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167B1 -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 Google Patents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167B1
KR102436167B1 KR1020210042766A KR20210042766A KR102436167B1 KR 102436167 B1 KR102436167 B1 KR 102436167B1 KR 1020210042766 A KR1020210042766 A KR 1020210042766A KR 20210042766 A KR20210042766 A KR 20210042766A KR 102436167 B1 KR102436167 B1 KR 10243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detergent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Priority to KR102021004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세제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세제함; 및 상기 세제함의 어느 일 측면에 매립 장착되고, 복수의 근접센서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세제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제량 측정회로가 형성된 전면이 상기 세제함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매립 장착된 상기 세제함의 일 측면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점유하는 영역이 그 주변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Detergent container having detergent level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일체로 구비하는 세제함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가정용 세탁기는 거의 대부분이 자동 습식 세탁기로서, 세탁조에 담긴 의류의 무게,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 등에 따라 애벌세탁, 본세탁, 헹굼, 린스, 탈수, 나아가 건조까지 자동으로 진행하고, 각 단계에서 물, 세제, 섬유유연제 등이 필요하면 이 역시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세제함에 담긴 세제나 섬유유연제(이하, "세제 등"으로 통칭할 수 있음)를 펌프로 압송하여 세탁조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세탁코스에서, 세제함이 비어 있어 적량의 세제 등이 공급되지 않으면 세탁이 제대로 완료되지 않아 시간과 물, 전력이 낭비되고 사용자는 세탁기에 대한 불만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세제함에 특히 액상의 세제나 섬유유연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세제량 센서가 점차로 장착되고 있다.
그런데, 세제량 센서를 인쇄회로기판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세제량 센서를 세제함과 함께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일괄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데, 에폭시 재질의 인쇄회로기판 자체와 금속배선은 인서트 몰딩시의 사출 온도에 견딜 수 있지만, 세제량 센서에서 가장 중요한 센서 자체는 사출 온도에서 녹거나 기능을 상실하기에 인서트 몰딩 방식을 적용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세제함에 마련된 배선반에 전극을 결합하고 전선으로 커넥터와 배선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세제량 센서 조립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기에 생산성이 그리 좋지 못하고 불량률도 다소 높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1309호(2020.02.03 공개)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세제함에 일체로 장착함에 있어서, 세제량 감지모듈에 손상을 주지않고서도 인서트 몰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세탁기용 세제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세제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세제함; 및 상기 세제함의 어느 일 측면에 매립 장착되고, 복수의 근접센서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세제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제량 측정회로가 형성된 전면이 상기 세제함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매립 장착된 상기 세제함의 일 측면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점유하는 영역이 그 주변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세제함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매립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세제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까지 관통한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를 포함한 고정 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세제함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점유하는 영역의 두께는, 그 주변의 두께 대비 1/2∼1/5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가 종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단에서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에는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1 센서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다리부에는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2 센서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격벽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세제함의 세제 배출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양면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상기 세제함 안에 매립된 배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정전용량 근접센서이고, 상기 복수의 정전용량 근접센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상기 세제량 측정회로는 전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인쇄회로기판의 다리부에는,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독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은 단선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은, 세제량 센서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이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세제함과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수의 감지전극을 일일이 조립하고 독 커넥터와 연결하는 복잡한 작업과정이 생략된다. 따라서, 세제량 센서를 구비하는 세제함을 제조함에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품질까지 향상된다.
