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724A -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724A
KR20110009724A KR1020107028785A KR20107028785A KR20110009724A KR 20110009724 A KR20110009724 A KR 20110009724A KR 1020107028785 A KR1020107028785 A KR 1020107028785A KR 20107028785 A KR20107028785 A KR 20107028785A KR 20110009724 A KR20110009724 A KR 20110009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inhaler
housing
chemical
suction
medic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182B1 (ko
Inventor
데쯔야 사또
도루 니시바야시
유스께 오가와
다까아끼 나까오
신따로 아다찌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2Particle size control by flow deviation causing inertial separation of transported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진탕 조작이 불필요해, 효율적으로 조작 가능한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분말 흡입기는 흡입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분말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소정량의 분말 약제를 받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가지며 수용부로부터 분말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 위치와 흡입구로부터 흡인 가능한 흡인 위치를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인 약제 반송부와, 수용부에 마련되어 수용되는 분말 약제를 뒤섞는 교반 부재와, 하우징에 마련되어 초기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조작 버튼이 초기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를 왕복할 때에 약제 반송 부재의 오목부가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교반 부재가 동작한다.

Description

분말 흡입기 {POWDER INHALER}
본 발명은 분말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분말 흡입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분말 흡입기는 수용된 분말 약제를,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 시에 흡입기의 조작 버튼을 누르면, 정량의 분말 약제가 흡인 위치에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흡기하면, 정량의 분말 약제를 흡인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2008/1744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분말 흡입기에서 사용되는 분말 약제는 유동성이 나쁘거나 또는 굳어지기 쉬우므로, 사용 시에는 일단 흡입기를 진탕시킨다고 하는 사전 처리가 필요했다. 그로 인해, 이 조작이 환자에게 있어서는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진탕 조작이 불필요해, 효율적으로 조작 가능한 편리성이 높은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분말 흡입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흡입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분말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소정량의 분말 약제를 받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말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인 가능한 흡인 위치를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인 약제 반송 부재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수용되는 분말 약제를 뒤섞는 교반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초기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버튼이 초기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를 왕복할 때에 상기 약제 반송 부재의 오목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교반 부재가 동작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에 분말 약제를 뒤섞는 교반 부재, 및 약제를 흡인 가능한 위치로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의 누름 및 초기 위치로의 복귀 조작 중에, 교반 부재도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약제의 흡인을 행하기 전에, 수용된 약제를 뒤섞을 수 있어 약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목부에 정확한 양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확실하게 흡인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 약제 반송 부재는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약제 반송 부재가 이동해도 되고, 수용부가 이동해도 되고, 이 상대 이동 동안에 오목부가 수납 위치와 흡인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조작 버튼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조작 버튼이 초기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이동할 때에, 교반 부재가 회전되는 한편, 누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할 때에, 약제 반송 부재의 오목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약제가 흡인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약제가 뒤섞이게 되므로, 이동 전의 약제의 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음의 조작에 대비하여, 약제가 흡인 위치로 이동한 후에 교반 부재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기에 있어서, 수용부로부터 소정량의 약제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수용부에 분말 약제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약제 반송 부재에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수납 위치에서 배출구를 막도록 하고, 오목부가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배출구의 내벽면이 오목부에서 흘러나온 분말 약제를 긁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오목부에서 흘러나온 분말 약제를 긁어낼 수 있으므로, 오목부에는 소정량의 약제밖에 수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수용된 약제가 흡인 위치로 이동하므로, 조작 시에는 매회 동일한 양의 약제를 확실하게 계량하여 흡인할 수 있다.
이때, 약제 반송 부재에 있어서, 오목부보다도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배출구의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약제 반송 부재가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에, 돌출부에 의해 배출구 내의 약제를 회전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 내에 약제를 수용하기 쉬워진다. 돌출부의 형상 및 수는 특별하게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정육면체 형상의 돌출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반 부재는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회전축과, 이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의 회전에 의해 분말 약제를 뒤섞을 수 있다.
