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13A - 일회용 구명의 - Google Patents

일회용 구명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13A
KR20110009613A KR1020100027237A KR20100027237A KR20110009613A KR 20110009613 A KR20110009613 A KR 20110009613A KR 1020100027237 A KR1020100027237 A KR 1020100027237A KR 20100027237 A KR20100027237 A KR 20100027237A KR 20110009613 A KR20110009613 A KR 2011000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protector
pumping
compressed ai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653B1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US13/386,127 priority Critical patent/US8845375B2/en
Priority to PCT/KR2010/004278 priority patent/WO2011010811A2/ko
Publication of KR2011000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사용하는 일회용 구명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몸통을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된 내피와 상기 내피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는 공기와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형 재질이고, 내피와 외피 사이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의 흐름 통로인 폐쇄된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외피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주머니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내장하고 있는 압축공기통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통은 제1연결부를 통해 개폐가능한 체크밸브와 연결되고 체크밸브는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 끝과 연결되며, 공기통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호스가 공기통로의 타측 끝에 연결되는 몸통보호부 및 상기 몸통보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열에 강한 투시창이 전방 눈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의 하측 내부에는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을 외부로만 배출하는 일방향 배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배기구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의해 상기 흡기호스가 고정되는 머리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보호부 및 머리보호부는 불연성 재질 또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 긴급상황에 적합하도록 휴대와 착용이 간편함과 별다른 교육없이도 사용자가 신속하게 사용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고, 일회용 구명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사용이 간단함으로써 실용적 가치가 높고, 화재시 유독 가스 및 연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함으로써 착용자의 탈출을 도와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구명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구명의{Onetime lifesaving clothes}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사용하는 일회용 구명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긴급상황에 적합하도록 휴대와 착용이 간편함과 별다른 교육없이도 사용자가 신속하게 사용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고, 일회용 구명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사용이 간단함으로써 실용적 가치가 높고, 화재시 유독 가스 및 연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함으로써 착용자의 탈출을 도와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구명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 및 연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고, 질식을 방지하여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본래 방독면은 전쟁터에서 상대방의 생화학 가스 살포 공격으로부터 병사들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로서 발전되어 왔으며, 위급상황에 따라 각종 형태의 방독면들이 개량 및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일반인이 많이 모여 있는 밀폐공간인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과, 백화점, 호텔, 극장 등의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착용하여 화재지역으로부터 탈출이 가능하며, 탈출에 적정한 시간 정도로만 활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구성되고, 일반시민들이 휴대하기가 용이한 간이 방독면에 대한 욕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긴급상황에 적합하도록 휴대와 착용이 간편함과 별다른 교육없이도 사용자가 신속하게 사용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고, 일회용 구명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사용이 간단함으로써 실용적 가치가 높고, 화재시 유독 가스 및 연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함으로써 착용자의 탈출을 도와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구명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체형이 작은 사람이 입었을 경우, 팔을 위로 걷어서 제2보조벨트로 조여줌으로써 체형이 작은 사람도 착용이 가능하며 자바라 형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엘이디 램프가 설치됨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방향 조작이 가능하여 착용자에게 시야 확보 및 길을 안내할 수 있는 일회용 구명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는, 착용자의 몸통을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된 내피와 상기 내피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는 공기와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형 재질이고, 내피와 외피 사이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의 흐름 통로인 폐쇄된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외피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주머니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내장하고 있는 압축공기통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통은 제1연결부를 통해 개폐가능한 체크밸브와 연결되고 체크밸브는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 끝과 연결되며, 공기통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호스가 공기통로의 타측 끝에 연결되는 몸통보호부; 및 상기 몸통보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열에 강한 투시창이 전방 눈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의 하측 내부에는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을 외부로만 배출하는 일방향 