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504B1 -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504B1
KR100870504B1 KR1020070006330A KR20070006330A KR100870504B1 KR 100870504 B1 KR100870504 B1 KR 100870504B1 KR 1020070006330 A KR1020070006330 A KR 1020070006330A KR 20070006330 A KR20070006330 A KR 20070006330A KR 100870504 B1 KR100870504 B1 KR 10087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cover glass
image sensor
substr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489A (ko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림
Priority to KR102007000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5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피사체의 움직임을 인지하는 광 포인팅 장치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기판, 기판 상에서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도록 장착되는 도파 하우징, 개인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 글래스, 커버 글래스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커버 글래스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도파부를 포함한다. 도파 하우징을 이용하여 커버 글래스 및 도파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장착하여 광 포인팅 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OPTICAL POINTING DEVIC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 포인팅 장치를 Ⅱ-Ⅱ' 방향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광 포인팅 장치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광 포인팅 장치를 Ⅳ-Ⅳ' 방향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광 포인팅 장치 110:기판
120:이미지 센서 130:누름 센서
132:스위치 전극 134:돔 스위치
140:도파 하우징 150:제1 도파관
160:제2 도파관 170:버튼부
172:커버 글래스 180:광원부
182:발광소자 184:광원 가이드
본 발명은 광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에 장착되어 손가락 또는 다른 피사체의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개인휴대단말기는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좀더 설명하면, 종래 개인휴대단말기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버튼을 입력하여 전화번호나 문장 등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근래에 들어 WIBRO(Wireless Broadband) 서비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에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채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위한 윈도우즈로는 Windows CE 등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에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구비하게 되었으며, 상기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편리한 운용을 위해서도 GUI를 지원하는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채용되기도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GUI의 운영체제가 채용됨에 따라, 종래에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적합한 포인팅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 기기에서 GUI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로는 트랙 볼 타입(Track Ball-Type) 또는 조이 스틱 타입(Joy Stick-Type)이 있다. 하지만, 이들 포인팅 장치는 물리적으로 일정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작고 얇은 소형기기에 채용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피사체로서 손가락의 이동을 인지하여 GUI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에 이미지 센서를 장착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광 전달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 이외의 부품들을 일체로 관리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가 접하는 버튼의 누름을 허용할 수 있으면서, 정확한 부품 정렬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지하는 부피 및 높이가 작아, 장착되는 장치의 슬림화를 보조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돌출 구조 없이 평면 구조 상에서 포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초점 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기판, 기판 상에 장착되는 도파 하우징, 도파 하우징에 장착되는 커버 글래스, 커버 글래스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커버 글래스로부터 반사된 빛을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도파부(waveguide section)를 포함한다.
도파 하우징에 의해서 커버 글래스 및 도파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커버 글래스 이동이 있어 도파 하우징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광원부, 커버 글래스, 도파부 및 이미지 센서로 이어지는 연결 구조 또는 광축 라인이 항상 일정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 및 도파부가 일체로 장착된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장착하는 과정 하나만으로 복잡한 광 포인팅 장치를 셋팅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파 하우징의 하부 홀이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도록 위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실제로 커버 글래스로부터 이미지 센서로 이어지는 빛 전달 경로를 적어도 2회 이상 굴절시키는 경우 커버 글래스의 이미지가 이미지 센서로 모두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파 하우징을 이용하여 다른 부품을 일체로 모듈화할 수 있으며, 도파 하우징 모듈을 이미지 센서에 맞게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광 포인팅 장치를 완성할 수가 있다.
도파부는 도파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반사를 통해 커버 글래스로부터의 이미지를 2회 굴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파부는 2개의 반사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에서 2회의 반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도파관(waveguide mold)을 배치할 수도 있다. 반사를 통해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분히 명확한 이미지 획득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나 렌즈 형상의 구조를 추가하여 집광 효과를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파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파 하우징은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기판 상에서 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도파 하우징은 아래로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는 하부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로 커버 글래스가 장착되는 상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는 누름 센서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 기판, 일단부는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며 타단부는 누름 센서 상에 위치하도록 기판 상에 장착되는 도파 하우징, 도파 하우징 내부와 통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며 도파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고 도파 하우징을 전체적으로 눌러 누름 센서를 가압하는 버튼부, 및 커버 글래스 상의 피사체 움직임을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도파부를 포함한다.
