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687A -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687A
KR20110011687A KR1020107028040A KR20107028040A KR20110011687A KR 20110011687 A KR20110011687 A KR 20110011687A KR 1020107028040 A KR1020107028040 A KR 1020107028040A KR 20107028040 A KR20107028040 A KR 20107028040A KR 20110011687 A KR20110011687 A KR 2011001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older
holding
connecting portion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550B1 (ko
Inventor
요시노리 다나카
마스미 후쿠자와
마사호 하야시
준 우라가미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1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길이가 긴 형상의 청소체 홀더에 청소대상의 청소를 행하기 위한 청소체가 장착되는 청소용구에 있어서, 청소작업의 원활화에 도움이 되는 청소체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체 홀더(120)는, 청소체 측의 피삽입영역에 삽입되는 유지판(132)을 구비하고, 이 유지판(132)은, 당해 유지판(13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피삽입영역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 측으로부터 연결부 측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136)를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Description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CLEANING DEVICE AND CLEANING-BODY HOLDER}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청소대상의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용구의 구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9-154791호 공보는, 청소포(布)와, 이 청소포에 설치된 수용영역으로 끼워 설치되어 이 청소포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자루를 구비하는 구성의 청소용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 청소용구는, 청소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할 가능성을 가지나, 홀더 측의 유지체가 청소체의 피삽입영역에 삽입됨으로써 청소체를 유지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청소용구의 설계 시에는, 청소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유효한 홀더구조를 구축하는 요청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청소체 홀더에 청소대상의 청소를 행하기 위한 청소체가 장착되는 청소용구에 있어서, 청소작업의 원활화에 도움이 되는 청소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이 구성된다. 이들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은,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서의 피청소영역(바닥면, 벽면, 창, 천정면, 외벽면, 기둥, 가구면, 의류, 커튼, 블라인드, 침구, 조명, 전기코드류,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부위에서의 피청소영역 등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영역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는, 청소 대상의 청소에 사용되는 것으로, 청소체 홀더 및 청소체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청소체 홀더는, 길이가 긴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 청소체 홀더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유지체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파지부 및 유지체는 일체 구조이어도 되고, 또는 별체 구조이어도 된다. 유지체는, 청소체에 설치된 피삽입영역에 삽입됨으로써 당해 청소체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이 유지체는, 필요에 따라 1 또는 복수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이 유지체는, 당해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피삽입영역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 측으로부터 연결부 측을 향하여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즉 유지체는, 당해 유지체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선단부 측으로부터 연결부 측을 향함에 따라, 당해 유지체의 높이(두께)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변화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관해서는, 경사부가 유지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경사부에서의 높이의 증감에 관해서는, 직선형상으로 증감되는 형태, 곡선형상으로 증감되는 형태, 또는 단차형상으로 증감되는 형태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는, 전형적으로는 통상의 청소작업상태에서의 유지체의 상하방향에 관한 높이로서 규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체의 연결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가요성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한쪽에서는 유지체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유지체의 선단부 측으로부터 연결부 측을 향함에 따라 강성 내지 강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다른쪽에서는 유지체 중 연결부 측 부위의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써 청소작업의 원활화가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에 있어서, 청소체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1회용 타입의 것이나, 청소대상으로부터 제거한 쓰레기, 먼지, 티끌 등을 유지하면서 복수 회의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사용 후 버리는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다음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형태의 청소용구에서는, 상기한 경사부는, 연결부에 연접(連接)되는 구성으로,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연결부에 연접되는 부분에서 최대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체의 각 부위 중 특히 연결부 및 이 연결부에 연접되는 부분의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용구에서는, 상기한 파지부와 유지체가 별체(別體) 구조가 됨과 함께, 연결부에서, 유지체 측의 제 1 연결부와 파지부 측의 제 2연결부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연결부는,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에 관하여, 유지체를 따라 연장되는 바닥판부와, 바닥판부의 양쪽 끝부에서 각각 위쪽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입설부(立設部)와, 