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791A - 분말 흡인기 - Google Patents

분말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791A
KR20170039791A KR1020150138487A KR20150138487A KR20170039791A KR 20170039791 A KR20170039791 A KR 20170039791A KR 1020150138487 A KR1020150138487 A KR 1020150138487A KR 20150138487 A KR20150138487 A KR 20150138487A KR 20170039791 A KR20170039791 A KR 2017003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unit
cartridge
moving memb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283B1 (ko
Inventor
오지영
김인호
구자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더블유메디팜
Priority to KR102015013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2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1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 A61M15/001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inhalation check valves located downstream of the dispenser, i.e. traversed by the produ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카트리지와, 이동부재와, 회전운동유닛과, 직선운동유닛과, 토출부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본체부에 장착되며, 분말을 수용한다. 이동부재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말 중 전달되는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카트리지로부터 분말을 전달받는 제1위치와 수용홈에 수용된 분말을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한다. 회전운동유닛은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직선운동유닛은 일단부에서는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고, 타단부에서는 이동부재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직선이동시킨다. 토출부는 제2위치로 이동된 이동부재로부터 배출된 분말을 외부로 토출한다.

Description

분말 흡인기{Powder aspirator}
본 발명은 분말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천식 환자 등이 휴대하면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 분말 약제를 흡인할 수 있도록 휴대하기 간편하고 사용 및 조작이 편리한 분말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각종 공해와 오염으로 현대인들은 기관지 천식, 아토피 등 문명병으로 불리는 질병에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로 심신의 안정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건강증진 및 담배 등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문화를 대체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아로마나 의약품 등을 언제 어디서든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그 유익을 얻을 수 있도록 휴대용 흡입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종래의 흡입기들을 살펴보면, 물을 알코올 램프 또는 전열을 사용하여 끓인 다음 가는 관에서 분출하는 수증기와 압력으로 용기에서 약액을 끌어올려 분사시킴으로 그것을 구강을 통해 흡입시키는 액체 흡입기, 약물의 미세한 분말을 미립자로 하여 분사시키는 분말 흡입기, 산소를 고압으로 저장시켜 조절기, 고무관, 마스크 등을 사용하여 흡입하는 산소 흡입기 등이 있다.
그러나, 액체 흡입기는 1회의 용량만 분무가능하여 여러 번 약제나 아로마와 같은 내용물을 교체해 주어야 하고, 분사와 동시에 흡입하여야 하며, 흡입은 천천히, 깊게, 오랫동안 흡입해야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한편, 분말 흡입기는 분말 형태의 약을 카트리지에 담아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시에 많은 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1회 흡입할 때마다 흡입하고자 하는 분말을 카트리지에 담아 사용해야 하므로 장기간 여행, 출장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분말 흡입기는 단순한 흡입 기능만 구현되는 제품이 대다수여서 환자의 복용 정보와 관련된 편의 기능이 거의 전무한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32662호(2010.03.26 공개, 발명의 명칭 : 휴대용 흡입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간 동안 복용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분말 약제를 수용할 수 있으며, 1회 흡인시 일정량의 분말 약제를 정량화하여 환자가 흡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여행, 출장 등의 일정에도 환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 및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분말 흡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말 흡인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분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말 중 전달되는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말을 전달받는 제1위치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분말을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운동유닛; 일단부에서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고, 타단부에서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직선이동시키는 직선운동유닛; 및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이동부재로부터 배출된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으로 분말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카트리지홀과,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에 수용된 분말이 상기 토출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2카트리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제1카트리지홀이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제2카트리지홀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왕복이동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제1카트리지홀과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과 상기 카트리지의 제2카트리지홀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배출된 분말이 수집되는 분말 수집홈과, 상기 분말 수집홈에 수집된 분말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입구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말 수집홈에서 상기 토출구로 진입하는 분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날개부는 복수의 날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입구 주위를 감싸면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전운동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되려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차단하고자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잠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결합홈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운동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봉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봉부재가 상기 가이드 관통부의 일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직선운동유닛이 전진하고,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봉부재가 상기 가이드 관통부의 타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직선운동유닛이 