그리고, 세제량 감지모듈을 비접촉 방식, 즉 정전용량 방식의 세제량 센서로 구성하고, 인서트 몰딩 과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억제함으로써, 인서트 몰딩 방식의 사출온도에 기인하는 한계를 극복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세제함에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세제함에 일체로 장착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세제함에 일체로 장착된 세제량 감지모듈을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슬라이드 코어에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된 상태를 도 3의 "A-A" 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슬라이드 코어에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된 상태를 도 3의 "B-B" 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이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세제함에 일체로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에 독 커넥터를 결합하여 세제량 감지모듈을 완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200)을 구비하는 세제함(10)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세제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세제함(100)에 대해 세제량 감지모듈(200)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210)이 세제함(100)의 어느 일 측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매립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세제량 감지모듈(200)은, 세제함(100)을 제외하고 세제량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구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세제량 감지모듈(200)의 주요구성은 세제량 센서(220)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210)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210)의 구성을 시작으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세제함(100)에 일체로 장착되는 세제량 감지모듈(200)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21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인쇄회로기판(210)이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을 적용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세제함(100)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의 배면에 근접센서(372)를 위치시켜 감도를 향상하는 등의 이점이 있지만, 반드시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을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에는 복수의 근접센서(372)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220)가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근접센서(372)가 열을 이루는 방향은 세제함(100)에 담기는 세제의 수위가 차오르거나 내려가는 방향을 따르는 것이며,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하방향이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210)은, 복수의 근접센서(372)가 종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리부(370)와, 다리부(370)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접속단자(332)가 형성된 접속단자부(33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세제량 감지모듈(200)은 2종류의 액체 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10)의 다리부(370)를 제1 다리부(370-1) 및 제2 다리부(370-2)의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제함(100)에 액상 세제와, 액상의 섬유유연제나 표백제 등의 세탁 보조제를 각각 담을 수 있을 때, 이 2종류 액체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속단자부(330)의 양단에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370-1)와 제2 다리부(370-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다리부(370-1)에는 세제함(100)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372)가 제1 센서그룹(372-1)을 형성하고 있고, 제2 다리부(370-2)에는 세제함(100)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372)가 제2 센서그룹(372-2)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센서그룹(372-1)과 제2 센서그룹(372-2)의 구성은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인쇄회로기판(210)은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으로 구성된다. 이럴 경우, 복수의 근접센서(372)는 세제함(100)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배면 인쇄회로기판(320)에 위치함으로써 양호한 감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근접센서(372)는 정전용량 근접센서(372')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정전용량 근접센서(372')는 감지거리가 짧고 빠른 변동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측정대상이 고체이건 액체이건 상관이 없고 그 사이에 절연체가 끼어있어도 무관하다는 장점이 있기에 세탁기의 세제량 센서(220)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210)을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복수의 근접센서(372)에서 발생한 신호변화(정전용량 근접센서인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세제량 측정회로(360)를 전면 인쇄회로기판(310) 위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세제함(100)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10)을 부분매립 일체형으로 구성할 때, 세제량 측정회로(360)를 용융 수지의 열로부터 보호하는데 필수적인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0)으로서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을 적용하면 각종 소자를 좁은 기판면적에서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세제량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환경에 예민한 세제량 측정회로(36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생산공정도 효율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200)이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1 센서그룹(372-1)과 제2 센서그룹(372-2)이 각각 제1 액체(예를 들어, 액상 세제)와 제2 액체(예를 들어, 액상 세탁보조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센서그룹(372-1)이 액상 세제의 수위를 판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며, 그 설명은 제2 액체의 수위를 판정하기 위한 제2 센서그룹(37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서, 세제량 감지모듈(200)이 2종류의 액체 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대응하여, 세제함(100)은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격벽(110)을 구비한다(도 8 참조). 그리고, 제1 다리부(370-1)와 제2 다리부(370-2) 사이의 공간에 세제함(100)의 세제 배출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그룹(372-1)은 인쇄회로기판(210) 상에서 접속단자부(330)의 일단부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370-1)를 따라 이격 형성된 복수의 근접센서(372)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근접센서(372)가 열을 이루는 종 방향은 액상 세제의 수위가 변화하는 방향, 즉 연직방향을 따른다. 액상 세제의 수위에 따라서, 복수의 근접센서(372)는 그 전부나 일부가 수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액상 세제의 수위 아래에 위치한 근접센서(372)는 액상 세제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근접센서(372)가 정전용량 근접센서(372')인 경우에는, 수위 아래에 위치한 정전용량 근접센서(372')는 정전용량이 다르게 측정된다.