바닥판부보다 위쪽에서 입설부 사이로 연장되는 상판부와, 바닥판부 및 입설부 및 상판부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영역과, 상판부에 개구 형성되어 구획영역을 상판부보다 위쪽인 상부 영역으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연결부는, 구획영역에 삽입됨으로써 걸어맞춰지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상측에 연접하여 설치되어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폭이 좁은 연접부를 구비하고, 삽입부가 구획영역에 삽입된 걸어맞춤상태에서 연접부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의 연결 시에, 표리(表裏)가 반대가 되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 1 연결부에 대하여 제 2 연결부를 상하 반전시켜, 제 1 연결부의 구획영역에, 제 2 연결부의 삽입부를 삽입하려고 하여도, 삽입부에 연접되는 연접부가 방해가 되어 구획영역에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가 잘못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용구에서는, 상기한 바닥판부와 삽입부가 대향하는 대향면 중, 한쪽 면에 걸어맞춤 돌기가 설치되고, 다른쪽 면에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 걸어맞춤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걸어맞춤 돌기 및 걸어맞춤 구멍의 걸어맞춤에 의해 파지부와 유지체가 서로 걸어멈춰지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 돌기 및 걸어맞춤 구멍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상의 겉보기가 향상하는 데다가, 오물이나 먼지 등이 걸어맞춤 돌기나 걸어맞춤 구멍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에서의 안정된 접속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용구에서는, 상기한 유지체는, 연결부로부터 병행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복수 연장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병행」에 관해서는, 복수의 유지체가 병치(竝置)되는 형태이면 되고, 복수의 유지체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형태나, 인접하는 2개의 유지체의 간격이 선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축소되는 형태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청소체 홀더의 각 유지체에서, 유지체의 가요성의 확보와, 유지체 기초 끝 측 부위의 강화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 홀더는, 청소대상의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체가 장착되는 길이가 긴 형상의 청소체 홀더로서, 상기한 각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체 홀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 홀더에 의하면, 청소체 홀더의 1 또는 복수의 유지체에서, 당해 유지체의 가요성의 확보와, 당해 유지체 중의 연결부 측 부위의 강화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 홀더에 의하면, 유지체의 각 부위 중 특히 연결부 및 이 연결부에 연접되는 부분의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 홀더에 의하면,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가 잘못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 홀더에 의하면, 걸어맞춤 돌기 및 걸어맞춤 구멍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상의 겉보기가 향상하는 데다가, 오물이나 먼지 등이 걸어맞춤 돌기나 걸어맞춤 구멍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에서의 안정된 접속조작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긴 형상의 청소체 홀더에 청소대상의 청소를 행하기 위한 청소체가 장착되는 청소용구에 있어서, 청소작업의 원활화에 도움이 되는 청소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100)를 구성하는 청소체(110) 및 청소체 홀더(120)를 서로 맞붙이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의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30) 및 그 근방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각 유지판(132)의 A-A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3에서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B-B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30) 및 그 근방의 평면도로서,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도 6에서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측의 걸어맞춤 돌기(138)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 측의 걸어맞춤 구멍(143)과의 사이의 걸어멈춤 구조를 걸어멈춤 전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측의 걸어맞춤 돌기(138)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 측의 걸어맞춤 구멍(143)과의 사이의 걸어멈춤 구조를 걸어멈춤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각 구성요소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청소용구」의 일 실시형태인 청소용구(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청소용구(100)를 사용하여 닦기 청소되는 청소대상으로서는,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서의 피청소영역(바닥면, 벽면, 창, 천정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조명,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 부위에서의 피청소영역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영역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100)를 구성하는 청소체(110) 및 청소체 홀더(120)를 서로 맞붙이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청소용구(100)는, 청소체(110)와 청소체 홀더(120)로 크게 구별된다.
청소체(110)는, 청소대상인 피청소영역의 더러움을 닦아내는 닦아냄 기능, 쓸어내는 쓸어냄 기능, 또는 긁어내는 더러움 긁어냄 기능을 가지는 청소체가 된다. 이 청소체(110)는, 판매 시 또는 미사용 시에는 시트형상 내지 평판형상이 되는 한편, 사용 시에는 풀어져 부푼상태가 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나, 이 청소체(1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이 된 시트체로서, 소정의 길이방향(길이가 긴 변의 연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임과 함께, 서로 적층된 청소체 본체(111) 및 유지 시트(112)가, 평행으로(병행하여) 연장되는 용착 접합부(113) 및 용착 접합부(114, 114)에서 용착 접합된 구성이 된다. 이들 용착 접합부(113) 및 용착 접합부(114, 114)는, 각각 연속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이들 용착 접합부(113) 및 용착 접합부(114, 114)의 연장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게 된다.
