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47A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247A
KR20110009247A KR1020107028294A KR20107028294A KR20110009247A KR 20110009247 A KR20110009247 A KR 20110009247A KR 1020107028294 A KR1020107028294 A KR 1020107028294A KR 20107028294 A KR20107028294 A KR 20107028294A KR 20110009247 A KR20110009247 A KR 2011000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isplay
wirings
blocks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6808B1 (ko
Inventor
다다또시 오제끼
다까하루 야마다
마사히로 요시다
가즈요리 미쯔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02F1/136263Line de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02F1/136272Auxiliary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4Electrical device making including measuring or testing of device or component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패널(40a)은, 각 블록(B1∼B3)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표시용 배선(3)과, 표시영역(D) 외측에서 각 블록(B1∼B3) 내 각 표시용 배선(3)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44a)와, 표시영역(D) 외측에서 각 블록(B1∼B3) 내 각 표시용 배선(3)의 각 구동회로(44a)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W1)과, 표시영역(D) 외측에서 모든 블록(B1∼B3) 내 각 표시용 배선(3)의 각 구동회로(44a)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W2)을 구비하며, 제 2 배선(W2)은 각 제 1 배선(W1)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각 구동회로(44a)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A)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ACTIVE MATRIX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및 표시장치에 배치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수정기술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및 대향기판을 구비한다. 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은 표시용 배선으로서,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 게이트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소스선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게이트선이나 소스선과 같은 표시용 배선에 단선이 발생하면, 단선이 발생한 표시용 배선에서,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그 단선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공급되지 않으므로, 표시 품질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의 외측에, 단선수정용 배선과, 그 단선수정용 배선에 접속된 증폭회로를 구비한 여러 종류의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4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0-32159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11-16067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0-105576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2008-58337호 공보
도 11은 특허문헌 1의 도 5에 기재된 액정표시소자와 그 외주부에 배치된 구동용 회로기판의 개략 평면도에 대응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50)의 평면도이다.
액정표시장치(15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40)과, 액정표시패널(140)의 도면 중 상단에 각각 부착된 3개의 필름기판(141)과, 각 필름기판(141)의 도면 중 상단에 각각 부착된 프린트기판(145)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4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D)에,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소스선(103)과, 각 소스선(10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선(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여기서 복수의 소스선(103)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소스선별로 블록(B1∼B3)으로 구분되며, 각 블록(B1∼B3)별로 배치된 필름기판(141) 상의 구동회로(도시 생략)에 각각 접속된다.
또 액정표시패널(14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D)의 외측에, 그 상변을 따라 각 블록(B1∼B3)에 배치된 각 소스선(103)의 도면 중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패널측 제 1 배선(101c)과, 그 좌변 및 하변을 따라 각 소스선(103)의 도면 중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L"자형으로 배치된 패널측 제 2 배선(101d)을 구비한다.
프린트기판(145)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필름기판(141)에 배치된 필름기판측 제 1 배선(142)을 개재하여 각 패널측 제 1 배선(101c)에 각각 접속된 3개의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146)과, 각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146)의 도면 중 상단부에 교차함과 더불어, 도면 중 좌측의 필름기판(141)에 배치된 필름기판측 제 2 배선(143)을 개재하여 패널측 제 2 배선(101d)에 접속되도록 배치된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147)과,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147)의 도면 중 좌단부에 배치된 증폭회로(A)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150)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B2)의 소스선(103)이 X부에서 단선된 경우에는, 단선된 소스선(103)의 도면 중 상측부분과 블록(B2)의 패널측 제 1 배선(101c)과의 교차부분(M1), 단선된 소스선(103)의 도면 중 하측부분과 패널측 제 2 배선(101d)과의 교차부분(M2), 및 블록(B2)의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146)과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147)과의 교차부분(M3)에 각각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단선된 소스선(103)의 도면 중 상측부분과 블록(B2)의 패널측 제 1 배선(101c)과의 도통, 단선된 소스선(103)의 도면 중 하측부분과 패널측 제 2 배선(101d)과의 도통, 및 블록(B2)의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146)과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147)과의 도통을 각각 취하게 된다. 이로써, X부보다 도면 중 하측에 있는 소스선(103)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기판(141)에 형성된 구동회로(도시 생략)로부터의 표시용 신호(소스신호)가, 블록(B2)의 패널측 제 1 배선(101c), 블록(B2)의 필름기판측 제 1 배선(142), 블록(B2)의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146),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147), 증폭회로(A), 필름기판측 제 2 배선(143) 및 패널측 제 2 배선(101d)을 통해 공급되게 되며, 단선부위(X부)보다 앞의 소스선(103)으로도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공급되므로, 소스선(103)의 단선을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액정표시장치(150)의 소스선(103) 단선 수정에서는,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기 위한 교차부분(M1∼M3)이 액정표시패널(140) 및 프린트기판(150) 쌍방에 존재하므로, 레이저 조사장치가 복수가 되거나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복잡해지거나 하여 제조원가의 증대를 초래하므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용이하게 수정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있어서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표시패널에서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고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 외측에서, 각 블록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있어서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이 표시패널의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용 배선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하여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표시패널 상 3 부위에만,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그리고 제 2 배선은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대상이 표시패널만이 되므로,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전술한 특허문헌 1의 도 1 등에는 표시패널 상의 2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배선에 상당하는 배선이 전 블록에 걸쳐 1개의 배선에 의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배선에 상당하는 배선과 전 블록의 각 신호선과의 교차부분에서의 용량이 부하가 되므로, 신호지연이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구성에서는 제 1 배선이 각 블록별로 배치되므로, 신호지연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각 제 1 배선에서,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증폭회로가 각 제 1 배선별, 즉, 각 블록별로 배치되므로, 단선이 발생한 블록 위치에 의한 신호지연의 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각 블록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있어서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이 표시패널의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용 배선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하여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표시패널 상 3 부위에만,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그리고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대상이 표시패널만이 되므로,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제 1 배선은,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가, 상기 표시영역과 반대측으로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제 1 배선의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가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되므로, 단선을 수정한 블록에서,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부분과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 및 제 2 배선과의 전기저항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접속상태,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접속상태를 각각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측 전단부 및 상기 제 2 단자측 후단부에 각각 접속된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블록에서, 각 표시용 배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에서 복수의 제 1 단자측 전단부 및 제 2 단자측 후단부에 각각 접속된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가 배치되므로, 단선을 수정한 블록에서,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제 1 단자, 및 제 3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 그리고 제 2 단자 및 제 4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접속상태,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접속상태를 각각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시영역 외측의 상기 표시패널 단부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부착된 복수의 필름기판을 가지며,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는 상기 각 필름기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제 1 단자, 제 2 단자,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는 상기 각 필름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각 필름기판에 배치된 상기 각 구동회로에 내장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단선을 수정한 블록에서, 증폭회로가 내장된 구동회로를 구비한 필름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단자(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중 1개 및 제 3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 그리고 제 2 단자 및 제 4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접속상태,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접속상태가 확인되므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가 구체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각 필름기판의 상기 표시패널과 반대측의 단부에 각각 부착된 프린트기판을 가지며, 상기 프린트기판에는,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연결하는 배선이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프린트기판에,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연결하는 배선이 배치되므로, 필름기판의 배선 배치가 단순해지며, 동일 표시장치 또는 다른 표시장치와의 필름기판의 공통이용이 용이해진다.