또한, 교반 부재를,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로 구성한 경우, 날개의 적어도 1개가 배출구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출구의 근방에서 날개가 이동하므로, 분말 약제를 날개에 의해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어, 분말 약제를 확실하게 약제 반송 부재의 오목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날개의 이동 범위는 배출구와 대응하는 범위 내라도 되고, 배출구와 대응하는 범위 밖에서 배출구 위를 통과하도록 이동시켜도 된다.
약제 반송 부재는, 다양한 기구로 수용부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수납 위치와 흡인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운동을 하면서 왕복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혹은, 약제 반송 부재는 수용부에 대하여 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수납 위치와 흡인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해 두고, 차례로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약제 반송 부재에 상술한 돌출부를 마련하는 경우, 돌출부가 배출구의 내벽면, 수용부 또는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돌출부가 출몰 가능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시에 분말 약제를 풀기 위한 진탕 조작이 불필요해져,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캡이 열려졌을 때의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말 흡입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및 그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 및 약제 반송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의 흐름을 추찰(推察)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반송 부재의 하면측으로부터 본 왕복 회전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반송 부재의 왕복 회전 운동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반송 부재의 왕복 회전 운동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반송 부재의 왕복 회전 운동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분말 흡입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이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 도 2는 캡이 열려졌을 때의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기는 박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마우스피스(흡입구)(11)가 마련된 하우징(1)과, 마우스피스(11)를 덮는 투명한 캡(2)을 구비하고 있다. 캡(2)은 하우징(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1)를 덮는 초기 위치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1)를 노출시켜 환자가 입에 물 수 있는 사용 위치 사이를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에 있어서, 캡(2)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는 조작 버튼(3)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분말 약제의 흡인 경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분말 흡입기에서는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원형의 컵 형상의 수용부(4)에 분말 약제가 수용된다. 그리고 분말 약제는 수용부(4)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41)(도 7 내지 도 11을 참조)로부터 배출되어, 배출구(41)의 하부측에 배치된 약제 반송 부재(5)에 의해 흡인 위치로 이동된다. 흡인 위치는 마우스피스(11)와 연통하는 하우징(1) 내의 유로(S) 위에 있으며, 환자가 마우스피스(11)를 입에 물고 흡기하면, 분말 약제가 유로(S)를 통과하여 환자에게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수용부(4)와 약제 반송 부재(5)의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이 분말 흡입기의 일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a) 및 그 동작 설명도 (b) 내지 (e), 도 6은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수용부(4)에는 원형의 교반 부재(7)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 교반 부재(7)는 분말 약제를 뒤섞기 위한 것이며, 수용부(4)의 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링 형상 프레임(71)과, 수용부(4)의 바닥부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72)을 구비하고, 이들이 4개의 막대 형상의 날개(7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4개의 날개(73)는 회전축(7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링 형상 프레임(7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 형상 프레임(71)의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교반 부재(7)는 조작 버튼(3)의 누름 조작에 수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우선 조작 버튼(3)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버튼(3)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 내에 마련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압박되어, 마우스피스(11)의 측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 내에 배치된 부분은 래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래크(31)가 제1 기어(32)에 맞물려 있다. 