용착 접합부(113) 및 용착 접합부(114, 114)에 의해 구획되는 좌우 1쌍의 공간은, 청소체 홀더(120)의 유지체분[뒤에서 설명하는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 132)]이 삽입되는 피삽입영역(115, 115)으로서 구성된다. 각 피삽입영역(115)은, 홀더 본체(130)의 각 유지판(132)이 삽입 가능한 크기 (삽입 폭 및 삽입 깊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각 피삽입영역(115)에서, 양쪽 끝부분의 삽입 폭이 중앙부분의 삽입 폭을 상회하도록 용착 접합부(114, 114)의 접합 폭이 조절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청소체(11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에 상당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 청소체(110)를, 평면에서 보아 정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의 청소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피삽입영역(115, 115)이, 본 발명에서의 「피삽입영역」에 상당한다. 이 피삽입영역(115, 115)은, 단일의 피삽입부분이 길이가 긴 형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복수의 피삽입부분이 단속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청소체 홀더(120)는, 상기 구성의 청소체(110)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되어 있고, 서로 연접하는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로 이루어지는 길이가 긴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 청소체 홀더(12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 홀더」 에 상당한다. 핸들부(140)는,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141)와, 이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의 사이에 개재하는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를 구비한다. 핸들 본체(141)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가 된다.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는,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를 고정형상으로 연결하는 부위 중 핸들 본체(141) 측의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핸들부(140) 내지 핸들 본체(141)가, 본 발명에서의 「파지부」를 구성한다.
홀더 본체(130)는, 청소체(110)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이다. 이 홀더 본체(130)에는, 핸들 본체(141)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좌우 1쌍의 유지판(132, 132) 및 누름판(134)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1쌍의 유지판(132, 132)은,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일 평면 상에서 평행으로(병행하여) 연장되는 길이가 긴 형상의 판형상 부재로서 구성된다. 즉, 홀더 본체(130)는, 그 선단측이 두 갈래형상으로 나뉘어진 포크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유지판(132)의 가로 폭은, 길이방향에 관하여 일정 또는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은 형상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말하는 유지판(132, 132)이, 본 발명에서의 「유지체」에 상당하고, 또 여기서 말하는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가, 본 발명에서의 「연결부」를 구성한다. 2개의 유지판(132, 132)의 단면형상에 관해서는, 단면을 원형 내지 다각형의 막대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각 유지판(132)에는, 그 바깥쪽 가장자리부의 전후 2부분에 돌출부(133, 1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133)는, 그 외형이 유지판(132)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한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돌출면이 볼록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133)는, 탄성력을 높이도록 그 중앙부분이 개구형상이 된 중공부(133a)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누름판(134)은, 좌우 1쌍의 유지판(132, 132)의 사이에서 앞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하측을 향하여 볼록형상이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는 판형상 부재로서 구성되고, 또한 그 하면에 걸어멈춤 돌출부(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각 유지판(132)은, 청소체(110)에 형성된 대응하는 피삽입영역(115)에 대한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삽입상태에서 청소체(110)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삽입상태에서는, 각 유지판(132)이 청소체(110) 측의 피삽입영역(115)에 밀착형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끼워 넣어지고, 청소체(110)에 대하여 고정작용을 부여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피삽입영역(115)에서는 양쪽 끝부분의 삽입 폭이 중앙부분의 삽입 폭을 상회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삽입상태에서는, 각 유지판(132)의 전후의 돌출부(133, 133)가 각 피삽입영역(115)의 폭이 좁은 부분을 사이에 두고 그 양쪽의 폭이 넓은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각 유지판(132)에 빠짐방지 작용이 부여된다. 또한, 이 삽입상태에서는, 누름판(134)이 청소체(110)를 위쪽에서부터 가압함과 함께, 그 하면에 설치된 걸어멈춤 돌출부(도시 생략)가 청소체(110)의 빠짐방지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각 유지판(132)을 청소체(110) 측의 피삽입영역(115)에 삽입한 삽입상태에서는, 청소체(110)가 홀더 본체(130)에 의하여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 각 유지판(132)의 다른 구성에 관하여, 도 2∼도 8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30) 및 그 근방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4에는, 도 3에서의 각 유지판(132)의 A-A 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고, 도 5에는, 도 3에서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B-B 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또, 도 6에는, 본 실시형태의 홀더 본체(130) 및 그 근방의 평면도로서,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7은, 도 6에서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측의 걸어맞춤 돌기(138)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 측의 걸어맞춤 구멍(143)과의 사이의 걸어멈춤 구조를 걸어멈춤 전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가 되고, 도 8은, 도 6에서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측의 걸어맞춤 돌기(138)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 측의 걸어맞춤 구멍(143)과의 사이의 걸어멈춤 구조를 걸어멈춤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가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판(132)은, 그 유지판 상면(135)에 경사부(136)를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이 경사부(136)는, 당해 유지판(13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도 2에서 나타내는 높이(H)]가, 피삽입영역(115)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 측(도 2 및 도 3에서의 왼쪽)으로부터 연결부측(도 2 및 도 3에서 오른쪽)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분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유지판(13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는, 전형적으로는 통상의 청소작업상태에서의 유지판(132)의 상하방향에 관한 높이로서 규정된다. 