070959 A KR 20090070959A KR 20110013005 A KR20110013005 A KR 2011001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water level
level sensor
liqui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357B1 (ko
Inventor
유선화
김명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57B1/ko
Priority to CN2010101778553A priority patent/CN101838923B/zh
Priority to US12/845,596 priority patent/US8485000B2/en
Priority to DE102010032887.1A priority patent/DE102010032887B4/de
Priority to CN2010102438116A priority patent/CN101988256B/zh
Publication of KR2011001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카트리지의 액체 근접여부에 따라 분극현상이 발생하여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상기 정전용량방식의 수위센서를 채택함으로써 액체에 직접 접촉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에 비해 스케일이 쌓이지 않아 오감지가 방지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액체분사모듈, 정전용량, 전극판, 수위센서

Description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CLOTHES DRYER HAVING LIQUID LEVEL SENSO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서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액체가 카트리지에 저장된 정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장착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라 함은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건조대상물을 건조기의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건조기의 구성을 보면,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건조기 내부의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저항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건조기는 드럼을 빠져 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피건조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 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그런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이 바뀜에 따라 건조기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건조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테면, 건조기 드럼의 회전력과 별도의 첨가물을 이용하여 주름 제거 및 향기 부가, 정전기 관리등 건조외에 옷의 유지, 보존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건조기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옷감의 건조시 특정한 향기를 가지는 물질을 투입하여 피 건조물에 향기를 부가하기 위한 건조기도 존재한다. 이러한 건조기는 건조 후 건조물에 남아 있을수 있는 냄새를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상쾌한 기분을 주며, 향기에 따라 심리적인 안정감 및 치료효과 등 아로마 테라피를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향기을 공급하는 방법에는 향 물질이 합착된 부직포를 건조기 드럼내에 건조물과 함께 투입하여, 건조물에 잔류하는 세제 및 세탁수의 냄새를 없애고 새로운 액체를 부가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사용되는 부직포 성분이 완전 분해 되지 않아, 부직포가 건조기 드럼 내부를 건조물과 함께 이동하면서 필터 등을 막는 기구적인 장애를 유발하기도 하며, 건조물과의 국부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향 부가 성능이 저하되기도 하였다. 또한, 사용 후 부직포의 재 처리가 어려워 쓰레기를 유발시키는 등의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상기 부직포가 건조 행정의 초기 단계에 투입되기 때문에 건조행정이 완료된 후 충분한 향이 건조물에 남아 있지 않는 등의 문제가 유발 되었다. 그러므로, 액체 상태의 향 물질을 드럼으로 분사하여 향을 공급하면서, 드럼 내부의 의류에 향이 효과적으로 증착되도록 하는 분사모듈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다양한 액체를 드럼 내부로 분사하여 건조기가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드럼으로 분사되는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조에 잔존하고 있는 액체의 정도를 알 필요가 있었고, 이를 위해서는 신뢰성있는 수위센서가 필요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조기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카트리지를 건조기 본체 상면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서 액체의 공급 및 교체가 용이하게 하며 또한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정전용량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정전용량방식의 수위센서를 채택함으로써 액체에 직접 접촉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에 비해 스케일이 쌓이지 않아 오감지가 방지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액체 근접여부에 따라 분극현상이 일어나는 전극판; 및 상기 전극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트리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상기 카트리지의 후면과 마주보며, 상기 카트리지와 마주보는 하우징의 전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스프링장착부; 상기 스프링장착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며 끝단에는 후크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판은 금이나 은 또는 동으로 이루어진 얇은 박막 형상이며, 수위센서는, 상기 전극판의 분극현상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은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액체가 저수위임을 판단한 경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저수위를 표시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수위센서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액체이 저장되는 카트리지를 대향하고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전극판이 하나 이상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은 하나 이상의 전극판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송하고, 상기 마이콤은 액체의 수위를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액체와 수위센서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수위센서에 스케일 등이 접착되어 발생하는 오감지의 위험성이 배제되고 수위센서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카트리지에 상기 수위센서가 밀착하 여 체결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감지가 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구성 및 향 분사모듈의 수위센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의류건조기의 상면 일부를 절개한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비닛이 구비되며, 상기 케비닛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를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106)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건조기의 상면 후방에는 상기 건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조작 패널(108)이 위치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건조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 기능을 갖는 임의의 의류 처리장치 예를 들면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건조기 본체의 상면(102)에는 카트리지 장착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된 카트리지(도 3의 200)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미스트 형태로 드럼 내부로 분사되며, 저장되는 액체는 물이거나 향을 가진 액체 상태의 물질인 발향액일 수 있다. 