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603A -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603A
KR20220131603A KR1020210036404A KR20210036404A KR20220131603A KR 20220131603 A KR20220131603 A KR 20220131603A KR 1020210036404 A KR1020210036404 A KR 1020210036404A KR 20210036404 A KR20210036404 A KR 20210036404A KR 20220131603 A KR20220131603 A KR 2022013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nector
deterg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025B1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Priority to KR102021003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독 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부를 구비하는 모듈 바디;와, 상기 커넥터 안착부에 장착되는 독 커넥터; 및 복수의 근접센서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Detergent level sensing module and detergent container having the same for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함에 담긴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제량 감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가정용 세탁기는 거의 대부분이 자동 습식 세탁기로서, 세탁조에 담긴 의류의 무게,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 등에 따라 애벌세탁, 본세탁, 헹굼, 린스, 탈수, 나아가 건조까지 자동으로 진행하고, 각 단계에서 물, 세제, 섬유유연제 등이 필요하면 이 역시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세제함에 담긴 세제나 섬유유연제(이하, "세제 등"으로 통칭할 수 있음)를 펌프로 압송하여 세탁조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세탁코스에서, 세제함이 비어 있어 적량의 세제 등이 공급되지 않으면 세탁이 제대로 완료되지 않아 시간과 물, 전력이 낭비되고 사용자는 세탁기에 대한 불만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세제함에 특히 액상의 세제나 섬유유연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세제량 센서가 점차로 장착되고 있다.
그런데, 세제량 센서를 인쇄회로기판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 세제량 센서를 세제함과 함께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일괄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데, 인쇄회로기판 자체와 배선은 인서트 몰딩시의 사출 온도에 견딜 수 있지만, 세제량 센서에서 가장 중요한 센서 자체는 사출 온도에서 녹거나 기능을 상실하기에 인서트 몰딩 방식을 적용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세제함에 마련된 배선반에 전극을 결합하고 전선으로 커넥터와 배선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세제량 센서 조립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기에 생산성이 그리 좋지 못하고 불량률도 다소 높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1309호(2020.02.03 공개)
본 발명은 세제함에 장착되는 세제량 센서를, 비접촉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독립된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세제량 센서를 인쇄회로기판으로 일괄 제작하면서도 세제함과의 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독 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부를 구비하는 모듈 바디;와, 상기 커넥터 안착부에 장착되는 독 커넥터; 및 복수의 근접센서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 바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안착부는, 상기 독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독 커넥터에 대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독 커넥터를 압박 고정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함께 삽입되는 커넥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와 독 커넥터에 대해 각각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 커넥터 및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 안에 수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기판 장착부 안에 수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독 커넥터 및 커넥터 가이드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가 종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단에서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에는 세제함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1 센서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다리부에는 세제함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2 센서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양면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상기 모듈 바디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배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정전용량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정전용량 근접센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회로는 전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인쇄회로기판의 다리부에는,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구비한 세제량 감지모듈; 및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이 결합하는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함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모듈 바디의 상단에 구비된 후크 돌기가, 상기 세제함의 상단에 대응하여 구비된 후크 홈에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모듈 바디에는 정렬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함에는 상기 정렬 돌기에 대응하는 정렬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정렬 돌기와 정렬 홈의 결속에 의해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상하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모듈 바디 양 측면과 결속하는 서포트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이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1 센서그룹을 형성하는 제1 다리부와,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2 센서그룹을 형성하는 제2 다리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격벽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세제함의 세제 배출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세제량 감지모듈은 세제함과는 독립된 모듈로 제조됨으로써 세제함에 세제량 센서를 추가하는 구조가 단순하고 간편해진다. 따라서, 세제량 센서를 구비하는 세제함을 제조함에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세제량 센서를 인쇄회로기판으로 일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수의 감지전극을 일일이 조립하고 독 커넥터와 연결하는 복잡한 작업과정이 생략된다. 따라서, 세제량 감지모듈의 생산성이 제고되는 것은 물론 품질까지 향상된다.