특히 이 경사부(136)의 연결부 측은,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에 연접되어 있고, 이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에 연접되는 부분에서 경사부(136)의 높이(H)가 최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경사부(136)의 좌우방향에 관한 폭[도 3에서 나타내는 폭(D1)]은, 선단부 측(도 2 및 도 3에서 왼측)으로부터 연결부 측(도 2 및 도 3에서 오른쪽)을 향하여 서서히 확장되어 있고,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에 연접되는 부분에서 폭(D1)이 최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사부(136)는, 유지판(132)의 선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높이(H)가 서서히 감소되어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고, 또한 선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폭(D1)이 서서히 감소되어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경사부(136)가, 본 발명에서의 「경사부」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판(132)의 선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 가요성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한쪽에서는 유지판(132)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유지체 기초 끝 측을 향함에 따라 강성 내지 강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다른쪽에서는 유지판(132)의 각 부위 중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이 홀더본체 측 연결부(131)에 연접되는 부분의 강화를 도모함과 함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접속될 때의 접속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하여 청소작업의 원활화가 도모된다. 또한, 유지판(132)에 설치되는 경사부(136)의 높이(H)나 폭(D1)은, 직선형상으로 증감되는 형태 뿐만 아니라, 곡선형상 또는 단차형상으로 증감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 경사부(136)는, 유지판(132)의 연장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되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경사부(136)가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에 연접되지 않는 구성, 예를 들면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보다 바로 앞에 경사부(136)의 종단부분이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지판(132)의 유지판 하면(137)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경사부(136)에 대응한 부위가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께가 감소된 두께가 얇은부(137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유지판(132)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두께가 얇은부(137a)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생략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 홀더(120)의 구조에 관하여, 홀더 본체(130)및 핸들부(140)의 각각이 별체 구조가 되어, 서로 맞붙임 자유롭게 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청소체 홀더(120)의 구조에 관해서는,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각각을 별체 구조로 하는 본 구성 이외에,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도 있다.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별체 구조에 관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가 연결되는 연결부분에서, 홀더 본체(130) 측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와 핸들 본체(141) 측의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가, 본 발명에서의「제 1 연결부」에 상당하고, 또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본 발명에서의「제 2 연결부」에 상당한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나,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의 상면에 설치된 볼록형상의 걸어맞춤 돌기(138)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바닥면에 설치된 오목형상의 걸어맞춤 구멍(143)이 걸어맞춰짐으로써,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서로 걸어멈춰진 걸어멈춤상태(록상태라고도 한다)가 형성된다. 또,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바닥면의 각 부위 중, 걸어맞춤 구멍(143)보다 선단부 측(도 6에서 왼쪽)에는, 걸어맞춤 돌기(138)를 걸어맞춤 구멍(143)으로 가이드(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144)이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는, 유지판(13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에 관하여, 바닥판부(131a)와, 입설부(131b)와, 상판부(131c)와, 구획 영역(131d)과, 개구부(131e)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바닥판부(131a)는, 유지판(132)을 따라 연장되는 바닥판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입설부(131b, 131b)는, 바닥판부(131a)의 양쪽 끝부에서 각각 위쪽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입설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상판부(131c)는, 바닥판부(131a)보다 위쪽에서 입설부(131b, 131b) 사이로 연장되는 상판부분으로서 구성된다. 구획영역(131d)은, 바닥판부(131a) 및 입설부(131b, 131b) 및 상판부(131c)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영역으로서 규정되고, 이것에 의하여 삽입체[삽입부(142a)]를 적어도 3방향으로부터 감싸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구조(「박스구조」 내지 「포켓구조」라고도 한다)가 형성된다. 