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392B1 - 버스바 클램프 - Google Patents

버스바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392B1
KR100937392B1 KR1020090069027A KR20090069027A KR100937392B1 KR 100937392 B1 KR100937392 B1 KR 100937392B1 KR 1020090069027 A KR1020090069027 A KR 1020090069027A KR 20090069027 A KR20090069027 A KR 20090069027A KR 100937392 B1 KR100937392 B1 KR 10093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us bar
bus
conductive elastic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시그너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그너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시그너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6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 내에서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연결하는 버스바 클램프에 있어서, 내측면이 서로 대향되고, 각각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볼트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의 볼트체결공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캡;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중공 형상의 두께 조정쇠; 및 상기 볼트체결공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각각의 내측면에 부착된 전도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는 각각 상기 볼트체결공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와 캡의 체결시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각각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에 의하면, 버스바가 버스바 클램프의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버스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홀 가공이 필요없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공수를 감소시킴과 더불어 버스바를 타고 흐르는 전류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69027
버스바, 클램프, 전도성 탄성부재, 두께 조정쇠, 베릴륨 카파, 코일 스프링

Description

버스바 클램프{BUS-BAR CLAMP}
본 발명은 버스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버스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전기를 수전하여 전압강하를 시킨 후 배전을 행하게 되는 배전반에서는 여러 개의 전기패널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전기패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버스바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전기패널에 각각 연결 적용되어 있는 버스바를 서로 연결시켜야만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를 위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버스바(10,11)의 끝단부 절연 피막을 제거하고, 드릴 등의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각각 통공(12)을 뚫은 다음 나사와 너트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연결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버스바의 연결을 위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통공(12)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버스바를 타고 흐르는 전류는 구멍이 뚫린 부분에 형성된 단면적의 변화로 인해 전류 흐름에 왜곡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볼트 풀림현상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버스바의 연결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배전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바에 볼트 체결을 위한 드릴링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버스바를 타고 흐르는 전류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체결 작업을 보다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 및 너트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장시간 경과 후에도 버스바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버스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버스바 클램프는, 배전반 내에서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연결하는 버스바 클램프에 있어서, 내측면이 서로 대향되고, 각각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볼트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의 볼트체결공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캡;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중공 형상의 두께 조정쇠; 및 상기 볼트체결공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각각의 내측면에 부착된 전도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는 각각 상기 볼트체결공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와 캡의 체결시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 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각각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가 상기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의 거리는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에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에는 그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며 제1 나사산에 대응 결합하는 제2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비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단부의 외면과 캡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되, 상기 갭이 형성된 부분에는 볼트의 단부를 감싸며 일측 단부는 캡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캡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외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께 조정쇠와,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도록 순차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두께 조정쇠와 스프링와셔가 개재되되,
상기 보조 두께 조정쇠의 두께는 두께 조정쇠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볼트체결공 양측으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그루브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베릴륨 카파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고, 중공의 사각틀로 이루어지며, 양측벽에는 걸림편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몸체틀; 및 상기 몸체틀에 접촉되며, 상기 중공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모선버스바 및 자선버스바에 접촉하는 다수의 탄성편을 가지는 접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에 의하면, 버스바가 버스바 클램프의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버스바 체결을 위한 별도의 홀 가공이 필요없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공수를 감소시킴과 더불어 버스바를 타고 흐르는 전류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 두께의 증가시에 대응하도록 보조 두께 조정쇠를 추가함으로써 버스바 두께의 변화시에도 유연하게 버스바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캡 내부에 배치되는 고장력의 코일 스프링으로 인해 볼트와 캡의 풀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에 버스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의 (a)는 도 6의 평면도이고, (b)는 Ⅰ-Ⅰ선 단면도이며, (c)는 Ⅱ-Ⅱ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는, 전력공급회사 또는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3상 또는 4상의 고압 전력을 수전하여 가정용, 산업용 (구체적으로, 각종 모터, 용접기, 건설기계 등)으로 배전하기 위해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00,200), 볼트(300), 캡(400), 두께 조정쇠(500) 및 전도성 탄성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각각 복수의 볼트체결공(110)이 이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볼트체결공(110)은 도 3에서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x방향,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의 폭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체결공(110)을 통한 볼트(300)와 캡(400)의 체결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가지도록 순도 99% 이상의 동(bronze)으로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300)는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볼트체결공(110)을 관통하며, 그 단부에는 캡(400)이 체결된다.
한편, 상기 볼트(300)의 헤드부 및 캡(400)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지지플레이트에 매립되도록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볼트체결공(110)이 형성된 부분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별도의 단차부(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스바 클램프의 전체적인 외관 사이즈를 좀 더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반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보다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상기 볼트(300)와 캡(4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두께 조정쇠(500)는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양단이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상호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개재되어 있다.
