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532B1 - 청소체 및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청소체 및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532B1
KR101066532B1 KR1020097007439A KR20097007439A KR101066532B1 KR 101066532 B1 KR101066532 B1 KR 101066532B1 KR 1020097007439 A KR1020097007439 A KR 1020097007439A KR 20097007439 A KR20097007439 A KR 20097007439A KR 101066532 B1 KR101066532 B1 KR 101066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ody
cleaning
fiber
welding
weld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253A (ko
Inventor
아케미 츠치야
요시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1836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65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6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 A47L13/252Wir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8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in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Fishing Rod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에 있어서, 청소 효과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는, 청소체(110)의 2개의 용착 접합부(114) 사이의 거리(d1)가, 선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와의 거리(d2)와,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와의 사이의 거리(d3)보다 길어지는 구성이 된다.

Description

청소체 및 청소용구{CLEANING BODY AND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나 차내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한 시트형상의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용구의 구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청소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용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청소포와, 이 청소포에 설치된 수용영역에 끼워 설치된 이 청소포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몸집을 구비하는 구성의 청소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청소용구는, 몸집을 거쳐 유지된 청소포를 사용함으로써, 피청소면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가능성을 가지나, 청소체나 그 청소체를 구비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청소용구의 설계에 있어서는, 청소체에 대한 청소체 홀더 등의 장착물의 장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요청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9-154791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소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에 있어서, 상기 청소체에 대한 장착물의 장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청구항 기재의 발명이 구성된다. 이들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은,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옥내나 옥외에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천정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부위에서의 피청소면 등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의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면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는, 섬유집합체, 부직포, 제 1 용착 접합부,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섬유집합체는, 소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를 복수 집합시켜 구성된다. 이 섬유집합체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상으로서, 또는 얇은 시트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 단위이며, 굵기에 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가늘고 처지기 쉬운 형태의 것으로서 규정되고,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상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또, 본 발명에서의「섬유 집합체」란, 상기한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상기한 섬유가 길이방향 및/또는 지름방향으로 모인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 재료 등), 내지 상기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된다.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은 토우(tow)를 개섬(開纖)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섬유 집합체로서 많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섬유집합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시트형상의 부직포가 적층된다. 이 시트형상의 부직포는, 단일의 부직포 시트층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동일 또는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부직포 시트층이 적층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의 「부직포」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하여 섬유를 고착하거나 서로 얽거나 하여 만들어지는 시트형상의 구성물로서,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함유하여 융착(용착)이 가능한 부직포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용착 접합부는, 섬유집합체 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합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이 제 1 용착 접합부는,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접합부분이 연속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나, 접합부분이 점재하여 연장되는 형태 등이 널리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섬유집합체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된 접합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이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된 구성이면, 충분하고, 복수의 접합부분이 동일 직선 상에 설치되는 형태나, 동일 직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는 형태 등이 널리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 중,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 사이의 길이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쪽에 형성된 비용착 접합부분의 길이를 상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비용착 접합부분」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쪽에 다른 제 2 용착 접합부가 존재하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와 별도의 제 2 용착 접합부와의 사이의 영역으로서 규정되고, 또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쪽에 별도의 제 2 용착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와 청소체 끝부와의 사이의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청소체 중앙 위치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 사이의 섬유는, 먼지의 포착을 주체적으로 행하는 주청소부가 되고,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쪽에 형성된 비용착 접합부분의 섬유는, 먼지의 포착을 주청소부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행하는 보조 청소부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가,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중앙부 및 그 양쪽의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에 1세트 또는 복수세트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섬유집합체는, 제 1 섬유 연장부 및 제 2 섬유 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된다. 제 1 섬유 연장부는, 제 1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끝부측의 자유단까지 섬유가 연장되는 부위가 되고, 제 2 섬유 연장부는,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끝부측의 자유단까지 섬유가 연장되는 부위가 된다. 그리고, 제 2 섬유 연장부의 섬유 연장길이가 제 1 섬유 연장부의 섬유 연장길이를 하회하는 위치에, 제 1 용착 접합부 및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체 중앙위치에 있어서의, 2개의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 사이의 섬유가, 먼지의 포착을 주체적으로 행하는 주청소부를 이루고, 2개의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비용착 접합부의 섬유가, 먼지의 포착을 보조적으로 행하는 보조청소부를 이루며, 주청소부는 섬유집합체 중 가장 부피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체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용착 접합부와 제 2 용착 접합부의 사이에, 섬유가 시트형상의 부직포와 접합된 상대적으로 접합강도가 높은 수평부분이 형성되게 되어, 접합강도를 높이는 데 유효하다. 