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363U - 호이스트 방호울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방호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363U
KR20110010363U KR2020100004450U KR20100004450U KR20110010363U KR 20110010363 U KR20110010363 U KR 20110010363U KR 2020100004450 U KR2020100004450 U KR 2020100004450U KR 20100004450 U KR20100004450 U KR 20100004450U KR 20110010363 U KR20110010363 U KR 20110010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ist
vertical member
horizont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수산업
Priority to KR2020100004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363U/ko
Publication of KR20110010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63U/ko

Links

Images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2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3수직부재; 상기 제3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제4수직부재; 상기 제3수직부재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1가로부재; 및 상기 제4수직부재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방호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로 본 고안의 실시로 조립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을 확보하여 호이스트 주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호이스트 방호울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이스트 방호울{Hoist Protective Fence}
본 고안은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호이스트의 주위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방호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Hoist)란 훅이나 그 밖에 달기 기구 등을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 및 횡행 또는 권상 동작만을 행하는 양중기를 말하며, 정치식, 모노레일식, 이중레일식 호이스트로 구분된다. 그리고 호이스트 방호울은 호이스트의 주위에 프레임 및 망으로 설치되어 호이스트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펜스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호이스트 방호울의 경우는 현장에서 용접 등을 통해 설치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어서 이동 및 설치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호이스트 방호울의 경우는 단순히 호이스트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 건축자재를 호이스트로 옮기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호이스트 방호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구성을 확보하여 호이스트 주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호이스트 방호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호이스트 방호울의 입구에 별도의 발판대를 마련하여 용이하게 작업자 및 건설자재를 호이스트 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2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3수직부재; 상기 제3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제4수직부재; 상기 제3수직부재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1가로부재; 및 상기 제4수직부재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2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가로부재 및 제2가로부재와 상기 제3수직부재 및 제4가로부재의 상부의 각각의 연결은 상기 제1가로부재 및 제2가로부재의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는 하향으로 숫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제3수직부재 및 제4수직부재의 상단에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도록 암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구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고정핀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가로부재, 상기 제2가로부재, 상기 제1수직부재 및 상기 제2수직부재의 각각의 상부에 얹혀지는 발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부가 상기 제3수직부재 및 제4수직부재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내측발판 및 일단부는 호이스트 전면의 지면에 닿도록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측발판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진입발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진입발판의 양 측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난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로 조립이 용이한 호이스트 방호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로 내구성을 확보하여 호이스트 주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호이스트 방호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로 호이스트 방호울의 입구에 별도의 발판대를 마련하여 용이하게 작업자 및 건설자재를 호이스트 내로 출입할 수 있는 방호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의 측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호이스트 방호울(10)은 호이스트(20)의 주위에 설치되어 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1수직부재(100, 101); 상기 제1수직부재(100, 101)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2수직부재(200, 201); 상기 제2수직부재(200, 201)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3수직부재(300, 301); 상기 제3수직부재(300, 301)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제4수직부재(400, 401); 상기 제3수직부재(300, 301)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1가로부재(500); 및 상기 제4수직부재(400, 401)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2가로부재(60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수직부재(200, 201)와 제3수지부재(300, 301)의 각각의 사이에 경사부재(210, 211)를 더 구비하여 호이스트 방호울의 측면 등 외부에서 미치게 되는 휨 등에 대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원리로 제3수직부재(300, 301)와 제1가로부재(500)의 각각의 사이에도 경사부재(320,321)를 구비하여 외부의 휨으로부터 호이스트 방호울(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호이스트 방호울(10)의 각각의 구성이 되는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호이스트 방호울(10)의 구성을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가로부재(500) 및 제2가로부재(600)와 상기 제3수직부재(300, 301) 및 제4가로부재(400, 401)의 상부의 각각의 연결은 상기 제1가로부재(500) 및 제2가로부재(600)의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는 하향으로 숫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510, 61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제3수직부재(300, 301) 및 제4수직부재(400, 401)의 상단에 상기 결합돌기(510, 610)가 끼워지도록 암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410, 41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510, 610)와 상기 결합구(410, 411)를 끼움결합을 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510, 610)와 결합구(410, 411)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고정핀(30)에 의하여 고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제1가로부재(500), 상기 제2가로부재(600), 상기 제1수직부재(100, 101) 및 상기 제2수직부재(200, 201)의 각각의 상부에 얹혀지는 발판(70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가 발판(70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본 고안인 호이스트 방호울(10)에 의해 방호되는 호이스트(20)로의 작업자 및 건축자재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부가 상기 제3수직부재(300, 301) 및 제4수직부재(400, 401)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내측발판(800) 및 일단부는 호이스트(20) 전면의 지면에 닿도록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측발판(80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진입발판(850)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는 상기 진입발판(850)의 양 측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난간(86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난간(86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호이스트(20)로의 작업자 및 건축자재의 출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 호이스트 방호울
20; 호이스트
30; 고정핀
100, 101; 제1수직부재
200, 201; 제2수직부재
210, 211; 경사부재
300, 301; 제3수직부재
310, 311; 결합구
320, 321; 경사부재
400, 401; 제4수직부재
410, 411; 결합구
500; 제1가로부재
510; 결합돌기
600; 제2가로부재
610; 결합돌기
700; 발판
800; 내측발판
850; 진입발판
860; 가이드난간
900; 제1상부난간
910; 제2상부난간

