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225A -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225A
KR20110012225A KR1020090069850A KR20090069850A KR20110012225A KR 20110012225 A KR20110012225 A KR 20110012225A KR 1020090069850 A KR1020090069850 A KR 1020090069850A KR 20090069850 A KR20090069850 A KR 20090069850A KR 20110012225 A KR20110012225 A KR 20110012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air
suctio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용
최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225A/ko
Priority to US12/815,725 priority patent/US8409338B2/en
Publication of KR2011001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발열부품의 냉각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전자제품의 유지 또는 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열, 냉각, 먼지, 집진, 필터, 유지, 보수

Description

냉각시스템{COOLING SYSTEM}
본 발명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발열부품의 냉각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전자제품의 유지 또는 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되는 전자제품은 그 크기가 소형화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경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제공하는 연속적인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발열량도 증가하지만, 전자제품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냉각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냉각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아직 많은 전자제품들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대상인 발열부품을 냉각한 뒤 냉각에 사용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냉각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전자제품의 발열부품과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발열부품을 냉각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먼지들이 포함 된 상태이다. 따라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발열부품을 냉각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미세한 먼지들이 발열부품 또는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에 부착되고 그 양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먼지가 발열부품 등에 적층되면 흡입공기에 의한 열교환이 차단되어 발열부품이 더욱 과열된다. 적층된 먼지층은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발열부품을 더욱 과열시키고, 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 등의 회전수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고, 장기적으로 발열부품의 고장 또는 오작동을 불러 일으킨다.
물론, 종래에도 흡입공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을 냉각시스템의 흡입구 등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냉각시스템 및 냉각작용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으나, 필터에 적층된 먼지가 공기의 흡입 자체를 차단하여, 전술한 문제점들과 유사한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발열부품의 냉각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전자제품의 유지 또는 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잔류하는 먼지가 분리되어 집진되는 집진부재; 상기 집진부재를 경유한 흡입공기를 냉각대상 측으로 송풍하는 냉각팬; 및, 상기 필터부재가 장착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집진부재가 구비되는 집진부, 상기 집진부를 경유한 흡입공기를 상기 냉각팬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 또는 상기 집진부는 상기 가이드덕트 상부에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각팬과 냉각대상과 사이에 구비되며, 그 일면은 냉각대상에서 접촉되고, 그 타면에 복수 개의 방열핀 또는 방열핀이 구비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재는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흡입공기가 유동하며, 집진되는 곡선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재는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곡선유로를 따라 유동한 뒤 상기 안내부 측으로 토출되는 토출홀이 그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재로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는 상기 집진부재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재의 토출홀은 상기 집진부재의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재는 흡입공기의 유로를 차단 또는 변경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재는 그 내부에 흡입공기의 유동저항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집진부재의 내측면에 부착된 스폰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에 장착되는 상기 필터부재는 광촉매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에 상기 필터부재 측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가이드덕트 상부에 함몰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함몰된 부분의 내측면에 장착된 피씨비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외선 LED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재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덕트, 상기 냉각팬 및 상기 방열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 상은 불소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대상에서 흡열하며, 방열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로 송풍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그 크기 순서로 집진되는 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덕트는 먼지가 여과되는 필터부재와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 또는 상기 집진부재는 착탈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덕트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를 먼저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에 의하면,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발열부품의 냉각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전자제품의 유지 또는 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에 의하면,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특성에 따라 코팅재료를 달리하여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장착된 컴퓨터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물론 컴퓨터에 국한되어 적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컴퓨터는 각종 섬세하고 열에 민감한 부품들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예로 들지만,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냉식으로 내장된 부품을 냉각하는 전자제품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또는 DVD 플레이어, 프로젝터 또는 프린터 등의 전자제품도 냉각팬을 이용하여 공냉식으로 특정부품을 냉각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품의 발열부품들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데스크탑 컴퓨터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일측에 구비되며, PCI 슬롯 등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 등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확장카드(11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 메모리 카드 슬롯 등에 장착되어 중앙처리장치(CPU, 미도시) 등에서 연산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카드(130), 상기 메모리카드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저장드라이브(HDD 또는 SSD 등, 150), 광학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광학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광학드라이브(ODD, 160)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카드(110)의 예로서, 그래픽 카드 등은 독자적인 냉각팬(220) 등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발열량이 많은 전원공급부(112) 등도 그 내부에 자체적인 냉각팬(220)을 구비하여 자체적인 냉각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데스크탑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발열량이 많고 열에 민감하여, 효과적인 방열이 중요한 부품은 중앙처리장치(CPU, 미도시)일 수 있다.