상기 각 블록의 복수의 표시용 배선은 복수의 배선군을 구성하며, 상기 각 제 1 배선은 상기 각 배선군별로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용 배선의 복수의 배선군이 구성된 각 블록에서, 제 1 배선 및 증폭회로가 각 배선군별로 배치되므로, 단선이 발생한 블록 위치에 의한 신호지연의 차를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각 표시용 배선은, 상기 표시용 신호로서 소스신호가 입력되는 소스선이라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스선의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표시패널에서, 단선된 소스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소스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표시패널 상의 3 부위에만,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게 되므로, 소스선의 단선이 쉽게 수정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의 단선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선검출공정과, 상기 단선검출공정에서 단선이 검출된 표시용 배선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과의 각 교차부분, 그리고 이 제 1 배선과 이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단선수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각 블록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모든 블록 내의 각 표시용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이 표시패널의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용 배선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하여 단선검출공정에서 그 단선이 검출되고, 단선수정공정에서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표시패널 상 3 부위에만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제 2 배선은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대상이 표시패널만이 되므로,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의 단선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선검출공정과, 상기 단선검출공정에서 단선이 검출된 표시용 배선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과의 각 교차부분, 그리고 이 제 1 배선과 이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단선수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각 블록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모든 블록 내의 각 표시용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이 표시패널의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용 배선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하여 단선검출공정에서 그 단선이 검출되고, 단선수정공정에서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표시패널 상 3 부위에만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대상이 표시패널만이 되므로,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각 제 1 배선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각 제 1 배선은,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가 상기 표시영역의 반대측으로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의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측 전단부 및 상기 제 2 단자측 후단부에 각각 접속된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단선수정공정 후에,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제 1 단자, 및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제 1 배선의 전단부에 접속된 제 3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 그리고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 및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제 1 배선의 후단부에 접속된 제 4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수정확인공정을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수정확인공정에서는, 단선을 수정한 블록에서,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제 1 단자, 및 제 3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 그리고 제 2 단자 및 제 4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을 각각 측정하여, 단선을 수정한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접속상태,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접속상태가 확인되므로, 접속불량 부위의 동정(identification)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에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각 블록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있어서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모든 블록 내의 각 표시용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의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상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용 배선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하여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상 3 부위에만,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제 2 배선은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대상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만이 되므로,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에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각 블록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과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모든 블록 내의 각 표시용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의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상에 배치되는 모든 표시용 배선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하여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과의 교차부분,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구동회로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 및 제 1 배선과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상 3 부위에만, 예를 들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표시용 배선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구동회로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대상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만이 되므로, 레이저광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있어서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과,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이 표시패널에서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되므로,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50a)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액정표시장치(50a)를 구성하는 필름기판(41a) 및 그 주위를 확대시킨 평면도이다.
도 3은 액정표시장치(50a)를 구성하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의 1개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Ⅳ-Ⅳ선을 따른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40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Ⅴ-Ⅴ선을 따른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50b)를 구성하는 필름기판(41a) 및 그 주위를 확대시킨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50c)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50d)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50e)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50)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액정표시장치(50a)를 구성하는 필름기판(41a) 및 그 주위를 확대시킨 평면도이다. 또 도 3은 액정표시장치(50a)를 구성하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의 1개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 중의 Ⅳ-Ⅳ선을 따른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40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 중의 Ⅴ-Ⅴ선을 따른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의 단면도이다.
액정표시장치(50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40a)과, 액정표시패널(40a)의 도면 중 상단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각각 부착된 3개의 필름기판(41a)과, 각 필름기판(41a)의 도면 중 상단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각각 부착된 프린트기판(45a)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40a)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및 대향기판(30)과,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및 대향기판(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25)을 구비한다.
또 액정표시패널(40a)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및 대향기판(30)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D)이 규정된다. 그리고 표시영역(D)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3개의 블록(B1∼B3)을 갖는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D)에, 절연기판(10a) 상에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표시용 배선으로서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선(1a)과, 각 게이트선(1a)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용량선(1b)과, 각 게이트선(1a) 및 각 용량선(1b)을 피복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11)과, 게이트 절연막(11) 상에 각 게이트선(1a)과 직교하는 방향(각 블록(B1∼B3)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표시용 배선으로서 배치된 복수의 소스선(3)과, 각 게이트선(1a) 및 각 소스선(3)의 교차부분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5)와, 각 TFT(5) 및 각 소스선(3)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층간절연막(12)과, 층간절연막(12) 상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전극(6)과, 각 화소전극(6)을 피복하도록 배치된 배향막(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TFT(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게이트선(1a)의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인 게이트전극(1aa)과, 게이트전극(1aa)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1)과, 게이트 절연막(11) 상에서 게이트전극(1a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섬상으로 형성된 반도체층(2)과, 반도체층(2)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소스전극(3a) 및 드레인전극(3b)을 구비한다. 여기서 소스전극(3a)은 각 소스선(3)의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또 드레인전극(3b)은, 용량선(1b)에 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됨으로써 보조 용량을 구성함과 더불어, 용량선(1b) 상에서 층간절연막(12)에 형성된 콘택트홀(12a)을 개재하여 화소전극(6)에 접속된다.