덧붙여, 두께 조정쇠(500)는 볼트(300)가 관통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전체적인 외관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조정쇠(500)는, 볼트(300) 및 캡(400)에 의한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고정 결합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들(100,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각각의 지지플레이트에 접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들의 좌우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가지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600)는 대략 일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볼트체결공(110) 양측의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부착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선버스바(700)는 볼트체결공(110)을 중심으로 어느 일측의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자선버스바(710)는 볼트체결공(110)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과 반대의 다른 일측의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전도성 탄성부재(600)는 상기 볼트(300)와 캡(400)이 체결될 경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에 삽입되는 모선버스바(700) 및 자선버스바(71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모선버스바(700)의 특고압 공급전력이 전도성 탄성부재(600) 및 지지플레이트(100,200) 등을 경유한 후 자선버스바(710)로 공급될 때, 버스바와의 접촉을 균일하게 하여 접촉부에서 접촉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접촉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발열 현상과 그에 따른 전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에는 모선버스바(700) 및 자선버스바(710)가 삽입되는데, 상기 버스바들은 탄성력을 가지는 전도성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덧붙여,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모선버스바 또는 자선버스바를 가압할 수 있도록, 모선버스바(700) 또는 자선버스바(710)가 삽입되기 전의 한 쌍의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버스바들의 두께보다 일정 이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도성 탄성부재(600)는 탄성력을 가지며 버스바에 면접촉하여 버스바를 충분히 가압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베릴륨 카파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릴륨 카파는 구리에 3% 이내의 베릴륨을 첨가한 것을 주체로 하고, 여기에 코발트, 은, 니켈 등을 필요에 따라 소량 첨가한 구리합금의 총칭을 말하며 불림경화성(硬化性)이 있고, 강도는 특수강과 거의 동일한 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내피로성, 내마모성, 내식성(耐蝕性)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 양측으로 각각 그루브(130)가 형성되며, 전도성 탄성부재(600)는 상기 그루브(130)에 별도의 접착제를 개재하지 않는 상태로 강제로 압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600)는, 상기 그루브(130)에 삽입되는 중공의 사각틀 형상으로서 양측벽에는 걸림편(611)이 절개되어 형성된 몸체틀(610), 상기 몸체틀(610)에 접촉되며 상기 중공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어 외부에 내출되는 다수의 탄성편(621)을 가지는 접촉체(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틀(610)의 일측벽에는 경사지도록 다수의 걸림편(611)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걸림편(611)은 그 기울어진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틀(610)이 그루브에 압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걸림편이 그루브에 걸림으로써 몸체틀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편(621)은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선버스바(700) 및 자선버스바(7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틀(610)에는 접촉체(62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612)가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틀(610)과 접촉체(620)는 전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술한 구조보다 버스바와 접촉 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루브(130)에는 몸체틀(610)과 접촉체(620)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탄성부재(600)가 복수개 압입되며, 그 개수는 별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600)는 글로브테크社의 GCB series 제품 중 하나로 적용되며, 대략 45A 전후의 허용 전류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 구체적으로, 몸체틀(610)을 그루브(130)에 압입한 후 몸체틀이 그루브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루브를 형성하는 양측벽과 그루브(130)의 저면 사이에는 경사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그루브(130)를 형성하는 양측벽과 그루브(130)의 저면 사이에 대략 30도 ~ 60도의 경사각(α)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선 및 자선 버스바(700,710)의 두께 증가시에 대응하여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보조 두께 조정쇠(5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두께 조정쇠(510)는 두께 조정쇠(500)와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 사이에 볼트(300)가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보조 두께 조정쇠(510)는 대략적으로 두께 조정쇠(500)와 유사한 외관 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보조 두께 조정쇠(51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보조 두께 조정쇠(51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의 거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보조 두께 조정쇠(5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의 거리를 좀 더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두께 조정쇠(500)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상기 두께 조정쇠(500) 또는 보조 두께 조정쇠(510) 사이에는 상기 볼트(300)가 관통하는 스프링와셔(810)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와셔(810)의 장착으로 인해, 두께 조정쇠(500)와 보조 두께 조정쇠(510) 사이의 접촉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틈을 스프링와셔(810)의 탄성에 의해 밀착시킴으로써, 이로 인해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의 좌우 흔들림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후술하는 볼트(300)와 캡(400)의 풀림 방지를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스프링와셔(810)는 통상의 링 형상의 스페이서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전술한 볼트(300)와 캡(400)의 형상 및 결합관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400)에 체결되는 볼트(300)의 단부에는 중공의 체결홀(3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홀(31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3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400)의 내측에는 캡의 내측 후방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체결홀(310)에 삽입되는 비스(4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비스(410)는 캡(4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별도의 부재를 캡에 압착 또는 용접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스(410)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320)에 대응 결합하도록 제2 나사산(4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는 제1, 제2 나사산(320,42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300)는 렌치 공구에 의해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다각형의 렌치 볼트로 적용 가능하고, 캡(400) 또한 스패너 또는 몽키 등의 공구를 통해 풀거나 조일 수 있는 다각형의 외관 형상을 가지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300)와 캡(400)의 체결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캡(400)의 내측 부분에 별도의 코일 스프링(820)을 더 삽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300)와 캡(400)의 체결시에, 볼트(300)의 단부의 외면과 캡(400)의 내주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820)은 상기 갭이 형성된 부분에서 볼트(300)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개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볼트(300)와 캡(400)의 체결시 상기 코일 스프링(820)의 일측 단부는 캡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캡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외면에 지지되는 형태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캡의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볼트와 캡의 풀림 현상을 보다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는 전술한 코일 스프링(820) 및 스프 링와셔(8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제2 나사산(320,420) 사이의 상호 체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시간 경과 후에도 볼트(300)와 캡(40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820)은 사람의 힘에 의해 손쉽게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는 정도의 고장력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덧붙여,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의 이격 거리 또한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그 사이에 삽입되는 모선버스바(700) 및 자선버스바(710)도 전도성 탄성부재(600)에 접촉하는 상태를 좀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모선버스바(700) 및 자선버스바(710)는 상기 볼트(300)와 캡(400)의 체결력과,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60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와 모선버스바 및 자선버스바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제1, 제2 지지플레이트(100,200), 볼트(300), 캡(400), 두께 조정쇠(500), 전도성 탄성부재(600) 등을 모듈 형태로 선(先)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의 어느 일측의 마주보는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로 모선버스바(700)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모선버스바는 전도성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에 의해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지지플레이트들의 다른 일측의 마주보는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로 자선버스바(710)를 삽입시킨다.
한편, 버스바 클램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 형태로 선 결합되어 있고, 버스바들이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마주보는 전도성 탄성부재(600) 사이의 거리는 모선버스바 및 자선버스바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선버스바 및 자선버스바를 버스바 클램프에 연결할 때, 별도의 볼트 체결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모선버스바 및 자선버스바에 별도의 볼트 체결홀을 성형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버스바들 사이의 전류 흐름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버스바 클램프에 모선, 자선 버스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렌치 및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볼트와 캡의 체결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 버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클램프에 버스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의 (a)는 도 6의 평면도이고, (b)는 Ⅰ-Ⅰ선 단면도이며, (c)는 Ⅱ-Ⅱ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 지지플레이트 110: 볼트체결공
120: 단차부 130: 그루브
200: 제2 지지플레이트 300: 볼트
310: 체결홀 320: 제1 나사산
400: 캡 410: 비스
420: 제2 나사산 500: 두께 조정쇠
510: 보조 두께 조정쇠 600: 전도성 탄성부재
610: 몸체틀 611: 걸림편
612: 스토퍼 620: 접촉체
621: 탄성편 700: 모선버스바
710: 자선버스바 810: 스프링와셔
820: 코일 스프링