개구부(131e)는, 상판부(131c)에 개구 형성되어 구획영역(131d)을 상판부(131c)보다 위쪽인 상부 영역(150), 즉 구획영역(131d) 밖의 영역으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바닥판부(131a), 입설부(131b), 상판부(131c), 구획영역(131d), 개구부(131e) 및 상부 영역(150)이 각각, 본 발명에서의 「바닥판부」, 「입설부 」, 「상판부」, 「구획영역」, 「개구부」 및 「상부 영역」에 상당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는, 삽입부(142a) 및 연접부(142b)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삽입부(142a)는,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하측에서 연접부(142b)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볼록형상의 플랜지부분이 되고,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의 구획영역(131d)에 삽입됨으로써 걸어맞춰지는 삽입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연접부(142b)는, 삽입부(142a)의 상측에 연접하여 설치되어 개구부(131e)의 개구 폭(D3)보다 폭이 좁은 부위[폭(D2)의 부위]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삽입부(142a)가 구획영역(131d)에 삽입된 걸어맞춤상태에서 연접부(142b)가 개구부(131e)를 통하여 상부 영역(50)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말하는 삽입부(142a) 및 연접부(142b)가 각각, 본 발명에서의 「삽입부」및「연접부」에 상당한다. 또한, 이들 삽입부(142a) 및 연접부(142b)는 일체 구조이어도 되고, 또는 분리 가능한 별체 구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연결 시에, 표리가 반대가 되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에 대하여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를 상하 반전시켜,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의 구획영역(131d)에,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삽입부(142a)를 삽입하려고 하여도, 삽입부(142)에 연접되는 연접부(142b)가 방해가 되어 구획영역(131d)에 삽입부(142a)를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잘못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부(131a)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연접부(142b)의 폭을 하회하는 개구 폭의 개구이면,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잘못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마찬가지로 얻어지기 때문에, 당해 개구를 바닥판부(131a)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에 설치된 볼록형상의 걸어맞춤 돌기(138)와,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에 설치된 오목형상의 걸어맞춤 구멍(143)과의 걸어맞춤에 관해서는,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삽입부(142a)가 구획영역(131d)에 삽입되는 동작에 따라, 삽입부(142a) 및 바닥판부(131a)는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도 7에서의 화살표 방향의 슬라이딩이 허용되게 된다. 이 때, 삽입부(142a)를 바닥판부(131a)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구획영역(131d)에 삽입부(142a)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이로써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연결의 안정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돌기(138)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 경사부(138a)의 경사에 대략 합치하는 형태의 가이드 구멍 경사부(144a)가, 가이드 구멍(144)의 종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슬라이딩 과정에서, 걸어맞춤 돌기(138)는 가이드 구멍(144)의 종단으로 가이드(유도)된 후, 가이드 구멍 경사부(144a)가 걸어맞춤 돌기 경사부(138a)에 올라 앉아, 최종적으로 걸어맞춤 돌기(138)가 걸어맞춤 구멍(143)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가 서로 걸어멈춰진 걸어멈춤상태(록상태라고도 한다)가 형성되고,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접속이 완료된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138)가 걸어맞춤 구멍(143)에 끼워 넣어진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돌기 입설부(138b) 및 걸어맞춤 구멍 입설부(143a)는, 걸어멈춤 해제방향에 관하여 면 접촉에 의한 맞닿음 관계에 있기 때문에,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연결상태가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접속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부위, 구체적으로는 바닥판부(131a)와 삽입부(142a)의 대향면 중, 한쪽 면인 바닥판부(131a)의 상면에 걸어맞춤 돌기(138)를 설치하고, 다른쪽 면인 삽입부(142a)의 하면(저면)에 걸어맞춤 구멍(143)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138) 및 걸어맞춤 구멍(143)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상의 겉보기가 향상하는 데다가, 오물이나 먼지 등이 걸어맞춤 돌기(138)나 걸어맞춤 구멍(14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안정된 접속 조작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걸어맞춤 돌기(138)가 본 발명에서의 「걸어맞춤 돌기」에 상당하고, 또 여기서 말하는 걸어맞춤 구멍(143)이 본 발명에서의 「걸어맞춤 구멍」에 상당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판부(131a)의 상면에 걸어맞춤 구멍(143)을 설치하고, 삽입부(142a)의 하면에 걸어맞춤 돌기(138)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 및 홀더 본체 측 연결부의 소재에 관해서는,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와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를 다른 종류의 수지에 의해구성하거나, 또는 다른 경도를 가지는 수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와 PP(폴리프로필렌)수지의 조합, 폴리아세탈수지와 PE(폴리에틸렌)수지의 조합, 폴리카보네이트수지지와 PP(폴리프로필렌)수지의 조합, 아크릴수지와 PE(폴리에틸렌)수지의 조합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슬라이딩 과정에서, 맞닿는 부재끼리의 마모의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가이드 구멍 경사부(144a)가 걸어맞춤 돌기 경사부(138a)에 올라 앉을 때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체(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도 9가 참조된다. 도 9에는, 청소체(110)의 적층부를 각 구성요소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는, 도 9에서 위쪽의 청소대상 측(「하면 측」또는「이면 측」이라고도 한다)부터 순서대로 청소체 본체(111), 유지 시트(112)가 적층된 구성이고, 또한 청소체 본체(111)는, 청소대상 측(하면 측)부터 순서대로 청소대상 측 시트(111c), 섬유집합체(111b), 기재 시트(111a)가 적층된 구성이 된다. 이 경우, 유지 시트(112) 및 기재 시트(111a)는, 섬유집합체(111b)를 사이에 두고 청소대상 측 시트(111c)(하면 측 시트)와 반대 측 에 적층된 상면 측 시트가 된다.