또한, 이 제1 기어(32)와 동일 축 형상으로, 제2 기어(33)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제2 기어(33)가 링 형상 프레임(71)의 기어와 맞물려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32)는 조작 버튼(3)의 래크(31)와 맞물리는 기어부(321)와, 이것과 동일 축에 연결되어 제2 기어(33)에 결합하는 원 형상의 결합부(3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22)는 외주의 대향하는 두 군데에,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결합편(322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기어(33)에는 제1 기어(32) 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33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331)가 상술한 제1 기어(32)의 결합부(322)의 각 결합편(3221)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교반 부재(7)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조작 버튼(3)을 스프링에 저항하여 누르면, 래크(31)와 제1 기어(32)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1 기어(32)가 회전한다. 이때,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32)의 회전에 의해 각 돌출부(331)가 각 결합편(3221)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밀어내어져, 각 돌출부(331)와 함께 제2 기어(33)가 회전한다. 이로써, 제2 기어(33)와 맞물리는 교반 부재(7)가 수용부(4) 내에서 회전한다. 한편, 조작 버튼(3)이 누름 위치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제1 기어(3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지만, 각 돌출부(331)는 각 결합편(3221)과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2 기어(33)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32)가 역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각 돌출부(331)가 각각 다른 한쪽의 결합편(3221)과 접촉하지만, 역회전이 진행되면 각 결합편(3221)은 각 돌출부(331)에 의해 지름 방향 내측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각 돌출부(331)는 탄성 변형되는 각 결합편(3221)을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타고 넘어, 도 5의 (e)에 도시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위치가 초기 위치가 되어, 다시 조작 버튼이 눌려지면, 각 돌출부(331)는 각 결합편(3221)에 의해 눌려져 제2 기어(33)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조작 버튼(3)의 동작 중, 교반 부재(7)는 한방향으로만 약 90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교반 부재(7)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4) 내의 분말 약제는 4개의 날개(73)에 의해 뒤섞이게 되어 덩어리를 풀 수 있다. 이 밖에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2 기어(33)는 카운터용의 기어와 맞물려 있다. 카운터는 조작 버튼(3)을 누른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며, 제2 기어(33)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카운터의 숫자가 1개씩 줄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운터의 숫자는 하우징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교반 부재(7)를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구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기구라도 좋다. 또한, 교반 부재(7)의 1회의 회전 각도는 90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약제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때, 회전 각도는 기어(32, 33)의 감속비, 조작 버튼(3)의 누름 스트로크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수용부로부터 유로로의 약제의 공급에 대해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시도, 도 12는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a) 및 약제 반송 부재의 평면도 (b), 도 13은 약제의 흐름을 추찰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4)의 바닥면에는 중심을 사이에 두는 2 군데에 원호 형상의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각 배출구(41)는 주위 방향으로 약 90도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교반 부재(7)의 날개(73) 중 적어도 1개는 배출구(41) 위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날개(73)의 회전에 의해 분말 약제를 배출구(41) 내로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4)의 하부측에는 배출구(41)를 막도록, 원형의 약제 반송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약제 반송 부재는 수용부와 동일 축에 배치되어, 왕복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왕복 회전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반송 부재(5)에 있어서, 배출구(41)로부터 면한 영역에는, 2개의 부위에 반구 형상의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51)는 환자가 1회의 흡인에 필요한 분말 약제의 필요량이 계량 가능한 용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오목부(51)는 주위 방향을 따라 약 9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51)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약 45도 떨어진 위치에는 분말 약제를 밀어내기 위한 돌출부(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돌출부(52)는 약제 반송 부재(5)의 중심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52)는 각각 인접하는 2개의 돌출편(521)(도 9 및 도 10 참조)으로 이루어져,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편(521)은 귀퉁이부(corner)가 주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양자는 지름 방향으로 약간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오목부(51) 및 돌출부(52)는 약제 반송 부재(5)가 회전할 때에 상기 배출구(41)로부터 수용부(4) 내를 향하도록 배출구(41)를 따라 회전한다. 이때, 돌출부(52)는 회전의 전후에 있어서, 항상 배출구(41) 내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나, 오목부(51)는 도 9에 도시한 약제의 수취 위치에 있어서는 배출구(41)로부터 노출되어 있지만, 도 10, 도 11과 약제 반송 부재(5)의 회전이 진행되면, 배출구(41)를 통과하여 수용부(4)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된다. 이 위치가 분말 약제를 흡인 가능한 흡인 위치가 된다.