컴퓨터의 성능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연산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 발열량과 연산속도는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의 연산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발열량도 함께 증가할 수 있으므로, 냉각성능도 향상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장착된 컴퓨터의 내부 사시도 및 냉각시스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데스크탑 컴퓨터 등에서 중앙처리장치의 냉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처리장치(140)은 본체 하부에 장착된 메인보드(mb)에 장착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40)를 냉각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40)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조립된다.
우선, 상기 중앙처리장치 상부에 방열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방열부 재(230)는 복수 개의 방열핀 또는 방열판을 구비한다. 상기 방열부재(230)은 냉각대상에서 발생된 열을 흡열하며, 방열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방열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방열된 열을 흡열하며, 상기 방열부재(230)의 타단은 상기 방열부재(230)의 일단에서 흡열한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부재(230)의 상부에는 상기 방열부재(230)로 송풍하여 상기 방열부재(230)의 방열과정을 돕는 냉각팬(22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220)은 상기 방열부재(230)의 방열판 사이로 송풍하며, 송풍된 공기는 방열판과 열교환한다.
상기 냉각팬(220) 상부에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냉각팬(22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21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는 필터부재(240)가 장착되며 흡입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13), 집진부재(230)가 구비되는 집진부(215), 상기 집진부(215)를 경유한 흡입공기를 상기 냉각팬(220)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17)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를 통과하여 상기 냉각팬(220)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는 그 흡입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그 크기 순서로 집진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흡입부(213)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영역으로서 필터부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부(215)는 필터부재(24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부재(2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217)는 상기 집진부(215)에서 미세먼지가 제거된 흡입공기를 상기 냉각팬(220)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흡입부(213), 상기 집진부(215) 및 상기 안내 부(217)는 하나의 가이드덕트(210) 상부의 연속된 유로가 각각의 부분의 역할에 따라 구획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240)를 먼저 통과하며, 크기가 큰 먼지가 먼저 걸러진다.
상기 필터부재(240)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큰 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필터부재(240)를 구성하는 필터는 망형태를 갖으며, 그 메쉬의 크기는 크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외부공가는 상기 필터부재(240)를 통과한 후, 상기 냉각팬(220)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다량의 미세한 먼지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상기 방열부재(230) 및 냉각팬(220)에 미세먼지가 축적될 수 있다. 축적된 미세먼지는 흡입공기와 방열부재(230) 등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냉각대상의 냉가과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재(240)를 세밀한 구조로 구성하는 경우, 필터부재(240) 자체가 미세먼지 등에 의하여 단기간에 막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냉각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필터부재(240)에 흡입공기의 흡입을 차단하여 냉각효율 떨어트리는 문제를 모순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필터부재(240)가 미세먼지에 의하여 쉽게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팬(220) 또는 방열부재(230)에 미세먼지가 축적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진부재(230)를 사용한다.
상기 집진부재(230)는 집진부재(230)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먼지를 집진한다.