또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D) 외측에서, 기판 상변을 따라 각 블록(B1∼B3)에 배치된 각 소스선(3)의 도 1 중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패널측 제 1 배선(1c)과, 각 패널측 제 1 배선(1c)의 도면 중 좌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와, 기판 좌변 및 하변을 따라 전 블록(B1∼B3)의 각 소스선(3)의 도 1 중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L"자형으로 배치된 1개의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를 구비한다.
대향기판(3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기판(10b)과, 절연기판(10b) 상에 플레임형이며 또 그 프레임 내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16)와, 블랙 매트릭스(16)의 각 격자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적색층, 녹색층 및 청색층을 포함한 컬러 필터(17)와, 블랙 매트릭스(16) 및 컬러 필터(17)를 피복하도록 배치된 공통전극(18)과, 공통전극(18) 상에 기둥형으로 배치된 포토스페이서(도시 생략)와, 공통전극(18)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배향막(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액정층(25)은 전기광학 특성을 갖는 네마틱 액정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필름기판(41a)은, 예를 들어 TCP(Tape Carrier Package) 등으로 구성되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의 각 패널측 제 1 배선(1c)의 전단부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의 도면 중 좌측에 서로 인접하여 이어지도록 배치되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 각 패널측 제 1 배선(1c)의 후단부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의 도면 중 좌측에 서로 인접하여 이어지도록 배치되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 각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43a)와, 구동회로로서 기판 상에 탑재되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 각 소스선(3)에 접속된 소스드라이버(44a)와, 소스드라이버(44a)에 내장되며,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의 경로 도중에 배치된 증폭회로(A)와,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 각 소스선(3)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T1)와,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43a)에 접속된 제 2 단자(T2)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에 접속된 제 3 단자(T3)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에 접속된 제 4 단자(T4)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좌측의 필름기판(41a)에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의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후단부(43b)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소스드라이버(44a)를 생략하여 필름기판(41a)을 도시한다.
프린트기판(45a)은, 예를 들어 PWB(Printed Wiring Board)로 구성되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필름기판(41a) 상의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43a)와 도면 중 좌측의 필름기판(41a) 상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후단부(43b)를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46a)과, 각 필름기판(41a) 상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를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47)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배선(W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패널측 제 1 배선(1c),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47) 및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를 구비한다. 또 제 2 배선(W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43a),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46a),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후단부(43b) 및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배선(W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W2)에 대한 교차부분(M3)과 각 소스선(3)에 대한 교차부분(M1 등) 군과의 사이가 표시영역(D)의 반대측으로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50a)에서는 화상의 최소단위인 각 화소에서, 게이트드라이버로부터 게이트신호가 게이트선(1a)을 통해 게이트전극(1aa)으로 전송되어 TFT(5)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 소스드라이버(44a)로부터 소스신호가 소스선(3)을 통해 소스전극(3a)으로 전송되어, 반도체층(2) 및 드레인전극(3b)을 통해 화소전극(6)에 소정의 전하가 기입된다. 이때,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의 각 화소전극(6)과 대향기판(30)의 공통전극(18)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액정층(25)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50a)에서는 액정층(25)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액정층(25)의 배향상태를 바꿈으로써 액정층(25)의 광 투과율을 조정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 제조방법( 및 수정방법)에 대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은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제작공정, 대향기판 제작공정, 액정표시패널 제작공정, 단선검출공정, 단선수정공정, 수정확인공정 및 실장공정을 구비한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제작공정>
먼저, 유리기판 등 절연기판(10a)의 기판 전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예를 들어 티탄막, 알루미늄막 및 티탄막 등을 차례로 성막하고, 그 후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하여, 게이트선(1a), 게이트전극(1aa), 용량선(1b), 패널측 제 1 배선(1c) 및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를 두께 4000Å 정도로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선(1a), 게이트전극(1aa), 용량선(1b), 패널측 제 1 배선(1c) 및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가 형성된 기판 전체에, 플라즈마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예를 들어 질화실리콘막 등을 성막하여, 게이트 절연막(11)을 두께 4000Å 정도로 형성한다.
또, 게이트 절연막(11)이 형성된 기판 전체에,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예를 들어 진성 비정질 실리콘막, 및 인이 첨가된 n+비정질 실리콘막을 연속해서 성막하고, 그 후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게이트전극(1aa) 상에 섬상으로 패터닝하여, 두께 2000Å 정도의 진성 비정질 실리콘층, 및 두께 500Å 정도의 n+비정질 실리콘층이 적층된 반도체 형성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형성층이 형성된 기판 전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막 및 티탄막 등을 성막하고, 그 후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하여, 소스선(3), 소스전극(3a), 드레인전극(3b) 및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를 두께 2000Å 정도로 형성한다.
이어서, 소스전극(3a) 및 드레인전극(3b)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도체 형성층의 n+비정질 실리콘층을 에칭함으로써 채널부를 패터닝하여, 반도체층(2) 및 이를 구비한 TFT(5)를 형성한다.
또, TFT(5)가 형성된 기판 전체에, 스핀코팅법에 의해, 예를 들어 아크릴계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그 도포된 감광성 수지를 포토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시킨 후에 현상시킴으로써, 드레인전극(3b) 상에 콘택트홀(12a)을 갖는 층간절연막(12)을 두께 2㎛ 정도로 형성한다.
그리고 층간절연막(12) 상의 기판 전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막을 성막하고, 그 후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하여, 화소전극(6)을 두께 1000Å 정도로 형성한다.
