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031A -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한 물체의 동작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한 물체의 동작 측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0031A KR20060030031A KR1020057022786A KR20057022786A KR20060030031A KR 20060030031 A KR20060030031 A KR 20060030031A KR 1020057022786 A KR1020057022786 A KR 1020057022786A KR 20057022786 A KR20057022786 A KR 20057022786A KR 20060030031 A KR20060030031 A KR 200600300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device
- laser
- carrier plate
- radiation beam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4)
-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로서,입력이 물체(M)의 검출된 동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측정 방사 빔(S)을 생성하기 위한 공진 공동을 구비한 최소한 하나의 레이저(1)와, 물체(M)와 가까운 플레이트(V)로 방사 빔(S)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 수단(2), 그리고 물체(M)에 의해 반사된 측정 방사 빔(S)으로부터의 방사를 전자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C)으로서, 레이저(1)의 공진 공동과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변환 수단(C)과, 작동 중에 공진 공동에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3)을 포함하는 광학 모듈(11)을 구비하는데, 상기 변화는 공진 공동을 통과하는 측정 방사 빔(S)과 모듈(11)에 대해 물체(M)의 관련 동작을 나타내는 공진 공동에서의 정재파로부터 반사된 방사의 간섭에 의해 야기되고, 상기 광학 모듈(11)은 캐리어 플레이트(4)에 장착된 레이저(1)를 포함하며, 광학 수단(2)은 캐리어 플레이트(4)에 장착되고 레이저(1)와 정렬된 광학 소자(2)를 포함하며, 이러한 광학 소자(2)로부터 레이저(1)에 의해 방출된 측정 방사 빔(S)은 물체(M)와 인접한 플레이트(V)로 이동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에 있어서,상기 플레이트(V)는 물체(M)와 가까운 곳에 물체(M)의 돌출부 안에 위치하고 방사 빔(S)이 통과하도록 하며 캐리어 플레이트(4)와 관련하여 고정된 위치에 위치한 제 1 부분(V1)뿐만 아니라 물체(M)의 돌출부 내에 위치하고 캐리어 플레이트(4)와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캐리어 플레이트(4)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의 감각 중 하나로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부분(V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은 누른 다음에 다시 튀어나오고, 신호 발생 수단이 누를 때 사용자의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누름 버튼(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5)은 누르는 순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향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5)은 얇은 곡면의 강철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로서,전기 신호가 에너지 절약을 위한 대기 모드를 디바이스에서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
-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V1)의 제 1 부분(V1)은 캐리어 플레이트(4)에 부착된 둥글고 투명한 블록 모양의 본체(6)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5)은 그 중앙에 블록 모양의 본체(6)가 내장된 원형 홀(5A)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모양의 본체의 윗면은 상기 누름 버튼(5)의 윗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거나, 누름 버튼(5)을 누를 수 있을 만큼 훨씬 낮게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
-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V1)의 제 1 부분(V1)은 캐리어 플레이트(4)에 부착된 링 모양의 투명한 블록 모양의 본체(6)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버튼(5)은 블록 모양의 본체(6) 내부에 위치하는데, 그 윗면은 누름 버튼(5)의 윗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투명한 블록 모양의 본체(6)의 아래 부분 근처에, 상기 측정 방사 빔(S)은 측정 방사 빔(S)이 블록 모양의 본체(6)의 윗면을 향해 나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투명한 블록 모양의 본체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
-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상기 부분(V1, V2) 의 크기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형성되는 물체(M)에 알맞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
-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1)는 레이저의 공진 공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
- 입력 디바이스(10)와 관련된 물체(M)의 동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이 목적을 위해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가 사용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와 관련된 물체(M)의 동작을 측정하는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M)는 디바이스의 인간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와 관련된 물체(M)의 동작을 측정하는 방법.