상기 집진부재(230)는 큰 먼지가 걸러진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진부재(230)가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수집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215)와 상기 안내부(217)의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부재(26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260)는 상기 집진부(215)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안내부(217)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흡입공기가 정해진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를 경유한 흡입공기는 상기 냉각팬(220)에 의하여 상기 방열부재(230) 측으로 송풍되어 상기 방열부재(230)과 열교환되어 방열부재(230)을 냉각시킨 뒤, 본체 배면(170)에 형성된 배기구(171)을 통해 배출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컴퓨터 등의 커버가 생략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상기 냉각시스템이 컴퓨터 본체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흡입부(211)에서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간격을 확보한 상태로 커버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이드덕트(2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13)에 필터부재(240)를 장착하고, 상기 집진부(215)에 집진부재(230)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부(213)와 상기 집진부(215)는 상기 가이드덕트(210)의 상부에 안착홈 또는 함몰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217)를 통해 상기 냉각팬(220) 측으로 흡입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는 상기 냉각팬(220) 상부에 얹혀지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냉각팬(220)과 상기 안내부(217)가 연통된 구조를 갖으므로, 흡입공기가 상기 냉각팬(22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상기 냉각팬(220)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개방구(211)와 상기 안내부(217)를 구획하는 수직벽의 일부가 절개된 유입구(211g)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211g)는 상기 안내부(217)를 통해 흡입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덕트(210)의 개구부는 상기 흡입부(213), 상기 집진부(215) 및 상기 안내부(217)와 수직벽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가이드덕트(210)의 개방구를 상기 흡입부(213), 상기 집진부(215) 및 상기 안내부(217)와 수직벽으로 구획하는 이유는 상기 흡입부(213), 상기 집진부(215) 및 상기 안내부(217)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집진부(215)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냉각팬(2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개방구(211)를 구획하는 수직벽에 형성된 유입구(211g)는 상기 안내부(217)를 경유한 흡입공기만 상기 집진부재(230)로 공급되도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13)는 수직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그 유동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집진부(215)의 집진부재(230)로 공급되야 하므로 그 함몰된 깊이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부(215) 역시 집진부재(230) 가 안착될 수 이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마찬가지로 함몰된 깊이가 어느 정도 보장되어야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집진부재(230)의 구조와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a)는 상기 집진부재(230)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상기 집진부재(230)의 하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4(c)는 상기 집진부(215)의 흡입구 측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4(d)는 상기 집진부재(230)의 상면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4(e)는 상기 집진부재(23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집진부재(230)는 상기 흡입부(213)에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231)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구(231)는 상기 흡입부(213) 측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흡입부(2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급기구(231)를 통해 상기 집진부재(230) 내부로 흡입된다.
도 4에 도시된 집진부재(230)는 상기 흡입부(213)에서 흡입된 공기가 곡선유로를 따라 유동한 뒤 상기 안내부(217) 측으로 토출되는 토출홀(235)이 그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재(230)는 그 내부에 흡입공기가 유동하는 곡선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곡선유로는 흡입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그 자중 또는 집진부재(230) 내측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낙하되는 방식으로 집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곡선유로는 그 내부에서 유동하는 흡입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저하시키거나, 집진부재(230)의 내측 벽면과의 마찰을 유도하여 집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구(231) 내측에 급기가이드(231g)를 구비한다. 