역시 버튼부와 도파 하우징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으며, 버튼부와 도파부 등이 일체로 장착된 도파 하우징을 장착하는 과정만으로 버튼 기능이 구현될 수 있 는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역시 버튼부와 도파 하우징을 일체로 고정하여 장착이 용이하며, 커버 글래스와 도파부의 광축 라인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 오차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기판과 도파 하우징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도파 하우징에서 하부 홀을 주변이 기판과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파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서 기판에 홀을 형성하고 도파 하우징에 후크와 같은 삽입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는 접착제 또는 그와 대체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파 하우징을 금속으로 형성할 수가 있는데, 이때 솔더링을 통해서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 도파 하우징에서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는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도파 하우징은 탄성적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누름 센서 상부에 위치한 부분은 도파 하우징 구조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는 피사체로서 손가락의 표면을 이용하여 포인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광학계의 두께를 약 2mm 이하로 최소화함과 동시에 초점 거리를 약 15~30mm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 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 포인팅 장치를 Ⅱ-Ⅱ' 방향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광 포인팅 장치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광 포인팅 장치를 Ⅳ-Ⅳ' 방향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 포인팅 장치(100)는 개인휴대단말기(10)에서 네비게이션 키에 장착될 수 있으며, 광 포인팅 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키에 해당하는 버튼부(170)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부(170)의 중앙에는 커버 글래스(172)가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노출된 커버 글래스(172) 상에서 손가락 또는 다른 피사체를 움직여 개인휴대단말기(10)로부터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고, 메뉴를 이동하거나 볼륨 등을 조절할 수가 있다. GUI 환경이나 기타 이동 또는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서 광 포인팅 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 포인팅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20)와 누름 센서(130)가 장착된 기판(110)를 기초로 장착되며, 기판(110) 상에 도파부(150) 및 버튼부(170)가 일체로 장착된 도파 하우징(140)이 이미지 센서(120) 상에 장착된다.
도파 하우징(140)는 속이 빈 중공 구조로서 기판(110) 상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도파 하우징(140)에서 하부 홀(142) 및 상부 홀(144)이 서로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며, 저면에 형성된 하부 홀(142)은 이미지 센서(120)를 수용하며, 그 반 대쪽 상면에 형성된 상부 홀(144)에는 커버 글래스(172)를 포함하는 버튼부(170)가 장착된다. 커버 글래스(172)는 버튼부(170)의 일부로서 도파 하우징(140)의 내외를 빛이 통과할 수 있게 연결하며, 이미지 센서(120) 전달되는 빛은 거의 커버 글래스(172)를 통해 도파 하우징(140)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도파 하우징(140)은 기판(110)과 고정적으로 고정되며, 이때 접착이나 홀 삽입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접착할 수도 있으며, 도파 하우징에 후크 구조를 형성하고 기판에 후크에 대응하는 홀을 형성하여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도파 하우징이 SUS와 같이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 솔더링을 통해서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고정할 수도 있다.
버튼부(170)는 개인휴대단말기(10)의 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되며, 기판(110)에 장착된 도파 하우징(140)과 일체를 이룬다. 따라서 버튼부(170)를 누르면, 도파 하우징(140)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 센서(130)가 눌려지며, 광 포인팅 장치(100)는 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것 외에도 버튼의 누름을 감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 센서(130)는 스위치 전극(132) 및 돔 스위치(134)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누름 센서는 멤브레인 전극, 터치센서, 압전센서 등 다양한 작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는 하부 홀(142)에 수용된다. 이때 하부 홀(142)의 형상과 이미지 센서(120)의 외곽을 거의 동일하게 하여 도파 하우징(140)을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파 하우징(140)의 장착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규격화된 도파 하우징(140) 장착을 통해서 커버 글래스(172), 도파부(150) 및 이미지 센서(120)의 광축 라인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도파부(15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도파관을 포함하며, 도파관(150)을 이용하여 커버 글래스(172)의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1차로 반사시켜 빛의 경로를 수평하게 전환하고, 수평하게 전환된 빛의 경로를 수직하게 다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파관(150)은 커버 글래스(17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프리즘 면(152) 및 이미지 센서(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프리즘 면(154)을 포함한다. 도파관(150)은 일체로 형성되어 도파 하우징(140)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의 빛 유입 없이 커버 글래스(172)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120)로 온전히 전달할 수가 있다. 제1 프리즘 면(152) 및 제2 프리즘 면(154)은 프리즘과 같이 전반사를 이용하여 빛의 경로를 전환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파관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중간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서 도파관을 2개의 이상의 몸체로 분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파관(15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및 기타 빛을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180)는 발광소자(182) 및 광원 가이드(184)를 포함한다. 발광소자(182)는 일반적인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182)에서 발생한 빛은 투명한 광원 가이드(184)를 통해서 커버 글래스(172)로 전달될 수 있다. 발광소자(182)에서 발생하는 빛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 다. 광원부(180)는 커버 글래스(172)의 측부 또는 전후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80)는 도파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어 외부의 노이즈 광이 커버 글래스(17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파 하우징(140)에 의해서 커버 글래스(172) 및 도파관(150)이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초기 셋팅 및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커버 글래스(172) 이동이 있어 도파 하우징(140)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광원부(180), 커버 글래스(172), 도파부 및 이미지 센서(120)로 이어지는 연결 구조 및 광축 라인이 항상 일정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172) 및 도파부가 일체로 장착된 도파 하우징(140)을 기판(110)에 장착하는 과정 하나만으로 복잡한 광 포인팅 장치(100)를 간단하게 셋팅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파 하우징(140)의 하부 홀(142)이 이미지 센서(120)를 수용하도록 위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도파 하우징(140)에 버튼부(170)와 커버 글래스(172)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부(170)를 누르는 동작이 반복되어도 커버 글래스(172) 및 도파관(150)의 광축 정렬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포인팅 장치는 기판(110), 이미지 센서(120), 누름 센서(130), 도파 하우징(140), 버튼부(170), 커버 글래스(172) 및 반사경을 이용한 도파부(190)을 포함한다.