그리고, 세제량 감지모듈을 비접촉 방식, 즉 정전용량 방식의 세제량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인서트 몰딩 방식의 사출온도에 기인하는 한계를 극복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세제량 감지모듈이 세제함에 대해 착탈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므로, 세제량 센서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세제량 감지모듈을 간단히 교체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이 간단하고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이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세제량 감지모듈을 세제함에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결합이 완료된 세제함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하의 상대적 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각각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이는 세제함(500)에 세제량 감지모듈(10)이 장착되는 방향을 따른 것이다(도 7 및 도 8 참조).
본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10)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기에 구비되는 세제함(500)과는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그 자체로서 세제량 센서로서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세제함(50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세제량 센서를 구비한 세제함(500)이 만들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은 기본적으로 모듈 바디(100)와 독 커넥터(200), 그리고 인쇄회로기판(400)으로 구성된다.
모듈 바디(100)는 세제량 감지모듈(10)의 몸체를 이루는 부품으로서, 독 커넥터(200)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부(110)를 구비한다. 커넥터 안착부(110)는 독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독 커넥터(200)에 대해 돌기(220)와 홈(114)의 구조로 결속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안착부(110)에 홈(114)이 형성되고 독 커넥터(200)에 대응하는 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반대의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양쪽에 돌기(220)와 홈(114)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돌기(220) 및 홈(114)의 폭이나 개수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또는 비대칭 구조로 설계하거나 해서 독 커넥터(200)의 결합 방향이 하나로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모듈 바디(100)의 커넥터 안착부(110)에 장착되는 독 커넥터(200)에 대해 인쇄회로기판(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400)은 복수의 근접센서(422)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400) 상의 복수의 접속단자(412)가 독 커넥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400) 상의 복수의 접속단자(412)와 독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터미널(210)에 대해 단선 와이어(414)로서 납땜 연결될 수 있으며, 잘 구부러지지 않는 강도가 높은 단선 와이어를 이용하면 단선 와이어(414)에 의해 독 커넥터(200)와 인쇄회로기판(400)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모듈 바디(100)에 인쇄회로기판(400)이 안착되는 기판 장착부(120)를 마련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40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독 커넥터(200)는 세탁기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400)은 접속단자(412)를 통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세탁기의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400)은 접속단자(412)를 통해 출력되는 근접센서(422)의 신호를 분석하여 세제 등의 수위를 판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독 커넥터(200)를 압박 고정하도록, 커넥터 안착부(110)의 수용공간(112)에 독 커넥터(200)와 함께 삽입되는 커넥터 가이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가이드(300)를 좀더 유연한 수지재질이나 고무재질로 구성하여 독 커넥터(200)를 밀착 압박함으로써 독 커넥터(200)가 흔들림 없이 커넥터 안착부(110) 안에 자리잡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 커넥터(200)가 안정되게 고정되면, 이는 곧 단선 와이어(414)로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400)의 고정상태가 함께 향상되는 것이므로, 결국 세제량 감지모듈(10) 전체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로 이어진다. 여기서, 커넥터 가이드(300)는 커넥터 안착부(110)와 독 커넥터(200) 양자에 대해 각각 돌기(310)와 홈(320)의 구조로서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독 커넥터(200) 및 커넥터 가이드(300)는 커넥터 안착부(110) 안에 완전히 수용되고, 인쇄회로기판(400) 전체는 기판 장착부(120) 안에 수용되며, 인쇄회로기판(400)은 독 커넥터(200) 및 커넥터 가이드(300)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모듈 바디(100)의 배면은 인쇄회로기판(400)이 튀어나오지 않은 평평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로써 인쇄회로기판(400)의 배면을 충분히 보호하면서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세제함(500)에 결합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 바디(100)에 대해 독 커넥터(200)와 인쇄회로기판(400)이 일체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독립된 세제량 