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718A - 유량 제어 유닛과 필터 조립체를 가진 정수기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유닛과 필터 조립체를 가진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718A
KR20110011718A KR1020107029360A KR20107029360A KR20110011718A KR 20110011718 A KR20110011718 A KR 20110011718A KR 1020107029360 A KR1020107029360 A KR 1020107029360A KR 20107029360 A KR20107029360 A KR 20107029360A KR 20110011718 A KR20110011718 A KR 2011001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filter
reservoir
leak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943B1 (ko
Inventor
프란스 모우스
종애 산더 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1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K17/30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8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convey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13Control of outflow from tank
    • Y10T137/7323By 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29With supplemental or safety closing means or bi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368Servo relay operation of control
    • Y10T137/7371Fluid pressure
    • Y10T137/7378From t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2In separate communicating float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39Float arm operated valve
    • Y10T137/7446With flow guide or restri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39Float arm operated valve
    • Y10T137/7465Assembly mounted on and having reciprocating valve element coaxial with inlet pi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39Float arm operated valve
    • Y10T137/7485Pivot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8Pilot or servo controlled
    • Y10T137/7761Electrically actuat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low Control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정수기(1)는 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수류 제어 유닛(2)을 갖는다. 제어 유닛(2)은 유량 제한기(6)와 유량 제한기(6)에 직렬로 유체 연통하는 누수 정지부(12)를 포함한다. 누수 정지부(12)는 유량 제한기(6)의 입구(9)와 출구(10)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차 이하에서 유동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유닛과 필터 조립체를 가진 정수기{A water appliance having a flow control unit and a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 및 유수량(water flow) 제어용 유수량 제어 유닛을 갖는 정수기에 대한 것이다.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의 제한은 많은 나라에서 사망과 질명의 주 원인이고 년간 많은 사람을 죽이고 광범위한 질병을 일으킨다. 물 처리는 사람들의 건강 상태를 완화시키고 안전하지 않은 또는 오염된 물을 소비하여 얻은 질병 효과로부터 보호하는데 필요하다. 많은 나라에서 물은 희귀하고 고가의 자원이다. 폐수 처리 방법들은 이러한 수 처리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에 관해 널리 관심을 받는다. 비록 폐수가 재순환되고 재사용될 수 있지만, 불필요한 물의 유출을 피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물 유축은 예를 들어, 수도꼭지들의 열악한 관리, 잘못된 파이프 연결 또는 수도 시스템(water system)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마모된 개스킷 또는 수도꼭지, 수 마개(water tap) 등을 부주의하게 닫음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의 결과로 일어날 수 있다.
유수량 제어 유닛을 갖는 정수기들은 일반적으로 물 처리에 적용되고 물의 냉각, 가열 또는 정화와 같은 다양한 조절 목적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은 저장소 또는 공공 수도 시설로부터 분기된(tapped) 일정 양의 물의 투여(dosage)를 위한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정수기들은 공공 수도 시설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수도꼭지가 장착될 수 있는 최종 목적 장치로서 또는 수도꼭지에 도달하기 전에 물을 여과하는 카운터 아래의(under the counter) 기구들로서 가정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정수기들은 물의 화학적 처리에 의해 또는 미립자들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기계적 여과에 의해 물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 대한 요구가 없을 때 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서두에 제시된 종류의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제어 유닛이 유량 제한기와 직렬로 유체 연통하는 누수 정지부를 포함하고, 이 누수 정지부는 유량 제한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 차 이하에서 유동을 차단하여 실현된다.
제어 유닛은 유수량을 제어한다. 정상적인 물 요구 중에 정수기와 유량 제한기를 지나는 유수량은 제한기의 입구와 제한기의 출구 사이에 일정한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제한부를 지나는 -비압축성인- 물의 체적 유량은 제한부에 걸치 압력차의 효과, 즉, 유동 제한부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압력차를 가짐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압력 차의 크기는 유량이 증가하면 커지고 유수량이 감소하거나 정지하면, 예를 들어, 물에 대한 추가 요구가 없을 때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닫는 상황에서, 감소한다. 유수량이 예정되고 최소의 유수량 이하인 크기이면, 사용자가 실제로 물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고;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의 유량 이하의 이러한 낮은 유수량은 물의 누설을 나타내고 상기 예정되고 최소의 유수량은 유동의 누설 한계로 불린다.
누설 한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의 유량 제한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차에 상응한다. 제한기를 지나는 유동이 감소하고 누설 한계에 도달할 때, 제한기에 걸친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차가 설정되고 누설 정지부가 유동을 차단한다. 누설 정지부는 유량 제한기와 직렬로 유체 연통하고, 제한기를 지나는 유동은 결과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유량 제한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압력차가 없고, 압력차가 누설 한계에 상응하는 미리 결정된 압력차 이하로 유지됨을 암시한다. 차단된 상태는 제어 유닛이 새로운 의도한 물 요구를 검출하고 예를 들어, 유량 제한기로의 직렬 통로를 누수 정지부가 열게 하는 신호의 제공에 의해 누수 정지부의 폐쇄와, 상응하는 유수량의 차단을 취소할 때까지 유지된다. 이러한 요구의 제어 유닛에 의한 검출과 개방 신호의 제공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널리 알려진 특징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는데 필수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유익한 실시예에서 정수기는 물 필터와 물 필터를 지나 흐르는 일정 체적의 물을 추가하기 위한 유동 합산(totalization) 유닛을 갖고, 여기서 필터는 물 필터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흐르는 최대 량의 물까지 유수량의 제한을 위해 유량 제한기와 유체 연통한다.