배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배기구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의해 상기 흡기호스가 고정되는 머리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보호부 및 머리보호부는 불연성 재질 또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는, 상기 몸통보호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착용자의 팔을 감싸 줄수 있도록 형성되며, 양쪽 팔에 벙어리 장갑이 부착된 팔보호부; 및 상기 몸통보호부의 하단 둘레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털이 덧대어 부착되며 신축성이 있는 허리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팔보호부 및 허리밴드는 불연성 재질 또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는 상기 투시창의 상측에는 엘이디 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몸통보호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주머니에 건전지 박스 또는 핸드폰 잭이 설치되고, 상기 건전지 박스 또는 핸드폰 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램프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개방됨으로써 압축공기통의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일방향으로 공기통로에 주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머리보호부는 외부재와 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 공기가 함입된 다수의 충격흡수공간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부위의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 프라스틱 재질의 안면보호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는 허리밴드의 후면에 난연성재질의 두 개의 제1보조벨트를 각각 부착하고 허리밴드 전면으로 제1보조벨트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허리밴드를 조여주고, 상기 팔보호부의 양쪽 팔부위에 제2보조벨트를 각각 부착하여 팔을 조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 배기구는 전면에 망이 설치되고 걸림턱에 안착된 고무판이 상기 망의 후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이 상기 망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들숨 또는 외부공기가 상기 고무판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들숨이 역류하지 않는 일방형 밸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통보호부는 압축공기통이 설치된 제1주머니의 내부 양측면에 압축공기통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주머니에는 펌핑부가 설치되고, 상기 펌핑부는, 흡기공과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펌핑부재; 일단부가 흡기공에 결합되며, 제1주머니 내측에 수납가능한 연장호스; 일단부가 배기공에 결합되는 제2 펌핑연결부; 제2 펌핑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펌핑부 체크밸브; 일단부가 펌핑부 체크밸브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끝단에 연결되는 제1 펌핑연결부; 및 연장호스 및 펌핑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판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 긴급상황에 적합하도록 휴대와 착용이 간편함과 별다른 교육없이도 사용자가 신속하게 사용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고, 일회용 구명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사용이 간단함으로써 실용적 가치가 높고, 화재시 유독 가스 및 연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함으로써 착용자의 탈출을 도와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구명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형이 작은 사람이 입었을 경우, 팔을 위로 걷어서 제2보조벨트로 조여줌으로써 체형이 작은 사람도 착용이 가능하며 자바라 형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엘이디 램프가 설치됨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방향 조작이 가능하여 착용자에게 시야 확보 및 길을 안내할 수 있는 일회용 구명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에 있어서, 제1주머니 및 제2주머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에 있어서, 머리보호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화재발생시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회용 구명의(100)는, 몸통보호부(110), 머리보호부(130), 팔보호부(150), 허리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보호부(110), 머리보호부(130), 팔보호부(150), 허리밴드(170)는 열에 강하고 얇고 가벼운 불연성 재질 또는 난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통보호부(110), 머리보호부(130), 팔보호부(150), 허리밴드(17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누구나 착용이 가능하도록 최대한 큰사이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보호부(110)는, 내피(111), 외피(112), 공기통로(113), 제1주머니(114), 압축공기통(115), 제1연결부(116), 체크밸브(117), 제2연결부(118), 흡기호스(119), 고정벨트(120), 제2주머니(121), 건전지 박스(122), 핸드폰 잭(123)을 포함한다.
몸통보호부(110)는, 착용자의 몸통을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된 내피(111)와 상기 내피(111)를 감싸는 외피(112)로 이루어지고, 내피(111)와 외피(112) 사이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의 흐름 통로인 폐쇄된 공기통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외피(112)는 반드시 공기와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비닐 등의 밀폐형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내피(111) 역시 공기와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외피(112)와 같은 비닐 등의 밀폐형 재질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에 있어서, 제1주머니 및 제2주머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12)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주머니(114)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내장하고 있는 압축공기통(115)이 설치되고, 제2주머니(121)에 건전지 박스(122) 또는 핸드폰 잭(123)이 설치된다.
또한, 제1주머니(114)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벨트(120)가 각각 부착되어 제1주머니(114)내에서 압축공기통(115)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통(115)이 설치됨에 따라 착용자에게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현장을 탈출하는 시간 동안 착용자는 호흡을 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통(115)에 연결된 제1연결부(116)와 공기통로(113)하측에 연결된 제2연결부(118)가 끼워지고, 압축공기통(115)에 체크밸브(117)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117)의 개폐에 따라 제2연결부(118)를 통해 압축공기 또는 산소가 공기통로(113)에 공급되고, 공기통로(113)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호스(119)가 공기통로(113)의 상측에 연결된다.