감지모듈(10)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세제함(50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세제량 센서를 구비한 세제함(500)이 만들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량 감지모듈(10)의 전체적인 구조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400)을 중심으로 하여 세제함(500) 안에 담긴 액상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원리 내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참조하는 도 4는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이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00)에는 복수의 근접센서(422)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근접센서(422)가 열을 이루는 방향은 세제함(500)에 담기는 세제가 차오르거나 내려가는 방향을 따르는 것이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400)은, 복수의 근접센서(422)가 종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리부(420)와, 다리부(420)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접속단자(412)가 형성된 접속단자부(4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은 2종류의 액체 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400)의 다리부(420)를 제1 다리부(430) 및 제2 다리부(440)의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제함(500)에 액상 세제와, 액상의 섬유유연제나 표백제 등의 세탁 보조제를 각각 담을 수 있을 때, 이 2종류 액체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속단자부(410)의 양단에서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430)와 제2 다리부(440)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다리부(430)에는 세제함(500)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422)가 제1 센서그룹(432)을 형성하고 있고, 제2 다리부(440)에는 세제함(500)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422)가 제2 센서그룹(442)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센서그룹(432)과 제2 센서그룹(442)의 구성은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인쇄회로기판(400)은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으로 구성된다. 이럴 경우, 복수의 근접센서(422)는 모듈 바디(100)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배면 인쇄회로기판(400'-2)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제함(500)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의 배면에 근접센서(422)가 위치하는 것이 감도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복수의 근접센서(422)는 정전용량 근접센서(424)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정전용량 근접센서(424)는 감지거리가 짧고 빠른 변동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측정대상이 고체이건 액체이건 상관이 없고 그 사이에 절연체가 끼어있어도 무관하다는 장점이 있기에 세탁기의 세제량 센서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400)을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복수의 정전용량 근접센서(424)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회로(416)를 전면 인쇄회로기판(400'-1) 위에 형성함으로써 모듈 바디(100) 안에서 정전용량 측정회로(416)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접속단자(412)를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을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하면, 독 커넥터(200)에 단선 와이어(414)를 납땜한 후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12)에 단선 와이어(414)를 끼우고, 배면 인쇄회로기판(400'-2)에서 납땜 작업을 완성할 수 있기에 생산공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00)으로서 양면 인쇄회로기판(400')을 적용하면 각종 소자를 좁은 기판면적에서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세제량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환경에 예민한 정전용량 측정회로(416)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생산공정도 효율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이 세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1 센서그룹(432)과 제2 센서그룹(442)이 각각 제1 액체(예를 들어, 액상 세제)와 제2 액체(예를 들어, 액상 세탁보조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센서그룹(432)이 액상 세제의 수위를 판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며, 그 설명은 제2 액체의 수위를 판정하기 위한 제2 센서그룹(44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센서그룹(432)은 인쇄회로기판(400) 상에서 접속단자부(410)의 일단부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430)를 따라 이격 형성된 복수의 근접센서(422)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근접센서(422)가 열을 이루는 종 방향은 액상 세제가 차오르거나 내려가는 방향, 즉 연직방향을 따른다. 액상 세제의 수위에 따라서, 복수의 근접센서(422)는 그 전부나 일부가 수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액상 세제의 수위 아래에 위치한 근접센서(422)는 액상 세제를 감지했다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근접센서(422)가 정전용량 근접센서(424)인 경우에는, 수위 아래에 위치한 정전용량 근접센서(424)는 정전용량이 다르게 측정된다.