마지막에, 화소전극(6)이 형성된 기판 전체에, 인쇄법에 의해, 폴리이미드수지를 도포하고, 그 후 러빙처리를 실시하여 배향막을 두께 1000Å 정도로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을 제작할 수 있다.
<대향기판 제작공정>
먼저, 유리기판 등 절연기판(10a)의 기판 전체에, 스핀코팅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카본 등의 미립자가 분산된 아크릴계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그 도포된 감광성 수지를 포토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시킨 후에 현상시킴으로써, 블랙 매트릭스(16)를 두께 1.5㎛ 정도로 형성한다.
이어서, 블랙 매트릭스(16)가 형성된 기판 상에,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으로 착색된 아크릴계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그 도포된 감광성 수지를 포토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시킨 후에 현상시킴으로써 패터닝하여, 선택한 색의 착색층(예를 들어 적색층)을 두께 2.0㎛ 정도로 형성한다. 또, 다른 2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공정을 반복하며, 다른 2색의 착색층(예를 들어, 녹색층 및 청색층)을 두께 2.0㎛ 정도로 형성하여 컬러 필터(17)를 형성한다.
또한 컬러 필터(17)가 형성된 기판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예를 들어 ITO막을 성막하여, 공통전극(18)을 두께 1500Å 정도로 형성한다.
그 후, 공통전극(18)이 형성된 기판 전체에, 스핀코팅법에 의해, 페놀노볼락계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그 도포된 감광성 수지를 포토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시킨 후에 현상시킴으로써, 포토스페이서를 두께 4㎛ 정도로 형성한다.
마지막에, 상기 포토스페이서가 형성된 기판 전체에, 인쇄법에 의해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도포하고, 그 후 러빙처리를 실시하여 배향막을 두께 1000Å 정도로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대향기판(30)을 제작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 제작공정>
먼저, 예를 들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상기 대향기판 제작공정에서 제작된 대향기판(30)에, 자외선 경화 및 열경화 병용형 수지 등으로 구성된 봉입재를 프레임형으로 그린다.
이어서, 상기 봉입재가 그려진 대향기판(30)의 봉입재 내측의 영역에 액정재료를 적하시킨다.
또 상기 액정재료가 적하된 대향기판(30)과, 상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제작공정에서 제작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을 감압 하에서 합착시킨 후, 그 합착된 합착체를 대기압에 개방시킴으로써 그 합착체의 표면 및 이면을 가압한다.
마지막에, 상기 합착체 사이의 봉입재에 UV광을 조사한 후, 그 합착체를 가열함으로써 봉입재를 경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정표시패널(40a)을 제작할 수 있다. 그 후, 액정표시패널(40a)의 표면 및 이면에 편광판을 각각 부착시킨다. 또 편광판의 부착은 단선검출공정 전이나, 후술의 실장공정에서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실장공정에서 편광판의 부착을 실시하는 경우, 단선검출공정에서 단선이 검출되지 않은 액정표시패널(40a) 또는 단선수정공정 및 수정확인공정을 거쳐 단선이 수정된 액정표시패널(40a)의 표면 및 이면에 편광판을 각각 부착시킨다.
그 후, 제작된 액정표시패널(40a)에 대하여 하기의 단선검출공정을 실시하며, 소스선(3)에 단선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하기의 단선수정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단선을 수정하고, 그 후 하기의 수정확인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수정된 소스선(3)과 각 배선과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단선검출공정>
예를 들어 각 게이트선(1a)에, -10V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해 두고, 주기 16.7msec, 펄스폭 50μsec인 +15V의 펄스전압의 게이트 검사신호를 입력하여, 모든 TFT(5)를 온 상태로 한다. 또 각 소스선(3)에, 16.7msec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2V 전위의 소스 검사신호를 입력하여, 각 TFT(5)의 소스전극(3a) 및 드레인전극(3b)을 통해 화소전극(6)에 ±2V에 대응한 전하를 기입한다. 이와 동시에, 공통전극(18)에, 직류이며 -1V 전위의 공통전극 검사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화소전극(6)과 공통전극(18) 사이에 구성되는 액정 용량에 전압이 인가되어, 그 화소전극(6)으로 구성된 화소가 점등상태로 되며, NW모드(normally white mode)(전압 무인가 시에 백색표시)에서는 백색표시에서 흑색표시로 된다. 이때, 액정표시패널(40a)의 이면측에 광원을 배치함으로써, 그 표시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패널 제작공정에서 액정표시패널(40a)에 편광판을 부착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액정표시패널(40a)의 표면측, 및 액정표시패널(40a)과 광원과의 사이에 편광판을 각각 배치하여 표시상태를 확인한다.
또, 단선이 발생한 소스선을 따른 화소에서는, 그 화소전극(6)에 소정의 전하를 기입할 수 없어 비점등(휘점)이 되므로, 소스선(3)의 단선 부위(X부)가 검출된다.
<단선수정공정>
상기 단선검출공정에서, X부에서 단선이 검출된 소스선(3)과 제 1 배선(W1)(패널측 제 1 배선(1c))과의 교차부분(M1), 그 소스선(3)과 제 2 배선(W2)(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과의 교차부분(M2), 및 제 1 배선(W1)(패널측 제 1 배선(1c))과 제 2 배선(W2)(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과의 교차부분(M3)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AG 레이저 등으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L)을 절연기판(10a) 쪽에서 조사함으로써, 각 교차부분(M1∼M3)의 게이트 절연막(11)에 콘택트홀(C1∼C3)(C2는 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각 배선을 형성하는 금속층을 용융시켜, 단선된 소스선(3)의 도 1 중 상측부분과 제 1 배선(W1)과의 도통, 단선된 소스선(3)의 도 1 중 하측부분과 제 2 배선(W2)과의 도통,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도통을 각각 취한다.
<수정확인공정>
상기 단선수정공정에서 단선이 수정된 블록(B2)에서, 단선을 수정한 소스선(3)에 접속된 제 1 단자(T1), 및 제 3 단자(T3) 사이의 전기저항, 그리고 제 2 단자(T2) 및 제 4 단자(T4) 사이의 전기저항을 각각 측정하여, 단선을 수정한 소스선(3)과 제 1 배선(W1)과의 접속상태,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접속상태 불량이 확인된 경우에는, 그 불량이 확인된 교차부분에 대하여 다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이 확실해지도록 리워크 작업을 실시한다.