상기 급기가이드(231g)는 흡입공기가 상기 곡선유로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그 진입방향을 일정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급기가이드(231g)는 상기 급기구(231)에 경사지게 구비된 가이드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급기가이드(231g)는 흡입공기가 상기 곡선유로를 따라 상기 집진부재(23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급기구(231)에 설치되어 흡입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재(230) 내부의 곡선유로는 집진부재(230)의 외측 벽면(237)과 상기 집진부재(230) 중앙부에 구비된 토출홀(235)을 구획하는 내측 벽면(233) 사이의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내측 벽면과 상기 외측 벽면이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흡입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역시 곡선 유로(CP)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내측 벽면과 상기 외측 벽면에 의하여 형성된 곡선 유로(CP)로 진입한 흡입공기는 상기 외측 벽면과 상기 내측 벽면에 충돌하며, 흡입공기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미세먼지가 낙하하게 된다. 즉, 흡입공기가 곡선 유로(CP)를 흐르는 과정에서 그 운동에너지를 잃고 미세먼지는 그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낙하하여 집진된다. 상기 곡선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그 유속이 감소하므로, 곡선유로를 따라 흐른 후에 상기 토출홀(235) 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공기가 곡선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집진하고 토출홀(235)을 통해 상기 안내부(217) 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235)을 통해 토출된 흡입공기는 상기 안내부(217)로 유동한다. 상기 토출홀(2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개방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215)와 상기 안내부(217) 상부에 유로를 흡입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덮는 덮개부재(260)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260)는 상기 집진부재(230)의 상면과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재(230)의 상면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므로, 상기 집진부재(230)의 최상면에 접하며, 수평하게 장착된 상기 커버부재(260)에 의하여 상기 토출홀(235)에서 토출된 흡입공기는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안내부(217) 측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260)는 상기 급기구(231) 측에서 흡입되는 흡입공기와 상기 토출홀(235)에서 토출되는 흡입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재(230) 상면에 형성된 경사의 방향은 급기구(231) 측이 높고 공기가 급기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안내부(217) 측으로 공기가 쉽게 공급되도록 하고, 급기구(231)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 내부에서 흡입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흡입공기는 필터부재(240)가 구비된 흡입부(213)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213)로 흡입된 흡입공기는 상기 집진부(215)의 집진부재(230) 내부로 공급되며, 그 내부에 구비된 곡선유로를 따라 흐르며, 미세먼지가 집진되고 상기 집진부재(230) 중앙부에 형성된 토출홀(235)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홀(235)을 통해 토출된 흡입공기는 상기 안내부(217)로 안내된 뒤, 냉각팬(220)이 구비된 개방구와 상기 안내부(217)를 구획하는 수직벽의 일부가 절개된 유입구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냉각팬(220) 측으로 공급된 흡입공기는 상기 냉각팬(220) 하부에 있는 방열부재(230) 측으로 송풍되고, 상기 방열부재(230)의 방열판 등과 열교환되어 냉각대상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방열부재(230)와 열교환한 흡입공기는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흡입공기는 필터부재(240)와 집진부재(230)를 경유하여, 그 먼지의 크기에 비례하는 순서로 먼지를 제거하고 상기 냉각팬(22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필터부재(240)는 쉽게 막히지 않고, 상기 방열부재(230) 등에 축적되는 먼지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부재(240)와 상기 집진부재(230)에 축적된 먼지를 제거하여 최적의 냉각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240), 상기 집진부재(230) 또는 상기 덮개부재(260)는 냉각시스템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냉각시스템 및 공통적인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215)에 구비된 집진부재(230(2))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부재와 달리, 곡선 유로(CP)를 구비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집진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집진부(215) 내부에 대략 수직하게 장착된 격벽에 흡입공기가 충돌하여, 미세먼지의 운동성을 저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집진부재(230(2))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은 3개가 각각 이격되어 흡입공기가 충돌한 뒤, 상기 안내부(217)로 진입할 수 있도록 비스틈히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213)에서 흡입된 흡입공기는 상기 집진부(215)로 유입되어 상기 격벽 형태의 집진부재(230)에 충돌하여 미세먼지가 집진된 뒤, 상기 안내부(217)로 안내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한 냉각시스템 및 공통적인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215)에 구비된 집진부재(230(3))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집진부재와 달리, 곡선 유로(CP)를 구비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집진하는 방식 또는 흡입공기를 격벽에 충돌시켜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집진부(215)에 대략 수직하게 장착된 격벽에 흡입공기가 충돌하여, 미세먼지의 운동성을 저하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집진부(215) 바닥면에 스폰지 등과 같은 마찰부재를 구비하여 흡입공기의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집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집진부(215)로 진입한 흡입공기는 상기 집진부(215) 내부에서 집진되고, 그 바닥변 등에 부착된 스폰지 등과 같은 집진부재(230(2))에서 집진된 후 상기 안내부(217)로 공급될 수 있다.
