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278A - 외기 차단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외기 차단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278A
KR20110024278A KR1020090082195A KR20090082195A KR20110024278A KR 20110024278 A KR20110024278 A KR 20110024278A KR 1020090082195 A KR1020090082195 A KR 1020090082195A KR 20090082195 A KR20090082195 A KR 20090082195A KR 20110024278 A KR20110024278 A KR 2011002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opening
mask
expa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848B1 (ko
Inventor
손세화
Original Assignee
손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세화 filed Critical 손세화
Priority to KR102009008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8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8Respiratory apparatus containing chemicals produc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차단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는, 배면 둘레를 따라 본체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걸이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배면 둘레를 따라 개구부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천 재질의 본체와; 둘레가 상기 본체 중앙의 개구부 전면 둘레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 부분은 본체와 이격되어 있으며, 전면의 공기와 배면의 공기를 차단하도록 밀폐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를 통해 본체 측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이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가 양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일반적인 생활용 마스크와 같이 본체와 걸이밴드가 구비되되, 본체 중앙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전면 측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갖춘 확장부재를 설치하여 본체 후면에서 개구부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 공기주머니부가 팽창되도록 하여 화재 등의 상황에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 채 공기주머니부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본체와 확장부재는 천이나 비닐 등의 가볍고 부피가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낮아 지하철 역이나 건물에 비상용으로 다량 설치하거나 개인이 평소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확장부재의 하부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공기주머니부가 팽창할 때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확장부재는 전면에 방염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은 밀폐층이 형성되어 있어 확장부재를 경계로 공기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확장부재 내측에 통기성 재질의 수납주머니를 설치하고, 수납주머니 내부에 고체산소나 공기청정제 등을 설치함으로써 확장부재 내부의 산소를 사용하고 난 후 고체산소에 의한 호흡을 지속하도록 하거나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되며, 본체 배면 둘레 및 개구부 배면 둘레에 메모리폼 등의 밀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와 착용자의 접촉 부분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산소, 보충, 차단

Description

외기 차단형 마스크{Outer air blocking mask}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생활용 마스크와 같이 본체와 걸이밴드가 구비되되, 본체 중앙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전면 측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갖춘 확장부재를 설치하여 본체 후면에서 개구부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 공기주머니부가 팽창되도록 하여 화재 등의 상황에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 채 공기주머니부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할 수 있게 한, 외기 차단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착용자의 인체에 외부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생활용 마스크는 단순히 천 형태로 된 본체가 착용자의 입 부분을 막아 먼지 등이 천에 걸러져 호흡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지공장, 방직공장, 채석장등의 작업환경에서의 분진 등의 생성이나 각종 화학공장 및 용접, 도금 등의 금속 가공공장의 작업환경에서는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생성된다.
이러한 분진이나 유독가스 등을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흡입할 경유 폐 등과 같은 인체의 호흡기 질환이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일반 생활용 마스크보다 방진 효율이 보다 높은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 이러한 유해 환경으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로는 방독재가 내장된 정화재가 부착된 마스크나, 내측에 필터지가 내장된 제품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들 제품은 상대적으로 고가일 뿐만 아니라 3-4일 주기로 방독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 여과율이 기대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으로 일회용 방진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아울러, 지하공사장의 경우에는 산소량이 착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하면서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산소량보다 적기 때문에 단순한 필터지 형태의 방진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마스크에 관해 공개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산소마스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184호)에는 흡입구와 배기구를 별도 구비하며, 착용자의 호흡기 주변을 외기와 분리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마스크가 플라스틱이나 금속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어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는 마스크의 경우 지하철이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에는 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건물 내에 구비하기 불편하며, 일반인들이 평소 소지한 채 활동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는, 마스크 필터지와, 마스크 필터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걸이밴드와, 마스크 필터지의 외부면에 장착되며 내부에 이산화탄소 및 산성가스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 및 정화하는 산소생성/정화산화물(MO2, 상기 M은 K, Na, 금속성물질)이 채워진 산소생성카트리지가 구비된, '산소 마스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841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일반적인 생활용 마스크와 같이 천이나 비닐 등의 재질로 본체가 이루어져 있고, 산소생성카트리지만이 추가 설치됨으로써 부피를 간소화시켜 휴대가 간편해져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산소생성카트리지는 개당 단가가 높아 이 역시 화재 대비시 등에 대비하여 다량으로 구비하기에 적합하지 못하고 일반 시민들이 휴대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생활용 마스크와 같이 본체와 걸이밴드가 구비되되, 본체 중앙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전면 측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갖춘 확장부재를 설치하여 본체 후면에서 