알려진 수도(water) 장치에서 유동 합산 유닛이 조절되는, 예를 들어, 장치에 의해 배출, 가열 또는 냉각되는 일정 양의 물 또는 물 필터의 수명 종료를 예측하기 위해 빈번히 적용된다. 이러한 알려진 물 처리 장치들에서 물은 장치를 통해 흐르면서 물 터빈을 일반적으로 구동한다. 터빈은 일정 개수의 기어들을 구동하고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장치에 수용되는 물 필터에 의해 및 물 처리 장치에 의해 미리 결정된 최대 량의 물이 처리된 후에 유동을 차단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물 처리 장치들을 지나는 물의 유량이 특정 레벨 이하, 또는 -상술한 명명법(nomenclature)을 사용하여- 누설 한계 이하일 때, 터빈의 회전이 기구를 지나 흐르는, 예를 들어 필터에 의해 처리되는 물의 양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한된 유수량이 터빈을 따라 유지되어, 터빈이 회전되지 않게 또는 예를 들어, 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누설되지 않는 상황에서 유동 합산 유닛에 의해 합산(registration)되지 않게 하는 것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황이 계속되거나 여러 번 발생할 때, 예를 들어, 시스템이 빈번히 적은 양의 물을 여과하기 위해 켰다가 꺼질 때, 유동은 필터의 안전하고 유효한 사용을 위한 시간이 만료되었어도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알려진 수도 장치들은 유량 제한기를 자주 포함한다. 유동의 제한은 예를 들어, 여과의 경우에서와 같이 장치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고, 여기서 유량 제한기는 물이 물의 효과적인 정화를 보장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필터에 남아 있는 동시에 필터가 과다한 유수량에 의해 일어나는 "불림(blow through)"에 대해 보호됨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를 지나는 유수량은 유량 제한기에 걸쳐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제한기의 입구의 압력과 제한기의 출구의 압력 간의 차이는 유수량, 즉, 주어진 시간에 제한기를 지나 흐르는 물의 양에 의존한다. 상기 압력차는 유량 제한기를 지나는 유동이 증가할 때 증가하고 제한기를 지나는 유동이 감소하거나 또는 정지할 때 감소 또는 심지어 사라진다. 임계의 최소 유량 이하에서, 필터를 지나 흐르는 물의 양은 합산 유닛의 터빈에 의해 부정확하게만 검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터빈이 실질적으로 합산 유닛의 기어들을 구동하게 하지 않고 물이 상기 임계 유량 이하에서 터빈을 실질적으로 둘러가기(circumvent)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임계 최소 유량은 유량 제한기에 걸친 임계 최소 압력 강하 또는 임계 최소 압력 차이에 상응한다. 임계 최소 압력 강하 이하에서 합산 유닛은 유동과 적절히 정합(register)하지 않는다. 임계 최소 압력 강하는 합산 유닛의 감도에 의존한다. 터빈의 형상, 기어들의 개수 및 기어들 간의 전달부(transmission)의 마찰과 같은, 유동 합산 유닛의 특성들은 그 아래에서 정확한 정합이 가능하지 않은 임계 최소 압력 차이와 감도를 결정한다. 유량 제한기의 입구와 출구 간의 미리 결정된 압력 차이를 유량 제한기에 걸친 임계 최소 압력 차로 맞춰, 누수 정지부에 의한 유량 제어 유닛이 유동이 임계 최소 유동 이하로 가는 경항이 있을 때 유동을 차단시킨다. 적은 유수량들이 회피된다. 합산 유닛의 정확도가 보존된다. 수명이 다 된 필터는 신뢰성 있게 예측될 수 있다. 물 필터 장치들에서 필터의 수명이 끝났음을 표시하는 것은 자주, 미리 결정된 체적이 여과된 후 유동을 정지시키는 밸브에 의해 제공된다. 유동 합산 및 차단 메커니즘이 비교적 고가이고 복잡하지만, 이들은 그 복잡성 및 고가에도 불구하고 수명의 끝을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수단으로서 인식되어 있다. 특히 적은 유수량을 처리할 때, 즉, 제한된 양의 물이 소정의 시간에서 정수기를 지나 흐를 때, 처리된 물의 양의 정확한 측정은 유지되기 힘들다. 이러한 부정확한 측정은 필터 카트리지에 대한 수명-종료의 예측시 신뢰성을 감소시킨다. 적은 유량의 회피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기를 지나 흐른 전체 유량의 등록(registration)에서 개선된 정확성을 제공한다. 유량 합산 및 차단 메커니즘의 비용과 복잡성의 감소는 미리 결정된 체적이 여과된 후 유동을 정지시키는 밸브 또는 미리 결정된 양의 물이 처리된 후 유동을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누수 정지부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비용과 복잡성의 감소도 달성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유량 제한기가 유수량의 제한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정수기는 여과된 일정 양의 물의 저장을 위해 저장소를 갖고, 여기서 유수량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소에서 미리 결정된 물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레벨 제어기를 갖고, 이 레벨 제어기는 누수 정지부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여과 시스템은 물의 적절한 정화를 보장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허용가능한 기간 내에 몇 부분의 음료수가 정수기로부터 나오는(tap)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수기는 적절한 체적의 여과된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소를 구비한다. 물 요구가 없을 때 저장소 내의 물 레벨은 최대 레벨에 도달하게 복원되어야 한다. 최대 레벨에 도달할 때, 즉, 저장소가 완전히 채워질 때, 레벨 제어기는 유수량을 차단하고 저장소가 최대 레벨을 넘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과된 물이 저장소로부터 나오면 저장소 내의 물의 레벨은 최대 레벨 아래로 떨어진다. 유수량 제어 유닛 또는 유체 제어 유닛에 포함된 레벨 제어기는 이제 신선하게 여과된 물이 저장소로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낮은 레벨에 반응하여 열린다. 그러므로, 열림과 닫힘은 저장소의 물 레벨의 제어에 관련된다. 물 레벨의 제어에 누수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익하고 -누수 정지부가 유수량 제어 유닛에 존재하므로- 개폐를 위한 별개의 장치가 필요없다. 센서에 의한 물 레벨의 검출과 센서 신호의 유수량 제어 유닛으로의 피드백(feedback)과 같은 몇 가지 레벨 제어 방식이 가능하다. 센서는 광학, 용량식(capacitive) 또는 유도식일 수 있다. 다르게는, 유익하게는 기계적 수단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벨 제어에 적용될 수 있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 레벨 제어기는 그 위치가 물 저장소에서 물의 레벨에 반응하는 이동 부재와, 저장소에 대해 고정된 위치 둘레에서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일단부가 이동 부재에 고정된 레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누수 정지부가 레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매우 신뢰성있고, 제조하기 쉽고 비교적 저렴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필터 조립체는 필터, 유량 제한기, 유량 제한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미리 결정된 압력차 값 이하에서 필터를 지나는 유수량을 차단하기 위해 유량 제한기와 직렬로 유체 연통하는 누수 정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정수기와 필터 조립체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신뢰성있고, 제조하기 쉽고 비교적 저렴한 장치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개략도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들이 실시예들의 개략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유닛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정지부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시트와 밸브 몸체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6은 시간의 함수인 유수량을 보이는 그래프.