후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회전할 때마다 카운팅함으로써 사용자가 분말 흡인기를 사용한 횟수를 표시하는 사용횟수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분말을 흡인하기 전후를 식별하기 위한 흡인여부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부 표시부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운동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색 표시부와 제2색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 흡인기에 따르면, 장기간 여행, 출장 등의 일정에도 환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 및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 흡인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분말 약제를 과다 복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 흡인기에 따르면, 분말 약제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흡인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이동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를 왕복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토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잠금부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흡인여부 표시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흡인기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흡인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이동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를 왕복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토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잠금부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분말 흡인기의 흡인여부 표시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말 흡인기(100)는 천식 환자 등이 휴대하면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 분말 약제를 흡인할 수 있도록 휴대하기 간편하고 사용 및 조작이 편리한 것으로서, 본체부(110)와, 카트리지(120)와, 이동부재(130)와, 회전운동유닛(140)과, 직선운동유닛(150)과, 토출부(160)와, 탄성부재(170)와, 잠금부재(180)와, 사용횟수 표시부(191)와, 흡인여부 표시부(196)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후술할 카트리지(120), 이동부재(130), 회전운동유닛(140), 직선운동유닛(150) 등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공정 등을 통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분말(1)의 토출을 위하여 사용자가 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버튼부(10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120)는 본체부(110)에 장착되며, 분말(1)을 수용한다. 카트리지(120)에는 환자가 60일, 120일 등 장기간 동안 복용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분말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1회 흡인시 카트리지(120)에 수용된 분말(1) 중 일부가 토출되면서 환자는 일정량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20)는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분말 약제의 보충, 카트리지(120) 자체의 세정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30)는 카트리지(120)에 수용된 분말(1) 중 전달되는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홈(131)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부재(130)는 카트리지(120)로부터 분말(1)을 전달받는 제1위치(P1)와, 수용홈(131)에 수용된 분말(1)을 배출하는 제2위치(P2) 사이를 왕복 직선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130)가 제1위치(P1)에서는 환자가 1회 흡인시 복용할 일정량의 분말(1)을 카트리지(120)로부터 전달받아 수용홈(131)에 수용할 수 있다. 이후 후술할 직선운동유닛(150)에 의해 이동부재(130)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하면, 제2위치(P2)에서는 수용홈(131)에 수용된 분말(1)을 토출부(16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카트리지(120)와 이동부재(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카트리지(120)에는 제1카트리지홀(121)과, 제2카트리지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카트리지홀(121)은 이동부재의 수용홈(131)으로 분말(1)이 전달되도록 제1위치(P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카트리지홀(122)은 이동부재의 수용홈(131)에 수용된 분말(1)이 토출부(160)로 전달되도록 제2위치(P2)에 대응되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제1위치(P1)보다 토출부(160)에 더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이동부재(130)는, 이동부재(130)의 상측에 제1카트리지홀(121)이 배치되고, 이동부재(130)의 하측에 제2카트리지홀(122)이 배치된 상태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는 카트리지의 제1카트리지홀(121)과 이동부재의 수용홈(131)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되면서 카트리지(120) 내부에 수용된 분말(1) 중 일부가 카트리지(120)에서 수용홈(131)으로 전달되고, 제2위치(P2)에서는 이동부재의 수용홈(131)과 카트리지의 제2카트리지홀(122)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되면서 수용홈(131)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분말(1)이 토출부(160)의 분말 수집홈(161)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운동유닛(140)은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사용자가 버튼부(101)를 누르면, 회전운동유닛(140)이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직선운동유닛(15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유닛(150)은 일단부에서는 회전운동유닛(14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고, 타단부에서는 이동부재(130)를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직선이동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회전운동유닛(140)과 직선운동유닛(15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회전운동유닛(140)은 봉부재(142)를 포함하는데, 봉부재(142)는 회전축(C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회전축(C1)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운동유닛(150)의 일단부에는 이러한 봉부재(142)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관통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101)를 누르면 회전운동유닛(140)은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봉부재(142)가 가이드 관통부의 일단부(151a)를 가압하면서 직선운동유닛(150)이 전진할 수 있다. 직선운동유닛(150)이 전진하면서 이동부재(130)는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탄성부재(17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회전운동유닛(140)은 제1회전방향의 반대 방향(R2)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봉부재(142)가 가이드 관통부의 타단부(151b)를 가압하면서 직선운동유닛(150)이 후퇴할 수 있다. 직선운동유닛(150)이 후퇴하면서 이동부재(130)는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60)는 제2위치(P2)로 이동된 이동부재(130)로부터 배출된 분말(1)을 외부로 토출하며, 분말 수집홈(161)과, 토출구(162)와, 가이드 날개부(163)를 포함한다.