개구부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 공기주머니부가 팽창되도록 하여 화재 등의 상황에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 채 공기주머니부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체와 확장부재는 천이나 비닐 등의 가볍고 부피가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낮아 지하철 역이나 건물에 비상용으로 다량 설치하거나 개인이 평소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확장부재의 하부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공기주머니부가 팽창할 때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때, 확장부재는 전면에 방염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은 밀폐층이 형성되어 있어 확장부재를 경계로 공기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한, 확장부재 내측에 통기성 재질의 수납주머니를 설치하고, 수납주머니 내부에 고체산소나 공기청정제 등을 설치함으로써 확장부재 내부의 산소를 사용하고 난 후 고체산소에 의한 호흡을 지속하도록 하거나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본체 배면 둘레 및 개구부 배면 둘레에 메모리폼 등의 밀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와 착용자의 접촉 부분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면 둘레를 따라 본체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걸이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배면 둘레를 따라 개구부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천 재질의 본체와; 둘레가 상기 본체 중앙의 개구부 전면 둘레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 부분은 본체와 이격되어 있으며, 전면의 공기와 배면의 공기를 차단하도록 밀폐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를 통해 본체 측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이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가 양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확장부재는 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면에 방염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밀폐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확장부재의 후면 양측에 통기성 재질의 수납주머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주머니가 설치되는 경우 수납주머니 내부에 고체산소 또는 공기청정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내장된 팩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체밀착부재와 개구부밀착부재는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일반적인 생활용 마스크와 같이 본체와 걸이밴드가 구비되되, 본체 중앙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전면 측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갖춘 확장부재를 설치하여 본체 후면에서 개구부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으면 공기주머니부가 팽창되도록 하여 화재 등의 상황에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 채 공기주머니부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체와 확장부재는 천이나 비닐 등의 가볍고 부피가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낮아 지하철 역이나 건물에 비상용으로 다량 설치하거나 개인이 평소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팽창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를 확장부재의 하부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공기주머니부가 팽창할 때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확장부재는 전면에 방염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은 밀폐층이 형성되어 있어 확장부재를 경계로 공기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열에 의해 손 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재 내측에 통기성 재질의 수납주머니를 설치하고, 수납주머니 내부에 고체산소나 공기청정제 등을 설치함으로써 확장부재 내부의 산소를 사용하고 난 후 고체산소에 의한 호흡을 지속하도록 하거나 정화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 배면 둘레 및 개구부 배면 둘레에 메모리폼 등의 밀착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와 착용자의 접촉 부분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는 크게 본체(100)와, 본체(100) 전면의 확장부재(20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체(100) 전면에 확장부재(200)가 설치되어 있는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확장부재(200)는 본체(100) 전체 면적의 반 정도이나 확장부재(200)의 크기는 도면에서보다 더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확장부재(200)는 하부 양측에 다수의 주름(211)이 형성되 어 있는 공기주머니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공기주머니부(210)에 다수의 주름(211)을 형성한 것은 배면측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팽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주머니부(210) 외의 부분 즉, 주변부(150)와 달리 천이 다수 주름이 형성된 채 졉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공기주머니부(210)를 확장부재(200)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 것은 확장부재(200) 자체가 전체적으로 팽창하도록 형성할 경우 팽창하면서 착용자의 전면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개구리가 울 때 볼 양측이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이 형성함으로써 바람을 불어 넣더라도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의 본체(100)와 확장부재(200)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체(100)의 양측에는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밴드(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개구부(110)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개구부(110) 주변의 주변부(150)는 일반 생활용 마스크와 같이 천 재질로 형성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주변부(150)에 공기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 코팅층이 부착되거나, 주변부(150) 자체를 시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의 배면에는 도시된 것처럼 본체(100) 둘레를 따라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된 본체밀착부재(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부(110)의 배면 둘레에도 역시 개구부(110) 둘레의 착용자 피부에 밀착되도록 개구부밀착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본체밀착부재(120)와 개구부밀착부재(130)가 본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본체밀착부재(120)와 개구부밀착부재(130)를 설치한 것은 본체(100) 밖의 오염된 공기가 착용자의 피부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밀착부재(120)와 개구부밀착부재(130)는 메모리폼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 재질의 겔이나 반 접착성 시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체밀착부재(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착용자의 코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코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구성하고, 외곽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측에는 도시된 것처럼 확장부재(200)가 설치되는데, 확장부재(200)는 후면부 둘레가 본체(100) 중앙의 개구부(110) 전면 둘레를 감싸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확장부재(200)의 중앙 부분은 본체(100) 전면과 이격되어 있다.