버튼부(170)의 중앙에는 커버 글래스(172)가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노출된 커버 글래스(172) 상에서 손가락 또는 다른 피사체를 움직여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기판(110) 상에 이미지 센서(120)와 누름 센서(130)가 장착되며, 도파 하우징(140)에는 버튼부(170) 및 도파부(190)가 일체로 고정된다.
도파 하우징(140)는 속이 빈 중공 구조로서 기판(110) 상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파 하우징(140) 내부에는 제1 반사경(192) 및 제2 반사경(194)을 포함하는 도파부(190)가 제공된다.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은 1차로 제1 반사경(192)에 의해 반사되어 수평하게 진행하며, 수평하게 진행하는 빛의 경로는 다시 제2 반사경(194)에 의해 수직하게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반사경(192, 194)는 평면 거울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집광 기능을 더 추가하기 위해 오목 거울 등이 사용될 수가 있다.
도파 하우징(140)에 의해서 커버 글래스(172) 및 도파부(190)가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초기 셋팅 및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커버 글래스(172) 이동이 있어 도파 하우징(140)의 변형이 발생하여도 광원부, 커버 글래스(172), 도파부(190) 및 이미지 센서(120)로 이어지는 연결 구조 및 광축 라인이 항상 일정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 포인팅 장치(200)는 기판(210), 이미지 센서(220), 도파 하우징(240), 도파관(250), 광원부(미도시) 및 커버 글래스(27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광 포인팅 장치(100)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 다른 광 포인팅 장치(200)는 누름 센서 및 버튼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버튼 기능 없이도 커버 글래스(272)가 단말기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할 수 있으며, 노출된 커버 글래스(272) 상에서 움직이는 손가락 등의 피사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광 포인팅 장치(200)는 이미지 센서(220)가 장착된 기판(210)를 기초로 장착되며, 기판(210) 상에 도파부(250) 및 버튼부(270)가 일체로 장착된 도파 하우징(240)이 이미지 센서(220) 상에 장착된다.
도파 하우징(240)는 속이 빈 중공 구조로서 기판(210) 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도파 하우징(240) 내부에는 프리즘 면이 형성된 도파관(250)이 배치된다. 커버 글래스(272)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되며, 기판(210)에 장착된 도파 하우징(240)과 일체를 이룬다.