약제 반송 부재(5)와 수용부(4)의 위치 관계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도 10의 상태에서는 오목부(51)가 배출구(41)로부터 노출되는 위치로부터, 수용부(4)의 바닥면의 하부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여기에서, 약제 반송 부재(5)의 표면과 배출구(41) 측벽면(411)의 하단 가장자리는 접촉하고 있다. 그로 인해, 약제 반송 부재(5)가 회전하면, 배출구(41) 측벽면(411)의 하단 가장자리는 약제 반송 부재(5)의 표면에 있는 분말 약제를 긁어내어 간다. 이로써, 오목부(51)로부터 흘러나와 있는 분말 약제는 긁어내어져서, 오목부(51)에는 정량의 분말 약제가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부(4)의 하부측, 즉 흡인 위치로 이동해 간다. 이때, 돌출편(521)은 회전에 수반하여 분말 약제를 회전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말 약제를 확실하게 오목부(51) 측으로 밀어서 보내는 동시에, 분말 약제의 뒤섞음 역할도 한다. 또, 양 돌출편(521)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그 간극을 약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약제가 한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돌출편(521)의 귀퉁이부를 주위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약제가 돌출부(52)에 막히게 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돌출편(521)의 측면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 약제 반송 부재(5)에는 2개의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의 오목부(51)가, 조작 버튼(3)이 눌려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까지의 동안에, 배출구(41)로부터 노출되는 약제의 수취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한다. 다른 쪽의 오목부(51)는 이 동작 사이에 흡인 위치로부터 수취 위치로 이동하고, 다음의 버튼 조작 시의 약제 공급에 대비한다.
계속해서, 약제 반송 부재의 왕복 회전 기구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약제 반송 부재의 하면측으로부터 본 왕복 회전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15 내지 도 17은 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3)의 하면에는 판 형상의 기판(61)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조작 버튼(3)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 기판(61)도 이동한다. 기판(61)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구동 레버(62)가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동 레버(62)의 일단부에는 돌출부(6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621)가 기판(61)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관통 구멍(611)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로써, 구동 레버(62)의 요동 범위가 제한된다. 또한, 구동 레버(62)의 일단부에는 스프링(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구동 레버(62)의 타단부에도 돌출부(6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622)는 약제 반송 부재(5)의 하면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53)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약제 반송 부재(5)의 주연에는 절결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54)에는 하우징(1) 내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돌기편(12)이 결합되어 있다. 이 돌기편(12)의 결합에 의해, 약제 반송 부재(5)는 조작 버튼(3)이 눌려져 있는 동안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61)에는 돌기편(12)을 향해 돌출하는 해제 볼록부(6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 버튼(3)이 눌려졌을 때에, 돌기편(12)을 밀어내어 절결부(54)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왕복 회전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부터 조작 버튼(3)을 누르면,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61)도 눌려져 이에 수반하여 구동 레버(62)가 요동한다. 이때, 약제 반송 부재(5)는 돌기편(1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는 일 없이 구동 레버(62)의 타단부의 돌출부(622)는 약제 반송 부재(5)의 가이드 구멍(53)을 따라서 이동할 뿐이다. 그리고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3)이 완전히 눌려진 상태에서는 기판(61)의 해제 볼록부(613)가 상술한 돌기편(12)을 밀어내어 절결부(54)와 돌기편(12)과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약제 반송 부재(5)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구동 레버(62)의 타단부의 돌출부(622)는 가이드 구멍(53)의 일단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버튼(3)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레버(62)의 타단부의 돌출부(622)가 조작 버튼(3)의 이동과 함께, 약제 반송 부재(5)를 끌어당겨 회전시킨다. 이로써, 한쪽 오목부(51)가 수취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오목부(51)가 흡인 위치로부터 수취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 버튼(3)이 초기 위치로 복귀했을 때에는 하우징(1)의 돌기편(12)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다시 상기와는 다른 절결부(54)와 결합하여 약제 반송 부재(5)를 고정한다.