청소체 본체(111)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청소대상 측 시트(111c)는, 어느 것이나 평면으로 보아 동일한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이 되고,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섬유집합체(111b) 및 청소대상 측 시트(111c)는, 더러움 긁어냄 기능을 가지는 솔형상 부위를 구성하고 있고, 이른바 「솔부」라고도 호칭된다. 이 청소체(110)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1회용 타입의 것이나, 청소대상의 피청소영역에서 제거한 먼지나 티끌을 솔부에서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사용후 버리는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다음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110)의 청소체 본체(111)를, 기재 시트(111a), 섬유집합체(111b) 및 청소대상 측 시트(111c)가 적층형상으로 겹쳐진 구조로 하였으나, 이 청소체 본체(111)를 다른 섬유층이나 시트가 부가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유지 시트(112), 기재 시트(111a) 및 청소대상 시트(111c)는, 어느 것이나,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형상의 직사각 편(직사각 부분)을 복수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시트(112)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직사각 편(112a)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또, 기재 시트(111a)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직사각 편(111d)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되고, 청소대상 측 시트(111c)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직사각 편(111e)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각 시트의 직사각 편을 지그재그형상으로 함으로써, 쓰레기가 걸려 포착되기 쉬운 청소기능이 높은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직사각 편의 형상에 관해서는, 지그재그형상, 직선형상, 곡선형상 등 중의 단일종류 또는 복수종류의 형상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기재 시트(111a), 청소대상 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구성, 및 섬유집합체(111b)를 형성하는 섬유집합체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직포의 구성)
기재 시트(111a), 청소대상 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에 관해서는, 어느 것이나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들 기재 시트(111a), 청소대상 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는, 부직포 시트라고도 호칭된다. 이 부직포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해 섬유를 고착하거나 서로 얽히게 하여 만들어지는 시트형상의 구성물로서, 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 가능한 부직포가 되고, 복수의 직사각 편을 가지는 형상의 부직포로서 구성된다. 열가소성 섬유(열용융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스판레이스법, 포인트본드법, 멜트블로우법, 스티치본드법, 케미컬본드법, 니들펀치법 등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시의 쓸어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대신 또는 아울러, 우레탄, 스펀지, 직포, 네트, 와리프 등의 소재를 직사각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집합체의 구성)
한편, 섬유집합체(111b)는,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섬유가 길이방향 및/또는 지름방향으로 모인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 부재 등], 내지 당해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되고, 열가소성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라고도 한다)이 가능한 섬유집합체로서 구성된다. 이 섬유집합체(111b)를 형성하는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단위이고, 굵기에 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으로서 규정되고,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상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이 섬유집합체(111b)의 섬유는, 기초 끝 측이 용착 접합부(113) 및 용착 접합부(114, 114)로 접합됨과 함께, 당해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당해 고정단과 대향하는 측(선단 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청소체(110)[또는 섬유집합체(111b)]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이 섬유 집합체(111b)는, 복수의 섬유가 다발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속」이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도 9 중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섬유층이 적층형상으로 겹쳐짐으로써 섬유집합체(111b)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 섬유층의 수는 필요에 따라 1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이 섬유집합체(111b)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 구조를 가짐과 함께,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상으로서, 또는 두께가 얇은 시트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섬유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은 토우(tow)를 개섬(開纖)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이 섬유집합체로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는, 코어부분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이 코어부분의 외면을 덮는 시스(sheath)부분이 폴리에틸렌(PE)의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섬유집합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섬유집합체는 대략 동일한 섬도의 섬유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각 섬유집합체가 다른 섬도의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청소 시의 쓸어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섬유, 즉 섬도가 높은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집합체는, 권축(捲縮)섬유를 가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권축섬유는, 소정의 권축 처리가 부여된 섬유로서 구성되고, 섬유끼리가 얽히기 쉬운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권축섬유를 사용하면, 섬유집합체가 청소체 홀더 장착 전의 상태보다 부피가 커지고, 또한 권축부분에 쓰레기를 받아들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본 구조는, 특히 토우섬유로 형성된 권축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섬유집합체로서, 필름을 테이프형상으로 슬릿하고, 세로방향으로 연신시킨 플랫얀이나, 스프릿얀이라 호칭되는 열가소성 필름수지를 수지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어 헤쳐, 섬유형상이 된 필름이 그물코형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는, 