<실장공정>
미리, 프린트기판(45a)에 3개의 필름기판(41a)을 ACF를 개재하여 각각 부착해 두고, 상기 단선검출공정에서 단선이 검출되지 않은 액정표시패널(40a) 또는 단선수정공정 및 수정확인공정을 거쳐 단선이 수정된 액정표시패널(40a)에, 각 필름기판(41a)을 ACF를 개재하여 각각 부착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서로 평행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B1∼B3)이 규정된 표시영역(D)의 외측에서, 각 블록(B1∼B3) 내에서 서로 평행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소스선(3)에 있어서 각 소스드라이버(44a)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W1)과, 모든 블록(B1∼B3) 내 각 소스선(3)에 있어서 각 소스드라이버(44a)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W2)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B1∼B3) 내의 각 소스선(3)과 제 1 배선(W1)과의 교차부분(M1 등), 모든 블록(B1∼B3) 내의 각 소스선(3)과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2 등),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3 등)이 액정표시패널(40a)의 표시영역(D)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40a) 상에 배치되는 모든 소스선(3)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X부에서 발생하여, 단선검출공정에서 그 단선이 검출되고, 단선수정공정에서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소스선(3)의 소스드라이버(44a)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W1)과의 교차부분(M1), 단선된 소스선(3)의 소스드라이버(44a)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2),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3)의 액정표시패널(40a) 상의 3개 부위에만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증폭회로(A)는 각 제 1 배선(W1)별, 즉, 각 블록(B1∼B3)별로 배치되므로, 단선이 발생한 블록(B1∼B3) 위치에 의한 신호지연의 차가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소스선(3)의 단선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소스드라이버(44a)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A)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L)을 조사할 대상이 액정표시패널(40a)만이 되므로, 레이저광(L)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소스선(3)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각 블록(B1∼B3)에서, 각 소스선(3)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T1)와, 제 2 배선(W2)에 접속된 제 2 단자(T2)와, 각 제 1 배선(W1)이 우회하는 경로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단자(T1)측 전단부(42a) 및 제 2 단자(T2)측 후단부(42b)에 각각 접속된 제 3 단자(T3) 및 제 4 단자(T4)가 배치되며, 수정확인공정에서는, 단선을 수정한 블록(B2)에서, 단선을 수정한 소스선(3)에 접속된 제 1 단자(T1), 및 제 3 단자(T3)와의 전기저항, 그리고 제 2 단자(T2) 및 제 4 단자(T4) 사이의 전기저항을 각각 측정하여, 단선을 수정한 소스선(3)과 제 1 배선(W1)과의 접속상태,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접속상태가 확인되므로, 접속불량 부위를 용이하게 동정할 수 있다. 이로써, 단선수정을 다시 실시하는 리워크 작업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단선수정의 불량품이 다음 공정으로 공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선을 수정한 블록(B2) 이외의 블록(B1 및 B3)에서는 각 소스선(3)과 교차하는 제 1 배선(W1)이 제 2 배선(W2)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제 2 배선(W2)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즉, 수정처리를 실시한 배선의 신호지연을 저감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수정처리를 성공시킬 수 있다.
또 제 1 배선은, 절연막을 개재하여 서로 교차하는(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배선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그리고,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각 배선의 교차(중첩)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을 연결시킴으로써 제 1 배선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 2 배선은 절연막을 개재하여 서로 교차하는(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배선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그리고,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각 배선의 교차(중첩)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각 배선을 연결시킴으로써 제 2 배선을 구성하게 된다.
또 필름기판(41a)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 기판일 필요는 없으나, 모두 동일 기판을 이용하는 것이, 수량 효과, 제조관리 등에 따른 원가 삭감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b)를 구성하는 필름기판(41b) 및 그 주위를 확대시킨 평면도이다. 또,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 도 1∼도 5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각 필름기판(41a)에 제 1 배선(W1) 및 증폭회로(A)가 1개씩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필름기판(41b)에 제 1 배선(W1) 및 증폭회로(A)가 2개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b)를 구성하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b)(액정표시패널(40b))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블록(B1∼B3)의 복수의 소스선(3)이 2개의 배선군(G1 및 G2)을 구성한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50b)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W1) 및 증폭회로(A)가 각 배선군(G1 및 G2)별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b)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L)을 조사할 대상이 액정표시패널(40b)만이 되므로, 소스선(3)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스선(3)의 2개의 배선군(G1 및 G2)이 구성된 각 블록(B1∼B3)에 제 1 배선(W1) 및 증폭회로(A)가 각 배선군(G1 및 G2)별로 배치되므로, 단선이 발생한 블록(B1∼B3) 위치에 의한 신호지연의 차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1개의 소스선(3) 배선군에 포함된 소스선(3)의 수가 적어질수록, 단선을 수정한 소스선(3)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신호지연이나 다른 소스신호의 영향에 의한 표시불량 등을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c)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소스드라이버(44a)가 필름기판(41a 및 41b) 상에 각각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스드라이버(35a)가 액정표시패널(40c)(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c)) 상에 배치된다.
액정표시장치(50c)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40c)과, 액정표시패널(40c)의 도면 중 상단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부착된 필름기판(45c)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40c)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c) 및 대향기판(30)을 구비한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c)은 그 표시영역(D)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시영역(D) 외측에서, 기판 상변을 따라 각 블록(B1∼B3)에 배치된 각 소스선(3)의 도면 중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제 1 배선(1cc)과, 각 제 1 배선(1cc)의 도면 중 좌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c)와, 기판 좌변 및 하변을 따라 전 블록(B1∼B3)의 각 소스선(3)의 도면 중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L"자형으로 배치된 1개의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c)와, 각 블록(B1∼B3)별로 구동회로로서 기판 상에 탑재되며 각 블록(B1∼B3) 내 각 소스선(3)에 접속된 소스드라이버(35a)를 구비한다.