-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그 입력이 물체(M)의 검출된 동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측정 방사 빔(S)을 생성하기 위한 공진 공동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1)와, 방사 빔(S)을 물체(M)와 가까운 플레이트(V)로 유도하기 위한 광학 수단(2), 그리 고 물체(M)에 의해 반사된 측정 방사 빔(S)으로부터의 방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C)으로써, 레이저(1)의 공진 공동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변환 수단(C), 그리고 작동 중에 공진 공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3)을 포함하는 광학 모듈(11)을 구비하는데, 상기 변화는 공진 공동을 투과하는 측정 방사 빔(S)과 모듈(11)에 대해 물체(M)의 관련 동작을 나타내는 공진 공동에서의 정재파로부터의 반사된 방사의 간섭에 의해 야기되며, 상기 광학 모듈(11)은 레이저가 장착된 캐리어 플레이트(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광학 수단(2)은 레이저에 의해 방출되는 측정 방사 빔(S)을 위해 캐리어 플레이트(4)에 장착되고 레이저(1)와 정렬된 광학 소자(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측정 방사 빔은 상기 위치로부터 물체(M) 근처의 플레이트(V)로 유도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물체(M) 인근에 상기 플레이트(V)는 두 부분(V1, V2)으로 형성되고, 즉, 물체(M)의 돌출부 내부에 위치한 제 1 부분(V1)은 방사 빔(S)을 전송하기 위해 설계되고 캐리어 플레이트(4)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열되고, 물체(M)의 돌출부 내부에 위치한 제 2 부분(V2)으로 형성된 캐리어 플레이트(4)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캐리어 플레이트(4)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감각 중 하나로 느낄 수 있는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10)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3101586.0 | 2003-06-02 | ||
EP03101586 | 2003-06-02 | ||
PCT/IB2004/050760 WO2004107147A2 (en) | 2003-06-02 | 2004-05-24 | Opto-electronic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by means of such a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0031A true KR20060030031A (ko) | 2006-04-07 |
KR101085996B1 KR101085996B1 (ko) | 2011-11-22 |
Family
ID=3348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27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5996B1 (ko) | 2003-06-02 | 2004-05-24 |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한 물체의 동작 측정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7714835B2 (ko) |
EP (1) | EP1634150B1 (ko) |
JP (1) | JP2006526830A (ko) |
KR (1) | KR101085996B1 (ko) |
CN (1) | CN100430867C (ko) |
AT (1) | ATE516529T1 (ko) |
TW (1) | TWI318368B (ko) |
WO (1) | WO2004107147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0504B1 (ko) * | 2007-01-19 | 2008-11-25 | 주식회사 소림 |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
KR101053369B1 (ko) * | 2010-05-11 | 2011-08-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조명 기능을 갖는 광포인팅 모듈 및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26897B2 (en) * | 2004-11-22 | 2011-09-27 |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 Cursor motion control of a pointing device |
KR101275388B1 (ko) * | 2010-04-14 | 2013-06-14 | 삼성전기주식회사 | 광포인팅 모듈 및 전자 장치 |
FR2964761B1 (fr) * | 2010-09-14 | 2012-08-31 | Thales Sa | Dispositif d'interaction haptique et procede de generation d'effets haptiques et sonores |
PL3334805T3 (pl) | 2015-08-13 | 2019-10-31 | Shell Int Research | Proces formulacji paliwa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43233A (en) * | 1994-12-26 | 1999-08-24 | Sharp Kabushiki Kaisha | Input device for a computer and the lik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
US5734375A (en) * | 1995-06-07 | 1998-03-31 | Compaq Computer Corporation | Keyboard-compatible optical determination of object's position |
JPH09146708A (ja) | 1995-11-09 | 1997-06-06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タッチ入力方法 |
ATE202856T1 (de) | 1997-02-12 | 2001-07-15 | Kanitech As | Eingabevorrichtung für einen computer |
WO1999046602A1 (en) * | 1998-03-09 | 1999-09-16 | Gou Lite Ltd. | Optical translation measurement |
US6424407B1 (en) * | 1998-03-09 | 2002-07-23 | Otm Technologies Ltd. | Optical translation measurement |
US6313825B1 (en) | 1998-12-28 | 2001-11-06 | Gateway, Inc. | Virtual input device |
IL130985A0 (en) | 1999-07-19 | 2001-01-28 | Otm Technologies Ltd | Laser intruder detector |
DE10001619A1 (de) | 2000-01-17 | 2001-07-19 | Eberhard Floegel | Touchpad und Navigationstasten mit zusätzlichen Funktionen |
JP2002014766A (ja) | 2000-04-28 | 2002-01-18 | Yoshiyuki Iki | 光学式ワンボタンマウス |
EP1182606A2 (en) * | 2000-07-31 | 2002-02-27 | Agilent Technologies, Inc. (a Delaware corporation) | Four axis optical mouse |