또, 이 수평부분이 형성되는 구성에 의하여, 청소시에 청소체가 수평형상의 피청소면을 따르기 쉬워져, 청소효과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섬유집합체에 공기가 함유되도록 청소체를 손으로 가볍게 흔드는 또는 빗길 때에, 섬유집합체 중 섬유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 1 섬유 연장부는, 섬유끼리 얽혀 아래쪽으로 늘어지기 쉬워지는 한편, 섬유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 2 섬유 연장부는, 제 1 섬유 연장부에 얽히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섬유집합체에 공기를 함유하게 하였을 때에, 불필요한 공극부분이 억제된 균질한 상태의 섬유집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섬유집합체가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섬유집합체의 부피가 커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섬유의 밀도가 높고 또한 균질한 상태로서, 볼륨감이 높은 상태로서 규정할 수 있어, 「부피가 큰 상태」,「부피 조밀상태」,「볼륨업상태」,「공간 충만도가 높은 상태」 또는 「벌키도가 높은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 집합체의 부피를 크게 함으로써 청소효과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섬유 집합체의 부피가 커짐으로써, 피청소면에 대한 밀착의 정도가 높아져, 섬유 집합체의 때가 두드러지기 쉬워져(검어지기 쉽고), 사용자는 먼지가 확실하게 포착되었다고 실감할 수 있게 되어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먼지의 포착을 주체적으로 행하는 주청소부가 설치되는 2개의 용착 접합부 사이의 길이가, 먼지의 포착을 주청소부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행하는 보조 청소부가 설치되는 비용착 접합부분의 길이를 상회하기 때문에, 섬유 집합체 중 가장 부피가 커지는 주청소부가,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청소시에 있어서는, 청소체는, 그 선단측을 후단측보다 내린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본 발명과 같이 섬유 집합체 중 가장 부피가 커지는 주청소부가 청소체 중앙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섬유 집합체가 피청소면에 작용하기 쉽다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형태의 청소에서는, 청소체 중앙 위치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하여, 한쪽의 제 2 용착 접합부에서부터 청소체 한쪽 끝까지의 거리와, 다른쪽의 제 2 용착 접합부로부터 청소체 다른쪽 끝까지의 거리가 합치하는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청소체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청소체를 반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항상 섬유집합체의 청소체 중앙 위치에 가장 부피가 커지는 주청소부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청소체를 반전 전과 마찬가지로 위화감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체에서는, 제 1 용착 접합부는, 제 1 섬유 연장부의 섬유의 연장길이가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제 2 섬유 연장부의 섬유의 연장길이가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체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섬유집합체에 공기를 함유하게 하였을 때의 상기 섬유집합체의 형상을 정리하여 안정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청소체에서는, 제 1 용착 접합부는,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에서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제 1 용착 접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의 양쪽의 각각에서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체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섬유집합체에 공기를 함유하게 하였을 때의 상기 섬유집합체의 형상에 관하여 좌우의 균형이 잡힌 형상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청소체와, 청소체 홀더를 적어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 청소체 홀더는, 청소작업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부, 및 청소체를 유지하는 청소체 유지부가 연접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이 된다. 또, 이 청소체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는, 청소체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청소체에 대한 청소체 홀더의 장착상태에서는, 청소체가 청소체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청소체 홀더의 파지부를 파지한 다음에 청소작업이 행하여진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청소체를 청소체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에서 떼어 냄으로써, 청소체의 교환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청소효과가 높은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용구가 제공된다. 또한, 청소체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를 장착하는 형태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청소체측의 유지공간부분에 돌출형상의 청소체 유지부를 끼워 설치하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소체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에 장착되는 이 청소체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1회용 타입의 것과, 피청소면에서 제거한 띠끌이나 먼지를 솔부에서 유지하면서 복수회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1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다음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에 관하여, 특히 상기 청소체를 구성하는 섬유집합체 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는 용착 접합부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청소 효과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100)를 구성하는 청소체(110) 및 청소체 홀더(120)를 서로 맞붙이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청소체 홀더(120)의 분리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각 구성요소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의 청소체(110)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의 청소체(110)의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도 4에서의 청소체(110)의 A-A 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도 4에서의 청소체(110)의 B-B 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청소용구(100)에 있어서, 또한 청소체(110)의 빗기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2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3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4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5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6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7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8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체(29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청소용구 110 : 청소체
111 : 청소체 본체 111a : 기재 시트
111b : 섬유 집합체 111c : 청소대상측 시트
111d, 111e : 스트립편 111f : 주청소부
111g : 보조 청소부 112 : 유지 시트
112a : 스트립편 113 : 중앙 용착선
114, 116 : 용착 접합부 115 : 유지공간
115a : 뒤쪽 개구단 115b : 앞쪽 개구단
117 : 수용영역 118 : 상측 섬유
118a : 제 1 섬유 연장부 118b : 제 2 섬유 연장부
119 : 하측 섬유 120 : 청소체 홀더
130 : 홀더 본체 131 : 기초부
132 : 유지판 133 : 돌출부
133a : 중공부 134 : 누름판
140 : 핸들부 141 : 핸들 본체
141a : 연결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의「청소용구」의 일 실시형태인 청소용구(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청소용구(100)를 사용하여 청소되는 청소대상으로서는,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창, 천정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텐, 침구, 조명,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부위에서의 피청소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면은, 평면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100)를 구성하는 청소체(110) 및 청소체 홀더(120) 를 서로 맞붙이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가 도 1에 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청소용구(100)는, 청소체(110)와 청소체 홀더(120)로 크게 구별된다.
청소체(110)는, 청소체 본체(111)의 상면에 유지 시트(112)가 적층형상으로 접합된 구성이 된다. 이 청소체(110)는, 닦기 청소에 있어서 청소 대상인 피청소면 상의 오염을 긁어내는 오염 긁어내기 기능을 가지는 시트형상의 청소체가 된다. 이 청소체(1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長方形)이 되고, 소정의 길이방향(긴 변의 연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이 소정의 길이방향은, 뒤에서 설명하는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가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과 대략 합치한다. 이 청소체(11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에 상당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 청소체(110)를,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正方形)의 청소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나, 이 청소체(110)를 구성하는 청소체 본체(111)는, 모두 시트형상의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청소대상측 시트(111c)가 서로 적층형상으로 겹쳐져 접합된 구성이 된다. 이들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청소대상측 시트(111c)는, 평면에서 보아 동일한 장방형이 되고, 모두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섬유 집합체(111b) 및 청소대상측 시트(111c)는, 오염 긁어내기 기능을 가지는 솔형상 부위를 구성하고 있고, 이른바「솔부」라고도 불리운다. 이 청소체(110)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1회용 타입의 것과, 청소대상의 피청소면에서 제거한 티끌이나 먼지를 솔부에서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1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좋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다음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110)의 청소체 본체(111)를,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및 청소대상측 시트(111c)가 적층형상으로 겹쳐진 구조로 하였으나, 이 청소체 본체(111)를 더 한층의 섬유층이나 시트가 부가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청소체 본체(111) 및 유지 시트(112)는, 청소체(110)의 중앙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연장하는 중앙 용착선(113)과, 이 중앙 용착선(113)의 양쪽에 위치하는 좌우 1쌍의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로 용착 접합되어 있다.
중앙 용착선(113)은, 청소체 본체(111) 및 유지 시트(112)의 전체를 서로 접합하는 용착 접합부분으로 하여 구성된다. 청소체(110)의 중앙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이 중앙 용착선(113)이, 본 발명에서의「섬유 집합체 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용착 접합부」에 상당한다.