흡입공기는 상기 집진부재(230(2)) 상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집진부재(230)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의 속도 구배가 커지고, 공기의 유동이 불규칙적으로 변화되어 미세먼지 들이 상기 집진부재(230(2))로 집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재(230)는 상기 집진부(215) 바닥면에만 부착된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집진부(215) 내측 벽면 전체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집진부재(230(2))로 유입된 공기는 스폰지에 둘러쌓인 유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집진되므로, 그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한 냉각시스템 및 공통적인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215)에 구비된 집진부재(230)는 곡선 유로(CP)를 구비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집진하는 방식과 함께 흡입공기를 격벽에 충돌시켜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방법 및 상기 집진부재(230) 내부에 대략 수직하게 장착된 격벽에 흡입공기가 충돌하여, 미세먼지의 운동성을 저하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방법 또는 상기 집진부(215) 바닥면에 스폰지 등과 같은 마찰부재를 구비하여 흡입공기의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집진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함께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집진부재(230)는 곡선유로를 구비하는 집진부재(230) 바닥면에 수직한 격벽을 복수 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곡선유로를 따 라 흐르는 흡입공기에서 집진부재(230) 내측벽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및 상기 격벽(W)에 의하여 유발된 유동저항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집진부재(230)는 곡선유로를 구비하는 집진부재(230(2)) 바닥면에 스폰지(S)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유동저항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집진부재(230) 내부에 추가로 장착되는 격벽과 스폰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집진부재(230)로서의 격벽과 스폰지 보다 그 높이가 낮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집진부재(230) 내부에 추가로 장착되는 격벽과 스폰지는 곡선 유로(CP)를 구비하는 집진부재(230) 내부의 바닥면 등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그 높이가 단독으로 집진부재(230)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냉각시스템의 흡입부(213)의 필터부재(240)는 광촉매 코팅된다는 점과 상기 흡입부(213)의 내측벽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외선 광원부가 구비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광원부(270)는 상기 흡입부(213)의 내측면에 장착된 피씨비(271)에 장착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외선 LED 소자(272)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213)는 어느 정도 함몰된 구조를 갖으므로, 상기 피씨비(271)를 상기 흡입부(213)의 내측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40)에 코팅되는 광촉매는 상기 필터부재(240)에 코팅되는 광촉매의 예로서 이산화티타늄(TiO2)이 사용될 수 있다. 광촉매 코팅은 흡입공기에 포함된 VOC 등과 같은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광촉매 코팅의 재료로서 이산화티타늄은 n형 반도체로서 자외선(400nm 근방의 파장)을 받으면 전자(Electron), 전공대(Electron Hole)가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진 하이드록시 라티칼(-OH)과 슈퍼 옥사이드을 생성한다.
이 하이드록시 라디칼과 슈퍼 옥사이드가 유기 화합물을 산화 분해시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킨다.