도 7은 시간의 함수인 유수량을 보이는 그래프.
하기의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유사하거나 같은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와 도 1b에서 정수기(1)는 첫번째 점선 상자로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정수기(1)는 첫번째 점선 상자 안의 두번째 점선 상자로 나타낸 유량 제어 유닛(2)을 갖는다. 수도꼭지(4)는 유수량(100)이 정수기(1)를 지날 수 있게 열릴 수 있다. 유수량(100)은 유량 제어 유닛(2)에 의해 제어된다. 유량 제어 유닛(2)은 유량 제한기(6)를 포함한다. 정상적인 물 요구시 정수기(1)와 유량 제한기(6)를 지나는 유동(100)은 제한기(6)의 입구(9)와 제한기(6)의 출구(10) 사이에 압력 강하(ΔP)를 일으킨다. 유량 제어 유닛(2)은 누수 정지부(12)를 갖는다. 누수 정지부(12)는 2개의 연결부(14, 16)를 통해 유량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있다. 누수 정지부(12)는 2개의 스위치 위치들을 갖는다. 제 1 스위치 위치는 도 1a에 예시되어 있다. 제 1 스위치 위치에서 유수량(100)이 누수 정지부(12)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두 연결부들(14, 16) 사이에 유체 연결이 설정된다. 제 2 스위치 위치는 도 1b에 예시되어 있다.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 2 스위치 위치에서 연결부(14)로부터 연결부(16)로의 통로는 막히고 누수 정지부(12)를 통해 어떤 물도 흐를 수 없다. 도 1a와 도 1b의 누수 정지부(12)는 유압 2/2 밸브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입 기호로 나타나 있다. 두 스위치 위치들은 누수 정지부(12)에서 조합된 작용 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조합된 작용은 손으로 작동되는 버튼(20)으로부터, 유체 명령 라인(22)을 통한 제한기(6)의 출구(10)에서의 유압으로부터 및 탄성 부재(18)를 통한 기계적 작용으로부터 발생한다.
누수 정지부의 작동은 하기에 설명된다. 제 1 스위칭 위치(도 1a)에서 유량 제한기(6)에 걸친 압력 강하(ΔP)의 크기는 유수량(100)에 의존한다. 압력 강하(ΔP)는 유동(100)이 증가할 때 커지고 유수량(100)이 감소할 때 작아진다. 유수량(100)에 누수 유동에 상응하는 크기에 도달하는 몇 개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사용자가 물이 더 필요하지 않을 때 수도꼭지(4)를 닫거나 또는 수도꼭지(4)가 거의 닫혀있지만 완전히 닫히지는 않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게 적은 양의 물이 정수기를 통해 누설되는 경우일 수 있다. 그 미리 결정된 유수량 값 이하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물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가정될 수 있는 유량(100)에 대한 값은 예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및 최소의 유량 이하의 이러한 낮은 유수량은 물의 누수를 나타내고 상기 미리 결정된 및 최소 유량의 물은 유동의 누수 한계로 불린다.
누수 한계는 제어 유닛(2)의 유량 제한기(6)의 입구(9)와 출구(10) 간의 압력 차(ΔP)의 미리 결정된 값에 상응한다. 유량 제한기(6)를 지나는 유동(100)이 감소하고 누수 한계에 도달할 때, 제한기(6)에 걸친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 차(ΔP)가 설정된다.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출구(10)에서 유압이 입구(9)의 유압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출구(10)에서의 유압이 상승한다.
입구(9)는 가압된 물 저장 시스템 또는 공공 수도 시스템과 같은, 물 공급 시스템(24)과 유체 연통한다.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출구(10)에서의 유압이 입구(9)의 유압에 도달한다. 따라서, 누수 한계의 발생은 제한기(6)의 출구(10)에서의 압력 상승과 상응한다. 상기 압력 상승은 유체 명령 라인(22)을 통해 전해지고 스프링(18)의 작용에 대해 닫힌 위치로 전환하게 2/2 밸브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닫을 때 2/2 밸브는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전환된다.