분말 수집홈(161)은 이동부재(130)로부터 배출된 분말(1)이 수집된다. 이동부재(130)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하면, 제2위치(P2)에서는 이동부재의 수용홈(131)과 카트리지의 제2카트리지홀(122)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되면서 수용홈(131)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분말(1)이 분말 수집홈(161)으로 전달될 수 있다.
토출구(162)는 분말 수집홈(161)에 수집된 분말(1)이 외부로 토출된다. 사용자의 입 내부에 집어넣고 분말(1)을 흡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날개부(163)는 토출구(162)의 입구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분말 수집홈(161)에서 토출구(162)로 진입하는 분말(1)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날개부(163)는 토출구(162)의 입구 주위를 감싸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에 의해 분말 수집홈(161)에 수집된 분말(1)은 복수의 날개부재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토출구(162)를 통해 사용자의 입 내부로 흡인될 수 있다. 분말(1)이 복수의 날개부재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통해 분말(1)은 보다 빠른 속도로 사용자의 입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분말 수집홈(161) 내부에 남겨지는 잔량 또한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회전운동유닛(140)을 탄성가압하여 회전운동유닛(140)을 초기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며, 본체부(110)와 회전운동유닛(140) 사이에 설치된다.
회전운동유닛(140)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 후술할 잠금부재(180)에 의해 회전운동유닛(140)이 구속되면, 탄성부재(170)는 제1회전방향과 반대 방향(R2)으로 회전운동유닛(140)에 탄성가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후, 잠금부재(180)가 풀리면 회전운동유닛(140)은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기 전인 초기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180)는 탄성부재(170)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되려는 회전운동유닛(140)의 회전운동을 차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회전운동유닛(140)은 걸림부재(141)를 포함하는데, 걸림부재(141)는 회전축(C1)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잠금부재(180)는 결합홈(181)과, 핀부재(182)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운동유닛(140)이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되면 회전운동유닛(140)은 탄성부재(170)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되려고 한다. 이때 걸림부재(141)가 잠금부재의 결합홈(181)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운동유닛(140)이 제1회전방향의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후, 회전운동유닛(140)을 다시 초기위치로 복원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핀부재(182)를 이용하여 잠금부재(180)를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부재(141)와 결합홈(181)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걸림부재(141)와 결합홈(181)의 결합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7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회전운동유닛(140)은 초기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운동유닛(140)의 걸림부재(141)와 잠금부재(180)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유닛(140)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은, 사용자가 이중으로 분말 약제를 흡인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잠금부재(180)에 의해 회전운동유닛(140)이 구속되지 않는다면, 자칫 사용자가 버튼부(101)를 2번 눌러서 복용해야 하는 정량의 2배가 토출부(160)에 수집되면서 잘못된 양의 분말 약제를 사용자가 흡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101)를 누르면 회전운동유닛(140)이 잠금부재(180)에 의해 구속되면, 사용자가 핀부재(182)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유닛(140)과 잠금부재(180)의 결합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카트리지(120)에서 토출부(160)로 분말(1)이 전달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분말 약제를 과다 복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횟수 표시부(191)는 사용자가 분말 흡인기(100)를 사용한 횟수를 표시한다. 회전운동유닛(140)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운동유닛(140)이 회전할 때마다 사용횟수 표시부(191)의 숫자가 1만큼 증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한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횟수 표시부(191)가 일의 자리를 표시하는 제1숫자표시부(191a)와 십의 자리를 표시하는 제2숫자표시부(191b)로 구성되어 있어 100 미만의 횟수까지 카운팅할 수 있으며, 숫자는 다시 초기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인여부 표시부(196)는 사용자가 분말(1)을 흡인하기 전인지 또는 후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흡인여부 표시부(196)는 제1색 표시부(196a)와 제2색 표시부(196b)를 구비하는데, 제1색 표시부(196a) 및 제2색 표시부(196b)는 회전운동유닛(14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1회전방향(R1)을 따라 회전운동유닛(140)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회전운동유닛(140)이 초기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색 표시부(196a)(예를 들어 녹색 표시부)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아직 분말(1)을 흡인하기 전인 상태를 알려주고,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운동유닛(196b)이 회전하여 잠금부재(18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는 제2색 표시부(196b)(예를 들어 적색 표시부)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분말(1)을 흡인한 후인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시적인 색깔의 구분으로써 사용자는 분말 약제의 흡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깜빡 잊고 분말 약제를 투여하지 않은 사태 또는 분말 약제를 과다 투여하는 사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말 흡인기는, 장기간 동안 복용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분말 약제를 수용할 수 있으며, 1회 흡인시 일정량의 분말 약제를 정량화하여 환자가 흡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여행, 출장 등의 일정에도 환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 및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말 흡인기는, 잠금부재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해 분말 약제를 과다 복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말 흡인기는, 분말 약제의 흡인 여부를 가시적인 색깔의 구분으로써 확인함으로써, 분말 약제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분말 흡인기
