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99B1 - 비상용 방독면 - Google Patents

비상용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99B1
KR101136999B1 KR1020100111887A KR20100111887A KR101136999B1 KR 101136999 B1 KR101136999 B1 KR 101136999B1 KR 1020100111887 A KR1020100111887 A KR 1020100111887A KR 20100111887 A KR20100111887 A KR 20100111887A KR 101136999 B1 KR101136999 B1 KR 10113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sk
main body
emergency gas
emergency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용
김종민
Original Assignee
김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용 filed Critical 김창용
Priority to KR102010011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99B1/ko
Priority to PCT/KR2011/008582 priority patent/WO201206413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건물 또는 대형빌딩에서 화재 발생시 시민들이 대피하는 동안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비상용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머리에 씌워 착용할 수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하단에 형성된 밀봉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2)는 멤브레인 필터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공기를 배출할때만 개방되는 배출부(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용 방독면{GAS MASK}
본 발명은 비상용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건물 또는 대형빌딩에서 화재 발생시 시민들이 대피하는 동안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비상용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 또는 공공건문, 대형 쇼핑몰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화재 및 유독가스에 대한 대비가 철저하게 요구된다.
즉 위급 상황시 대피를 위한 통로의 확보, 화재를 제압할 수 있는 소방설비, 단전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 유도등이 확보되어야 하며, 특히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용 방독면을 비치해두어야 한다.
이러한 비상용 방독면은 대개 1회용이므로 원가가 저렴하면서 대피하는 시간동안만 호흡을 보장할 수 있는 성능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종래 비상용 방독면은 공기정화통과 두건 등을 모두 갖추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대량으로 비치해두지 못하므로 실효성에 의문이 있다.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11979호의 "유해가스 차단용 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11979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행기술은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테프론수지로 성인 한사람이 약 5분 정도 호흡할 수 있는 공기가 수납되는 봉투(2); 상기 봉투(2)의 개구측에는 밴드부(3);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에 조여져 화재로 인한 대피시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호흡 시간이 너무 짧아 대피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 시공되는 지하철 역사는 그 깊이가 종래에 비해 매우 깊어져 지상으로부터 수 백미터 지하에 승강장이 설치되므로, 승강장에서 지상까지 대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봉투 안의 공기로는 대피할때까지 사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급박한 상황에서는 운동량이 증가하고 호흡이 빨라지므로 호흡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나 종래 기술로는 충분한 호흡량을 충족시키기에도 턱없이 부족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독가스를 여과시켜 호흡이 용이함으로써 대피 시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정화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낮출 수 있으므로 대량 보급이 가능하여 대피 인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비상용 방독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에 씌워 착용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밀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멤브레인 필터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공기를 배출할때만 개방되는 배출부가 장착되며,
상기 배출부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본체에 부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목에 밀착되어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기밀성을 갖도록 쿠션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끈 또는 탈착되는 벨크로 파스너이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내쉬는 숨을 이용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음향발생수단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발생수단은 호루라기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독가스를 여과시켜 호흡이 용이하므로 대피 시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정화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낮출 수 있으므로 대량 보급이 가능하여 대피 인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배출부'에 대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착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배출부'에 대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방독면(A)은, 머리에 씌워 착용할 수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하단에 형성된 밀봉수단(4)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체(2)는 멤브레인 필터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숨을 내쉬는 배출부(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의 내측에는 목에 착용되어 외부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해 보조밀봉부재(5)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밀봉부재(5)는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직물이며 중앙에 머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50)이 형성된다. 