필름기판(45c)은, 예를 들어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으로 구성되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상의 각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c)와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c)를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필름기판측 제 2 배선(46c)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배선(W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c), 필름기판측 제 2 배선(46c) 및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1dc)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배선(1cc)(W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W2)에 대한 교차부분(M3)과 각 소스선(3)에 대한 교차부분(M1 등) 군과의 사이가, 표시영역(D)과 반대측으로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50c)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제작방법의 배선패턴 형상을 변경하여 소스드라이버(35a) 및 필름기판(45a)을 실장하면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제조방법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c)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L)을 조사할 대상이 액정표시패널(40c)만이 되므로, 소스선(3)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d)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배선(W2)의 일부가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된 외부기판에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배선(W2) 전체가 액정표시패널(40d)(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d))에 배치된다.
액정표시장치(50d), 즉 액정표시패널(40d)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d) 및 대향기판(30)을 구비한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d)은 그 표시영역(D)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시영역(D) 외측에, 기판 상변을 따라 각 블록(B1∼B3)에 배치된 각 소스선(3)의 도면 중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L"자형으로 배치된 3개의 제 1 배선(1cd)(W1)과, 기판 상변을 따라 각 제 1 배선(1cd)의 도면 중 좌상부에 교차함과 더불어, 기판 좌변 및 하변을 따라 전 블록(B1∼B3)에 배치된 각 소스선(3)의 도면 중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L"자형으로 배치된 1개의 제 2 배선(1dd)(W2)과, 각 블록(B1∼B3)별로 구동회로로서 기판 상에 탑재되며 각 블록(B1∼B3) 내 각 소스선(3)에 접속된 소스드라이버(35b)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50c)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제작방법의 배선패턴 형상을 변경하여 소스드라이버(35b)를 실장하면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제조방법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d)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L)을 조사할 대상이 액정표시패널(40d)만이 되므로, 소스선(3)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e)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 1∼제 4 실시형태에서는 단선을 수정하는 표시용 배선으로서 소스선(3)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선을 수정하는 표시용 배선으로서 게이트선(1a)을 예시한다.
액정표시장치(50e)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40e)과, 액정표시패널(40e)의 도면 중 상단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각각 부착된 3개의 필름기판(41b)과, 각 필름기판(41b)의 도면 중 상단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각각 부착된 프린트기판(45a)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40e)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e) 및 대향기판(30)을 구비한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e)은 그 표시영역(D)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과 도면 상에서 가로세로가 바뀐 것뿐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시영역(D) 외측에서, 기판 상변을 따라 각 블록(B1∼B3)에 배치된 각 게이트선(1a)의 도면 중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패널측 제 1 배선(3dc)과, 각 패널측 제 1 배선(3dc)의 도면 중 좌단부에 교차하도록 각각 배치된 3개의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e)와, 기판 좌변 및 하변을 따라 전 블록(B1∼B3)의 각 소스선(3)의 도면 중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L"자형으로 배치된 1개의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3dd)를 구비한다. 여기서 패널측 제 1 배선(3dc),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e) 및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3dd)는 소스선(3)과 동일층에 동일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필름기판(41b)은, 예를 들어 TCP로 구성되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e) 상 각 패널측 제 1 배선(3dc)의 전단부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의 도면 중 좌측에 서로 인접하여 이어지도록 배치되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e) 상 각 패널측 제 1 배선(3dc)의 후단부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의 도면 중 좌측에 서로 인접하여 이어지도록 배치되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e) 상의 각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e)에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접속된 필름기판측 제 2 배선전단부(43a)와, 구동회로로서 기판 상에 탑재되며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e) 상의 각 게이트선(1a)에 접속된 게이트드라이버(44b)와, 게이트드라이버(44b)에 내장되며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의 경로 도중에 배치된 증폭회로(A)를 구비한다.
프린트기판(45a)은, 예를 들어 PWB로 구성되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필름기판(41b) 상의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43a)와 도면 중 좌측의 필름기판(41b) 상의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후단부(43b)를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46a)과, 각 필름기판(41b) 상의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와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를 ACF(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47)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배선(W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패널측 제 1 배선(3dc),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42a),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47) 및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42b)를 구비한다. 또 제 2 배선(W2)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3ce),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43a),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46a),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후단부(43b) 및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3dd)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50e)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a) 제작방법의 배선패턴 형상을 변경하면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제조방법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e)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B1∼B3)이 규정된 표시영역(D)의 외측에서, 각 블록(B1∼B3)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 게이트선(1a)의 각 게이트드라이버(44b)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W1)과, 모든 블록(B1∼B3) 내 각 게이트선(1a)의 각 게이트드라이버(44b)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W2)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B1∼B3) 내의 각 게이트선(1a)과 제 1 배선(W1)과의 교차부분(M1 등), 모든 블록(B1∼B3) 내의 각 게이트선(1a)과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2 등),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3 등)이 액정표시패널(40e)의 표시영역(D)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40e) 상에 배치되는 모든 게이트선(1a)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X부에서 발생하여, 단선검출공정에서 그 단선이 검출되고, 단선수정공정에서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게이트선(1a)의 게이트드라이버(44b)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W1)과의 교차부분(M1), 단선된 게이트선(1a)의 게이트드라이버(44b)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2), 및 제 1 배선(W1)과 제 2 배선(W2)과의 교차부분(M3)의 액정표시패널(40e) 상의 3 부위에만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증폭회로(A)는, 각 제 1 배선(W1)별로, 즉 각 블록(B1∼B3)별로 배치되므로, 단선이 발생한 블록(B1∼B3) 위치에 의한 신호지연의 차가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게이트선(1a)의 단선 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게이트드라이버(44b)로부터의 게이트신호가 증폭회로(A)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L)을 조사할 대상이 액정표시패널(40e)만이 되므로, 레이저광(L)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게이트선(1a)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의 평면도이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패널을 제작한 후에 단선을 수정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예시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을 제작한 후에 단선을 수정하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및 그 제조방법을 예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은 대향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층을 봉입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해도 되며, 또 예를 들어 X선 센서 등과 같이 각 화소전극에 대전되는 전하를 읽어내는 센서기판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 후자의 경우에는, 액정층이나 액정층을 봉입해 두기 위한 대향기판이 필요 없다.