110 : 본체부
120 : 카트리지
130 : 이동부재
140 : 회전운동유닛
150 : 직선운동유닛
160 : 토출부

Claims (1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며, 분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말 중 전달되는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말을 전달받는 제1위치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분말을 배출하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운동유닛;
    일단부에서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전달받고, 타단부에서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직선이동시키는 직선운동유닛; 및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이동부재로부터 배출된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으로 분말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카트리지홀과,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에 수용된 분말이 상기 토출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2카트리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제1카트리지홀이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제2카트리지홀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왕복이동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제1카트리지홀과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이동부재의 수용홈과 상기 카트리지의 제2카트리지홀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배출된 분말이 수집되는 분말 수집홈과, 상기 분말 수집홈에 수집된 분말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의 입구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말 수집홈에서 상기 토출구로 진입하는 분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날개부는 복수의 날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입구 주위를 감싸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전운동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회전운동유닛을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되려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의 회전운동을 차단하고자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잠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결합홈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운동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봉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봉부재가 상기 가이드 관통부의 일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직선운동유닛이 전진하고,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봉부재가 상기 가이드 관통부의 타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직선운동유닛이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회전할 때마다 카운팅함으로써 사용자가 분말 흡인기를 사용한 횟수를 표시하는 사용횟수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분말을 흡인하기 전후를 식별하기 위한 흡인여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부 표시부는 상기 회전운동유닛이 사용자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운동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색 표시부와 제2색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인기.
KR1020150138487A 2015-10-01 2015-10-01 분말 흡인기 KR101736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87A KR101736283B1 (ko) 2015-10-01 2015-10-01 분말 흡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87A KR101736283B1 (ko) 2015-10-01 2015-10-01 분말 흡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791A true KR20170039791A (ko) 2017-04-12
KR101736283B1 KR101736283B1 (ko) 2017-05-17

Family

ID=5858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87A KR101736283B1 (ko) 2015-10-01 2015-10-01 분말 흡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57B1 (ko) * 2018-02-12 2019-05-30 뉴바이오(주) 컬러 콘택트렌즈 인쇄장치용 몰드지그 정렬기
WO2024053944A1 (en) * 2022-09-06 2024-03-14 Kt & G Corporation Inha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62A (ko) 2008-09-18 2010-03-26 이경범 휴대용 흡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62A (ko) 2008-09-18 2010-03-26 이경범 휴대용 흡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57B1 (ko) * 2018-02-12 2019-05-30 뉴바이오(주) 컬러 콘택트렌즈 인쇄장치용 몰드지그 정렬기
WO2024053944A1 (en) * 2022-09-06 2024-03-14 Kt & G Corporation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283B1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7897B (zh) 雾化器
CN104168940B (zh) 吸入装置
US9545487B2 (en) Dispenser with encoding means
EP1471961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nebulizing fluids
EP0573128B1 (en) Inhaler
EP2714280B1 (en) Nebulizer
CN102481405A (zh) 具有盖帽功能的药物输送系统和器械
KR101566305B1 (ko) 투약량 계수기 및 록아웃 메카니즘
EP2626098B1 (en) Modular aerosol delivery system
WO1995006491A2 (en) Controlled multi-pharmaceutical inhaler
CN102228725B (zh) 一种干粉给药装置
NO334546B1 (no) Inhalator med doseteller
CA2673478A1 (en) Dose counter mechanism
KR101736283B1 (ko) 분말 흡인기
KR20140116961A (ko) 약물 전달 장치
CN109621111B (zh) 一种呼吸致动吸入器
EP2806930A1 (en) Dose counting mechanism for an inhalation device and inhalation device
GB2429167A (en) Counting mechanism for inhaler
CN209301925U (zh) 一种由呼吸触发的气雾剂给药装置
CN209933727U (zh) 一种吸入器用的剂量计数组件
CN108421137A (zh) 一种气流触发药粉吸入装置
CN209933726U (zh) 一种呼吸致动吸入器
CN113289171A (zh) 一种吸入给药装置
US20120272953A1 (en) Portable universal inhaler system
JP6185565B2 (ja)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計数機構および薬物送達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