또,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는, 청소체 본체(111) 중의 기재 시트(111a)와, 섬유 집합체(111b)의 일부와, 유지 시트(112)를 서로 접합하는 용착 접합부분으로 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용착 접합부(114)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의「섬유 집합체 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 2 용착부」가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중앙 용착선(113)과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 와의 사이에는, 전후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유지공간(115, 11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유지공간(115)은, 뒤쪽이 뒤쪽 개구단(115a)에서 개구되고, 앞쪽이 앞쪽 개구단(115b)에서 개구된 공간영역으로서 구성된다. 각 유지공간(115)은, 뒤에서 설명하는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이 삽입되는(피착되는) 영역부분이고, 뒤쪽 개구단(115a) 및 앞쪽 개구단(115b)의 양쪽으로부터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 홀더(120)는, 상기 구성의 청소체(110)를 착탈 자유롭게 되어 있고, 서로 연접하는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로 이루어진다. 이 청소체 홀더(12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 홀더」에 상당한다. 핸들부(140)는,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141)와, 이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141a)를 구비한다. 핸들 본체(141)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부위이고, 본 발명에서의「파지부」에 상당한다. 연결부(141a)는,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를 고정형상으로 연결하는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재료로 성형된 홀더 본체(130)와, 수지재료로 성형된 핸들부(140)[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가, 성형 후에 일체 형상으로 맞붙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청소용구 전체의 경량화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청소용구의 제조에 관한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 대신,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이나, 홀더 본체(130), 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 중 어느 것인가 2개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하거나, 또는 각각을 독립하여 성형된 것을 고정형상으로 맞붙이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홀더 본체(130)는, 청소체(110)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이며,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 유지부」에 상당한다. 이 홀더 본체(130)에는, 핸들부(140)측의 기초부(131)에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 및 누름판(134)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은, 기초부(131)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형상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로 구성된다. 즉, 홀더 본체(130)는, 그 선단이 두 갈래형상으로 나뉘어진 포크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유지판(132)의 가로 폭은, 길이방향에 관하여 일정 또는 선단을 향하여 협폭(狹幅)형상으로 설정된다.
또, 각 유지판(132)에는, 그 바깥쪽 가장자리부의 전후 2부분에 돌출부(133, 1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133)는, 그 외형이 유지판(132)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한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돌출면이 볼록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유지판(132)의 외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원호각도 180[°], 장축 16[mm], 단축8[mm]의 타원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각 돌출부(133)는, 그 중앙부분이 개구형상으로 된 중공부(133a)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누름판(134)은,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 사이에서 앞쪽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아래쪽을 향하여 볼록형상이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는 판형상부재로서 구성되고, 또한 그 하면에 걸어멈춤 돌출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각 유지판(132)은, 상기한 각 유지공간(115)에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삽입상태에서 청소체(110)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삽입상태에서는, 각 유지판(132)이 각 유지공간(115) 내에 밀착형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끼워 넣어지고, 청소체(110)에 대하여 고착작용을 부여한다. 또한, 이 삽입상태에서는, 누름판(134)이 청소체(110)를 윗쪽에서부터 가압함과 동시에, 그 하면에 설치된 걸어멈춤 돌출부(도시 생략)가 청소체(110)의 탈락방지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각 유지판(132)을 각 유지공간(115)에 삽입한 삽입상태에서는, 청소체(110)가 홀더 본체(130)에 의하여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 도 1에서의 청소체 홀더(120)의 분리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는, 각각이 수지성형 후에 일체 형상으로 맞붙여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130)는, 기초부(131)의 후단측에 피끼워맞춤판(131a)을 구비하는 한편, 핸들부(140)는, 핸들 본체(141)의 선단측에 제 1 끼워맞춤판(143) 및 제 2 끼워맞춤판(144)을 구비한다. 또, 제 1 끼워맞춤판(143)과 제 2 끼워맞춤판(144)과의 사이에는, 피끼워맞춤판(131a)이 끼워 맞춤 가능한 끼워맞춤영역(145)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끼워맞춤영역(145)에는, 제 1 끼워맞춤판(143)의 오목부(131b)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피끼워맞춤판(131a)을 끼워맞춤영역(145)에 끼워 넣은 경우에는, 이 피끼워맞춤판(131a)을 제 1 끼워맞춤판(143) 및 제 2 끼워맞춤판(144)이 상하로부터 끼워 유지하고, 또한 제 1 끼워맞춤판(143)의 오목부(131b)에 끼워맞춤영 역(145)의 볼록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홀더 본체(130)와 핸들부(140)의 사이에 고착작용이 부여된다. 한편,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가 서로 고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착력보다 큰 인장력으로 양자를 이간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이들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를 분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이 참조된다. 도 3에는, 도 1 중의 청소체(110)를 각 구성요소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1에서의 청소체(110)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를 도 4에 나타내고, 도 1에서의 청소체(110)의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또, 도 6에는 도 4에서의 청소체(110)의 A-A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고, 도 7에는 도 4에서의 청소체(110)의 B-B 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는, 청소대상측(「하면측」또는「이면측」이라고도 한다)으로부터 순서대로 청소체 본체(111), 유지 시트(112)가 적층된 구성이며, 또한 청소체 본체(111)는, 청소대상측(하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청소대상측 시트(111c), 섬유 집합체(111b), 기재 시트(111a)가 적층된 구성이 된다. 이 경우, 유지 시트(112) 및 기재 시트(111a)는, 섬유 집합체(111b)를 사이에 두고 청소대상측 시트(111c)(하면측 시트)와 반대측에 적층된 상면측 시트가 된다. 유지 시트(112), 기재 시트(111a) 및 청소대상측 시트(111c)는, 어느 것이나,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형상의 스트립편(스트립부분)을 복수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시트(112)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 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립편(112a)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또, 기재 시트(111a)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립편(111d)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되고, 청소대상측 시트(111c)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립편(111e)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각 시트의 스트립편을 지그재그형상으로 함으로써, 먼지를 끌어들여 포착하기 쉬운 청소기능이 높은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스트립편의 형상에 관해서는, 지그재그형상, 직선형상, 곡선형상 등 중의 단일종류 또는 복수종류의 형상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111a)에서는, 스트립편(111d)이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또, 기재 시트(111a)의 상면에 적층된 유지 시트(112)에서는, 스트립편(111d)과 동일형상의 스트립편(112a)이,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대상측 시트(111c)에서는, 스트립편(111d)이나 스트립편(112a)보다 폭이 좁은 스트립편(111e)이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용착선(11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스트립편(111e)은, 기단측이 중앙 용착선(113)의 용착 접합부분에서 접합됨과 동시에, 이 중앙 용착선(113)을 고정단으로 하여 상기 고정단의 반대측(선단측)을 자유단으로서 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다음에, 상기 기재 시트(111a), 청소대상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구성, 및 섬유 집합체(111b)를 형성하는 섬유 집합체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직포의 구성)
기재 시트(111a), 청소대상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에 관해서는, 어느 것이나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섬유(열가소성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들 기재 시트(111a), 청소대상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는, 부직포 시트라고도 불리운다. 여기서 말하는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가, 본 발명에서의「시트형상의 부직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부직포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하여 섬유를 고착하거나 서로 얽거나 하여 만들어지는 시트형상의 구성물로서, 열가소성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 가능한 부직포가 되고, 복수의 스트립편을 가지는 형상의 부직포로서 구성된다. 열가소성섬유(열용융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air through)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스판레이스법, 포인트본드법, 멜트블로우법, 스티치본드법, 케미컬본드법, 니들펀치법 등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부직포가, 본 발명에서의 「부직포」에 상당한다. 또한, 청소시의 쓸어 내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 대신 또는 아울러, 우레탄, 스펀지, 직포, 네트, 와리프 등의 소재를 스트립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 집합체의 구성)
한편, 섬유 집합체(111b)는,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섬유가 길이방향 및/또는 지름방향으로 모인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 재료 등), 내지 상기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되고, 열가소성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라고도 한다)이 가능한 섬유 집합체로서 구성된다. 이 섬유 집합체(111b)를 형성하는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단위이고, 굵기에 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으로서 규정되고,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상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이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는, 기단측이 중앙 용착선(113),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로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상기 고정단과 대향하는 쪽(선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청소체(110)[또는 섬유 집합체(111b)]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 섬유 집합체(111b)가, 본 발명에서「소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를 복수 집합시켜 구성되는 섬유 집합체」에 상당한다. 이 섬유 집합체(111b)는, 복수의 섬유가 다발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속」이라고도 불리운다.