즉 보조밀봉부재(5)는 수영모자의 중앙에 통공을 형성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며, 재질이 갖는 탄성에 의해 머리를 끼울 수 있고 통공(50)이 목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통공(50)의 크기는 목에 밀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통공의 주변이 목에 밀착되어 면 접촉되므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체(2)를 구성하는 멤브레인 필터소재는 역삼투압 정수방식에 사용되는 인공삼투막으로 층별로 밀도가 다른 폴리머필름(Polymer Film)인 다공성 물질의 지지층과, 매우 얇은 고밀도 분리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멤브레인 필터소재는 고도의 정화성능을 갖는 소재로써 미세 기공을 갖는 멤브레인은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방사성 물질까지 걸러줄 수 있는 성능이 있다.
따라서 본체(2)를 전부 멤브레인 필터소재로 만들거나 또는 본체(2)의 일부분에만 멤브레인 필터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멤브레인 필터소재에 의해 공기의 호흡이 자유롭고, 유독물질을 걸러낼 수 있어 방독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본체(2)는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된 봉투형상이 바람직하며, 난연성 또는 불연성능을 갖도록 코팅처리된다.
본체(2)는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시창(20)이 전면에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부(22)가 형성된다.
투시창(20)은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합성수지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부(22)에는 밀봉수단(4)이 구비되어 본체(2)를 착용한 후 밀봉수단(4)으로 밀봉시켜 목에 밀착되도록 한다.
밀봉수단(4)은 상기 개구부(22)에 결합되어 조이거나 풀 수 있어야 하므로 통상 끈 또는 탈착되는 벨크로 파스너가 적당하다.
그리고 밀봉수단(4)을 조여 목에 밀착되었을때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기밀성을 갖도록 쿠션부재(3)가 부착된다.
즉 목에 닿는 부위인 개구부의 안쪽면에 통상의 스폰지로 된 쿠션부재(3)가 형성됨으로써 피부 자극을 줄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부(6)는 본체(2)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쉽도록 하되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일종의 체크밸브의 기능을 한다.
배출부(6)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602)이 형성되며 본체(2)에 부착되는 케이스(60); 상기 케이스(6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캡(61); 상기 케이스(60)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다이아프램(62); 및 상기 케이스(60)에 장착되며 내쉬는 숨을 이용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음향발생수단(7)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0)는 전면에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캡(61)이 결합된다. 즉 케이스(60)의 전면에 부착되는 캡(61)의 일측에 케이스(60)와 연결된 고리부(606)가 형성되며, 캡(61)을 열었을때 케이스(60) 내부의 다이아프램(62)이 보이도록 하여 소제 및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다이아프램(62)은 얇은 박막형태로써 케이스(60)에 형성된 브라켓(64)의 전면에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즉 공기를 흡입할 때는 다이아프램(62)이 닫히고, 호흡을 내쉴때는 열리게 된다.
따라서 공기를 흡입할 때는 다이아프램(62)이 닫힌 상태이므로 멤브레인 필터 소재로 된 본체(2)를 통해서 공기 흡입이 일어나게 되고, 숨을 내쉴때는 다이아프램(62)이 열림으로써 배출부(6)를 통해 신속하게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2) 내에 이산화탄소의 누적을 방지하여 호흡이 편하고, 투시창(20)에 성에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음향발생수단(7)은 케이스(60)의 캡에 부착되며, 통상의 호루라기가 적용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내뱉는 숨을 이용하여 음향발생수단(7)을 불어 고음의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고, 타인에게 경고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즉, 화재 현장 같은 경우 유독가스연기에 의해 전방을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시야가 흐려지므로 소리에 의해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주변 사람들의 위치 및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구조 활동에 보다 좋은 효과기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의 개구부(22)를 통해 머리에 씌운다.
보조밀봉부재(5)의 통공(50)을 통해 머리를 밀어넣고, 머리가 완전히 본체(2) 내에 삽입되면 보조밀봉부재(5)의 탄성에 의해 통공(50) 주변이 목에 밀착된다.
이렇게 본체(2)를 착용한 후 밀봉수단(4)을 조여 목에 밀착시킴으로써 외부의 공기와 차단되도록 착용한다.
이후 숨을 들여마시면 본체(2)를 구성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정화된 상태로 유입되므로 유해성이 제거되어 쾌적한 공기를 호흡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연기에 의해 시야가 흐려져 사물의 구분이 안될 정도라면 배출부(6)에 구비된 음향발생수단(7)을 불어서 위치를 알리고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3 ; 쿠션부재
4 : 밀봉수단 6 : 배출부
7 : 음향발생수단 20 : 투시창
62 : 다이아프램