도 1b에서 정수기(1)와 제어 유닛(2)을 지나는 유수량(100)은 2/2 밸브 또는 누수 정지부(12)에 의해 차단된다. 수도꼭지 밸브(4)가 물이 필요한 사용자에 의해 열리면, 누수 정지부(1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데, 왜냐하면 수도꼭지(4)와 누수 정지부(12) 간에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이다. 누수 정지부(12)를 열기 위해 사용자는 누수 정지부(12)를 도 1a의 구성으로 하기 위해 손으로 버튼(20)을 작동시켜야 하고, 물이 누수 정지부(12)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두 연결부(14, 16)들 간에 다시 유체 연결이 설정된다. 일단 유수량(100)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설정되면 출구(10)에서의 압력이 떨어진다. 압력 강하는 유체 명령 라인(22)을 통해 전해지고 2/2 밸브 또는 누수 정지부(12)가 스프링(18)의 작용에 의해 지지되는 개방 위치로 유지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유수량은 먼저 제한기(6)를 지나 흐르고 그 다음에 누수 정지부(12)를 지나고 마지막으로 수도꼭지(4)를 지난다. 제한기(6)가 도 1c에 예시한 바와 같이 누수 정지부(12)와 수도꼭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수도꼭지는 유수량이 먼저 수도꼭지를 지난 다음에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나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서 정수기(1)와 유량 제어 유닛(2)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필터(34)가 유수량(100)을 여과하기 위해 제공된다. 필터(34)가 유수량(100)을 여과하도록 제공된다. 필터(34)는 센서(28)와 직렬로 배치된다. 유수량(100)은 정수기(1)를 통해 흐르면서 센서(28)의 물 터빈(29)을 구동한다. 터빈의 회전수들은 적산기(30; integrator)에 기계적 또는 전기적 또는 유압 신호(38)들에 의해 통신된다. 적산기(30)는 신호(38)를 적산한다. 적산된 신호(30)는 필터(34)를 통해 흐른 물의 양과 상응한다. 적산기(30)는 미리 결정된 값(40)과 신호(38)의 적산된 값을 비교한다. 미리 결정된 값(40)은 필터(34)의 수명 종료에 상응한다. 신호(38)의 적산된 값이 미리 결정된 값(40)을 초과하는 경우, 적산기(30)는 누수 정지부(12)에 의해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42)를 출력한다. 누수 정지부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라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작동하고 2개의 스위칭 위치들을 갖는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누수 정지부(12)는 그 개방 위치로 나타나 있고, 즉 유수량(100)을 허용한다.
필터(34)의 수명-종료시, 적산기(30)가 신호(42)를 생성할 때, 솔레노이드가 작동된다. 솔레노이드(34)는 유수량(100)을 불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누수 정지부(12)를 밀어 누수 정지부(12)에 작용한다.
다르게는, 신호(42, 44)가 가변 제한기(36)에 작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제한기(36)는 입구(9)와 출구(10)를 갖는다. 제한기(36)의 제한의 저항을 감소시켜, 출구(10)에서 유압이 증가시킨다. 출구(10)에서 이 압력 상승은 유체 명령 라인(22)을 통해 누수 정지부(12)로 통신되고 2/2 밸브(12)를 스프링(18)의 작용에 반해 닫힌 위치로 전환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 대안은 도 2a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누수 정지부는 유익하게는 필터(34)의 수명-종료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별개의 추가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필터(34)가 수명-종료에 도달했을 때 유수량(100)을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터빈(29)이 (가능하다면) 기어박스(51; 도 2b)의 하위-구동부(sub-drive)를 통해, 게이트(46)를 구동하면, 매우 비용-효과적인 해결법이 얻어진다. 기어 박스(51)는 센서(28)의 프로펠러(29)의 일정 회수의 회전을 종동차(47)의 원하는 회수의 회전으로 변환한다. 종동차(47)는 래크(49; rack) 상에서 작용한다. 게이트(46)는 래크(49)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밸브(48)를 갖는다. 터빈(29)의 회전수가 증가시, 즉, 필터(34)에 의해 여과되는 물의 양이 증가시, 밸브(48)는 센서(28)를 통해 흐르는 물의 작용하에 저속 기어로 바뀌고(shift down), 이 작용은 기어 박스(51)와 래크(49)와 종동차(47)를 통해 이동하는 밸브(48)로 전달된다.
도관(54)이 필터(34)의 출구(56)와 유체 연통한다. 출구(56)는 제한기(6)의 입구(9)와 출구(10)에서 유압을 초과하는 유압을 갖는다. 도관(55)은 도 2a의 명령 라인(22)과 유사한- 명령 라인으로서 누수 정지부(12)에 부착된다. 따라서, 출구(56)의 유압이 도관(55)에 연통하면, 즉, 유체가 도관(54)으로부터 도관(55)으로 통과할 수 있으면, 출구(56)에서의 압력이 도관(55)과 누수 정지부(12)에 연통된다. 2/2 밸브(12)는 스프링(18)의 작용에 반해 닫힌 위치로 전환된다.
도 2b에 예시된 상황에서 밸브(48)는 도관(54)으로부터 도관(55)으로의 유체 통과를 막는다. 따라서, 여과된 물은 여전히 수도꼭지(4)로부터 배수될 수 있다. 밸브(48)의 구멍(52)이 도관(54)의 출구(542)와 도관(55)의 입구(551)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밸브(48)는 도관(54)으로부터 도관(55)으로의 통과를 계속 차단한다. 양쪽 화살표(53)는 구멍(52)이 출구(542)와 입구(551)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밸브(48)에 의해 계속 이동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낸다. 거리(53)는 필터(34)의 나머지 수명 시간에 상응한다. 일단 구멍(52)이 도관(54)으로부터 도관(55)으로의 유체 통과를 가능하게 하면 필터(34)의 출구(56)와 누수 정지부(12) 간의 유체 소통이 가능하다. 도관(54, 55)은 이제 유체 명령 라인(22)과 유사하게 작용한다. 출구(56)에서의 유압은 누수 정지부(12)로 전해지고 스프링(18)의 작용에 반해 2/2 밸브(12)를 닫힌 위치로 전환되게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 상황은 필터(34)가 교체되고 게이트(46)가 재설정될 때까지 유지된다.