즉, 본체(100)의 개구부(110) 후면을 통해 확장부재(20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확장부재(200)의 둘레가 본체(100)의 전면과 고정되어 다른 곳으로 새어 나갈 수 없게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확장부재(200)는 전면의 공기와 배면의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밀폐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밀폐형 재질의 예로는 합성수지 코팅 처리된 천이나, 비닐,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확장부재(200)에는 하부 양측에 공기주머니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주머니부(210)는 개구부(110)를 통해 본체(100) 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되도록 구성된 부분으로 도면에는 다수 개의 주름(211)이 형성된 천으로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내부에 공기가 가득 찬 상태가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는 천을 다수 겹으로 접어 형성한 것으로 외부에서 볼 때에는 다수 개의 주름(211)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보이도록 한 것이다.
또는, 공기주머니부(210)와 확장부재(200)를 동일하게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하되, 공기주머니부(210)만 보다 신축성이 높은 얇은 재질로 형성하여 바람이 공급되면 마치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신축성에 의한 압력이 존재하게 되어 호흡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도 있다.
도 3에는 공기주머니부(210)를 포함한 확장부재(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중앙에 천(220)이 위치하고, 그 전면으로 방염코팅 층(230), 천(220)의 후면으로 밀폐층(2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방염코팅층(230)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염코팅제를 천(220)의 전면에 나염 또는 페인트 등의 방법으로 코팅한 것이며, 후면의 밀폐층(240)은 확장부재(200)의 전후로 공기가 소통하지 못하도록 폴리에틸렌 시트 등과 같은 부재를 부착하거나 나염처리하여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로부터의 열에 의해 확장부재(200)가 변형되거나 구멍이 뚫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내측으로는 공기가 소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확장부재(200)의 후면 양측에 통기성 재질의 수납주머니(25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주머니(250)에는 고체산소나 공기청정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내장된 팩(300)이 수납될 수 있다.
이중 특히 고체산소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1966호 등에 제시된 다양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하는 다양한 조성물을 투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착용자는 마스크 착용 전 본체(100) 후면의 개구부(110)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공기주머니부(210)가 팽창되도록 한 다음 마스크를 착용하여 도면과 같은 상태가 되도 록 한다.
이때, 확장부재(200)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본체(100)의 후면 둘레에 본체밀착부재(120) 및 개구부밀착부재(130)가 이중으로 착용자의 피부를 밀착하게 되므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는 공기주머니에 내장되어 있는 공기를 통해 일정한 시간 동안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지하철이나 건물 화재 발생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마시기 전에 착용하여 대피하는 동안 산소를 호흡하면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특히, 고체산소가 팩(300)으로 내장된 수납주머니(250)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호흡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는 화재 발상 상황 뿐만 아니라 고지대 등산시, 공장이나 채석장등의 작업환경에서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되는 현장 및 일반 생활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의 공기주머니가 팽창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에 수납주머니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기 차단형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본체 110 : 개구부
120 : 본체밀착부재 130 : 개구부밀착부재
140 : 걸이밴드 150 : 주변부
200 : 확장부재 210 : 공기주머니부
211 : 주름 220 : 천
230 : 방염코팅층 240 : 밀폐층
250 : 수납주머니 300 : 팩

Claims (5)

  1. 마스크에 있어서,
    배면 둘레를 따라 본체밀착부재(120)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걸이밴드(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0) 배면 둘레를 따라 개구부밀착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는 천 재질의 본체(100)와;
    둘레가 상기 본체(100) 중앙의 개구부(110) 전면 둘레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 부분은 본체(100)와 이격되어 있으며, 전면의 공기와 배면의 공기를 차단하도록 밀폐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다수 개의 주름(211)이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110)를 통해 본체(100) 측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이 가능하도록 된 공기주머니부(210)가 양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외기 차단형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는 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면에 방염코팅층(230)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밀폐층(2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차단형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200)의 후면 양측에 통기성 재질의 수납주머니(2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차단형 마스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주머니(250) 내부에 고체산소 또는 공기청정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내장된 팩(300)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차단형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밀착부재(120)와 개구부밀착부재(130)는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차단형 마스크.