또한, 도 3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섬유층이 적층형상으로 겹쳐짐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 섬유층의 수는 필요에 따라 1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111b)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상 으로서, 또는 두께가 얇은 시트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섬유 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은 토우를 개섬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이 섬유 집합체로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심부분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이 심부분의 외면을 덮는 두겁부분이 폴리에틸렌(PE)의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섬유 집합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장섬유의 섬도(纖度)는, 1 내지 50 dtex의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0 dtex의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각 섬유 집합체는 대략 동일한 섬도의 섬유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각 섬유 집합체가 다른 섬도의 섬유를 함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청소시의 쓸어내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섬유, 즉 섬도가 높은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집합체는, 권축섬유를 가지는 구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권축섬유는, 소정의 권축 처리가 부여된 섬유로서 구성되고, 섬유끼리가 얽히기 쉬운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권축섬유를 사용하면, 섬유 집합체가 청소체 홀더 장착 전의 상태보다 부피가 커지고, 또한 권축부분에 쓰레기를 받아들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본 구조는, 특히 토우섬유로 형성된 권축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로서, 필름을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하고, 세로방향으로 연신시킨 플랫얀이나, 스플릿얀이라 호칭되는 열가소성 필름수지를 수지의 배향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누어, 섬유형상이 된 필름이 그물코 형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는 섬유 집합체로서,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부피가 크고 섬유밀도가 낮은 부직포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 청소체(110)의 구성요소의 종류나 수 등에 관해서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이 청소체(110)는,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그 긴 변이 청소체 홀더(120)의 홀더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길이가 긴 방향 선 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체(110)에서의 용착 접합부의 구성에 관하여, 도 4,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용착선(113)의 좌우 위치에는, 좌우 동일 간격으로, 상기 중앙 용착선(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의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용착선(113)의 좌우의 각 연장선(L1) 상에서, 뒤쪽 개구단(115a) 및 앞쪽 개구단(115b)의 각각에 용착 접합부(116)가 설치되고, 또 2개의 용착 접합부(116)의 사이에 2개의 용착 접합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4)의 용착 접합부분의 형상은 원형(진원;眞圓)이 되고, 용착 접합부(116)의 용착 접합부분의 형상은 원형(진원)과 타원이 서로 겹쳐짐으로써 복합화되어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용착 접합부(114)는, 중앙 용착선(113)과 대치하여 설치된다. 이들 용착 접합부(114) 및 중앙 용착선(113)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은,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이 삽입되는 유지공간(115)이 된다. 이 용착 접합부(114)는, 홀더 본 체(130)의 유지판(13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33)를 향하여 볼록형상이 된 원호부분(곡면부)을 적어도 가지는 구성이 되고, 이에 의하여 유지공간(115)에서의 유지판(132)의 삽입조작시, 돌출부(133)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슬라이딩저항을 억제하고, 유지판(132)의 원활한 삽입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청소체(110)에 대한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의 장착성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용착 접합부(114)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해서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원호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로 이루어지는 곡면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용착 접합부(114)와 돌출부(133)의 사이에 작용하는 슬라이딩저항을 억제하는 이 작용효과는, 용착 접합부(114) 및 돌출부(133)의 볼록형상에 더하여, 돌출부(133)에 중공부(133a)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높여진다. 즉, 용착 접합부(114)와 돌출부(133)가 슬라이딩 접촉할 때, 각 돌출부(133)가 중공부(133a)의 효과에 의하여 유지판(132)측으로 휘기 쉬어지고, 이것에 의하여 용착 접합부(114)와 돌출부(133)의 사이에 작용하는 슬라이딩저항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여지게 된다. 이 효과가, 유지판(132) 자체의 휨 작용이나, 청소체(110)를 구성하는 소재의 휨 작용만에 의하여 얻어지는 경우에는, 돌출부(133)를 중실(solid)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 용착 접합부(114)와 그것에 인접하는 용착 접합부(116)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은, 유지판(132)의 삽입조작 후에 있어서, 유지판(132)의 돌출부(133)를 수용하는 수용영역(117)으로서 규정된다. 그리고, 용착 접합부(114)는, 수용영역(117)에 수용된 돌출부(133)에 간섭하여 해당 돌출부(133)의 전후방향[청소 체(110)의 길이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유지공간(115)에서의 돌출부(133)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용착 접합부(114)의 구체적 형상]
본 발명자들은, 용착 접합부(114)로서 원형의 원호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용착 접합부를 사용한 경우의 구체적 형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검토의 결과, 원호 직경을 7 내지 12[mm], 원호 각도를 90 내지 360[°]의 용착 접합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호 직경을 10[mm], 원호 각도를 180[°]로 할 수 있다.