섬유집합체로서,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부피가 크고 섬유밀도가 낮은 부직포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 청소체(110)의 구성요소의 종류나 수 등에 관해서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의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136)는, 유지판(132)의 선단부 측으로부터 연결부 측을 향함에 따라 높이 및 폭이 서서히 증가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경사부(136)에 상당하는 부위의 높이가 선단부 측으로부터 연결부 측을 향함에 따라 적어도 증가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본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 및 핸들 본체 측 연결부(142)의 연결구조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부(142a)가 홀더 본체 측 연결부(131)의 구획영역(131d)에 삽입됨으로써 3방향으로부터 유지되고, 또 바닥판부(131a)와 삽입부(142a)의 대향면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138) 및 걸어맞춤 구멍(143)의 걸어맞춤에 의해 연결상태가 록되는 연결구조 뿐만 아니라, 당해 연결구조 이외의 구조를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판(132)이 경사부(136)를 가지는 구성인 경우 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경사부(136)에 상당하는 부위가 유지판(132)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경사부(136) 자체가 유지판(132) 전체를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각각이 별체 구조인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홀더 본체(130)에 상당하는 유지부와 핸들부(140)에 상당하는 파지부가 일체 구조가 된 청소체 홀더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110)를 시트형상의 부직포와 섬유집합체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시트형상의 부직포와 섬유집합체의 어느 한쪽에 의하여 청소체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유지판(132)을 가지는 청소체 홀더(120)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유지판(132)에 상당하는 부재의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면 1 또는 3 이상의 유지체를 구비하는 청소체 홀더의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100 : 청소용구 110 : 청소체
111 : 청소체 본체 111a : 기재 시트
111b : 섬유집합체 111c : 청소대상 측 시트
111d, 111e : 직사각 편 112 : 유지 시트
112a : 직사각 편 13, 114 : 용착 접합부
115 : 피삽입영역 120 : 청소체 홀더
130 : 홀더 본체 131 : 홀더 본체 측 연결부
131a : 바닥판부 131b : 입설부
131c : 상판부 131d : 구획영역
131e : 개구부 132 : 유지판
133 : 돌출부 133a : 중공부
134 : 누름판 135 : 유지판 상면
136 : 경사부 137 : 유지판 하면
137a : 두께가 얇은부 138 : 걸어맞춤 돌기
138a : 걸어맞춤 돌기 경사부 138b : 걸어맞춤 돌기 입설부
140 : 핸들부 141 : 핸들 본체
142 : 핸들 본체 측 연결부 142a : 삽입부
142b : 연접부 143 : 걸어맞춤 구멍
143a : 걸어맞춤 구멍 입설부 144 : 가이드 구멍
144a : 가이드 구멍 경사부 150 : 상부 영역

Claims (18)

  1. 청소대상의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용구로서,
    길이가 긴 형상의 청소체 홀더와,
    상기 청소체 홀더에 장착되는 청소체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체 홀더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유지체를 가지고, 상기 청소체에 설치된 피삽입영역에 상기 유지체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청소체를 유지하는 구성이며,
    상기 유지체는, 당해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상기 피삽입영역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 측을 향하여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접되는 구성이고, 상기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상기 연결부에 연접되는 부분에서 최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는, 연장방향에 관하여, 상기 연결부에 근접하는 쪽에 형성된 보강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간되는 쪽에 형성된 가요(可撓)부를 아울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유지체의 연장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그 높이의 증감에 관하여, 직선형상으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그 높이의 증감에 관하여, 곡선형상으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유지체가 별체 구조로 됨과 함께,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유지체 측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파지부 측의 제 2 연결부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에 관하여, 상기 유지체를 따라 연장되는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양쪽 끝부로부터 각각 위쪽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입설부와, 상기 바닥판부보다 위쪽에서 상기 입설부 사이로 연장되는 상판부와, 상기 바닥판부 및 입설부 및 상판부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영역과, 상기 상판부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구획영역을 상기 상판부보다 위쪽인 상부 영역으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구획영역에 삽입됨으로써 걸어맞춰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연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폭이 좁은 연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구획영역에 삽입된 걸어맞춤상태에서 상기 연접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삽입부가 대향하는 대향면 중, 한쪽 면에 걸어맞춤 돌기가 설치되고, 다른쪽 면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 걸어맞춤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 및 걸어맞춤 구멍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유지체가 서로 걸어멈춰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병행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복수 연장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0. 청소대상의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체가 장착되는 길이가 긴 형상의 청소체 홀더로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유지체를 가지고, 상기 청소체에 설치된 피삽입영역에 상기유지체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청소체를 유지하는 구성이며,