KR1020090082195A 2009-09-01 2009-09-01 외기 차단형 마스크 KR10116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95A KR101161848B1 (ko) 2009-09-01 2009-09-01 외기 차단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95A KR101161848B1 (ko) 2009-09-01 2009-09-01 외기 차단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78A true KR20110024278A (ko) 2011-03-09
KR101161848B1 KR101161848B1 (ko) 2012-07-04

Family

ID=4393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95A KR101161848B1 (ko) 2009-09-01 2009-09-01 외기 차단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110A (ko) * 2020-12-21 2022-06-28 김승섭 확장 및 수축 가능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731B1 (ko) 2016-05-18 2017-05-18 이서현 산소발생마스크
KR101881871B1 (ko) 2016-11-21 2018-07-25 주식회사 오투엠 비상약을 구비한 마스크
KR101904723B1 (ko) 2017-02-07 2018-11-28 주식회사 오투엠 고체산소를 포함한 마스크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와 그 제조방법
KR102021339B1 (ko) * 2018-02-26 2019-09-1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산소공급부가 구비된 방독면용 정화통
KR102116608B1 (ko) * 2018-04-16 2020-05-28 임화목 미세 입자 제거용 고체산소 내장형 마스크
KR102080528B1 (ko) 2018-06-29 2020-04-23 주식회사 오투엠 개폐부재를 구비한 산소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538016B1 (ko) 2020-12-14 2023-05-31 방지철 산소발생 항균 스티커 제조 시스템 및 조성물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922A (ja) 1997-11-17 1999-06-02 Kazuhiro Kimoto 非常用呼吸器具
JP2006239333A (ja) 2005-02-28 2006-09-14 Hiroko Watanabe 常備型防煙マスク
KR100678716B1 (ko) 2005-08-12 2007-02-02 손세화 필터를 갖는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110A (ko) * 2020-12-21 2022-06-28 김승섭 확장 및 수축 가능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848B1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848B1 (ko) 외기 차단형 마스크
US8640265B2 (en) Protective hood
US6763835B1 (en) Chemical/biological special operations mask
JP5320457B2 (ja) コンバーチブル型の頭部被覆部材を包含するレスピレータシステム
JP2005192983A (ja) スペーサ内蔵の呼吸用マスク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CN102958571A (zh) 一种用于papr的全面罩
CA2510253A1 (en)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ivilians
US20210205640A1 (en) Portable gas supply device and respiratory assistance system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190119804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653B1 (ko) 일회용 구명의
CN204502181U (zh) 一种矿井火灾逃生呼吸过滤装置
KR101136999B1 (ko) 비상용 방독면
KR101198898B1 (ko) 방진 마스크
CN211835878U (zh) 一种无菌送风呼吸帽
JP3921295B2 (ja) 呼吸保護具
CN211794490U (zh) 一种医用防护服
CN211273237U (zh) 一种消防员的新风头盔
KR101218787B1 (ko) 방진 마스크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CN213159054U (zh) 一种具有电动过滤送风装置的全脸式防护装备
CN206214591U (zh) 一种带有密封罩体的囊式呼吸装置
KR20060071061A (ko) 비상용 공기 호흡장치
RU27775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