용착 접합부(114)로서 상기와 같은 원호 직경의 용착 접합부를 채용함으로써,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의 삽입 시, 돌출부(133)가 용착 접합부(114)를 매끄럽게 타고 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삽입 후에 있어서는, 일단 수용영역(117)에 수용된 돌출부(133)가 빠지기 어렵다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원호 직경이 너무 작으면, 돌출부(133)가 용착 접합부(114)를 타고 넘을 때에 급격하게 휘어짐으로써 매끄러움을 얻을 수 없게 되는 한편, 원호 직경이 너무 크면, 일단 수용영역(117)에 수용된 돌출부(133)의 안정감(피트감)이 없어 빠지기 쉬워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용착 접합부(114)로서 상기와 같은 원호 각도의 용착 접합부를 채용함으로써,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의 삽입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 종래의 열용착 설비에 의한 생산상의 난이도를 내릴 수 있으며, 또 용착 접합부의 외관(「미장」또는「미관」이라고도 한다)이 향상한다. 그 이유로서는, 원호 각도가 너무 작으면, 용착 접합부가 돌출부(133)에 대하여 확실하게 걸어 맞춰지지 않아 유지판(132)의 삽입방향이 정해지기 어렵고, 또 접합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접합 불량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용착 접합부의 외관에 관해서는, 원호 각도가 180[°] 내지 360[°]인 것이 디자인으로서 바람직스러운 경우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용착선(113)이 섬유 집합체(111b)의 두께 방향에 관한 전체를 접합하는 구성인 것에 대하여, 용착 접합부(114)는, 섬유 집합체(111b)의 두께 방향에 관한 일부만을 접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여 섬유 집합체(111b)는, 그 두께 방향에 관하여 경계선(L2)을 경계로 하여, 경계선(L2)보다 상측의 상측 섬유(118)와 경계선(L2)보다 하측의 하측 섬유(119)로 구분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용착 접합부(114)가 섬유 집합체(111b)의 두께 방향에 관한 전체를 접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섬유(118)는, 또한 제 1 섬유연장부(118a) 및 제 2 섬유 연장부(118b)의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제 1 섬유 연장부(118a)는, 기단측이 중앙 용착선(113)으로 접합됨과 동시에, 이 중앙 용착선(113)을 고정단으로 하고, 상기 고정단의 반대측(선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된다. 즉, 제 1 섬유 연장부(118a)의 고정단과 자유단의 사이에는, 용착 접합부가 개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섬유 연장부(118b)는, 용착 접합부(114)를 고정단으로 하고, 상기 고정단의 반대측(선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된다. 즉, 제2 섬유 연장부(118b)의 고정단과 자유단의 사이에는, 용착 접합부가 개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용착선(113)은, 청소체 중앙부를 청소체의 긴 변과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섬유 연장부(118a)에서의 섬유의 연장길이가 같게 되어 있다. 또,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는, 중앙 용착선(113)의 좌우 위치에서, 좌우 동일 간격으로, 상기 중앙 용착선(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좌우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섬유 연장부(118a)에서의 섬유의 연장 길이가 같아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를 함유시켰을 때의 상기 섬유 집합체(111b)의 형상을 정리하여 안정화시키는 데 효과적이고, 특히 섬유 집합체(111b)의 형상에 관하여 좌우의 밸런스가 취해진 형상이 실현된다. 중앙 용착선(113)의 구성에 관해서는, 접합부분이 연속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도 되고, 또는 접합부분이 단속적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또, 용착 접합부(114)및 용착 접합부(116)의 구성에 관해서는, 각 용착부분이 소정의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도 되고, 또는 소정의 곡선을 따라 연장되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 1 섬유 연장부(118a)가, 본 발명에서의 「제 1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끝부측의 자유단까지 섬유가 연장되는 제 1 섬유 연장부」에 상당하고, 여기서 말하는 제 2 섬유 연장부(118b)가, 본 발명에서의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끝부측의 자유단까지 섬유가 연장되는 제 2 섬유 연장부」에 상당한다.
한편, 하측 섬유(119)는, 기초 끝측이 중앙 용착선(113)으로 접합됨과 동시 에, 이 중앙 용착선(113)을 고정단으로 하고, 상기 고정단의 반대측(선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즉, 하측 섬유(119)의 고정단과 자유단의 사이에는, 용착 접합부가 개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섬유(118) 중 제 1 섬유 연장부(118a)의 연장 길이(d5) 및 하측 섬유(119)의 연장 길이(d5)는, 모두 상측 섬유(118) 중 제 2 섬유 연장부(118b)의 연장 길이(d4)보다 길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앙 용착선(113)과 용착 접합부(114) 사이에, 섬유가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와 접합된 상대적으로 접합 강도가 높은 수평부분이 형성되게 되고,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만의 접합에 의해서는 얻어지지 않는 접합 강도를 얻는 데 유효하다. 또 중앙 용착선(113)과 용착 접합부(114) 사이에 수평부분이 형성되는 구성에 의하여, 청소 시에 청소체(110)가 수평형상의 피청소면을 따르기 쉬워져, 청소 효과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또, 사용자가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가 함유되도록 청소체(110)를 손으로 가볍게 흔드는 빗을 때에, 섬유 집합체(111b) 중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 1 섬유 연장부(118a)는, 섬유끼리 얽혀 아래쪽으로 늘어지기 쉬워지는 한편,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 2 섬유 연장부(118b)는, 제 1 섬유 연장부(118a)에 얽히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하여,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를 함유하게 하였을 때에, 불필요한 공극부분이 억제된 균질한 상태의 섬유 집합체(111b)가 형성되고, 상기 섬유 집합체(111b)가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퍼지기 때문에, 상기 섬유 집합 체(111b)의 부피가 커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섬유의 밀도가 높고 또한 균질한 상태로서, 볼륨감이 높은 상태로서 규정할 수 있고, 「부피가 큰 상태」,「부피가 조밀한 상태」, 「볼륨업상태」, 「공간 충만도가 높은 상태」 또는 「벌키도가 높은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 집합체(111b)의 부피를 크게 함으로써 청소 효과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섬유 집합체(111b)의 부피가 커짐으로써, 피청소면에 대한 밀착의 정도가 높아져, 섬유 집합체(111b)의 오염이 두드러지기 쉬워져(검어지기 쉬워져), 사용자는 먼지가 확실하게 포착되어 있다는 실감이 얻어지게 되어 만족도가 높아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 접합부(114) 사이의 거리(간격)(d1)가, 선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 사이의 거리(d2)나,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 사이의 거리(d3)보다 길어지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2개의 용착 접합부(114) 사이의 비용착 접합부분의 섬유는, 먼지의 포착을 주체적으로 행하는 주청소부[뒤에서 설명하는 도 10에서의 주청소부(111f)]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한편,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 사이의 비용착 접합부분의 섬유나, 