이때, 압축공기통(115)에는 제1연결부(116) 및 체크밸브(117)가 미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축공기통(115)의 압축공기 또는 산소가 다 소진되었을 때, 새로 구비된 압축공기통(115)의 제1연결부(116)와 제2연결부(118)를 끼워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연결부(116)와 제2연결부(118) 사이에 체크밸브(117)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117)가 개방됨으로써 압축공기통(115)의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일방향으로 공기통로(113)에 주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머리보호부(130)는, 투시창(131), 일방향 배기구(132), 고무판(133), 망(134), 고정고리(135), 엘이디 램프(136), 충격흡수공간(137), 안면보호부(138), 걸림턱(139)를 포함한다.
머리보호부(130)는 상기 몸통보호부(110)의 상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에 있어서, 머리보호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머리보호부(130)의 내부 둘레에는 외부재와 외부재보다 약한 재질의 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 공기가 함입된 다수의 충격흡수공간(137)이 형성된다.
충격흡수공간(137)은 외부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며, 착용자의 안면에 충격이 덜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머리보호부(130)는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부위의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 프라스틱 재질의 안면보호부(138)가 설치된다.
상기 안면보호부(138)는, 난연성재질로 이루어진 프라스틱류의 단단한 가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착용자의 안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머리보호부(130)는 열에 강한 투시창(131)이 전방 눈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투시창(131)은 시야확보를 위한 창으로서 흐림방지 처리된 투명창으로 제작하며, 열에 강한 플라스틱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보호부(130)는 상기 투시창(131)의 상측에는 엘이디 램프(136)가 장착되고, 상기 제2주머니(121)에 설치된 건전지 박스(122) 또는 핸드폰 잭(12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 램프(136)가 발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전지 박스(122) 또는 핸드폰 잭(123)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건전지 박스(122)로부터 전원이 다 소진되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할 경우, 착용자의 핸드폰에 핸드폰 잭(123)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음에 따라, 비상시에도 엘이디 램프(136)가 발광 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램프(136)는, 화재시 착용자에게 길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바라 형식의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방향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착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머리보호부(130)는 상기 투시창(131)의 하측에는 내부에는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을 외부로만 배출하는 일방향 배기구(132)가 설치된다.
일방향 배기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8456호 등에 공지된 기술로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 일방향 배기구의 구성 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일방향 배기구(132)는, 전면에 망이 설치되고 걸림턱(139)에 안착된 고무판(133)이 상기 망(134)의 후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은 상기 망(1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일방향 배기구(132)는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들숨 또는 외부공기는 상기 고무판(133)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들숨이 역류하지 않는 일방형 밸브를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날숨이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면, 걸림턱(139)에 안착된 고무판(133)의 일측이 정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망(134)에 맞닿게 되고, 상기 고무판(133)이 돌출되면서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날숨이 망(1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들숨이 망(134)을 통해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고무판(133)이 걸림턱(139)에 안착되기 때문에 후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들숨 또는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머리보호부(130)는 상기 일방향 배기구(132)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의해 공기통로(113)의 상측에 연결된 흡기호스(119)가 고정된다.
상기 흡기호스(119)와 일방향 배기구(132)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장착됨에 따라,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들숨 및 날숨이 비교적 빠르게 이동된다.
팔보호부(150)는, 벙어리 장갑(151), 제2보조벨트(152)를 포함한다.
팔보호부(150)는, 상기 몸통보호부(130)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착용자의 팔을 감싸 줄수 있도록 형성되며, 양쪽 팔에 벙어리 장갑(151)이 부착된다.
상기 벙어리 장갑(151)은, 손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손바닥 안쪽에는 은박재질로 이루어진 헝겁을 덧대어 사용하여 열의 전달을 방지하며 방염 및 방수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팔보호부(150)의 양쪽 팔부위에 제2보조벨트(152)를 각각 부착하여 체형이 작은 사람이 입었을 경우 팔을 위로 걷어서 제2보조벨트(152)로 조여줄 수 있다.
허리밴드(170)는, 제1보조벨트(171)를 포함한다.