이미지 센서(220)는 도파 하우징(240)이 하부 홀에 수용된다. 이때 하부 홀의 형상과 이미지 센서(220)의 외곽을 거의 동일하게 하여 도파 하우징(240)을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파 하우징(240)의 장착 방향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규격화된 도파 하우징(240) 장착을 통해서 커버 글래스(272), 도파부(250) 및 이미지 센서(220)의 광축 라인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파 하우징에 의해서 커버 글래스 및 도파관이 일체로 고정되 기 때문에, 초기 셋팅 및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광 포인팅 장치에 반복되는 충격 또는 변형이 발생하여도 광원부, 커버 글래스, 도파부 및 이미지 센서로 이어지는 연결 구조 및 광축 라인이 항상 일정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 및 도파부가 일체로 장착된 도파 하우징을 기판에 장착하는 과정 하나만으로 복잡한 광 포인팅 장치를 간단하게 셋팅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파 하우징의 하부 홀이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도록 위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도파 하우징에 버튼부와 커버 글래스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부를 누르는 동작이 반복되어도 커버 글래스 및 도파관의 광축 정렬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피사체의 움직임을 인지하는 광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누름 센서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장착되며, 일단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며, 타단부는 상기 누름 센서 상에 위치하는 도파 하우징;
    상기 도파 하우징 내부와 통하는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도파 하우징 상에 장착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도파 하우징을 전체적으로 눌러 상기 누름 센서를 가압하는 버튼부; 및
    상기 도파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커버 글래스 상의 피사체 움직임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전달하는 도파부;
    를 구비하는 광 포인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 하우징은 중공 구조로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며, 아래로 상기 이미지 센서를 수용하는 하부 홀 및 위로 상기 커버 글래스가 장착되는 상부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 하우징은 상기 하부 홀의 주변에서 상기 기판과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 하우징은 상기 기판과 접착, 솔더링 또는 홀 삽입방식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부는 상기 커버 글래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반사경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반사경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반사하는 제2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부는 상기 도파 하우징에 내장되는 도파관을 포함하며, 상기 도파관은 상기 커버 글래스의 하부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전반사를 하는 프리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 하우징은, 상기 누름 센서를 타단부가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일단부가 장착된 광 포인팅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06330A 2007-01-19 2007-01-19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KR10087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30A KR100870504B1 (ko) 2007-01-19 2007-01-19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30A KR100870504B1 (ko) 2007-01-19 2007-01-19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89A KR20080068489A (ko) 2008-07-23
KR100870504B1 true KR100870504B1 (ko) 2008-11-25

Family

ID=3982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330A KR100870504B1 (ko) 2007-01-19 2007-01-19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57B1 (ko) 2009-03-24 2011-12-15 크루셜텍 (주) 초슬림 광조이스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60B1 (ko) * 2009-01-06 2009-05-12 (주)파트론 적층식 광 개방형 초소형 광학장치
KR101064653B1 (ko) 2009-07-22 2011-09-15 이종원 일회용 구명의
KR101312923B1 (ko) * 2011-05-27 2013-10-01 크루셜텍 (주) 포인팅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930A (ko) * 2004-09-24 2006-03-29 크루셜텍 (주) 일체형 광도파로 구조를 사용한 초슬림 광 조이스틱™.
KR20060030031A (ko) * 2003-06-02 2006-04-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한 물체의 동작 측정 방법
KR20060034735A (ko) * 2004-10-19 2006-04-25 크루셜텍 (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를 적용한 초슬림 광 조이스틱™
KR20060135707A (ko) * 2004-01-15 2006-12-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목적 광마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031A (ko) * 2003-06-02 2006-04-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한 물체의 동작 측정 방법
KR20060135707A (ko) * 2004-01-15 2006-12-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목적 광마우스
KR20060027930A (ko) * 2004-09-24 2006-03-29 크루셜텍 (주) 일체형 광도파로 구조를 사용한 초슬림 광 조이스틱™.
KR20060034735A (ko) * 2004-10-19 2006-04-25 크루셜텍 (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를 적용한 초슬림 광 조이스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57B1 (ko) 2009-03-24 2011-12-15 크루셜텍 (주) 초슬림 광조이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89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3130A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US20090184852A1 (en) Optical joystick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70504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EP2214081A1 (e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93304A (ko) 광 포인팅 장치
US20120256827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666196B1 (ko) 광 포인팅 장치 및 개인 휴대 단말기
US8339381B2 (en) Passive optical pen and user input system using the same
KR101328398B1 (ko) Rf 신호를 이용한 포인팅 디바이스
KR100899865B1 (ko) 초슬림 광포인팅 장치
KR101021072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KR101167061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964168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
KR100899862B1 (ko) 휴대 단말기의 광 포인팅 장치
KR20100066687A (ko) 광 조이스틱 키입력장치 및 이를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
KR20100138093A (ko) 초 슬림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CN110134192B (zh) 电子设备
KR200406657Y1 (ko) 광 포인팅 장치 및 개인 휴대 단말기
KR101092857B1 (ko) 초슬림 광조이스틱
KR100488486B1 (ko) 일체형 2차원 포인팅 장치
KR101089065B1 (ko) 초 슬림 광 조이스틱
KR101070596B1 (ko) 광학 박막코팅을 구비한 초슬림 광포인팅 장치
KR20100100012A (ko) 초 슬림 광 조이스틱
KR101092855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080079442A (ko) 휴대 단말기의 광 포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