따라서, 연직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센서그룹(372-1)의 근접센서(372) 중, 어느 근접센서(372)에서 제1 액체를 감지했는지를 판정함으로써 제1 액체의 수위를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센서그룹(372-1)은 4개의 근접센서(372)를 포함하고 있는데, 모든 근접센서(372)가 제1 액체를 감지하면 최고수위(Lv 4)인 것이고, 최하단의 근접센서(372)만 제1 액체를 감지하면 최저수위(Lv 1)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원리로서 그 중간수위(Lv2, Lv 3)도 판정할 수 있으며, 만일 모든 근접센서(372)가 제1 액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세제함(100)의 제1 액체는 모두 소진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근접센서(372)의 개수가 4개인 것은 4단계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근접센서(372)의 개수를 가감함으로써 수위 단계를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전면 인쇄회로기판(310)의 다리부(370)에는, 후면의 정전용량 근접센서(372')와 유사한,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380)가 구비되어 있다.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380)는, 후면의 정전용량 근접센서(372')에서 출력하는 정전용량이 온도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정전용량을 제공한다. 전면 인쇄회로기판(310)은 세제함(100)에 대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380)는 온도 변동에 덜 민감한 주변의 정전용량을 측정한다. 정전용량 근접센서(372')에서 출력하는 정전용량을 보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대해 기준 정전용량을 감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세제량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제량 감지모듈(20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세제함(100)에 대해 세제량 감지모듈(200), 특히 인쇄회로기판(210)을 부분매립의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세제함(100)에 일체로 장착된 세제량 감지모듈(200)을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슬라이드 코어(500)에 인쇄회로기판(210)이 고정된 상태를 도 3의 "A-A" 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슬라이드 코어(500)에 인쇄회로기판(210)이 고정된 상태를 도 3의 "B-B" 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의 단면도에 나타난 것처럼, 인쇄회로기판(210)은 세제함(100)의 어느 일 측면에 매립 장착되는데, 인쇄회로기판(210)은 세제량 센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제량 측정회로(360)가 형성된 전면이 세제함(10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인 경우에 세제량 측정회로(360)는 전면 인쇄회로기판(310) 위에 형성되어 있고, 전면 인쇄회로기판(310)은 세제함(100)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쇄회로기판(210)은 세제함(100)에 대해 부분매립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10)이 매립 장착된 세제함(100)의 일 측면의 두께를 보자면, 인쇄회로기판(210)이 점유하는 영역의 두께는 그 주변보다 더 얇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210)이 점유하는 영역의 두께는, 그 주변의 두께 대비 1/2∼1/5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조공정으로 보자면, 인쇄회로기판(210)은 세제함(100)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괄적으로 매립 장착되는 것이 생산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에폭시 재질의 인쇄회로기판(210) 자체와 금속배선은 인서트 몰딩시의 사출 온도에 견딜 수 있지만, 세제량 센서(220)를 구성하는 세제량 측정회로(360)는 사출 온도에서 녹거나 기능을 상실하기에 인서트 몰딩 방식을 적용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두 가지 설계요소를 복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는, 세제량 센서(220)를 구성하는 세제량 측정회로(360)가 세제함(100)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홀(35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10)은 슬라이드 코어(500)에 일시적으로 고정되는데, 이렇게 인쇄회로기판(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메인 금형(세제함의 형태가 새져진 금형)이 슬라이드 코어(500)와 결합하고, 이렇게 완성된 금형 안에 유동성을 가진 용융 수지가 주입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210)은 세제함(100)에 대해 부분매립의 구조로 인서트 사출되고, 고온에 약한 세제량 측정회로(360)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10)의 일면, 예를 들어 양면 인쇄회로기판(300)의 전면 인쇄회로기판(310)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세제량 측정회로(360)가 열의 피해를 적게 받게 된다. 나아가 슬라이드 코어(500)는 사출 과정 중에 냉각되기 때문에, 전도를 통해 슬라이드 코어(500)로 열을 방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둘째는, 인쇄회로기판(210)이 점유하는 영역의 세제함(100)의 벽 두께를 더 얇게 형성한 것이다. 이는 인쇄회로기판(210)에 열을 가하는 용융 수지의 체적을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인쇄회로기판(210)에 전달되는 열량의 총량을 줄이게 되고, 이를 통해 세제량 측정회로(360)를 열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다만, 인쇄회로기판(210)이 부분매립의 구조로 인서트 사출되고, 그 영역의 벽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10)의 고정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10)에는 복수의 고정 홀(34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고정 홀(340)로도 용융 수지가 유동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 코어(500)에는 고정 홀(340)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치 리벳의 머리 모양을 가진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 수지는 세제함(100)으로부터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210)의 전면까지 관통한 브릿지(344)와, 브릿지(344)에 일체로 형성되고 브릿지(344)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346)를 포함하는 고정 핀(342)의 형태로서 경화된다. 따라서, 세제함(100)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고정 핀(342)은 부분매립의 구조의 인쇄회로기판(210)을 세제함(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세제량 측정회로(360)를 용융 수지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또 한가지 방안으로는, 인서트 사출시에 용융 수지가 인쇄회로기판(210) 쪽으로 가장 마지막에 유동하도록 금형을 설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인쇄회로기판(210)에 대한 용융 수지의 열전달 시간을 줄임으로써 열 피해를 줄이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세제함(100)에 일체로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10)에 독 커넥터(400)를 결합하여 세제량 감지모듈(200)을 완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을 거친 후에는 세제함(100)에 인쇄회로기판(210)이 부분매립 구조로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10)을 세탁기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210)의 복수의 접속단자(3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독 커넥터(400)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복수의 접속단자(332)와 독 커넥터(400)의 대응하는 터미널(410)은 단선 와이어(4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독 커넥터(400)를 인서트 사출 후에 별도로 장착하는 것은, 커넥터의 재질을 내열성 수지로 만든 특수한 커넥터가 아니라 일반적인 커넥터를 적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고려한 측면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100: 세제함 110: 격벽