허리밴드(170)는 상기 몸통보호부(130)의 하단 둘레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밴드(170)의 내측에는 털이 덧대어 부착되는데, 이 털로 인해 일회용 구명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좀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허리밴드(170)의 후면에 난연성재질의 두 개의 제1보조벨트(171)를 각각 부착하고 허리밴드(170) 전면으로 제1보조벨트(171)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허리밴드(170)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허리밴드(170)가 큰 착용자의 허리를 이중으로 조여줄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머니(114)에는 펌핑부(1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에 있어서, 제1주머니 및 제2주머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화재발생시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주머니(114)는, 흡기공과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펌핑부재(164); 일단부가 흡기공에 결합되며, 제1주머니(114) 내측에 수납가능한 연장호스(166); 일단부가 배기공에 결합되는 제2 펌핑연결부(163); 제2 펌핑연결부(163)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펌핑부 체크밸브(162); 일단부가 펌핑부 체크밸브(162)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끝단에 연결되는 제1 펌핑연결부(161); 및 연장호스(166) 및 펌핑부재(164)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판막부재(165a,165b);로 이루어진 펌핑부(1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창문을 통하여 연장호스(166)를 건물 밖으로 연장배치한 상태에서,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인 펌핑부재(164)를 눌렀다가 다시 놓음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밖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안전하게 호흡을 할 수 있는데, 이때 판막부재(165a,165b)에 의하여 연장호스(166) 및 펌핑부재(164)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유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구명의
110: 몸통보호부 111: 외피
112: 내피 113: 공기통로
114: 제1주머니 115:압축공기통
116: 제1연결부 117: 체크밸브
118: 제2연결부 119: 흡기호스
120: 고정벨트 121: 제2주머니
122: 건전지박스 123: 핸드폰 잭
130: 머리보호부 131: 투시창
132: 일방향 배기구 133: 고무판
134: 망 135: 고정고리
136: 엘이디 램프 137: 충격흡수공간
138: 안면 보호부 139:걸림턱
150:팔보호부 151: 벙어리 장갑
152: 제2보조벨트 160 : 펌핑부
161 : 제1 펌핑연결부 162 : 펌핑부 체크밸브
163 : 제2 펌핑연결부 164 : 펌핑부재
165a,165b : 판막부재 166 : 연장호스
170: 허리밴드 171:제1보조벨트

Claims (8)

  1. 착용자의 몸통을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된 내피와 상기 내피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는 공기와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형 재질이고, 내피와 외피 사이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의 흐름 통로인 폐쇄된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외피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제1주머니에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내장하고 있는 압축공기통이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통은 제1연결부를 통해 개폐가능한 체크밸브와 연결되고 체크밸브는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 끝과 연결되며, 공기통로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호스가 공기통로의 타측 끝에 연결되는 몸통보호부; 및
    상기 몸통보호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열에 강한 투시창이 전방 눈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의 하측 내부에는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을 외부로만 배출하는 일방향 배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배기구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의해 상기 흡기호스가 고정되는 머리보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보호부 및 머리보호부는 불연성 재질 또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보호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착용자의 팔을 감싸 줄수 있도록 형성되며, 양쪽 팔에 벙어리 장갑이 부착된 팔보호부; 및
    상기 몸통보호부의 하단 둘레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털이 덧대어 부착되며 신축성이 있는 허리밴드;
    를 더 포함하고,
    팔보호부 및 허리밴드는 불연성 재질 또는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상측에는 엘이디 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몸통보호부 외피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제2주머니에 건전지 박스 또는 핸드폰 잭이 설치되고, 상기 건전지 박스 또는 핸드폰 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램프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4. 제1항에 있어서, 머리보호부는
    외부재와 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 공기가 함입된 다수의 충격흡수공간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부위의 외부재와 내부재 사이에 프라스틱 재질의 안면보호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5. 제2항에 있어서,
    허리밴드의 후면에 난연성재질의 두 개의 제1보조벨트를 각각 부착하고 허리밴드 전면으로 제1보조벨트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허리밴드를 조여주고, 상기 팔보호부의 양쪽 팔부위에 제2보조벨트를 각각 부착하여 팔을 조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배기구는,
    전면에 망이 설치되고 걸림턱에 안착된 고무판이 상기 망의 후면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이 상기 망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들숨 또는 외부공기가 상기 고무판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들숨이 역류하지 않는 일방형 밸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7. 제1항에 있어서, 몸통보호부는,
    압축공기통이 설치된 제1주머니의 내부 양측면에 압축공기통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머니에는 펌핑부가 설치되고,
    상기 펌핑부는,
    흡기공과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펌핑부재;
    일단부가 흡기공에 결합되며, 제1주머니 내측에 수납가능한 연장호스;
    일단부가 배기공에 결합되는 제2 펌핑연결부;
    제2 펌핑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펌핑부 체크밸브;
    일단부가 펌핑부 체크밸브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공기통로의 일측끝단에 연결되는 제1 펌핑연결부; 및
    연장호스 및 펌핑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판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명의.