Claims (6)

  1. 배전반 내에서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연결하는 버스바 클램프에 있어서,
    내측면이 서로 대향되고, 각각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볼트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의 볼트체결공을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캡;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중공 형상의 두께 조정쇠; 및
    상기 볼트체결공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각각의 내측면에 부착된 전도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는 각각 상기 볼트체결공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와 캡의 체결시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탄성력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를 각각 밀착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캡에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에는 그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며 제1 나사산에 대응 결합하는 제2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비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단부의 외면과 캡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되,
    상기 갭이 형성된 부분에는 볼트의 단부를 감싸며 일측 단부는 캡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캡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외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가 상기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에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대향하는 전도성 탄성부재 사이의 거리는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클램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정쇠와, 제1, 제2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도록 순차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두께 조정쇠와 스프링와셔가 개재되되,
    상기 보조 두께 조정쇠의 두께는 두께 조정쇠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볼트체결공 양측으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그루브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베릴륨 카파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탄성부재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고, 중공의 사각틀로 이루어지며, 양측벽에는 걸림편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몸체틀; 및
    상기 몸체틀에 접촉되며, 상기 중공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모선버스바 및 자선버스바에 접촉하는 다수의 탄성편을 가지는 접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클램프.
KR1020090069027A 2009-07-28 2009-07-28 버스바 클램프 KR10093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27A KR100937392B1 (ko) 2009-07-28 2009-07-28 버스바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27A KR100937392B1 (ko) 2009-07-28 2009-07-28 버스바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392B1 true KR100937392B1 (ko) 2010-01-18