용착 접합부(116)부터 청소체 끝부까지의 비용착 접합부분의 섬유는, 먼지의 포착을 주청소부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행하는 보조 청소부[뒤에서 설명하는 도 10에서의 보조 청소부(111g)]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섬유 집합체(111b) 중 가장 부피가 커지는 주청소부가, 길이방향에 관하여 2개의 용착 접합부(114) 사이의 청소체 중앙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청소시에 있어서는, 청소 체(110)는, 그 전단측을 후단측보다도 내린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데, 본 실시형태와 같이 섬유 집합체(111b) 중 가장 부피가 커지는 주청소부가 청소체 중앙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가 피청소면에 작용하기 쉽다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측의 용착 접합부(114)로부터 청소체(110)의 전단까지의 거리와,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로부터 청소체(110)의 후단까지의 거리가 합치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을 뒤쪽 개구단(115a)과 앞쪽 개구단(115b) 중 어느 것으로부터 끼워 설치한 경우이더라도, 항상 섬유 집합체(111b)의 소정의 청소체 중앙 위치에 가장 부피가 커지는 주청소부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청소체(110)를 반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반전 전과 마찬가지로 위화감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용착 접합부(116)는, 뒤쪽 개구단(115a) 및 앞쪽 개구단(115b)에 설치됨으로써,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이 유지공간(115)에 삽입될 때, 유지공간(115)에 대한 유지판(132)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 용착 접합부(116)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유지공간(115)을 향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이에 의하여,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이 유지공간(115)에 삽입될 때, 유지판(132)을 유지공간(115)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착 접합부(116)의 구체적 형상]
본 발명자들은, 용착 접합부(116)의 구체적 형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검토의 결과, 이 용착 접합부(116)의 길이방향의 연장 길이를 10 내지 17[mm]로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로 할 수 있다. 용착 접합부(116)로서 이와 같은 연장 길이의 용착 접합부를 채용함으로써,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의 삽입조작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 유지판(132)의 삽입부분이 인식되기 쉬워져, 종래의 열용착 설비에 의한 생산상의 난이도를 내릴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용착 접합부의 연장 길이가 너무 짧으면, 유지판(132)의 삽입조작이 안정되지 않고, 또 유지판(132)의 삽입부분이 인식하기 어렵고, 또 접합위치가 규정위치로부터 다소 어긋난 경우에 섬유 집합체(111b),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를 확실하게 접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청소용구(100)의 사용형태에 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이 참조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하는 모양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또, 도 10에는 도 9에 나타내는 청소용구(100)에 서, 또한 청소체(110)의 빗기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청소용구(100)를 사용할 때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착조작에 의하여 유지공간(115)의 뒤쪽 개구단(115a)으로부터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이 삽입되고, 이것에 의하여 청소체(110)가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는, 유지공간(115)이 뒤쪽 개구단(115a) 및 앞쪽 개구단(115b)을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유지공간(115)의 앞쪽 개구 단(115b)으로부터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을 삽입함으로써, 청소체(110)를 반전시켜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청소체(110)에 대한 청소체 홀더(120)의 장착조작에서는, 먼저, 각 유지판(132)이 선단측으로부터 유지공간(115)으로 삽입된다. 이 때, 각 유지판(132)은, 홀더 선단측의 돌출부(133)가 용착 접합부(116)의 안 가장자리 부분과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하여, 유지공간(115)에 대하여 각 유지판(13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6)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성분을 가지기 때문에, 각 유지판(132)의 진행방향을 작업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직선형상으로 정해지게 되고, 각 유지판(132)은 유지공간(115)을 앞쪽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한다.
또, 각 유지판(132)은, 유지공간(115)으로의 삽입조작 시, 홀더 선단측의 돌출부(133)가,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의 원호부분을 타고 넘어, 또한 선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의 원호부분을 타고 넘는다. 이 때, 각 유지판(132)은, 홀더 선단측의 돌출부(133)가, 용착 접합부(114)의 원호부분을 타고 넘을 때마다, 유지판(132) 및 돌출부(133) 자체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동작과 휨 복귀동작(휨 리턴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저항감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저항감의 변화는, 좌우의 유지판(132)의 간격이 꽉 좁아져 나중에 넓어지는 동작으로서 사용자에게 전해지기 때문에, 청소체(110)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120)가 확실하게 장착되고, 또 빠지기 어려울 것 같다는 안심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데 효과적이다.
홀더 선단측의 돌출부(133) 및 홀더 후단측의 돌출부(133)가, 각각의 수용영역(117)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홀더 본체(130)의 기초부(131)가 뒤쪽 개구단(115a)과 간섭함으로써, 그것 이상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청소체(110)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120)가 장착상태가 된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돌출부의 이동이 그 양쪽의 용착 접합부(114, 116)에 의하여 규제되게 되어, 청소체 홀더(120)를 가볍게 흔드는 정도의 진동에 의하여 청소체 홀더(120)로부터 청소체(110)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빠짐방지 효과).
이것에 의하여, 청소용구(10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나, 이 상태는, 청소체(110)의 두께가 억제된 상태이며, 또 청소대상의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청소대상측 시트(111c)가 섬유 집합체(111b)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원하는 청소기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그래서, 원하는 청소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도 9에서의 청소체(110)의 섬유 집합체(111b)를 볼륨업된 입체형상이 되도록, 빗기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빗기 조작은,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가 함유되도록 청소체(110)를 곧바로 손으로 가볍게 흔드는 또는 빗는, 또 청소체 홀더(120)를 손으로 파지한 채로 가볍게 흔듦으로써 가능해진다.