이런 원리로 공기중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키고 수중의 오염 물질인 유기화합물을 분해시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세균도 유기 화합물이므로 광촉매의 강한 산화작용에 의해 산화분해 되어 살균된다. 흡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부재(240)와 UV 광원을 조합하여 흡입공기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을 산화 분해하여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휘발성유기화합물 [揮發性有機化合物,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총칭한다. 대기 중에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등 광화학 산화성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발암성 물질이며,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이므로 국가마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벤젠, 아세틸렌, 휘발유 등을 비롯하여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용매 등 다 양하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화합물이 흡입되어 냉각대상의 냉각에 사용된 뒤 다시 전자제품이 사용되는 실내로 토출되는 경우, 냉각대상 또는 냉각시스템에 적층되어 냉각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광촉매 코팅된 필터부재(240) 측으로 자외선 광원부(270)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면, 흡입공기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VOC 등과 같은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면, 상기 필터부재(240) 또는 상기 집진부재(230) 등에 집진되는 먼지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냉각시스템의 유지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215)를 별도로 구비하여 방열부재(230) 또는 냉각팬(220) 등에 먼지가 축적되는 양을 줄일 수 있으나, 냉각시스템으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절대량이 변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먼지 중 일정량을 차지하는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촉매 코팅을 사용하여 냉각시스템으로 유입되는 먼지의 절대량을 감소시켜, 집진부(215) 등에서 먼지의 축적속도를 늦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40)는 광촉매 물질로 코팅하여 유기 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40)의 특성상 먼지가 일차적으로 투과되는 부분이므로 유기 화 합물이 분해되도록 코팅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상기 필터부재(240) 이외에도 각각의 부품의 특성상 흡입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축적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는 부품과 그 반대로 먼지가 잘 축적되어야 하는 부품이 존재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집진부재(230)의 경우, 먼지를 수집하는 부품이므로 먼지가 축적되려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각팬(220) 또는 상기 방열부재(230) 등은 먼지가 축적되면 냉각성능이 저하되므로, 먼지가 축적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부재(23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냉각팬(220)은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각각의 부품들의 재질 등은 미리 결정된 상태이므로, 각각의 부품들이 갖는 먼지가 축적되려는 성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열부재(230) 또는 상기 냉각팬(220)이 특정 성질을 갖도록 코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부재(230) 및/또는 상기 냉각팬(220)은 먼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방오특성을 갖는 불소코팅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220) 또는 상기 방열부재(230)에 불소코팅 등의 발수성 코팅을 하는 경우, 미세먼지가 적층되는 과정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집진부(215)를 구성하는 상기 집진부재(230)는 먼지를 잘 흡착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집진부재(230)를 비롯한 상기 집진부(215)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친수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친수성 코팅 물질로 는 SiO2 등이 그 일예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흡입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13) 또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215) 또는 냉각팬(220)으로 집진부(215)를 경유한 흡입공기를 상기 냉각팬(220)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17) 중 어느 하나가 막힘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냉각시스템을 청소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공기가 유동하는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 중 적어도 하나가 먼지에 의하여 막히게 되면, 흡입공기가 상기 냉각팬(220)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으며, 상기 냉각팬(22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다면, 상기 냉각대상, 전술한 중앙처리장치 등의 온도가 높게 측정될 수 있다. 즉, 냉각과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물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출력 또는 부하는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의 먼지에 의한 막힘정도를 판정을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장착되는 전자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제품의 제어부(미도시)는 중앙처리장치(CPU,140)의 부하(또는 출력)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는 그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140)에 일정한 부하가 걸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냉각팬(220)의 회전속도를 소정 값으로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냉각팬(220) 회전속도가 4000RPM을 유지하도록 냉각팬(220)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처리장치(140)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앙처리장 치(140) 부하 및 팬 회전속도를 일정값으로 고정시키므로 중앙처리장치(140) 온도 변화에 대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40)의 부하 및 냉각팬(220) 회전속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온도센서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4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온도 센서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40)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40)의 온도가 측정되면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중앙처리장치(140) 온도를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각각의 부하 및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온도 분포가 더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40) 온도 대비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 개구율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즉,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 등이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140) 등의 성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하 또는 출력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냉각팬(220)의 회전속도가 결정되면, 그 부하 및 회전속도를 기준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중앙처리장치(140) 부하와 냉각팬(220) 회전속도를 각각 60%와 3500RPM으로 설정되고, 설정된 부하와 회전속도에 대응한 중앙처리장치의 온도가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일반적인 사용시 컴퓨터 등의 작동이 시작되면, 일단 설정된 부하와 냉각팬(220)의 회전속도로 컴퓨터를 구동한다. 일정 시간이 흐른 뒤 다시 중앙처리장치(14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와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를 비교하게 된다.