Claims (5)

  1.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2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2개의 제3수직부재;
    상기 제3수직부재의 측부와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면서 각각 세워지는 제4수직부재;
    상기 제3수직부재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1가로부재; 및
    상기 제4수직부재의 상부의 각각과 양끝단이 결합되는 제2가로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방호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부재 및 제2가로부재와 상기 제3수직부재 및 제4가로부재의 상부의 각각의 연결은,
    상기 제1가로부재 및 제2가로부재의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는 하향으로 숫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제3수직부재 및 제4수직부재의 상단에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도록 암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구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고정핀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방호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부재, 상기 제2가로부재, 상기 제1수직부재 및 상기 제2수직부재의 각각의 상부에 얹혀지는 발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방호울.
  4. 제 3항에 있어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부가 상기 제3수직부재 및 제4수직부재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내측발판; 및
    일단부는 호이스트 전면의 지면에 닿도록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측발판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진입발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방호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발판의 양측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난간;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방호울.
KR2020100004450U 2010-04-28 2010-04-28 호이스트 방호울 KR201100103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50U KR20110010363U (ko) 2010-04-28 2010-04-28 호이스트 방호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50U KR20110010363U (ko) 2010-04-28 2010-04-28 호이스트 방호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63U true KR20110010363U (ko) 2011-11-03

Family

ID=7288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50U KR20110010363U (ko) 2010-04-28 2010-04-28 호이스트 방호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3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347A (ko) 2019-07-11 2021-01-20 한선아 개구부 방호울
KR20210000186U (ko) 2019-07-15 2021-01-25 박종화 호이스트용 방호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347A (ko) 2019-07-11 2021-01-20 한선아 개구부 방호울
KR20210000186U (ko) 2019-07-15 2021-01-25 박종화 호이스트용 방호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683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장치
CN210561776U (zh) 一种桥梁防撞护栏外挂平台
TWI635998B (zh) 人員升降機安全防護裝置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JP3195041U (ja) 枠組足場用の跳出しブラケット、該跳出しブラケットを用いた枠組足場構造体、及び枠組足場用のベランダブラケット、該ベランダブラケットを用いた枠組足場構造体
CA2918831C (en) Overhead conveying device having a securing element
KR20090025737A (ko)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KR20110010363U (ko) 호이스트 방호울
KR20100059267A (ko) 가이딩용 와이자형 커넥터를 이용한 철골보 조립방법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JP2010196403A (ja) 先行手摺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KR20120008001U (ko)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20120004756U (ko) 시스템비계
KR20120097839A (ko)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40045474A (ko) 개구부 난간대
CN203846841U (zh) 一种输电线铁塔及其休息平台
CN113309002A (zh) 轻型移动式可拼装桥梁检修吊篮
KR101250709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KR101277515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ITUB20150688A1 (it) Dispositivo di guida per transenne provvisorie di ponteggi
CN204571249U (zh) 升降机接料平台装配模块及其升降机接料平台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