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80U - 부품단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부품단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80U
KR20110011280U KR2020100005639U KR20100005639U KR20110011280U KR 20110011280 U KR20110011280 U KR 20110011280U KR 2020100005639 U KR2020100005639 U KR 2020100005639U KR 20100005639 U KR20100005639 U KR 20100005639U KR 20110011280 U KR20110011280 U KR 201100112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s bar
component
fastening pie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266Y1 (ko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66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버스바(20)의 일측을 잘라 절곡하여 체결편(26)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편(26)은 상기 버스바(20)와 연결되고 버스바(20)의 일측 표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30), 상기 제1연결부(30)에서 상기 버스바(20)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부품(34)의 단자(36)를 눌러 고정하는 단자접촉부(28), 상기 단자접촉부(28)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결부(30)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30'), 상기 제2연결부(30')에서 연장되고 상기 단자접촉부(28)에 비해 낮아지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눌림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눌림부(32)는 상기 체결편(26)의 형성에 의해 상기 버스바(2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절결공간(26')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결공간(26')에 상기 눌림부(32)가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스바(20)가 설치되는 제2몸체(14)와 결합되는 제1몸체(10)에는 누름바아(12)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바아(12)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상기 눌림부(32)에 압입돌기(40)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없이 버스바(20)에 부품의 단자(36)를 체결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고 전체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품단자 고정장치{Parts terminal fast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부품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을 사용하여 부품의 단자를 버스바에 고정하는 부품단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퓨즈박스나 정션박스에는 버스바에 부품의 단자를 연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단자를 버스바에 연결하는 것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게 된다.
즉,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에 각각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을 볼트가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를 서로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버스바에 부품의 단자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버스바에 부품을 위치시키고, 그 후에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를 관통하여 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에 부품의 단자를 체결하는 과정이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를 체결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를 별도의 부품없이 직접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와 부품의 단자의 결합을 위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작업의 작업공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단자를 구비하는 부품과, 상기 버스바의 일측을 잘라 절곡하여 절결공간을 형성하면서 만들어져 상기 버스바에 부품의 단자가 결합되게 하는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편은 버스바와 연결되고 버스바의 일면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부품의 단자 표면에 접촉되는 단자접촉부와 상기 단자접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타측면과 마주보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절결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는데, 상기 눌림부는 상기 제1몸체에서 연장된 누름바아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절결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 눌림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절결공간의 내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절결공간 내에 설치된다.
상기 체결편의 제1 및 제2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부품의 단자의 두께와 대응되고 상기 단자접촉부의 길이는 상기 단자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는 상기 버스바의 표면과 평행한 상기 단자접촉부의 상면에 대해 상기 단자의 두께만큼 낮아지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부품단자 고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버스바에 부품의 단자를 직접 결합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전체적으로 부품단자 고정장치의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품단자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부품단자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박스에서 버스바에 퓨즈가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퓨즈는 부품을 대표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의 골격을 제1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1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여러 부품이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0)의 일면에서 돌출되게 누름바아(12)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바아(12)는 상기 제1몸체(10)의 일측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2몸체(14)를 향해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누름바아(12)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체결편(26) 일측을 눌러주는 것이다. 상기 누름바아(12)는 상기 체결편(26)을 눌러주는 역할 외에도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몸체(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 체결편(26)의 일측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몸체(14)는 상기 제1몸체(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14)의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2몸체(14)는 예를 들면 제1몸체(10)의 하면과 마주보게 결합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14)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34)가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14)도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제1몸체(14)와 마주보는 면에는 버스바(20)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20)의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20)의 일측에는 볼트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통공(22)에는 상기 제2몸체(14)에 설치되는 볼트(24)가 관통한다. 상기 볼트(24)에 의해서는 예를 들면 대전류 단자와 같은 것이 상기 버스바(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0)에는 체결편(2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26)은 부품, 즉 퓨즈(34)의 갯수에 맞춰 그 개수가 결정된다. 상기 체결편(26)은 상기 버스바(20)를 제작할 때, 동시에 가공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편(26)은 상기 버스바(20)의 일부를 'ㄷ'자 형상으로 자르고, 이를 절곡하여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상기 체결편(26)이 형성된 버스바(20)의 부분에는 절결공간(26')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26)은 퓨즈(34)의 단자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편(26)은 상기 버스바(20)에 연결된 제1연결부(20)를 가진다. 상기 제1연결부(30)는 상기 버스바(20)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그 높이가 퓨즈(34)의 단자(36) 두께 정도가 된다. 상기 제1연결부(30)에서 연장되어 단자접촉부(28)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접촉부(28)는 상기 버스바(20)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단자접촉부(28)의 길이는 퓨즈(34)의 단자(36)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20)는 단자(36)의 일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단자접촉부(28)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제2연결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30')는 제1연결부(30)와 같이 퓨즈(34)의 단자(36)의 두께와 같은 높이를 가진다. 물론 상기 제2연결부(30')는 상기 단자접촉부(28)와 연결되고 상기 버스바(20)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2연결부(30')는 상기 단자(36)의 타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제2연결부(30')의 선단에는 눌림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눌림부(32)는 상기 제1몸체(10)의 누름바아(12)에 의해 눌러지는 부분이다. 상기 눌림부(32)는 상기 절결공간(26')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상기 단자접촉부(28)와 비교할 때 단차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단자접촉부(28)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된다.
퓨즈(34)는 제2몸체(14)에 장착되는 부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34)의 양단에는 각각 단자(36)가 구비되어 버스바(20) 및 부하측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단자(36)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퓨즈(34)이외의 다른 부품일지라도 상기 단자(36)의 구성은 상기 퓨즈(3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에는 상기 체결편(26)을 사용하여 버스바(20)와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체결편(26)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해 제1몸체(10)의 누름바아(12)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체결편(26)의 선단이 절결공간(26')의 내면에 압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편(26)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눌림부(32)의 양단에 압입돌기(40)를 더 형성한다. 상기 압입돌기(40)는 상기 체결편(26)이 형성됨에 의해 만들어지는 절결공간(26')의 내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편(26)은 상기 버스바(20)를 잘라내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편(26)의 눌림부(32)를 형성하면서 상기 버스바(20)에서 상기 압입돌기(40)에 해당되는 부분을 눌림부(32)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절결공간(26')내면에 요홈(27)이 형성되게 하면서 상기 눌림부(32) 측에 상기 압입돌기(40)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편(26)은 버스바(20)에서 잘라내어진 후에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30,30')의 형성을 위해 절곡하는데,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30,30')에 해당되는 만큼 상기 눌림부(32)의 단부가 상기 절결공간(26')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눌림부(32)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압입돌기(40)는 상기 요홈(27)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기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절결공간(26')의 내면에 압입되어 밀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바아(12)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체결편(26')이 버스바(20)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누름바아(12)를 병행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눌림부(32)를 반드시 눌러주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제1몸체(10)의 누름바아(12)가 없어도 상관없다. 따라서, 버스바(20)에 부품의 단자(36)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2몸체(14)만 구비된 구조에서도 구현할 수 있다.
10: 제1몸체 12: 누름바아
14: 제2몸체 20: 버스바
22: 볼트통공 24: 볼트
26: 체결편 28: 단자접촉부
30: 제1연결부 30': 제2연결부
32: 눌림부 34: 퓨즈
36: 단자