저장된 온도에 비해 측정된 온도가 높은 경우,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에 먼지가 축적되어 흡입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먼지제거작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먼지가 축적되지 않은 정상조건에 의한 구동시의 온도와 일반적인 사용시의 온도정보를 비교하여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의 막힘을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측정된 온도가 제어부에 저장된 온도보다 일정값 이상의 편차를 갖으며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 등을 청소하도록 하는 알람 또는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람 또는 경고신호는 상기 메인보드에 장착된 스피커(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종래의 냉각시스템과 달리 흡입공기에서 1차로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재(240)와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부(215)를 분리하여, 필터부재(240)에 먼지가 축적되어 흡입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집진부(215)에 집진되므로 미세먼지가 방열부재(230)에 축적되는 것을 지연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각각의 흡입부(213), 집진부(215) 및/또는 안내부(217)에 각각의 용도에 대응하는 재료로 코팅하여, 방오특성 또는 집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여 흡입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절대량을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팬(220)의 회전속도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부하 또는 출력에 따른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냉각시스템의 청소시기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장착된 컴퓨터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이 장착된 컴퓨터의 내부 사시도 및 냉각시스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이드덕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집진부재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 내부에서 흡입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Claims (19)

  1.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에 잔류하는 먼지가 분리되어 집진되는 집진부재;
    상기 집진부재를 경유한 흡입공기를 냉각대상 측으로 송풍하는 냉각팬; 및,
    상기 필터부재가 장착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집진부재가 구비되는 집진부, 상기 집진부를 경유한 흡입공기를 상기 냉각팬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 또는 상기 집진부는 상기 가이드덕트 상부에 함몰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과 냉각대상과 사이에 구비되며, 그 일면은 냉각대상에서 접촉되고, 그 타면에 복수 개의 방열핀 또는 방열핀이 구비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흡입공기가 유동하며, 집진되는 곡선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곡선유로를 따라 유동한 뒤 상기 안내부 측으로 토출되는 토출홀이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로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는 상기 집진부재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재의 토출홀은 상기 집진부재의 상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흡입공기의 유로를 차단 또는 변경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그 내부에 흡입공기의 유동저항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집진부재의 내측면에 부착된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 장착되는 상기 필터부재는 광촉매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에 상기 필터부재 측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가이드덕트 상부에 함몰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함몰된 부분의 내측면에 장착된 피씨비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외선 LED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 상기 냉각팬 및 상기 방열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불소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6. 냉각대상에서 발생된 열을 흡열하며, 방열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로 송풍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그 크기 순서로 집진되는 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는 먼지가 여과되는 필터부재와 유동저항을 증가시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 또는 상기 집진부재는 착탈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덕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를 먼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
KR1020090069850A 2009-07-30 2009-07-30 냉각시스템 KR20110012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50A KR20110012225A (ko) 2009-07-30 2009-07-30 냉각시스템
US12/815,725 US8409338B2 (en) 2009-07-30 2010-06-15 Coo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50A KR20110012225A (ko) 2009-07-30 2009-07-30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25A true KR20110012225A (ko) 2011-02-09

Family

ID=4352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850A KR20110012225A (ko) 2009-07-30 2009-07-30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09338B2 (ko)