상기 발향액은 대부분의 성분이 물이며, 발향 원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이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는 드럼의 후면에 구비된 노즐로 공급되어 상기 노즐에서 드럼으로 분사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노즐 사이에는 유동하는 액체를 가압하는 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상태의 물질이 물이면 드럼으로 물이 분사되고, 향기를 가진 발향액이면 드럼으로 향이 분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인 건조기는 케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서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는 드럼(120)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120)은 전방과 후방에서 서포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0)은 동력전달벨트(122)로 건조기 하부에 구비된 구동모터(15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드럼(120)의 후방에 흡입덕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덕트(130)의 입구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0)의 전방 하측에는 드럼(12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80)가 설치되고, 이물질을 거른 후 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는 덕트(170, 190)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70,190)에는 상기 드럼(120) 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기 외부로 강제 송풍하기 위해서 송풍팬(160)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160)을 구동하기 위한 팬모터(165)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50)와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모터(165)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2모터 시스템인 것이 특징이며, 이로서 2개의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럼과 상기 송풍팬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2모터 시스템에서는 액체가 분사되는 동안 드럼은 회전되면서도 송풍팬 은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럼 내부에 공기의 유동이 없는 상태에서 액체를 분사할 수 있어서 의류에 액적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500)가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면, 상기 카트리지(200)는 건조기 캐비닛의 상측에 구비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장착된 카트리지의 뒷쪽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500)가 상기 카트리지(200)의 후면을 마주보도록 장착된다. 수위센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옆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수위센서(500)의 전면이 물이나 발향액 등 액체를 저장하는 카트리지(200)의 후면을 마주보게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수위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수위센서(50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보면,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마주보며 배치되는 전극판(도 6의 510) 상기 전극판이 부착된 인쇄회로기판(도 6의 520)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53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520)의 후면에는 케이블(c)이 접속되어 마이콤과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은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이며 개방된 일면에 장착되는 커버(53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판(510)은 유전체로서 근접한 위치에서 감지물질을 마주보게 되면 분극현상이 일어나고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감지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지므로 다양한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의 유전율이 1이라고 할 때, 물의 유전율은 약 80정도이므로 이러한 유전율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와 물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극판(510)이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물질이 달라지면, 이들 물질의 유전율의 차이에 따라 전극판에는 분극현상이 발생하고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액체가 물인 경우는 물론이고, 발향액이 저장되는 경우에도 발향액의 대부분의 성분(약, 90%이상)이 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극판의 동일한 현상을 이용하여 발향액의 존재여부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극판(510)은 전기를 통할 수 있는 도체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금이나 은 또는 동으로 이루어진 얇은 박막 형상이며, 박막의 넓은 면이 카트리지의 후면을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530)의 내부 앞쪽에 장착된다. 즉, 전극판(510)은 하우징(530)의 전면과 카트리지의 후면을 사이에 두고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된 액체와 마주보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카트리지 내부에 액체가 충분히 존재하는 경우와 기준치로 설정된 값보다 작은 양이 존재하는 저수위를 구별하는 것이다. 전극판 박막의 면적과 높이방향 설치위치는 적절히 조절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극판(510)은 높이 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전극판이 카트리지를 마주보는 면적이 적절히 구비된다면, 상기 전극판은 카트리지에 저장된 고수위, 저수위와 같이 물의 특정 수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수위를 적절히 계량화된 값으로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500)는 상기 전극판(510)의 분극현상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콤(미도시)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전극판과 마이콤 사이에서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극판의 정전용량 변화를 발진회로를 이용하여 검출한 후 스위칭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마이콤으로 전송하고, 마이콤은 이를 기초로 카트리지에 저장된 발향액의 수위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감지유닛이 구비되는 위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위센서의 하우징(530)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520)이다. 즉, 전극판(51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520)에 부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유닛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인쇄회로기판(520)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하우징(530)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30)의 후면에는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스프링장착부(54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며 끝단에는 후크(545a)가 형성된 체결부(545)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센서는 건조기 본체의 상면에서 카트리지가 위치하는 후방에 형성된 수위센서 장착부에 장착된다. 수위센서 장착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체결부(545)의 후크(545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삽입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스프링장착부(540)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하우징의 체결부(545)가 상기 후크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수위센서가 건조기 본체에 체결된다. 수위센서는, 상기 스프링장착부(540)에는 스프링(s)이 장착되어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며, 스프링(s)은 수위센서 체결시 수위센서 하우징의 후면과 건조기 상면 수위센서 장착부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스프링(s)이 압축된 상태이므로,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앞으로 가압하는 힘을 작용하여, 수위센서(500)는 항상 앞쪽으로 즉 카트리지의 후면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상기 수위센서의 전면은 카트리지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코일스프링(s)은 건조기 본체 상면에 장착된 수위센서의 하우징(530)을 후방에서 가압하여 상기 카트리지 쪽으로 밀착함으로써 수위센서가 보다 정확하게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와 마주보는 하우징의 전면에는 돌기(533)가 형성된다. 돌기(533)는 하우징의 전면에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533)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기의 형상이다. 이러한 돌기가 하우징 전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전면과 카트리지의 후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면 접촉하는 경우에 이부분에 수분이 잔존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의 전면에 수분이 존재하게 되면 수위센서가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 흐름도이다.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 즉 양이 변화하면 전극판은 분극현상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전극판과 마이콤 사이에서 전극판의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한 후 이를 마이콤으로 전송하고, 마이콤은 이를 기초로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마이콤은 발향액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은 수위 즉, 저수위임을 판단하면, 건조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저수위를 표시하여 소비자가 액체의 수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통상적으로 건조기 전면의 컨트롤 패널에 위치하여 건조기의 각종 동작상황을 보여주는 기기이다.