Claims (8)

  1. 머리에 씌워 착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밀봉수단 및
    내쉬는 숨을 이용하여 소리를 낼 수 있는 음향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멤브레인 필터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공기를 배출할 때만 개방되는 배출부가 장착되며,
    상기 배출부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본체에 부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발생수단은 상기 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되고,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목에 밀착되는 쿠션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목에 착용되어 외부 공기를 차단하도록 보조밀봉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밀봉부재는 중앙에 머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반사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끈 또는 탈착되는 벨크로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수단은 호루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방독면.
KR1020100111887A 2010-11-11 2010-11-11 비상용 방독면 KR10113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87A KR101136999B1 (ko) 2010-11-11 2010-11-11 비상용 방독면
PCT/KR2011/008582 WO2012064134A2 (ko) 2010-11-11 2011-11-10 비상용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87A KR101136999B1 (ko) 2010-11-11 2010-11-11 비상용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999B1 true KR101136999B1 (ko) 2012-04-19

Family

ID=4605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887A KR101136999B1 (ko) 2010-11-11 2010-11-11 비상용 방독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6999B1 (ko)
WO (1) WO201206413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77B1 (ko)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190125960A (ko) 2019-05-07 2019-11-07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210135068A (ko) * 2020-05-04 2021-11-12 김승업 기능성 복면형 마스크
KR102656412B1 (ko) * 2023-01-18 2024-04-12 오현아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375B (zh) * 2014-06-04 2016-10-05 成都理工大学 一种应用于火灾紧急逃生的微型防毒面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47Y1 (ko) * 2001-04-17 2001-10-26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의 고정밴드 지지대 구조
JP3153844U (ja) * 2009-05-07 2009-09-24 修 秦 安眠用フルフェイス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431A (en) * 1985-03-12 1986-12-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tective hood with CO2 absorbent
FI100640B (fi) * 1994-09-06 1998-01-30 Kemira Safety Oy Suojanaamari
IL152060A0 (en) * 2002-10-02 2003-07-31 Porat Michael Emergency escape mask
KR20040068913A (ko) * 2004-07-16 2004-08-02 (주)우리텍 다기능성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47Y1 (ko) * 2001-04-17 2001-10-26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의 고정밴드 지지대 구조
JP3153844U (ja) * 2009-05-07 2009-09-24 修 秦 安眠用フルフェイスマス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77B1 (ko) 2018-04-30 2019-07-29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190125960A (ko) 2019-05-07 2019-11-07 (주)피노스토리 비상용 방독키트
KR20210135068A (ko) * 2020-05-04 2021-11-12 김승업 기능성 복면형 마스크
KR102396980B1 (ko) 2020-05-04 2022-05-12 김승업 기능성 복면형 마스크
KR102656412B1 (ko) * 2023-01-18 2024-04-12 오현아 화재대피용 방연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4134A3 (ko) 2012-07-19
WO2012064134A2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5755C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KR101136999B1 (ko) 비상용 방독면
US20030075174A1 (en) Respiratory hoods
US4361146A (en) Filtering respirator
KR102046716B1 (ko) 응급 구호시 자가 호흡장치
CN103933684A (zh) 多通道呼吸器
CN211513185U (zh) 一种消防急救用呼吸面罩
CN205549275U (zh) 一种具有语音增强和除雾功能的正压式空气呼吸器面罩
KR20120019069A (ko)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20220154589A (ko) 포켓용 실리콘 성형 방독면과 그 제조 방법
CN212395637U (zh) 一种微正压自吸过滤式逃生呼吸器
CN214713870U (zh) 一种防烟雾消防面具
CN210078643U (zh) 一种空气呼吸器
CN111790072A (zh) 一种微正压自吸过滤式逃生呼吸器
KR20170025407A (ko) 휴대용 마스크
KR20060071061A (ko) 비상용 공기 호흡장치
CN111772260A (zh) 面部识别高透明食品级硅胶重复使用口罩
WO2013154344A1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KR102122494B1 (ko) 골든타임 확보용 마스크
CN214762953U (zh) 一种带有固体碱过滤片的头盔
CN210384618U (zh) 一种消防员专用双层过滤式防毒面具
CN206295514U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US11491355B1 (en) Respiration flow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