청소체(110)의 이와 같은 빗기 조작에 의하여,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는, 청소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과 혼재화하여, 이 스트립편(111e)의 회동동작(회동형상으로 돌아 들어간다)과 함께 바깥쪽의 자유단측이, 고정단인 중앙 용착선(113) 주위에 자중(自重)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늘어진다. 이 때 청소체(110)는,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과 함께 중앙 용착선(113)의 용착 접합부 주위에 아래쪽으로 늘어져,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가 함유됨으로써 청소체 홀더(120) 장착 전의 상태보다 부피가 커진다. 즉, 청소체(110)는, 청소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의 회동동작에 동조하여,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 사이에 공기를 함유시켜 부풀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의 폭이 기재 시트(111a)측의 스트립편(111d)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립편(111e)이 섬유 집합체(111b)의 탄력성을 빼앗는 일 없이, 섬유 집합체(111b)의 볼륨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먼지 포착기능에 대한 기대감이나 안심감이 높아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권축(捲縮)섬유를 사용하여 섬유 집합체(111b)를 구성함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에 얽히기 쉬운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과 혼재화하여, 섬유 집합체(111b)의 주청소부(111f)의 부피가 커져 볼륨업된 입체형상이 형성되게 된다. 청소체(110)의 전후의 보조 청소부(111g, 111g)의 사이에 형성된 이 주청소부(111f)가 부풀어짐으로써, 이 주청소부(111f)가 청소대상의 피청소면인 요철이나 곡면을 따르기 쉬워진다(밀착하기 쉬워진다). 또, 이 때, 서로 혼재화한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의 협동에 의하여, 청소기능을 발휘한다. 특히, 섬유 집합체(111b)는, 섬유 사이나 섬유의 권축부분에 오염이 얽히게 되어, 오염 포집기능의 중핵을 이룬다. 또한, 스트립편(111e)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섬유 집합체(111b)가 표출됨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의 양이 많아져 볼륨업되어 보이게 되어, 사용자에게 먼지 포착기능에 대한 기대감이나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스트립편(111e)은, 오염 포집기능의 중핵을 이루는 섬유 집합체(111b)에 대한 부가적인 오염 포집기능을 가진다. 이 스트립편(111e)은, 더욱 가늘은 요철이나 곡면으로 파고 들어가기 쉬워져, 스트립편 사이나 스트립면에 오염을 유지함으로써 청소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기재 시트(111a)의 스트립편(111d)이나, 유지 시트(112)의 스트립편(112a)은, 섬유 집합체(111b)의 움직임에 동조하기 어렵고, 섬유 집합체(111b)의 움직임과는 독립하여 먼지 쓸어내기 기능을 발휘한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의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단측의 용착 접합부(114)로부터 청소체(110)의 전단까지의 거리와,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로부터 청소체(110)의 후단까지의 거리가 합치하는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끝측의 용착 접합부(114)로부터 청소체(110)의 전단까지의 거리와,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로부터 청소체(110)의 후단까지의 거리가 다른 형태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는, 중앙 용착선(113)의 좌우 위치에 설치되는 청소체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는,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를, 중앙 용착선(113)의 좌우의 어느 한쪽에 설치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4)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의 용착 접합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이 용착 접합부는, 적어도 중앙 용착선(113)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상기 용착 접합부의 형상이나 설치수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청소체(210 ∼260)는, 제 1 용착 접합부의 형상 또는 설치수가 용착 접합부(114)와 다른 이외는, 청소체(1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청소체(210)에서는, 원호 각도 180[°]의 용착 접합부를 제 1 용착 접합부(211)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청소체(220)에서는, 원형 전체가 모두 접합된 형상(빈틈없이 칠한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제 1 용착 접합부(221)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 1 용착 접합부(221)를 채용하면, 접합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접합강도가 높아져, 든든한 외관이 얻어지고, 또 유지공간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인식시키기 쉽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청소체(230)에서는, 지름이 큰 원의 안쪽에 지름이 작은 원을 배치한 형상(◎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제 1 용착 접합부(231)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 1 용착 접합부(231)를 채용하면, 미장성이 우수한 데다가, 2중으로 접합됨으로써 접합강도가 높아진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청소체(240)에서는, 지름이 다른 복수 의 원을 조합시킨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제 1 용착 접합부(241)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 1 용착 접합부(241)를 채용하면, 미장성이 우수한 데다가, 빈틈없이 접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청소체(250)에서는, 용착 접합부(114)의 설치수를 늘린 구성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도 16에 나타내는 청소체(260)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청소체(110)의 구성에 있어서, 청소체 좌우의 중앙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용착 접합부(114)의 중간에, 또 다른 용착 접합부(114)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청소체 좌우의 중앙 위치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 접합부(114)가 2세트 설치되게 되나, 본 구성에서도, 청소효과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청소체(110)와 마찬가지로, 중앙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용착 접합부(114) 사이의 거리(간격)(d1)가, 선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와의 사이의 거리(d2)나, 후단측의 용착 접합부(114)와 용착 접합부(116)와의 사이의 거리(d3)보다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용착 접합부의 설치수를 늘리는 경우, 모든 제 1 용착 접합부가 반드시 일직선 상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6)의 구체적 형상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진원)과 타원이 복합화된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이 용착 접합부는, 적어도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상기 용착 접합부의 형상이나 설치수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 는 청소체(270∼290)는, 제 2 용착 접합부의 형상이 용착 접합부(116)와 다른 이외는, 청소체(1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
도 17에 나타내는 청소체(270)에서는, 타원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제 2 용착 접합부(271)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청소체(280)에서는, 타원형상의 용착 접합부의 일부만에 의하여 형성된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제 2 용착 접합부(281)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청소체(290)에서는, 원형의 용착 접합부를 조합시켜 직사각형상으로 배치한 형상의 용착 접합부를 제 2 용착 접합부(291)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 2 용착 접합부(271, 281, 291)에 의해서도, 용착 접합부(116)와 마찬가지로, 유지판(132)의 삽입조작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 특히 제 2 용착 접합부(291)를 사용하면, 접합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Claims (5)

  1.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를 복수 집합시켜 구성되는 섬유집합체와,
    상기 섬유집합체에 대하여 적층된 시트형상의 부직포와,
    상기 섬유집합체 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용착 접합부와,
    상기 섬유집합체 및 부직포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 중,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 사이의 길이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쪽에 형성된 비용착 접합부분의 길이를 상회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집합체는,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끝부측의 자유단까지 섬유가 연장되는 제 1 섬유 연장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끝부측의 자유단까지 섬유가 연장되는 제 2 섬유 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 2 섬유 연장부의 섬유 연장길이가 상기 제 1 섬유 연장부의 섬유 연장길이를 하회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 및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가 설치되며,
    상기 청소체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 사이의 섬유가, 먼지의 포착을 주체적으로 행하는 주청소부를 이루고,
    상기 2개의 서로 인접하는 제 2 용착 접합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비용착접합부의 섬유가, 먼지의 포착을 보조적으로 행하는 보조청소부를 이루며,
    상기 주청소부는, 상기 섬유집합체 중 가장 부피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체 중앙 위치에 설치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하여, 한쪽의 제 2 용착 접합부에서부터 청소체 한쪽 끝까지의 거리와, 다른쪽의 제 2 용착 접합부에서부터 청소체 다른쪽 끝까지의 거리가 합치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는, 상기 제 1 섬유 연장부의 섬유의 연장길이가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상기 제 2 섬유 연장부의 섬유의 연장길이가 같아지는 위치에 설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는,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에 관한 청소체 중앙 위치에서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용착 접합부는,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용착 접합부의 양쪽의 각각에서 상기 기설정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청소체와,