Claims (5)

  1.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단자를 구비하는 부품과,
    상기 버스바의 일측을 잘라 절곡하여 절결공간을 형성하면서 만들어져 상기 버스바에 부품의 단자가 결합되게 하는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편은 버스바와 연결되고 버스바의 일면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부품의 단자 표면에 접촉되는 단자접촉부와 상기 단자접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타측면과 마주보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절결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부품 단자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는데, 상기 눌림부는 상기 제1몸체에서 연장된 누름바아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절결공간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단자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절결공간의 내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절결공간 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단자 고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의 제1 및 제2 연결부의 높이는 상기 부품의 단자의 두께와 대응되고 상기 단자접촉부의 길이는 상기 단자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단자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는 상기 버스바의 표면과 평행한 상기 단자접촉부의 상면에 대해 상기 단자의 두께만큼 낮아지게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단자 고정장치.
KR2020100005639U 2010-05-31 2010-05-31 부품단자 고정장치 KR200475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39U KR200475266Y1 (ko) 2010-05-31 2010-05-31 부품단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39U KR200475266Y1 (ko) 2010-05-31 2010-05-31 부품단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80U true KR20110011280U (ko) 2011-12-07
KR200475266Y1 KR200475266Y1 (ko) 2014-11-18

Family

ID=5229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639U KR200475266Y1 (ko) 2010-05-31 2010-05-31 부품단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66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603A (ja) 2003-07-31 2005-02-24 Yazaki Corp 端子固定方法
JP4996306B2 (ja) 2007-03-29 2012-08-0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ガラス防曇用ヒータ装置、及び、ガラスアンテナ装置
JP2008305741A (ja) 2007-06-11 2008-12-18 Yazaki Corp 端子の固定構造
KR100937392B1 (ko) * 2009-07-28 2010-01-18 (주)시그너스시스템 버스바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66Y1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099B2 (en) Metal terminal and electric distribution box provided with the same
US7347733B2 (en) Electric junction box
AU2008341945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bus bar block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JP4341464B2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6015940B2 (ja) プリント基板積層体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8840408B2 (en) Crank-shaped board terminal with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JP5081581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1303127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端部構造
JP5590462B2 (ja) 実装基板
KR20100083413A (ko) 버스바조립체
WO2017209204A1 (ja) 基板ユニット
JP5790130B2 (ja) コネクタ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20110011280U (ko) 부품단자 고정장치
JP5376209B2 (ja) 回路構成体
JP6984983B2 (ja) 電気接続箱
JP6211304B2 (ja) 電気接続箱
KR100988788B1 (ko) 조립형 버스바
KR200445701Y1 (ko)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TWI459671B (zh) 電力用連接導體
JP2009158359A (ja) 樹脂モールドバス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JP5835672B2 (ja) バスバーを備えた電気接続箱
CN114188904B (zh) 电气接线盒
JP5772472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