KR1020100027237A 2009-07-22 2010-03-26 일회용 구명의 KR10106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86,127 US8845375B2 (en) 2009-07-22 2010-07-01 Disposable life-saving garment
PCT/KR2010/004278 WO2011010811A2 (ko) 2009-07-22 2010-07-01 일회용 구명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048 2009-07-22
KR20090067048 2009-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13A true KR20110009613A (ko) 2011-01-28
KR101064653B1 KR101064653B1 (ko) 2011-09-15

Family

ID=4361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237A KR101064653B1 (ko) 2009-07-22 2010-03-26 일회용 구명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45375B2 (ko)
KR (1) KR1010646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322B1 (ko) * 2011-07-26 2013-07-04 김세진 산소공급수단이 마련된 아웃 도어용 쟈켓
KR101320623B1 (ko) * 2011-02-17 2013-10-23 안기성 원격제어가 가능한 기내용 전신보호 슈트
CN111132575A (zh) * 2017-09-22 2020-05-08 3M创新有限公司 具有可调节的空气供应的防护头戴护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1681A1 (en) * 2013-11-26 2015-07-23 Suzanne Ron Shade Shirt
US10722425B2 (en) * 2014-10-07 2020-07-28 International Biophysic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ffective reuse of a self-contained portable positionable oscillating motor array
US10856587B2 (en) * 2015-04-21 2020-12-08 Mark T. Standard Survival, evacuation, rescue, and recovery ve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2851A (en) * 1979-02-16 1981-06-16 Durafab Division Of Texel Industries, Inc. Hazardous environment suit
JP2979853B2 (ja) 1992-07-20 1999-11-15 富士通株式会社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H0636652U (ja) * 1992-10-27 1994-05-17 明吉 黄 内蔵連体式防火衣
JPH06225948A (ja) * 1993-02-01 1994-08-16 Shinichiro Tsuda 避難用防護服
US5421326A (en) * 1993-04-19 1995-06-06 H.R.I. Incorporated Heat resistant suit with active cooling system
US6279162B1 (en) * 2001-01-02 2001-08-28 Scott Silverthorn Safety protection garment
US20040237178A1 (en) 2003-05-27 2004-12-02 Gaspar Landeros Self-contained on land on water in air protective apparatus for mass protection and mass continuation
KR100870504B1 (ko) 2007-01-19 2008-11-25 주식회사 소림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KR100934969B1 (ko) * 2008-02-15 2010-01-06 이종원 일회용 구명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23B1 (ko) * 2011-02-17 2013-10-23 안기성 원격제어가 가능한 기내용 전신보호 슈트
KR101282322B1 (ko) * 2011-07-26 2013-07-04 김세진 산소공급수단이 마련된 아웃 도어용 쟈켓
CN111132575A (zh) * 2017-09-22 2020-05-08 3M创新有限公司 具有可调节的空气供应的防护头戴护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5375B2 (en) 2014-09-30
KR101064653B1 (ko) 2011-09-15
US20120174297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653B1 (ko) 일회용 구명의
WO2009102127A2 (ko) 일회용 구명건
KR101232333B1 (ko) 다기능 마스크
WO2011136545A2 (ko)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KR100767009B1 (ko) 산소발생 마스크
KR20170048809A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KR200264920Y1 (ko)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20110024278A (ko) 외기 차단형 마스크
JP3921295B2 (ja) 呼吸保護具
KR102119841B1 (ko) 차세대 미래형 헬멧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WO2011010811A2 (ko) 일회용 구명의
KR20100001153U (ko)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CN213074657U (zh) 一种消防防护装置
KR200346391Y1 (ko) 방독면
CN209788609U (zh) 一种绝热防火头盔
KR200331190Y1 (ko) 휴대용 산소호흡장치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WO2013154344A1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CN219149063U (zh) 新型防护服
KR20050024598A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GB2367755A (en) Emergency escape hood
RU2335313C2 (ru) Изолирующий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2382876B1 (ko) 화재 대피용 일체형 생존키트 및 이와 연동되는 피난유도 led라인 시스템
RU20726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и голов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