KR (1) KR201100122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6498B (zh) * 2009-12-16 2013-05-11 Qisda Corp 具有散熱風扇及可拆卸式空氣過濾器之電子裝置及其散熱風扇控制方法
CN102635574A (zh) * 2011-02-15 2012-08-15 建准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散热风扇及其扇框
CN104331139A (zh) * 2014-11-25 2015-02-04 成都双奥阳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散热机箱
US10180248B2 (en) 2015-09-02 2019-01-15 ProPhotonix Limited LED lamp with sensing capabilities
CN105066308B (zh) * 2015-09-02 2018-06-12 天津市天商冰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功能的专用冷风机
US10159925B2 (en) * 2016-01-12 2018-12-25 Aurabeat Holdings Limited Acoustic aided air filter and a method of air filtration thereof
CN107175936A (zh) * 2017-06-12 2017-09-19 安徽天斯努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云打印机的风冷壳体
US11178796B2 (en) * 2018-09-26 2021-11-1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ower conversion equipment cooling with cyclonic airborne particle reduction
US11471554B2 (en) 2019-07-30 2022-10-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ir purifier and automobile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er
JP7168880B2 (ja) * 2021-02-18 2022-1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4850164B (zh) * 2021-05-08 2023-07-07 宜兴大平杆塔制造有限公司 一种镀锌车间用锌烟收集系统
CN114995616B (zh) * 2022-05-31 2024-05-07 安徽碳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持设备散热系统的轻质化烯碳复合材料
CN115693437B (zh) * 2022-11-18 2023-08-25 黑龙江省汉泽石油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配电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6103A1 (de) * 1974-04-03 1975-10-16 Ziehl Abegg Kg Lueftereinschub mit frontansaugung.-
US5766316A (en) * 1996-05-21 1998-06-16 Gates; Cassen L. Electronic device cooling air filter and method thereof
JP2000151167A (ja) * 1998-11-16 2000-05-30 Nec Ibaraki Ltd ヒートシンク
US6168396B1 (en) * 1999-12-30 2001-01-02 Matthew Homola Fan assembly for forcing filtered air into a micro computer case
DE20002124U1 (de) * 2000-02-07 2000-04-13 Pfannenberg Otto Gmbh Luftdurchtrittseinrichtung
JP4641680B2 (ja) * 2001-08-27 2011-03-02 日本無機株式会社 光触媒反応装置及び光触媒反応装置の取付方法
CN1297784C (zh) * 2002-12-30 2007-01-31 捷和实业有限公司 具有光触媒的空气清净装置
TWM240613U (en) * 2003-03-12 2004-08-11 Leadtek Research Inc Heat-spread fan with filter function
WO2005055384A1 (de) * 2003-12-04 2005-06-16 Almatec Ag Schrankartiges gehäuse mit luftkühlung
TWM270405U (en) * 2004-08-19 2005-07-11 Compal Electronics Inc Heat sink device with dust-collection mechanism
ES2363229T3 (es) * 2005-07-14 2011-07-27 W.L.GORE & ASSOCIATES GMBH Unidad de refrigeración mediante ventilador para refrigerar componentes electrónicos.
JP4703596B2 (ja) * 2007-03-28 2011-06-15 Tdkラムダ株式会社 電子機器の冷却ファン取付構造
US8016927B2 (en) * 2007-04-11 2011-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fil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27137A1 (en) 2011-02-03
US8409338B2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2225A (ko) 냉각시스템
KR101173343B1 (ko) 제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US8252097B2 (en) Distributed air cleaner system for enclosed electronic devices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TWI660146B (zh) 空氣處理系統
WO2007076554A2 (en) Distributed air cleaner system for enclosed electronic device
KR20140015556A (ko) 고성능 공기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CN1727786A (zh) 通风系统
US20190226697A1 (en) Air purifier
TWI807424B (zh) 可攜式空氣淨化器
US2021026996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JP2007296524A (ja) 空気調和機
JP2002078782A (ja) 空気清浄機
JP5135673B2 (ja) 除湿機
KR102230760B1 (ko) 필터 교체시기 알람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0284122Y1 (ko) 컴퓨터 부품의 냉각팬을 이용한 컴퓨터용 공기청정기
CN212515653U (zh) 具光触媒空气净化效果的计算机电源供应器
US20210222897A1 (en) Fluid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W201043889A (en) Fan filter unit, semiconductor production apparatus, flat panel display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urified air
CN211529105U (zh) 一种智能空气净化器
TWI779330B (zh) 能淨化空氣的主機設備
KR20200029232A (ko) 살균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629979B1 (ko) 공기 청정기
TWI817035B (zh) 具光觸媒空氣清淨效果之電腦電源供應器
KR20100010447U (ko) 듀얼 팬 에어쿨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