따라서, 연직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센서그룹(432)의 근접센서(422) 중, 어느 근접센서(422)에서 제1 액체를 감지했는지를 판정함으로써 제1 액체의 수위를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센서그룹(432)은 4개의 근접센서(422)를 포함하고 있는데, 모든 근접센서(422)가 제1 액체를 감지하면 최고수위(Lv 4)인 것이고, 최하단의 근접센서(422)만 제1 액체를 감지하면 최저수위(Lv 1)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원리로서 그 중간수위(Lv2, Lv 3)도 판정할 수 있으며, 만일 모든 근접센서(422)가 제1 액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세제함(500)의 제1 액체는 모두 소진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근접센서(422)의 개수가 4개인 것은 4단계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근접센서(422)의 개수를 증감함으로써 수위 단계를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전면 인쇄회로기판(400'-1)의 다리부(420)에는, 후면의 정전용량 근접센서(424)와 유사한,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450)가 구비되어 있다.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450)는, 후면의 정전용량 근접센서(424)에서 출력하는 정전용량이 온도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정전용량을 제공한다. 전면 인쇄회로기판(400'-1)은 모듈 바디(100)의 기판 장착부(120) 안에 수용되며, 온도 변동에 덜 민감한 주변의 정전용량을 측정한다. 정전용량 근접센서(424)에서 출력하는 정전용량을 보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측정된 정전용량에 대해 기준 정전용량을 감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제함 어셈블리(1000)를 제공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세제함(500)에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결합이 완료된 세제함 어셈블리(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제량 감지모듈(10)이 세제함(500)에 결합함으로써 세제함 어셈블리(1000)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세제량 감지모듈(10)의 모듈 바디(100)의 상단에 구비된 후크 돌기(130)가, 이에 대응하도록 세제함(500)의 상단에 구비된 후크 홈(510)에 결속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세제함(500)에 대해 탈착이 가능한 단순한 결합구조로서 세제함 어셈블리(1000)를 구성함에 따라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세제함(500)과는 독립된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세제함(500)에 세제량 센서를 추가하는 구조가 단순하고 간편해지고, 이에 따라 세제량 어셈블리를 제조함에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세제량 감지모듈(10)이 세제함(500)에 대해 착탈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므로, 세제량 센서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세제량 감지모듈(10)을 간단히 교체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보수작업이 간단하고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세제량 감지모듈(10)의 모듈 바디(100)에는 정렬 돌기(14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세제함(500)에는 정렬 홈(5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 돌기(140)와 정렬 홈(512)의 결속에 의해 세제량 감지모듈(10)의 상하위치가 고정되며, 또한 조립과정에서 정렬 돌기(140)가 정렬 홈(512)에 끼워지는 클릭감이 발생함으로써 세제량 감지모듈(10)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이러한 오조립이 방지됨으로써, 세제량 감지모듈(10)의 수위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제함(500)은, 세제량 감지모듈(10)의 모듈 바디(100) 양 측면과 결속하는 서포트 가이드(520)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트 가이드(520)는 모듈 바디(100)의 양 측면이 들뜨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써 세제량 감지모듈(10)의 결합고정성이 향상되어 흔들리거나 이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서포트 가이드(520)에 의해 세제량 감지모듈(10)이 세제함(500)에 밀착됨으로써, 근접센서(422)의 수위 측정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세제량 감지모듈(10)이 2종류의 액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제1 센서그룹(432)을 형성하는 제1 다리부(430)와, 제2 센서그룹(442)을 형성하는 제2 다리부(4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세제함(500)은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격벽(530)을 구비한다.