DE60141704D1 (de) * | 2000-11-06 | 2010-05-12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Verfahren zur messung der bewegung eines eingabegeräts |
US7796978B2 (en) * | 2000-11-30 | 2010-09-14 | Intrasonics S.A.R.L. |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an acoustic data channel |
US6677929B2 (en) * | 2001-03-21 | 2004-01-13 | Agilent Technologies, Inc. | Optical pseudo trackb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appliance or machine |
DE10201068A1 (de) * | 2002-01-14 | 2003-07-31 |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 Auswahl von Kommunikationsverbindungen bei Hörgeräten |
US6776546B2 (en) * | 2002-06-21 | 2004-08-17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keyboard overlay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
JP2007518182A (ja) * | 2004-01-15 | 2007-07-05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バーサタイル光学マウス |
-
2004
- 2004-05-24 WO PCT/IB2004/050760 patent/WO200410714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5-24 AT AT04734585T patent/ATE51652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24 CN CNB2004800151877A patent/CN10043086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4 JP JP2006508445A patent/JP2006526830A/ja active Pending
- 2004-05-24 KR KR1020057022786A patent/KR10108599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4 EP EP04734585A patent/EP163415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24 US US10/558,719 patent/US771483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8 TW TW093115413A patent/TWI31836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0504B1 (ko) * | 2007-01-19 | 2008-11-25 | 주식회사 소림 |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
KR101053369B1 (ko) * | 2010-05-11 | 2011-08-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조명 기능을 갖는 광포인팅 모듈 및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4107147A2 (en) | 2004-12-09 |
EP1634150B1 (en) | 2011-07-13 |
TW200511096A (en) | 2005-03-16 |
TWI318368B (en) | 2009-12-11 |
EP1634150A2 (en) | 2006-03-15 |
WO2004107147A3 (en) | 2005-03-31 |
US20070002010A1 (en) | 2007-01-04 |
CN1799019A (zh) | 2006-07-05 |
KR101085996B1 (ko) | 2011-11-22 |
US7714835B2 (en) | 2010-05-11 |
ATE516529T1 (de) | 2011-07-15 |
JP2006526830A (ja) | 2006-11-24 |
CN100430867C (zh) | 2008-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54008B (zh) | 接近传感器 | |
JP4602965B2 (ja) | 光電入力装置、このような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ような装置の助けを借りて物体の動きを測定する方法 | |
US8890844B2 (en) | Optical navigation apparatus | |
KR101476994B1 (ko) | 광학 근조도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
KR20210101462A (ko) |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120146948A1 (en) | Optical Navigation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Appliance Using Optical Navigation Module | |
JP2003008131A5 (ko) | ||
US20060266929A1 (en) | Optical input device with a light source die mounted on a detecting di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KR101085996B1 (ko) | 광전자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한 물체의 동작 측정 방법 | |
CN106778492A (zh) | 指纹模组、移动终端及指纹采集方法 | |
KR101336781B1 (ko) | 광학 근조도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
US11781902B2 (en) | Reducing optical cross-talk in optical sensor modules | |
KR20080043930A (ko) | 비접촉식 광 센서 모듈 | |
US20230197702A1 (en) | Sunk-type package structure | |
CN100527063C (zh) | 发光芯片固定在感测芯片上的光学输入装置及其制造方法 | |
EP3574632B1 (en) | Sensor combination | |
US20240045126A1 (en) | Flood and dot emitter | |
US20130032701A1 (en) | Inputting module and submount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bmount | |
US11033193B2 (en) | Light emitting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 |
KR101148670B1 (ko) | 레이져 네비게이션 모듈 | |
TWI437477B (zh) | 輸入模組及其基座及基座之製作方法 | |
KR20220100190A (ko) |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는 글래스기판 상에 개구 형성을 위해 인쇄되는 잉크층을 가지는 전자장치 | |
JP2007156537A (ja) | 画像検出装置 | |
US20240155097A1 (en) | Infrared light source module having shield can embedded therein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TWI749280B (zh) | 結構光發射模塊、結構光感測模塊及電子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