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d)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의 표시용 배선(예를 들어 소스선(3))의 단선은, 각 배선의 양 단부에 프로브를 접촉시켜 각 배선별로 도통검사하는 방법, 화상인식에 의해 표시영역(D) 내 패턴의 이상부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상부분 중에서 단선 부위를 추출하는 방법, 및 전 화소에 실제 동작과 마찬가지의 전하를 기입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 기입된 전하를 읽어 내고, 그 변화로부터 각 화소의 정상·불량을 판정하는 전하검출법 등에 의해 검출되며, 단선이 검출된 소스선(3)과 제 1 배선(1cd)과의 교차부분(M1), 그 소스선(3)과 제 2 배선(1dd)과의 교차부분(M2), 및 제 1 배선(1cd)과 제 2 배선(1dd)과의 교차부분(M3)에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각 교차부분(M1∼M3)의 각 배선간 도통을 취함으로써 수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블록(B1∼B3)이 규정된 표시영역(D) 외측에서, 각 블록(B1∼B3)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복수의 소스선(3)의 각 소스드라이버(35b)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각 제 1 배선(1cd)과, 모든 블록(B1∼B3) 내 각 소스선(3)의 각 소스드라이버(35b)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1dd)이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각 블록(B1∼B3) 내 각 소스선(3)과 제 1 배선(1cd)과의 교차부분(M1 등), 모든 블록(B1∼B3) 내 각 소스선(3)과 제 2 배선(1dd)과의 교차부분(M2 등), 및 제 1 배선(1cd)과 제 2 배선(1dd)과의 교차부분(M3 등)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의 표시영역(D)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 상에 배치된 모든 소스선(3)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X부에서 발생하여, 그 단선을 수정할 시에는, 단선된 소스선(3)의 소스드라이버(35b)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1 배선(1cd)과의 교차부분(M1), 단선된 소스선(3)의 소스드라이버(35b)의 반대측과 이에 교차하는 제 2 배선(1dd)과의 교차부분(M2), 및 제 1 배선(1cd)과 제 2 배선(1dd)과의 교차부분(M3)의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 상 3 부위에만 레이저광(L)을 조사하여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하면 된다. 또 증폭회로(A)는 각 제 1 배선(1cd)별, 즉, 각 블록(B1∼B3)별로 배치되므로, 단선이 발생한 블록(B1∼B3) 위치에 의한 신호지연의 차가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각 배선간의 도통을 취함으로써, 단선된 소스선(3)의 단선부위보다 앞 부분에는 소스드라이버(35b)로부터의 소스신호가 증폭회로(A)에 의해 증폭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단선을 수정할 시에 레이저광(L)을 조사할 대상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20f)만이 되므로, 레이저광(L)의 조사조건이 단순해지며, 소스선(3)의 단선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를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유기EL(Electro Luminescence) 표시장치나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선 또는 소스선의 단선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을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게이트선 및 소스선 사이가 단락된 경우에, 그 단락된 부분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게이트선 또는 소스선을 레이저광의 조사 등에 의해 절단하여 게이트선 또는 소스선을 단선상태로 한 후, 그 게이트선 또는 소스선의 단선을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수정함으로써, 게이트선 및 소스선간의 단락 수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선 또는 소스선의 단선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을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스선(3)의 단선이 수정 가능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a)와, 게이트선(1a)의 단선이 수정 가능한 제 5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50e)를 복합시킨 구성이라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배선(W2) 전체가 액정표시패널(액티브매트릭스 기판) 상에 배치되었으나, 제 2 배선의 일부는,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된 외부기판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에는 신호 파형을 조정하기 위한 예비용량이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접속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한 배선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표시용 배선의 단선을 수정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배선 수가 많은 높은 정밀도의 표시장치, 및 표시영역 주위의 프레임 영역이 좁게 설계된 표시장치 등에 대하여 유용하다.
A : 증폭회로 B1∼B3 : 블록
D : 표시영역 L : 레이저광
T1 : 제 1 단자 T2 : 제 2 단자
T3 : 제 3 단자 T4 : 제 4 단자
W1, 1cc, 1cd : 제 1 배선 W2, 1dd : 제 2 배선
G1, G2 : 배선군 1a : 게이트선(표시용 배선)
1c, 3dc : 패널측 제 1 배선
1d, 1dc, 3dd : 패널측 제 2 배선 후단부
3 : 소스선(표시용 배선)
3c, 3cc, 3ce : 패널측 제 2 배선 전단부
20a∼20f :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35a, 35b, 44a : 소스드라이버(구동회로)
40a∼40e : 액정표시패널 41a, 41b : 필름기판
42a :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전단부
42b : 필름기판측 제 1 배선 후단부
43a :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전단부
43b :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후단부
44b : 게이트 드라이버(구동회로)
46a : 프린트기판측 제 2 배선 46c : 필름기판측 제 2 배선
47 : 프린트기판측 제 1 배선 50a∼50e : 액정표시장치

Claims (14)

  1.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각 제 1 배선에서,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배선은,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가, 상기 표시영역과 반대측으로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측 전단부 및 상기 제 2 단자측 후단부에 각각 접속된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외측의 상기 표시패널 단부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부착된 복수의 필름기판을 가지며,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는 상기 각 필름기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단자, 제 2 단자,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는 상기 각 필름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각 필름기판에 배치된 상기 각 구동회로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 필름기판의 상기 표시패널과 반대측의 단부에 각각 부착된 프린트기판을 가지며,
    상기 프린트기판에는,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연결하는 배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에서 복수의 표시용 배선은 복수의 배선군을 구성하며,
    상기 각 제 1 배선은 상기 각 배선군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은, 상기 표시용 신호로서 소스신호가 입력되는 소스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의 단선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선검출공정과,
    상기 단선검출공정에서 단선이 검출된 표시용 배선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과의 각 교차부분, 그리고 이 제 1 배선과 이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단선수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에 증폭회로가 배치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의 단선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선검출공정과,