    상기 유지체는, 당해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상기 피삽입영역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 측을 향하여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홀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접되는 구성이고, 상기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높이가 상기 연결부에 연접되는 부분에서 최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홀더.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기재된 청소체 홀더로서, 상기 유지체는, 연장방향에 관하여, 상기 연결부에 근접하는 쪽에 형성된 보강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간되는 쪽에 형성된 가요(可撓)부를 아울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체 홀더로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유지체의 연장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체 홀더로서, 상기 경사부는, 그 높이의 증감에 관하여, 직선형상으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5.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체 홀더로서, 상기 경사부는, 그 높이의 증감에 관하여, 곡선형상으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유지체가 별체 구조로 됨과 함께,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유지체 측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파지부 측의 제 2 연결부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유지체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에 관하여, 상기 유지체를 따라 연장되는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양쪽 끝부로부터 각각 위쪽으로 세워서 설치하는 입설부와, 상기 바닥판부보다 위쪽에서 상기 입설부 사이로 연장되는 상판부와, 상기 바닥판부 및 입설부 및 상판부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영역과, 상기 상판부에 개구 형성되어 상기 구획영역을 상기 상판부보다 위쪽인 상부 영역으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구획영역에 삽입됨으로써 걸어맞춰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연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구 폭보다 폭이 좁은 연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구획영역에 삽입된 걸어맞춤상태에서 상기 연접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홀더.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삽입부가 대향하는 대향면 중, 한쪽 면에 걸어맞춤 돌기가 설치되고, 다른쪽 면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 걸어맞춤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 및 걸어맞춤 구멍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유지체가 서로 걸어멈춰지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홀더.
  18. 제 10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병행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복수 연장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홀더.
KR1020107028040A 2008-05-15 2009-05-14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KR101468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8877 2008-05-15
JP2008128877A JP5235493B2 (ja) 2008-05-15 2008-05-15 清掃用具、清掃体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87A true KR20110011687A (ko) 2011-02-08
KR101468550B1 KR101468550B1 (ko) 2014-12-03

Family

ID=4131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040A KR101468550B1 (ko) 2008-05-15 2009-05-14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38690B2 (ko)
EP (1) EP2305090B1 (ko)
JP (1) JP5235493B2 (ko)
KR (1) KR101468550B1 (ko)
CN (1) CN102098950B (ko)
AU (1) AU2009247447B2 (ko)
TW (1) TWI457107B (ko)
WO (1) WO2009139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194B2 (ja) * 2009-05-21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JP5964569B2 (ja) * 2011-10-04 2016-08-03 株式会社テラモト 清掃具用のホルダ、および清掃具
JP6133612B2 (ja) * 2013-02-07 2017-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5484622B1 (ja) * 2013-02-0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470036B2 (ja) * 2014-12-25 2019-02-13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7008553B2 (ja) * 2018-03-20 2022-01-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2020044133A (ja) * 2018-09-19 2020-03-26 株式会社ダスキン モップ
JP7219448B2 (ja) * 2018-12-07 2023-02-08 東和産業株式会社 柄付き清掃具
JP7433650B2 (ja) 2020-08-31 2024-02-20 アズマ工業株式会社 清掃具
US11564549B1 (en) * 2021-09-17 2023-01-31 Carl Freudenberg Kg Multidirectional dust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8677B1 (en) * 1995-08-01 2005-09-28 Kao Corporation Cleaning cloth and cleaning apparatus
JP2977477B2 (ja) 1995-12-08 1999-11-1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H09154971A (ja) * 1995-12-01 1997-06-17 Hatsuta Seisakusho:Kk 消火器
JPH10323311A (ja) * 1997-05-26 1998-12-08 Lion Corp 掃除具
JP4785369B2 (ja) * 2004-11-16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JP2007167425A (ja) * 2005-12-22 2007-07-05 Kao Corp 清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9175A1 (ja) 2009-11-19
AU2009247447A1 (en) 2009-11-19
TW201016180A (en) 2010-05-01
EP2305090B1 (en) 2016-08-10
JP5235493B2 (ja) 2013-07-10
EP2305090A4 (en) 2012-12-12
EP2305090A1 (en) 2011-04-06
TWI457107B (zh) 2014-10-21
JP2009273729A (ja) 2009-11-26
CN102098950A (zh) 2011-06-15
US8438690B2 (en) 2013-05-14
AU2009247447B2 (en) 2014-11-27
KR101468550B1 (ko) 2014-12-03
CN102098950B (zh) 2014-11-05
US20110203068A1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687A (ko)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JP5048376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048375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KR101066532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066531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JP4869984B2 (ja) 清掃用具
US20130031738A1 (en) Cleaning tool
JP4823105B2 (ja) 清掃用具及び清掃体
US20120117744A1 (en) Cleaner holder and cleaning tool
US8857006B2 (en) Cleaning implement and cleaning body
JP5147909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