도 3에서 일정 량의 물(62)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60)를 갖는 정수기(1)가 예시된다. 레벨 제어기(64)는 원하는 또는 미리 결정된 물 레벨(66)이 물 저장소(60)에 유지되는 것을 확보한다. 레벨 제어기(64)는 그 위치가 저장소(60)에서 물 레벨(66)에 반응하는 부표(68; float)를 갖는다. 부표(68)는 저장소(60)와 유체가 소통하는 부표 챔버(70)에 수납된다. 부표(68)는 저장소(60)에 대해 고정된 지점(74) 둘레로 피벗(pivot)할 수 있는 레버(72)에 장착된다. 부표(68)는 레버(72)의 일단부(76)에 작용한다. 레버(72)의 다른 단부(78)는 누수 정지부(12)의 밸브 몸체(80)에 고정된다. 밸브 몸체(80)와 밸브 시트(82)는 밸브 챔버(84)의 하부에 수용된다. 밸브 몸체(80)는 밸브 시트(82)와 함께 작동하여 밸브 챔버(84)로부터 부표 챔버(70)와 저장소(60)로의 물의 통로를 밀봉한다. 밸브 시트(82)에 대한 밸브 몸체(80)의 폐쇄는 여러가지들 중에서 부표(68)의 위치에 의존한다. 부표 챔버(70)는 덕트(86)를 통해 저장소(60)와 통한다.
물은 수도꼭지(88) 또는 출구(spout)를 통해 저장소(60)로부터 배수될 수 있다. 저장소(60)의 물의 레벨(66)이 감소한다. 저장소(60)가 부표 챔버(70)와 유체가 소통하므로, 부표 챔버(70)의 물 레벨은 저장소(60)의 물 레벨(66)과 같다. 부표(68)는 물 레벨에 반응하고 부표(68)의 위치가 변한다. 부표(68)는 레버(72)에 작용하고 이는 부표 챔버(70)의 물 레벨이 감소할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72)는 지점(74) 둘레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물 레벨이 감소할 때 레버(68)가 내려감에 따라 밸브 몸체(80)가 상방향으로 밀린다. 밸브 시트(82)가 밸브 챔버(8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밸브 몸체(80)와 밸브 시트(82) 사이에 통로가 형성된다. 밸브 몸체(80)는 밸브 시트(82)로부터 들어올려지고, 물은 밸브 챔버(84)로부터 부표 챔버로 그리고 부표 챔버(70)로부터 덕트(86)를 통해 저장소(60)로 흐를 수 있다. 밸브 챔버(84)는 제한기(6)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레벨이 증가할 때, 부표(68)는 부표 챔버(70)의 상승하는 물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린다. 동시에 밸브 몸체(80)는 밸브 몸체(80)가 밸브 시트(82)에 대해 밀봉될 때까지 레버(72)의 작용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다. 저장소(60)의 레벨이 이제 복원된다. 밸브 몸체(80)는 레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기다란 부분(81)과, 밸브 시트와 함께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분을 갖고, 여기서 밸브 시트는 기다란 부분을 통해 안내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다.
도 3의 정수기의 일부분이 도 4a 내지 도 4c에 3가지 상이한 상황들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예시한 상황에서 부표 챔버(70)와 저장소(60)의 물이 원하는 레벨(90)의 상당히 아래에 있다. 유량 제한기는 예를 들어, 필터(도시않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정 유동으로 유동(100)을 제한한다. 유량 제한기(9)의 입구(9)의 압력이 유량 제한기(10)의 출구(10)의 압력을 초과한다, 즉, 출구(10)의 압력이 입구(9)의 압력에 비해 비교적 낮다. 밸브 챔버(84)는 출구(10)와 유체 연통하고 출구(10)에서 비교적 낮은 유압이 유압 챔버(84)로 전달된다. 한편, 챔버 (84)의 낮은 유압은 밸브 몸체(80)에 작용하고 밸브 시트(82)에 대해 밸브 몸체(80)를 아래로 미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한편 부표(68)가 레버(72)의 단부(76)에 작용한다. 부표 챔버(70)의 물 레벨이 낮으므로, 부표(68)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표(658)의 무게가 레버(72)의 단부(76)를 통해 단부(78)에 전달되고 밸브 몸체(80)를 그 밸브 시트(82)로부터 멀어지게 위로 미는 경향이 있다. 도 4a에 예시한 상황에서 밸브 챔버(84)로부터 부표 챔버(70)로 물이 통과할 수 있고 부표 챔버(70)의 물 레벨이 상승한다. 덕트(86)를 통해 물이 부표 챔버(70)로부터 저장소(60)로 공급된다.
도 4b의 상황에서 부표 챔버(70)의 물이 그 원하는 레벨(90)에 거의 도달되어 있다. 유량 제한기는 여전히 유수량(100)이 지나지만 적당한 양이 흐른다. 밸브 몸체(80)는 상승하는 물과 부표(68)와 레버(72)를 포함하는 부표 메커니즘의 작용 하에 밸브 시트(82)로 닫힌다. 좁은 갭(90)은 밸브 챔버(84)로부터 부표 챔버(70)로 물이 흐를 수 있게 한다. 갭(90)은 밸브 챔버(84)로부터 부표 챔버(70)로의 유수량의 제한을 설정한다. 갭(90)에 의해 생성된 유동 제한으로 인해 압력 강하(ΔP10)가 밸브 몸체(80)에 걸쳐 발생하고 이는 밸브 몸체(80)를 아래로 밀고 부표(68)를 물로부터 거리(94)만큼 위로 미는 경향이 있다. 동시에 유량 제한기(6)에 걸친 압력 강하는 감소하는데 왜냐하면 제한기(6)의 입구(9)와 부표 챔버(70) 간의 전체 압력 강하가 유량 제한기(9)(ΔP21)와 갭(90)(ΔP10)에 걸쳐 분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밸브 챔버(84)의 압력이 상승하고 갭(90)에 걸친 압력 강하(ΔP10)가 증가한다. 이는 레버(72)에 걸친 힘 평형이 방해되고 밸브 몸체(80)가 가속된 방식으로 밸브 시트(82)에 대해 눌리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유량 제한기(6)의 출구(10)와 직렬로 유체 연통하는 밸브 챔버(84)에서 밸브 시트(82)와 밸브 몸체(80)는 본 발명에 따라 누수 정지부(12)를 구성한다. 유량 제한기(6)의 입구(9)와 출구(10) 간의 미리 결정된 압력 차(ΔP21)의 값 이하에서, 밸브 몸체(80)에 걸친 압력 차(ΔP10)는 급속히 증가하고,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82)와 밀봉 결합하게 밀리고 유동이 차단된다.