계속해서, 다시 조작 버튼(3)을 누르면,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레버(62)의 타단부가 가이드 구멍(53)을 따라 그 타단부까지 이동하지만, 약제 반송 부재(5)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조작 버튼(3)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면,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레버(62)의 타단부가 가이드 구멍(53)의 타단부를 끌어당겨 약제 반송 부재를 회전시킨다. 이 결과, 약제 반송 부재는 도 14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의 회전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회 전의 버튼 조작 시와는 반대의 회전이다. 이와 같이, 버튼 조작을 행하면, 1회마다 약제 반송 부재(5)의 회전 방향이 다르게 되어, 그 결과 왕복 회전 운동을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말 흡입기의 동작에 대해 정리하면, 환자가 약제를 흡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캡(2)을 제거하여 마우스피스(11) 및 조작 버튼(3)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조작 버튼(3)을 누르면, 누를 때에 교반 부재(7)가 회전하여 수용된 약제가 뒤섞이게 된다. 이로써, 약제의 막힘이 방지된다. 그리고 조작 버튼(3)이 눌림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수취 위치로부터 오목부(51)가 분말 약제를 수용하면서 흡인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환자가 마우스피스(11)를 입에 물고 흡기하면, 오목부(51)의 분말 약제가 유로(S)를 통과하여 마우스피스(11)를 통해 흡인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1)에 분말 약제를 뒤섞는 교반 부재(7), 및 약제를 흡인 가능한 위치로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 버튼(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3)의 누름 및 초기 위치로의 복귀 조작 중에, 교반 부재도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약제의 흡인을 행하기 전에, 수용된 분말 약제를 뒤섞을 수 있어 약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목부(51)에 정확한 양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확실하게 흡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분말 흡입기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분말 흡입기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교반 부재(7) 및 약제 반송 부재(5)의 구동 기구와, 카운터의 구동 기구이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이들의 설명을 행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이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이 분말 흡입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측면도, 도 23은 도 21의 사시도이다.
우선, 교반 부재(7)의 회전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버튼(3)은 하우징(1)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압박되어, 마우스피스(11)의 측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1) 내에 배치된 부분에는 래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래크(31)가 제3 기어(35)에 맞물려 있다. 또한, 제3 기어(35)와 동일 축에, 이것보다도 지름이 큰 제4 기어(3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기어(36)는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3 기어(35)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4 기어(36)는 하우징(1)의 후단부 측에 설치된 제5 기어(37)에 맞물려 있다. 이 제5 기어(37)에는 동일 축 형상으로 제6 기어(38)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6 기어(38)는 제5 기어(37)보다도 지름이 크고, 링 형상 프레임(71)의 기어와 맞물려 있다.
제5 기어(37)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기어(32)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즉, 제5 기어(37)는 제4 기어(36)와 맞물리는 기어부(371)와, 이것과 동일 축에 연결되어 제6 기어(38)에 결합하는 결합부(372)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372)는 축부(3721)와, 그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원호 형상의 2개의 결합편(37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결합편(3722)은 상하 방향[제6 기어(38) 방향으로]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주위 방향의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6 기어(38)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기어(33)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5 기어(37) 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38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381)가 상술한 제5 기어(37)의 각 결합편(3722)의 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조작 버튼(3)이 왕복 이동하면, 이에 의해 제3, 제4 및 제5 기어(35, 36, 37)는 왕복 회전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제2 기어(33)와 마찬가지로, 제6 기어(38)는 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링 형상 프레임(71)도 한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조작 버튼(3)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교반 부재(7)는 한방향으로 회전하여 약제를 교반한다.