    청소작업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부 및 상기 청소체를 유지하는 청소체 유지부가 연접형상으로 형성된 청소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체에 대하여 상기 청소체 홀더의 상기 청소체 유지부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1020097007439A 2006-09-12 2007-09-04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066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47215 2006-09-12
JP2006247215A JP4709105B2 (ja) 2006-09-12 2006-09-12 清掃体及び清掃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253A KR20090063253A (ko) 2009-06-17
KR101066532B1 true KR101066532B1 (ko) 2011-09-21

Family

ID=3918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439A KR101066532B1 (ko) 2006-09-12 2007-09-04 청소체 및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6) US8245349B2 (ko)
EP (2) EP2255713B1 (ko)
JP (1) JP4709105B2 (ko)
KR (1) KR101066532B1 (ko)
CN (2) CN101982155B (ko)
AT (1) ATE542463T1 (ko)
CA (1) CA2663264C (ko)
ES (1) ES2383260T3 (ko)
MX (1) MX2009002728A (ko)
SA (1) SA07280491B1 (ko)
WO (1) WO2008032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7273B2 (en) 2006-08-07 2020-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and an absorbent core
US9833118B2 (en) 2006-08-07 201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with differential bond pattern
JP4709105B2 (ja) * 2006-09-12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CN102006812B (zh) * 2008-04-16 2014-08-06 花王株式会社 清扫用片材及其制造方法
JP5588431B2 (ja) * 2009-03-31 2014-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JP5405194B2 (ja) * 2009-05-21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CA2685904C (en) * 2009-12-04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non-planar element in place of strips
JP5427628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US9724733B2 (en) * 2012-12-21 2017-08-08 Floral Packaging Ip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ink from films
JP6323981B2 (ja) * 2013-02-07 2018-05-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5968245B2 (ja) * 2013-02-07 2016-08-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US9849638B2 (en) 2013-02-08 2017-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fluffing a cleaning implement
CN104981189B (zh) 2013-02-08 2018-08-14 宝洁公司 用于使清洁制品蓬松的套件
USD709659S1 (en) * 2013-06-20 2014-07-22 Ez Products Of South Florida, L.L.C. Duster with interior sleeve
JP6228407B2 (ja) * 2013-09-03 2017-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および清掃用具の製造方法
JP6514863B2 (ja) * 2014-08-08 2019-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JP2016036628A (ja) * 2014-08-08 2016-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パッケージ
CN107427180B (zh) 2015-04-02 2020-12-15 宝洁公司 具有带差异性粘结图案的条的地板清洁制品
CA2981654C (en) 2015-04-02 2020-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and an absorbent core
EP3078316B1 (en) 2015-04-09 2019-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discrete seal bonds
US11229343B2 (en) 2015-06-30 2022-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multi-layer gather strip element
FR3048705B1 (fr) * 2016-03-09 2018-11-23 Decitex Article d'entretien et dispositif de nettoyage comprenant un tel article d'entretien
EP3296301A1 (en) 2016-09-19 2018-03-21 ETH Zürich A versatil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ylphosphines
US10694915B2 (en) 2017-04-06 2020-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with tow fiber and movable strips
US10730081B2 (en) 2017-09-11 2020-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US11950737B2 (en) 2017-09-11 2024-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US11045061B2 (en) 2017-09-11 2021-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tufted laminated cleaning article
US11253128B2 (en) 2017-09-11 2022-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pitch tow tufts
EP3453303B1 (en) 2017-09-11 2022-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US10653286B2 (en) 2017-10-06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0722091B2 (en) 2017-10-06 202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ly coated tow fibers
US11903542B2 (en) 2018-04-03 2024-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ouble bonded tow tufts
US11375867B2 (en) 2018-04-03 2022-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sized tow tufts
US20190298141A1 (en) 2018-04-03 2019-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CN109433735B (zh) * 2018-10-20 2021-06-08 山东正阳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缸体缸孔智能处理系统及缸体处理工艺
DE102019130744A1 (de) * 2019-11-14 2021-05-20 Carl Freudenberg Kg Wischtucheinheit und Wischgerät
US11812909B2 (en) 2020-04-10 2023-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with a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WO2021207441A1 (en) 2020-04-10 2021-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WO2022082192A1 (en) 2020-10-16 2022-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1833237B2 (en) 2021-03-09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scalp active de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10A (ja) * 1995-07-10 1997-01-28 Fumio Nakaya 隅隅用清掃用具
JP2002369783A (ja) 2000-07-10 2002-12-24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7477B2 (ja) 1995-12-08 1999-11-1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RU2262291C2 (ru) 2000-10-27 2005-10-20 Юни-Чарм Корпорейшн Обти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удобное в употреблении
JP4050035B2 (ja) * 2000-10-27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US20050029285A1 (en) * 2003-03-24 2005-02-10 Pbm Plastics, Inc. Containers and methods for the on-demand dispensing of flowable materials
US7870635B2 (en) * 2004-04-01 2011-01-18 Kikuo Yamada Cleaning tool sheet and cleaning tool
US7712178B2 (en) 2004-04-01 2010-05-11 Kikuo Yamada Cleaning tool sheet and cleaning tool
JP4785369B2 (ja) 2004-11-16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BRPI0507221A (pt) 2004-12-27 2007-06-19 Chiyoe Yamada utensìlio de limpeza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o mesmo
JP4657075B2 (ja) 2005-10-21 2011-03-23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
JP4731433B2 (ja) * 2006-09-12 2011-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709105B2 (ja) 2006-09-12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10A (ja) * 1995-07-10 1997-01-28 Fumio Nakaya 隅隅用清掃用具
JP2002369783A (ja) 2000-07-10 2002-12-24 Uni Charm Corp 清掃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21704B2 (en) 2014-01-07
US8245349B2 (en) 2012-08-21
US10398281B2 (en) 2019-09-03
CA2663264C (en) 2014-11-18
JP4709105B2 (ja) 2011-06-22
EP2255713B1 (en) 2013-12-25
KR20090063253A (ko) 2009-06-17
EP2080471A4 (en) 2009-11-18
SA07280491B1 (ar) 2011-11-16
MX2009002728A (es) 2009-04-30
WO2008032612A1 (fr) 2008-03-20
EP2255713A3 (en) 2011-01-05
CN101511253B (zh) 2011-05-04
CN101982155A (zh) 2011-03-02
EP2255713A9 (en) 2011-05-18
CN101511253A (zh) 2009-08-19
US20120297563A1 (en) 2012-11-29
EP2080471A1 (en) 2009-07-22
CA2663264A1 (en) 2008-03-20
US20190343365A1 (en) 2019-11-14
ES2383260T3 (es) 2012-06-19
EP2255713A2 (en) 2010-12-01
US20140075701A1 (en) 2014-03-20
US9357896B2 (en) 2016-06-07
JP2008067782A (ja) 2008-03-27
US20140082872A1 (en) 2014-03-27
US9526393B2 (en) 2016-12-27
US20170028446A1 (en) 2017-02-02
CN101982155B (zh) 2014-07-16
ATE542463T1 (de) 2012-02-15
US20100037410A1 (en) 2010-02-18
EP2080471B1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532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066531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290228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290227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JP4823105B2 (ja) 清掃用具及び清掃体
KR20110011687A (ko)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JP5221624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147909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