도 4c에서 밸브 몸체(80)와 밸브 시트(82)가 밸브 챔버(84)로부터 부표 챔버(70)로의 유체 통로를 닫는 것을 보인다. 입구(9)에서 압력은 제한기(6)를 통해 출구(10)와 밸브 챔버(84)로 전달된다. 부표(68)는 물로부터 거리(96)만큼 밀린다. 거리(96)는 거리(94; 도 4c)를 초과하는데 왜냐하면 도 4c에 예시한 상황에서 전체 압력 차(ΔP21+ΔP10)가 밸브 몸체(80)에 걸치고, 물의 레벨은 도 4b의 상황으로부터 도 4c의 상황으로 거의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 5에서 밸브 몸체(12)와 밸브 시트(82)의 일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밸브 몸체(80)는 밸브 시트(82)의 상응하는 표면과 함께 작용하는 테이퍼진 부분을 갖는다. 몸체(80)와 시트(82)를 테이퍼지게 하면 몸체와 밸브 간의 밀봉 면을 증가시킨다. 증가된 밀봉면은 예를 들어, 필터의 교환 후에, 물에 존재할 수 있는 미립자들에 밀봉이 더 민감하게 한다. 시트(82)에 대해 몸체(80)의 완전한 폐쇄를 보장하기 위해 시트(82)가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이고 몸체(80)가 예를 들어, 스프링(83)에 의해 시트(82)에 대해 눌리면 유익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 필터 장치를 지나는 시간의 함수로서 유량(ml/min)을 보인다[실선 곡선(102)]. 그래프의 하부에서 점선 직선(104)은 유량 제어 유닛의 최소 정합 한계를 나타낸다. 이 한계(104) 아래의 값을 갖는 유동은 유동 합산 유닛에 의해 기록되지 않고 필터가 필터의 안전한 수명 시간을 초과하는 기간 중에 사용되게 한다. 차단 거동은 도 6의 그래프가 도 7의 그래프와 비교될 때 결론지어질 수 있듯이 비교적 급격하다. 도 7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정지부를 갖는 물 필터 장치를 지나는 시간의 함수로 유량(ml/min)이 도시된다[실선 곡선(103)]. 유동은 도 6의 곡선(102)과 비교하여 결론지어질 수 있듯이 비교적 천천히 변한다. 한계(104) 아래에서 유동 합산은 해칭(hatched)된 영역(106)으로 나타낸 상당한 양의 물을 기록하지 않는다. 빈번한 개폐는 상당한 양의 물이 그 안전한 수명 시간을 초과하여 필터에 의해 여과되게 한다. 도 6을 점검하여 알 수 있듯이, 이러한 검출되지 않은 양의 물은 정수기가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매우 제한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 및 상술한 설명에 상세히 예시 및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예시 및 설명은 예시 또는 예로 간주되어야 하고 제한적이지 않고; 본 발명은 공개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밸브들과 유체 제한기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또는 명령 라인들이 필터 또는 제한기의 상이한 입구들 또는 출구들에 연결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밸브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제어는 전기, 유압 및 기계적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공개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러한 다른 변형예들은 도면들, 설명, 및 첨부한 청구범위를 연구하여, 청구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 및 실시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단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부정관사 "하나(a, an)"는 다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 조치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 언급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조치되는 것의 조합이 장접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의 어떠한 도면부호(reference sign)도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1: 정수기 2:유량 제어 유닛
4: 수도꼭지 6: 유량 제한기
9: 입구 10: 출구
12: 누수 정지부 14, 16: 연결부
18: 탄성 부재 20: 버튼

Claims (9)

  1. 유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수량 제어 유닛(2)을 가진 정수기(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은 유량 제한기(6), 및, 상기 유량 제한기(6)의 입구(9)와 출구(10)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차 이하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유량 제한기(6)와 직렬로 유체 연통하는 누수 정지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물 필터(34), 및 상기 물 필터(34)를 통해 유동된 일정 체적의 물을 더하기 위한 물 합산 유닛(28, 29)을 가지며, 상기 필터(34)는 상기 물 필터(34)를 지나는 소정의 시간 동안 흐르는 최대 량의 물로 상기 유수량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유량 제한기(6, 36)와 유체 연통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여과된 일정량의 물(62)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60)를 가지며, 상기 유수량 제어 유닛(2)은 상기 저장소(60)에서 미리 결정된 물 레벨(66)을 유지하기 위한 레벨 제어기(64)를 가지며, 상기 레벨 제어기(64)는 상기 누수 정지부(12)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기(64)는 그 위치가 상기 물 저장소(60)에서 물의 레벨에 반응하는 이동 부재(68)와, 상기 저장소(60)에 대해 고정된 위치(74) 둘레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레버(72)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72)의 일단부(76)는 상기 이동 부재(68)에 고정되며, 상기 누수 정지부(12)는 상기 레버(7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정지부(12)는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몸체(80) 및 그에 상응하는 밸브 시트(82)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몸체(80) 또는 상기 밸브 시트(82)는 상기 레버(7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80)는 상기 레버(7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기다란 부분(81), 및 상기 밸브 시트(82)와 함께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분(80)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시트(82)는 상기 기다란 부분(81)을 통해 안내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분(80)은 상기 밸브 시트(82)의 밀봉면과 함께 작동하기 위한 테이퍼진 부분(801)을 갖는 정수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정지부(12)는 상기 필터(34)에 의해 미리 결정된 양의 물의 여과 후 물의 차단을 위해 상기 물 합산 유닛(28, 29)과 연통하는(51, 54, 46, 55, 38, 30, 44, 36) 정수기.