계속해서, 약제 반송 부재의 왕복 회전 기구에 대해 도 24,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이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이다.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3)의 하면에는 판 형상의 기판(65)이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하우징(1)의 후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버튼(3)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 기판(65)도 이동한다. 기판(65)에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동 레버(66)가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동 레버(66)의 마우스피스 측의 단부에는 스프링(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구동 레버(66)의 타단부에는 돌출부(6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662)는 하우징(1)의 후단부 측에 배치된 회전 레버(8)에 결합하고 있다. 이 회전 레버(8)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면에는 구동 레버(66)의 돌출부(662)가 결합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레버(8)의 약제 반송 부재(5) 측의 측면의 일부에는 기어(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기어가 약제 반송 부재(5)의 바닥면에 형성된 기어와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 레버(8)의 회전에 의해, 약제 반송 부재(5)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조작 버튼(3)의 왕복 이동에 의해 도 14 내지 도 16과 마찬가지로, 1회마다 약제 반송 부재(5)의 회전 방향이 다르게 되어, 그 결과 왕복 회전 운동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구멍(81)을 갖는 회전 레버(8)를 별도로 마련하여, 약제 반송 부재(5)로의 동력 전달을 가능한 한 동일 평면화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비교하여 약제 반송부(5)의 동작 시의 비틀림을 없앰으로써, 마찰에 의한 힘의 손실을 적게 하고 있다. 덧붙여서, 구동 레버(66)의 지지점과 돌출부(662)와의 거리를 제1 실시 형태의 기구에 비해 길게 하고 있다. 그로 인해, 구동 레버(66)의 요동 각도가 작아져 힘의 손실이 적어지고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레버(66)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의 전달률이 좋아져, 약제 반송 부재(5)의 회전을 더욱 작은 힘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카운터의 구동 기구에 대해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은 이 분말 흡입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마우스피스 측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는 1의 자리 숫자가 인쇄된 원판 형상의 제1 계수부(91)와, 10의 자리 및 100의 자리 숫자가 인쇄된 원판 형상의 제2 계수부(9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계수부(91)의 표면에는 0 내지 9의 숫자가 주위 방향을 따라 인쇄되고, 제2 계수부(92)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1 내지 20의 숫자가 주위 방향을 따라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카운터에서는 1 내지 200까지를 카운트할 수 있다. 단, 카운터의 숫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대 표시치 그 이상으로 카운트할 수 있으면 좋다. 그리고 이들의 숫자가 하우징에 마련된 창에서 노출되어 남은 사용 횟수를 표시한다. 또한, 이들 계수부(91, 92)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계수부(91)가 1회전할 때마다, 제2 계수부(92)의 숫자가 1개 카운트 다운되도록 기어비가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제3 기어(35)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결합편(39)이, 제1 계수부(91)의 주연을 따라 마련된 돌기부(911)와 결합하고 있다. 이 결합편(39)은 제5 기어(37)에 마련된 것과 거의 동일하며, 조작 버튼(3)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결합편(39)이 왕복 회전해도, 제1 계수부(91)는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3)이 눌려졌을 때에, 결합편(39)을 지나 제1 계수부(91)는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1의 자리 숫자가 카운트 다운된다. 그리고 제1 계수부(91)가 1회전했을 때에, 제2 계수부(92)가 소정 각도 회전하고, 10의 자리 또는 100의 자리 숫자가 1개 카운트 다운되고, 남은 사용 횟수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버튼(3)의 누름 및 초기 위치로의 복귀 조작 중에, 교반 부재(7)도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약제의 흡인을 행하기 전에 수용된 분말 약제를 뒤섞을 수 있어 약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막대 형상의 날개(73)에 의해 약제를 교반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별도로 또는 이것 대신에 스크류형의 날개를 마련하여,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도 있다. 또한, 날개의 매수를 늘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회의 조작으로 배출구 상부를 통과하는 날개의 수를 늘릴 수 있어 교반 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도 있다. 즉, 날개의 형상이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약제의 성질에 맞추어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날개(73)는 수용부(4)에 있어서, 약제 반송 부재(5)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용부(4)에 수용된 약제 중, 약제 반송 부재(5)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약제가 교반되면서 배출구(41)를 통해 약제 반송 부재(5)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교반 부재(7)와 같이 날개가 4개인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4)를 가리는 호퍼 캡(45)(도 3, 도 19 참조)에 두께를 갖게 함으로써, 수용부의 체적을 조절하고, 약제의 교반 및 수납 위치에 있는 약제 반송 부재(5)의 오목부(51)로의 배송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운터는 상기와 같은 수치를 표시하는 타입 이외에, 잔량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여도 된다. 또한, 하우징 안에는 건조제를 보유 지지해도 좋다.