120: 세제 배출구 200: 세제량 감지모듈
210: 인쇄회로기판 220: 세제량 센서
300: 양면 인쇄회로기판 310: 전면 인쇄회로기판
320: 배면 인쇄회로기판 330: 접속단자부
332: 접속단자 340: 고정 홀
342: 고정 핀 344: 브릿지
346: 헤드부 350: 가이드 홀
360: 세제량 측정회로 370: 다리부
372: 근접센서 372': 정전용량 근접센서
370-1: 제1 다리부 372-1: 제1 센서그룹
370-2: 제2 다리부 372-2: 제2 센서그룹
380: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 400: 독 커넥터
410: 터미널 420: 단선 와이어
500: 슬라이드 코어

Claims (13)

  1. 액상 세제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세제함; 및
    상기 세제함의 어느 일 측면에 매립 장착되고, 복수의 근접센서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세제량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제량 측정회로가 형성된 전면이 상기 세제함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매립 장착된 상기 세제함의 일 측면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점유하는 영역이 그 주변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세제함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매립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세제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까지 관통한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를 포함한 고정 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세제함에 대해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점유하는 영역의 두께는, 그 주변의 두께 대비 1/2∼1/5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가 종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단에서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에는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1 센서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다리부에는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2 센서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세제함의 세제 배출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양면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상기 세제함 안에 매립된 배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정전용량 근접센서이고,
    상기 복수의 정전용량 근접센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상기 세제량 측정회로는 전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인쇄회로기판의 다리부에는,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독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은 단선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KR1020210042766A 2021-04-01 2021-04-01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KR10243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66A KR102436167B1 (ko) 2021-04-01 2021-04-01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66A KR102436167B1 (ko) 2021-04-01 2021-04-01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167B1 true KR102436167B1 (ko) 2022-08-25

Family

ID=8311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66A KR102436167B1 (ko) 2021-04-01 2021-04-01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1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405A (ko) * 2003-12-16 2005-06-22 에이디반도체(주) 다단 수위센서
KR20110013005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20200011309A (ko)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27018A (ko) * 2019-08-2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405A (ko) * 2003-12-16 2005-06-22 에이디반도체(주) 다단 수위센서
KR20110013005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20200011309A (ko)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27018A (ko) * 2019-08-2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6561A (ko) 수위센서
CN205024472U (zh) 一种洗衣机、洗涤剂存储装置及洗涤剂液位多段检测装置
US20090107188A1 (en) Water level sensor of steam generating apparatus for washing or drying machine and steam generat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2436167B1 (ko)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EP2387643A1 (en) A dryer comprising a dryness sensor
CN105088689B (zh) 洗衣机及其用于洗衣机的洗涤剂存储系统
CN102052988B (zh) 测量单元
CN205012042U (zh) 用于洗衣机的传感器组件及洗衣机
IT201800006827A1 (it) Metodo di test della chiusura ermetica di un incapsulamento
KR102494025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CN105177921A (zh) 用于洗衣机的传感器组件及洗衣机
KR102502285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KR100992640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
KR20080014132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1447195B1 (ko) 세탁기의 세탁수 급수제어를 위한 수위센서
KR100452385B1 (ko) 세탁기의 수질감지기구
KR101016300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CN208588459U (zh) 厨房用秤
EP2387642A1 (en) A dryer comprising a dryness sensor
KR20160124332A (ko) 자성코어 및 홀 센서 집적회로가 일체로 모듈화된 전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KR102583484B1 (ko) 수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21793B1 (ko) 수위 측정용 오일감지기 어셈블리 제조방법
KR20040110775A (ko) 세탁기의 전극센서 감지방법
KR10106594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208371601U (zh) 暖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