  9. 필터, 유량 제한기, 및, 상기 유량 제한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값의 압력차 이하로 필터를 지나는 유수량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유량 제한기와 직렬로 유체 연통하는 누수 정지부를 갖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KR1020107029360A 2008-05-30 2009-05-20 유량 제어 유닛과 필터 조립체를 가진 정수기 KR101687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7314.9 2008-05-30
EP20080157314 EP2128515A1 (en) 2008-05-30 2008-05-30 A water appliance having a flow control unit and a filter assembly
PCT/IB2009/052102 WO2009144630A1 (en) 2008-05-30 2009-05-20 A water appliance having a flow control unit and a filt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18A true KR20110011718A (ko) 2011-02-08
KR101687943B1 KR101687943B1 (ko) 2016-12-20

Family

ID=3983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360A KR101687943B1 (ko) 2008-05-30 2009-05-20 유량 제어 유닛과 필터 조립체를 가진 정수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96293B2 (ko)
EP (2) EP2128515A1 (ko)
JP (1) JP5372145B2 (ko)
KR (1) KR101687943B1 (ko)
CN (2) CN102047025A (ko)
BR (1) BRPI0909559A2 (ko)
MX (1) MX2010012902A (ko)
RU (1) RU2511908C2 (ko)
WO (1) WO2009144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2585B1 (en) 2014-04-25 2018-10-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itigating risk of property damage
US10356303B1 (en) 2014-10-07 2019-07-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s based upon image data from image sensors
US9982602B2 (en) * 2015-04-15 2018-05-2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hut off valves and components thereof for ecology fuel return systems
US10095724B1 (en) * 2017-08-09 2018-10-09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Progressive continuous range query for moving objects with a tree-like index
US11094180B1 (en) 2018-04-09 2021-08-17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ensing peripheral heuristic evidence, reinforcement, and engage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6564A1 (de) * 1997-02-19 1998-08-20 Walter Schopf Leckwasser-Erfassungs- und Stopeinrichtung für den Haushalt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31A (en) * 1903-07-24 1904-05-03 James Mccrea Feed-water regulator.
US2023073A (en) * 1931-10-12 1935-12-03 Walworth Patents Inc Water feeder
US2226533A (en) * 1938-04-30 1940-12-31 Socony Vacuum Oil Co Inc Level control valve
US2559046A (en) * 1947-09-19 1951-07-03 Damrow Brothers Company Valve
US2835270A (en) * 1956-01-27 1958-05-20 William W York Automatic poultry waterer
US2818877A (en) * 1957-03-29 1958-01-07 Fritz O Swanson Watering system for plants and the like
US3079943A (en) * 1960-11-07 1963-03-05 Oleskow Mathew Control valve for water softeners
US3908206A (en) * 1974-08-28 1975-09-30 Chester H Grewing Automatic water level keeper for swimming pools
US4101174A (en) * 1977-03-25 1978-07-18 Continental Oil Company Slurry control system
AT372448B (de) * 1977-10-26 1983-10-10 Lang Apparatebau Gmbh Vorrichtung zum schutz von trinkwasserleitungen gegen rueckfliessendes brauchwasser
US4681677A (en) 1978-02-17 1987-07-21 Olin Corporation Water processor having automatic shutoff and bypass means
DE2817704B2 (de) * 1978-04-22 1981-05-27 Saarbergwerke AG, 6600 Saarbrücken Sicherheitsein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Economizers
JPS5743075A (en) 1980-08-28 1982-03-10 Keihin Seiki Mfg Co Ltd Two-position liquid level control valve
FR2506888A1 (fr) 1981-06-01 1982-12-03 Alsthom Atlantique Vanne d'arret a fermeture rapide
JPS58135434A (ja) * 1982-02-04 1983-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管路の異常検知装置
DE3242750A1 (de) * 1982-11-19 1984-05-24 Helmut 6436 Schenklengsfeld Pfromm Auslaufstop fuer fluessige-, feste- oder gasfoermige stoffe aus dem entsprechenden versorgungsnetz
EP0110577B1 (en) * 1982-11-30 1986-08-27 Vecone Development Corporation Limited Float valve
US4777990A (en) * 1985-03-25 1988-10-18 Grant; Richard L. Automatic shut-off liquid dispensing nozzle
DE3527519A1 (de) * 1985-07-29 1987-02-05 Haase Energietech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foerdern von gasen mit geringem unterdruck durch setzungsgefaehrdete gasleitungssysteme, insbesondere in muelldeponien
US4698164A (en) 1985-07-29 1987-10-06 Kinetico, Inc. Filter apparatus
US4769135A (en) 1987-03-02 1988-09-06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Automatic metering system
US4796650A (en) * 1987-12-01 1989-01-10 Hwang Biing Yih Structure for a float valve assembly
US4762142A (en) * 1987-12-10 1988-08-09 Joseph Tams Metered float controlled valve
DE3810998A1 (de) * 1988-03-31 1989-10-19 Eckardt Ag Verfahren zur erfassung von aenderungen einer vorgegebenen geometrie eines durchstroemten rohrleitungsnetzes
US5014543A (en) * 1988-07-14 1991-05-14 Fe Petro Inc Leak detector