또한, 약제 반송 부재, 수용부, 교반 부재, 기어, 마우스피스 등의 약제와의 접분부 또는 부품끼리의 미끄럼 이동부에는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예를 들어 카본 등의 도전성 필러나 화학계의 화합물)를 더하여 도전성을 부여하고, 정전기를 누설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도전성을 부여하는 부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하우징
3 : 조작 버튼
4 : 수용부
41 : 배출구
5 : 약제 반송 부재
51 : 오목부
52 : 돌출부
7 : 교반 부재

Claims (8)

  1. 흡입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분말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소정량의 분말 약제를 받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말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인 가능한 흡인 위치를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인 약제 반송 부재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수용되는 분말 약제를 뒤섞는 교반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초기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 버튼이 초기 위치와 누름 위치 사이를 왕복할 때에, 상기 약제 반송 부재의 오목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교반 부재가 동작하는, 분말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교반 부재가 회전되는 한편, 상기 누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약제 반송 부재의 오목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이동하는, 분말 흡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분말 약제의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약제 반송 부재는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상기 배출구를 막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흡인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배출구의 내벽면이 상기 오목부로부터 흘러나온 분말 약제를 긁어내는, 분말 흡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반송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약제 반송 부재의 이동 중,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 뒤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분말 흡입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를 갖는, 분말 흡입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를 가지며, 상기 날개의 적어도 1개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말 흡입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반송 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수납 위치와 흡인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분말 흡입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반송 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 위치와 흡인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분말 흡입기.
KR1020107028785A 2008-05-23 2009-05-22 분말 흡입기 KR101519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5494 2008-05-23
JP2008135494 2008-05-23
PCT/JP2009/059463 WO2009142306A1 (ja) 2008-05-23 2009-05-22 粉末吸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24A true KR20110009724A (ko) 2011-01-28
KR101519182B1 KR101519182B1 (ko) 2015-05-11

Family

ID=4134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785A KR101519182B1 (ko) 2008-05-23 2009-05-22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8875703B2 (ko)
EP (1) EP2279772B1 (ko)
JP (1) JP4785987B2 (ko)
KR (1) KR101519182B1 (ko)
CN (1) CN102036706B (ko)
AR (1) AR071878A1 (ko)
AU (1) AU2009250438B2 (ko)
BR (1) BRPI0913038A2 (ko)
CA (1) CA2723865C (ko)
CL (1) CL2009001266A1 (ko)
CO (1) CO6310967A2 (ko)
EG (1) EG26620A (ko)
ES (1) ES2614888T3 (ko)
IL (1) IL208944A (ko)
MX (1) MX2010012729A (ko)
MY (1) MY152647A (ko)
NZ (1) NZ588881A (ko)
PE (1) PE20100117A1 (ko)
PL (1) PL2279772T3 (ko)
RU (1) RU2501577C2 (ko)
TW (1) TWI543784B (ko)
UA (1) UA99656C2 (ko)
WO (1) WO2009142306A1 (ko)
ZA (1) ZA201007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3288S1 (en) * 2012-12-13 2015-06-30 Interquim, S.A. Inhalator