Family

ID=4180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027A KR100937392B1 (ko) 2009-07-28 2009-07-28 버스바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39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83B1 (ko) 2010-01-29 2010-08-10 일성이엔지(주)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KR100977317B1 (ko) 2010-06-18 2010-08-24 (주)플러스이앤에이 배전반용 접속장치
KR200475266Y1 (ko) * 2010-05-31 2014-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단자 고정장치
KR20150077968A (ko) * 2013-12-30 2015-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KR101548621B1 (ko) 2015-02-24 2015-09-11 한양전공주식회사 메인 및 서브 버스바 접속체를 이용한 수배전반
US9882294B1 (en) 2016-10-24 2018-01-30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connecting motor with three phase power
US10297962B1 (en) 2018-01-09 2019-05-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 power busbar
KR20210095462A (ko) * 2020-01-23 2021-08-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동형 접지바
KR102367082B1 (ko) * 2021-05-03 2022-02-25 (주)영상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연결제어 브라켓 시스템
WO2022076233A1 (en) * 2020-10-08 2022-04-14 Interplex Industries, Inc. Bus bar connector
EP4270664A1 (en) * 2022-04-26 2023-11-01 Sungrow Power Supply Co., Ltd. Plug-i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785A (en) * 1977-04-26 1978-11-21 Hitachi Cable Ltd Bus bar conductor connection adapter
KR100771001B1 (ko) * 2007-06-28 2007-10-29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반용 부스바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785A (en) * 1977-04-26 1978-11-21 Hitachi Cable Ltd Bus bar conductor connection adapter
KR100771001B1 (ko) * 2007-06-28 2007-10-29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반용 부스바 클램프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83B1 (ko) 2010-01-29 2010-08-10 일성이엔지(주)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KR200475266Y1 (ko) * 2010-05-31 2014-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단자 고정장치
KR100977317B1 (ko) 2010-06-18 2010-08-24 (주)플러스이앤에이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2195372B1 (ko) * 2013-12-30 2020-12-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KR20150077968A (ko) * 2013-12-30 2015-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KR101548621B1 (ko) 2015-02-24 2015-09-11 한양전공주식회사 메인 및 서브 버스바 접속체를 이용한 수배전반
US9882294B1 (en) 2016-10-24 2018-01-30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for connecting motor with three phase power
CN107979216A (zh) * 2016-10-24 2018-05-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连接电机的连接器
KR101855785B1 (ko) * 2016-10-24 2018-05-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모터 결선용 커넥터
US10297962B1 (en) 2018-01-09 2019-05-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 power busbar
KR20210095462A (ko) * 2020-01-23 2021-08-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동형 접지바
KR102367029B1 (ko) * 2020-01-23 2022-02-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동형 접지바
WO2022076233A1 (en) * 2020-10-08 2022-04-14 Interplex Industries, Inc. Bus bar connector
KR102367082B1 (ko) * 2021-05-03 2022-02-25 (주)영상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연결제어 브라켓 시스템
EP4270664A1 (en) * 2022-04-26 2023-11-01 Sungrow Power Supply Co., Ltd. Plug-i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392B1 (ko) 버스바 클램프
US7449635B2 (en) Bus joint assembly
CN104641515A (zh) 连接装置
KR100937398B1 (ko) 배전반용 인슐레이터 모듈
KR101762717B1 (ko)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KR20110125229A (ko) 고전압 전기기기의 도체
EP3108494B1 (en) Switching assembly and interconnect assembly therefor
KR102349392B1 (ko) 배전용 버스바 접속장치
CN109690873A (zh) 铜汇流排
KR101204449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1144191B1 (ko) 수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크램프 장치
KR100665685B1 (ko) 부스바 커넥터
CA2280065C (en) Clamping arrangement for compression-mounted power electronic devices
JP4722677B2 (ja) 配電盤
WO2020050798A2 (en) An additional connection module for busbar
KR102378763B1 (ko) 분전반의 부스바 연결구조
CN210576490U (zh) 一种母排快速连接装置
JP6656120B2 (ja) 開閉器の差し込み接続装置
CN106783451B (zh) 电力保护用熔断器及其熔断器底座
KR200366469Y1 (ko) 부스바 커넥터
US20190363524A1 (en) Bus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field relaxation
CN214411043U (zh) 一种晶闸管与真空开关的并联组合结构
KR101643882B1 (ko)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JPH0548332Y2 (ko)
CN210200333U (zh) 分支母线及包括其的环网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