RU2036166C1 (ru) * 1989-09-26 1995-05-27 Биофил Лимитед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US5168891A (en) * 1992-02-06 1992-12-08 Gt Development Corporation Float valve and utilization system
US5527451A (en) 1994-03-08 1996-06-18 Recovery Engineering, Inc. Water treatment device with volume totalization valve
US5655232A (en) * 1995-06-07 1997-08-12 Buckwalter; James K. Fluid level control device and method
US5882507A (en) 1996-04-30 1999-03-16 Recovery Engineering, Inc. Water filter cartridge end-of-life mechanism
RU2096343C1 (ru) * 1996-06-19 1997-11-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ехно-Т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DE19814903C2 (de) * 1998-04-02 2000-08-03 Eckhoff Jun Verfahren zum vorbeugenden Absperren einer Versorgungsleitung für ein Medium in Abhängigkeit von den Konsumgewohnheiten der Benutzer und Druckmessung in den Leitungen
US20010003286A1 (en) * 1999-07-14 2001-06-14 Jay E. Philippbar Flood control device
DE19942122A1 (de) * 1999-09-03 2001-03-15 Bernd Buchstein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und Begrenzung von Leckagen in Fluidleitungssystemen
DE19944830A1 (de) * 1999-09-18 2001-03-29 Falk Huhn Sicherheitseinrichtung zum Absperren von Versorgungsleitungen für flüssige und gasförmige Medien, vorzugsweise für Hauswasserleitungen
DE29923051U1 (de) * 1999-09-18 2000-04-06 Huhn Falk Sicherheitseinrichtung zum Absperren von Versorgungsleitungen für flüssige und gasförmige Medien, vorzugsweise für Hauswasserleitungen
US6178994B1 (en) * 2000-02-24 2001-01-30 Young Do Industrial Co., Ltd. Tap for compressed or liquefied gases having an overcharging prevention function
KR100367232B1 (ko) 2000-04-25 2003-01-10 이태희 정수기용 유량제어 시스템
JP2002102615A (ja) 2000-09-27 2002-04-09 Buhei Kono 濾過処理システム
US6564824B2 (en) * 2001-04-13 2003-05-20 Flowmatrix, Inc. Mass flow meter systems and methods
US6966334B2 (en) * 2003-06-24 2005-11-22 Michael Bolster Float valve for a christmas tree watering system
KR100537649B1 (ko) 2003-08-12 2005-12-20 주식회사 엔텍 필터를 포함한 정수기 및 필터수명 측정 방법
US7740024B2 (en) * 2004-02-12 2010-06-22 Entegris, Inc. System and method for flow monitoring and control
US6973375B2 (en) * 2004-02-12 2005-12-06 Mykroli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low monitoring and control
KR100762087B1 (ko) * 2004-03-31 2007-10-0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구동방법
DE102004016378A1 (de) * 2004-04-02 2005-11-03 Stefan Windisc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ktiven Überwachung von Rohrleitungen
KR100466317B1 (ko) 2004-04-12 2005-01-13 장도영 액체계량장치
WO2006014891A1 (en) * 2004-07-26 2006-0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leaks in water delivery systems for use with appliances
CA2477638A1 (en) * 2004-08-16 2006-02-16 Marc-Andre Malenfant An outflow regulator for a gravity-fed liquid outlet
CN200999971Y (zh) * 2006-08-07 2008-01-02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管道泄漏的诊断系统及数据采集装置
US20080302987A1 (en) * 2007-06-11 2008-12-11 Corriveau Sylvain C Irrigation shutoff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6564A1 (de) * 1997-02-19 1998-08-20 Walter Schopf Leckwasser-Erfassungs- und Stopeinrichtung für den Hausha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7025A (zh) 2011-05-04
EP2286140A1 (en) 2011-02-23
WO2009144630A1 (en) 2009-12-03
JP5372145B2 (ja) 2013-12-18
MX2010012902A (es) 2010-12-21
US20110061748A1 (en) 2011-03-17
RU2010154422A (ru) 2012-07-10
JP2011522179A (ja) 2011-07-28
BRPI0909559A2 (pt) 2015-09-22
KR101687943B1 (ko) 2016-12-20
CN105605428A (zh) 2016-05-25
US8596293B2 (en) 2013-12-03
RU2511908C2 (ru) 2014-04-10
EP2128515A1 (en) 2009-12-02
CN105605428B (zh)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718A (ko) 유량 제어 유닛과 필터 조립체를 가진 정수기
JPS61130677A (ja) 流量制限弁と方法
EP2325407B1 (en) Bypass valve
JP2006506608A (ja) 低流量の流量計通過を防止するためのバルブ
AU2007335184B2 (en) A multiple valve assembly for reducing water loss from a leak
GB2450086A (en) Central heating systems
JP5306280B2 (ja) 流量制御弁
JP2006328946A (ja) 通水装置
JP6502326B2 (ja) 回路内の液体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1021328A (ja) 湯水混合装置
KR200252676Y1 (ko) 유로 개폐 밸브장치
KR20130076826A (ko) 블라인드 플랜지 밸브의 밸브 배열
WO2008047288A3 (en) A valve
JP3844066B2 (ja) 通水装置
WO2003010464A1 (en) A shut-off valve assembly
GB2559749B (en) Fluid supply overflow control apparatus
AU2004200757B2 (en) A Shut-Off Valve Assembly
WO2011139146A1 (en) Valve member
FI125291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utkistovuodon tunnistamiseksi ja vuodon rajoittamiseksi
KR20030012690A (ko) 유로 개폐 밸브장치
JPH10110843A (ja) 緊急遮断弁
GB201015823D0 (en) A valve
KR20100101038A (ko)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JPH10110842A (ja) 緊急遮断弁
JP2010106646A (ja) ウオーターハンマー防止機能付止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