USD739522S1 (en) * 2013-06-06 2015-09-22 Lupin Atlantis Holdings Sa Inhaler
AU356657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AU356658S (en) * 2014-01-28 2014-07-29 Lupin Ltd Inhaler
CA173518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WO2018015712A1 (en) 2016-07-22 2018-01-2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USD1011513S1 (en) * 2021-03-30 2024-01-16 Cf Pharmtech, Inc.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7941A (en) * 1977-11-02 1979-12-11 Inter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Metering device
US5176132A (en) * 1989-05-31 1993-01-05 Fisons Plc Medicament inhalation device and formulation
US6029661A (en) * 1991-08-26 2000-02-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wder dispenser
NZ322422A (en) 1995-12-07 2000-02-28 Jago Pharma Ag Inhalator designed to provide multiple doses of a dry pharmacological powder
SE9700937D0 (sv) * 1997-03-14 1997-03-14 Astra Ab Powder inhaler I
FI990915A0 (fi) * 1999-04-23 1999-04-23 Orion Yhtymae Oyj Jauheinhalaattori
JP2003509172A (ja) * 1999-09-17 2003-03-11 オリオン コーポレーション 水分保護型粉末吸引器
US6926003B2 (en) * 1999-12-07 2005-08-09 Orion Corporation Multidose powder inhaler
WO2001095962A1 (fr) 2000-06-12 2001-12-20 Teijin Limited Dispositif d'administration de doses de poudre medicale multiples
FI20010538A0 (fi) * 2001-03-16 2001-03-16 Orion Corp Jauheinhalaattori
DE10129703A1 (de) * 2001-06-22 2003-01-02 Sofotec Gmbh & Co Kg Zerstäubungssystem für eine Pulvermischung und Verfahren für Trockenpulverinhalatoren
EP1522324B1 (en) * 2002-07-16 2012-10-10 Teijin Limited Method and device of producing multiple doser for powdered medicine
MXPA04005500A (es) * 2002-10-11 2005-09-08 Otsuka Pharma Co Ltd Dispositivo para inhalacion de polvo.
ITMO20030229A1 (it) * 2003-08-07 2005-02-08 Roberto Oliva Inalatore per preparati in polvere.
MY147787A (en) 2006-06-27 2013-01-31 Otsuka Pharma Co Ltd Powder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306A1 (ja) 2009-11-26
EP2279772A4 (en) 2014-04-02
US8875703B2 (en) 2014-11-04
CO6310967A2 (es) 2011-08-22
BRPI0913038A2 (pt) 2020-08-18
UA99656C2 (en) 2012-09-10
JP4785987B2 (ja) 2011-10-05
KR101519182B1 (ko) 2015-05-11
PL2279772T3 (pl) 2017-08-31
PE20100117A1 (es) 2010-03-03
AU2009250438B2 (en) 2013-09-12
CA2723865A1 (en) 2009-11-26
CL2009001266A1 (es) 2010-06-11
AR071878A1 (es) 2010-07-21
RU2501577C2 (ru) 2013-12-20
JPWO2009142306A1 (ja) 2011-09-29
US20110067696A1 (en) 2011-03-24
ES2614888T3 (es) 2017-06-02
MX2010012729A (es) 2010-12-07
NZ588881A (en) 2012-04-27
CA2723865C (en) 2016-07-05
MY152647A (en) 2014-10-31
CN102036706B (zh) 2013-02-27
EG26620A (en) 2014-04-08
ZA201007685B (en) 2012-01-25
TW201010749A (en) 2010-03-16
EP2279772B1 (en) 2016-12-14
EP2279772A1 (en) 2011-02-02
AU2009250438A1 (en) 2009-11-26
CN102036706A (zh) 2011-04-27
TWI543784B (zh) 2016-08-01
IL208944A0 (en) 2011-01-31
RU2010152621A (ru) 2012-06-27
IL208944A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9724A (ko) 분말 흡입기
KR101335333B1 (ko) 분말흡입기
JP3830972B2 (ja) 粉体薬剤吸入器
KR100581385B1 (ko) 분말 흡입기
CA2750689C (en) Passive inhaler with blister strip
US7819285B2 (en) Counter mechanism of feeding device and feeding device using such counter mechanism
JP4423457B2 (ja) ディスペンサおよび投与装置用表示装置
FI104236B (fi) Inhalaatiolaite
JP2007289716A (ja) 薬剤吸入器
JP2009508614A (ja) 粉末吸入器用の機械的な投与量カウンタ
JP2015517366A (ja) 流動体ディスペンサ装置
CN103052417B (zh) 干粉末吸入器
KR20170039791A (ko) 분말 흡인기
CN103052418A (zh) 干粉末吸入器
CN209933727U (zh) 一种吸入器用的剂量计数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