또한, 세제량 감지모듈(10)의 전체적인 구조를 제1 다리부(430)와 제2 다리부(4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자 형태로 함으로써, 제1 다리부(430)와 제2 다리부(440) 사이의 공간에 세제 배출구(54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 형태의 세제량 감지모듈(10)은, 세제함(500)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세제량 감지모듈(10)을 적절히 배치할 수 있는 설계구조라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세제량 감지모듈 100: 모듈 바디
110: 커넥터 안착부 112: 수용공간
114: 홈 120: 기판 장착부
130: 후크 돌기 140: 정렬 돌기
200: 독 커넥터 210: 터미널
220: 돌기 300: 커넥터 가이드
310: 돌기 320: 홈
400: 인쇄회로기판 400': 양면 인쇄회로기판
400'-1: 전면 인쇄회로기판 400'-2: 배면 인쇄회로기판
410: 접속단자부 412: 접속단자
414: 단선 와이어 416: 정전용량 측정회로
420: 다리부 422: 근접센서
424: 정전용량 근접센서 430: 제1 다리부
432: 제1 센서그룹 440: 제2 다리부
442: 제2 센서그룹 450: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
500: 세제함 510: 후크 홈
512: 정렬 홈 520: 서포트 가이드
530: 격벽 540: 세제 배출구
1000: 세제함 어셈블리

Claims (16)

  1. 독 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부를 구비하는 모듈 바디;
    상기 커넥터 안착부에 장착되는 독 커넥터; 및
    복수의 근접센서가 한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세제량 센서를 탑재하고, 상기 독 커넥터의 대응하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안착부는,
    상기 독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독 커넥터에 대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 커넥터를 압박 고정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함께 삽입되는 커넥터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와 독 커넥터에 대해 각각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 커넥터 및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 안에 수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기판 장착부 안에 수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독 커넥터 및 커넥터 가이드를 덮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가 종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단에서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에는 세제함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1 센서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다리부에는 세제함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2 센서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양면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상기 모듈 바디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배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상기 양면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정전용량 근접센서이고,
    상기 복수의 정전용량 근접센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 측정회로는 전면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인쇄회로기판의 다리부에는, 기준 정전용량 근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량 감지모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제량 감지모듈; 및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이 결합하는 세제함;
    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모듈 바디의 상단에 구비된 후크 돌기가, 상기 세제함의 상단에 대응하여 구비된 후크 홈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함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모듈 바디에는 정렬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세제함에는 상기 정렬 돌기에 대응하는 정렬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정렬 돌기와 정렬 홈의 결속에 의해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상하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함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의 모듈 바디 양 측면과 결속하는 서포트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함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량 감지모듈은,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1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1 센서그룹을 형성하는 제1 다리부와, 상기 세제함에 담긴 제2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근접센서가 제2 센서그룹을 형성하는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분리 수용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함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세제함의 세제 배출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함 어셈블리.
KR1020210036404A 2021-03-22 2021-03-22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KR102494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04A KR102494025B1 (ko) 2021-03-22 2021-03-22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04A KR102494025B1 (ko) 2021-03-22 2021-03-22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03A true KR20220131603A (ko) 2022-09-29
KR102494025B1 KR102494025B1 (ko) 2023-01-31

Family

ID=8346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04A KR102494025B1 (ko) 2021-03-22 2021-03-22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0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405A (ko) * 2003-12-16 2005-06-22 에이디반도체(주) 다단 수위센서
KR20110013005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20140071560A (ko) * 2012-11-26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체감지장치,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200011309A (ko)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27018A (ko) * 2019-08-2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405A (ko) * 2003-12-16 2005-06-22 에이디반도체(주) 다단 수위센서
KR20110013005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20140071560A (ko) * 2012-11-26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체감지장치,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200011309A (ko)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27018A (ko) * 2019-08-2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25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9093B1 (en) Steam generator for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a water level sensor
US9861255B2 (en) Dishwasher and sensing module for the same
CN100532689C (zh) 洗衣机以及洗衣机内的电导率传感器
EP2387643B1 (en) A dryer comprising a dryness sensor
KR20070074119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US10358763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level sensing device
KR20220131603A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CN101481863A (zh) 洗衣机,洗衣机内的电导率传感器及该洗衣机的控制方法
CN205012042U (zh) 用于洗衣机的传感器组件及洗衣机
AU2020223729B2 (en)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767631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level sensing device
KR102502285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함
CN105177921A (zh) 用于洗衣机的传感器组件及洗衣机
KR102436167B1 (ko) 세제량 감지모듈을 구비하는 세제함
KR20060115503A (ko) 드럼 세탁기
KR100971018B1 (ko) 세탁기의 전극센서 감지방법
KR100971017B1 (ko) 세탁기의 전극센서 감지방법
KR20080014132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EP3947801B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ousing
KR0130637Y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40085968A (ko) 수질감지센서
KR101455803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수 감지장치 및 상기 세탁수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16300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CN117845556A (zh) 储液盒、容置盒、添加剂投放装置、识别方法及设备
JPH0671084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