이상에서는 수위센서의 전극판이 하우징 내부에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판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하나 이상의 전극판이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은 각각의 전극판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콤으로 전송하고, 상기 마이콤은 이들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액체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한 후,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액체의 수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액체의 높이를 '고' '중' '저'로 표시할 수도 있고,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점등 수단을 이용하여 액체 수위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점등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정전용량방식의 수위센서를 채택함으로써 수위센서가 액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감지부위에 스케일이 쌓이지 않아 오감지가 방지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의류건조기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의류건조기의 상면 일부를 절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수위센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수위센서의 일부 구성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정전용량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액체 근접여부에 따라 분극현상이 일어나는 전극판; 및
    상기 전극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카트리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상기 카트리지의 후면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마주보는 하우징의 전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스프링장착부;
    상기 스프링장착부의 외주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며 끝단에는 후크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금이나 은 또는 동으로 이루어진 얇은 박막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전극판의 분극현상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전송된 신호를 기초로 발향액이 저수위임을 판단한 경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저수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수위센서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카트리지를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판이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판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송하고, 상기 마이콤은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를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090070959A 2009-07-31 2009-07-31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155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59A KR101557357B1 (ko) 2009-07-31 2009-07-31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CN2010101778553A CN101838923B (zh) 2009-07-31 2010-05-09 具备水位传感器的衣物烘干机
US12/845,596 US8485000B2 (en) 2009-07-31 2010-07-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reservoir
DE102010032887.1A DE102010032887B4 (de) 2009-07-31 2010-07-30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Flüssigkeitsreservoir
CN2010102438116A CN101988256B (zh) 2009-07-31 2010-08-02 带有液体蓄存器的衣服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59A KR101557357B1 (ko) 2009-07-31 2009-07-31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05A true KR20110013005A (ko) 2011-02-09
KR101557357B1 KR101557357B1 (ko) 2015-10-06

Family

ID=4274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59A KR101557357B1 (ko) 2009-07-31 2009-07-31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7357B1 (ko)
CN (1) CN10183892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0926A1 (de) 2019-02-0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Sensormodul und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mit diesem
KR102361714B1 (ko) * 2021-07-26 2022-02-14 주식회사 하이트롤 정전용량식 레벨 센싱 장치
KR102436167B1 (ko) * 2021-04-01 2022-08-25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KR20220129764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KR20220131603A (ko) *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380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센서 및 이를 갖는 열교환기 살균가습장치
CN106436239B (zh) * 2015-08-07 2020-10-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储水盒及具有该储水盒的干衣机
CN111850992B (zh) * 2019-04-30 2022-03-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壁挂式衣物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1231C (fr) * 1991-04-25 1999-02-16 Marius Cloutier Mesure dynamique et sans contact de deplacement ou de permittivite a l'aide d'un capteur capacitif
US5438773A (en) * 1994-08-19 1995-08-08 Chaffee; Rebecca J. Fiber declumper
MXPA03000608A (es) * 2000-07-25 2004-07-30 Steiner Atlantic Corp Procedimientos y aparatos de limpieza de textiles.
US7600402B2 (en) * 2003-11-04 2009-10-13 Lg Electronics Inc.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50447Y1 (ko) * 2003-12-24 2004-05-13 마카스시스템(주) 프린터의 잉크 공급시스템용 수위감지장치
US20070000291A1 (en) * 2005-06-30 2007-01-04 France Paul Amaat Raymond Gera Fabric article treating device and system with user interfa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0926A1 (de) 2019-02-01 2020-08-06 Lg Electronics Inc. Sensormodul und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mit diesem
KR20220129764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KR20220131603A (ko) * 2021-03-22 2022-09-29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KR102436167B1 (ko) * 2021-04-01 2022-08-25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KR102361714B1 (ko) * 2021-07-26 2022-02-14 주식회사 하이트롤 정전용량식 레벨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8923B (zh) 2012-02-29
KR101557357B1 (ko) 2015-10-06
CN101838923A (zh)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57B1 (ko)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125318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179B1 (ko) 건조기
KR101887454B1 (ko) 필터삽입 감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의류건조기
US7832236B2 (en) Foam sensor of drum washing machine
US7765715B2 (en) Dr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056942B1 (ko) 진동자를 이용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0872218B1 (ko) 건조기의 제어장치
US8984691B2 (en) Laundry machine
KR2008005859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US20100095716A1 (en) Laundry machine
KR101028259B1 (ko) 의류건조기
KR2009010512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208532B1 (ko) 건조기
KR20100009043A (ko) 발향체 모듈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
CN109863268B (zh) 衣物处理机
WO2010016748A2 (ko) 탑플레이트에 향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1562586B1 (ko) 수위센서 및 액체분사모듈을 가진 의류건조기의 운전방법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101414624B1 (ko)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08653B1 (ko) 건조기
KR101342364B1 (ko) 스팀건조기
KR101072029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999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20080093831A (ko) 건조기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