    상기 단선검출공정에서 단선이 검출된 표시용 배선과 대응하는 상기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과의 각 교차부분, 그리고 이 제 1 배선과 이 제 2 배선과의 교차부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단선수정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각 제 1 배선에서,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각 제 1 배선은, 상기 제 2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과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대한 교차부분 군과의 사이가, 상기 표시영역과 반대측으로 일단 우회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상기 각 표시용 배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와, 상기 각 제 1 배선이 우회하는 경로의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측 전단부 및 상기 제 2 단자측 후단부에 각각 접속된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단선수정공정 후에,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제 1 단자, 및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제 1 배선의 전단부에 접속된 제 3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 그리고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제 2 배선에 접속된 제 2 단자, 및 이 단선수정공정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된 제 1 배선의 후단부에 접속된 제 4 단자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수정확인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함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회로로부터의 표시용 신호가 증폭회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14.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복수의 블록이 규정된 표시영역을 갖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에 있어서 이 각 블록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표시용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에 접속된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서 상기 각 블록별로 각각 배치되며 이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측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표시영역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든 블록 내 각 표시용 배선의 상기 각 구동회로와 반대측의 단부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각 제 1 배선에 절연상태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선에는 증폭회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KR1020107028294A 2008-08-20 2009-07-0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KR101216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1625 2008-08-20
JP2008211625 2008-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47A true KR20110009247A (ko) 2011-01-27
KR101216808B1 KR101216808B1 (ko) 2012-12-28

Family

ID=4170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294A KR101216808B1 (ko) 2008-08-20 2009-07-03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345211B2 (ko)
EP (1) EP2317493A4 (ko)
JP (1) JP5149967B2 (ko)
KR (1) KR101216808B1 (ko)
CN (1) CN102067198B (ko)
BR (1) BRPI0914809A2 (ko)
RU (2) RU2479045C1 (ko)
WO (1) WO20100210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3891B2 (en) 2017-08-28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4411B (zh) * 2008-10-07 2014-04-09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有源矩阵基板
DE102011017692A1 (de) 2011-04-28 2012-10-31 Robert Bosch Gmbh Leiterplattenanordnung mit einem schwingfähigen System
KR20140015887A (ko) * 2012-07-26 2014-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안전 구동 시스템 및 표시 장치의 안전 구동 방법
TW201421304A (zh) * 2012-11-22 2014-06-01 Ibm 修補觸控面板之方法、修補組件、及觸控面板
US9104080B2 (en) 2012-12-13 2015-08-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N103048837B (zh) * 2012-12-13 2016-01-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
US9679925B2 (en) 2013-01-10 2017-06-13 Sharper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device, defect modifica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03927956B (zh) * 2013-12-24 2017-02-0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电路、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797805B2 (ja) * 2014-04-23 2015-10-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422672B2 (ja) * 2014-05-29 2018-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7111971B (zh) * 2014-12-24 2020-01-17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2284142B1 (ko) * 2015-01-13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리페어 방법
WO2016132435A1 (ja) * 2015-02-16 2016-08-2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回路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7126115A1 (ja) * 2016-01-22 2017-07-27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601650B1 (ko) * 2016-07-26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8756B1 (ko) * 2016-12-27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크랙 검출 방법
US10859884B2 (en) * 2018-09-13 2020-12-08 HKC Corporation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11179792B (zh) * 2018-11-12 2021-05-07 重庆先进光电显示技术研究院 一种显示面板、检测方法及显示装置
CN112965273B (zh) * 2020-10-27 2023-03-17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面板修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579B2 (ja) 1987-08-28 1995-09-13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感圧接着剤組成物
RU2089941C1 (ru) * 1992-08-04 1997-09-10 Олег Валентинович Голосной Панель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диспле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US6525718B1 (en) * 1997-02-05 2003-02-25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RU2133516C1 (ru) * 1997-05-30 1999-07-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икроэлектронные системы" Цветная плазменная панель
KR100242943B1 (ko) * 1997-05-30 2000-02-01 윤종용 수리선이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JP3842884B2 (ja) 1997-12-01 2006-11-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液晶表示装置
JP3634138B2 (ja) * 1998-02-23 2005-03-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0105576A (ja) 1998-09-29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信号線駆動用lsi素子
JP2000321599A (ja) * 1999-05-10 2000-11-2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RU2165113C1 (ru) * 2000-02-21 2001-04-10 Дыхне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матричного наборного экрана и матричный наборный экран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JP2008058337A (ja) 2005-01-27 2008-03-13 Sharp Corp 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317040B (en) * 2005-08-11 2009-11-11 Au Optronics Corp Display apparatus
TWI319104B (en) 2005-09-20 2010-01-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Apparatus for driving a flat panel display and repair flat panel display signal line
KR101241761B1 (ko) * 2006-07-18 201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칩,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리페어 방법
WO2008047495A1 (fr) * 2006-10-18 2008-04-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ffich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3891B2 (en) 2017-08-28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67198A (zh) 2011-05-18
JP5149967B2 (ja) 2013-02-20
KR101216808B1 (ko) 2012-12-28
US20110134089A1 (en) 2011-06-09
BRPI0914809A2 (pt) 2019-09-24
EP2317493A4 (en) 2012-02-22
US8345211B2 (en) 2013-01-01
EP2317493A1 (en) 2011-05-04
CN102067198B (zh) 2014-07-23
US20110141071A1 (en) 2011-06-16
RU2445715C1 (ru) 2012-03-20
WO2010021075A1 (ja) 2010-02-25
US8319763B2 (en) 2012-11-27
RU2479045C1 (ru) 2013-04-10
JPWO2010021075A1 (ja)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80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액티브매트릭스 기판
JP5505755B2 (ja) 表示基板及びそ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1195688B1 (ko) 플렉시블 기판 및 전기 회로 구조체
US7027043B2 (en) Wiring substrate connect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20180173033A1 (en) Method of produc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JP491657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US20080143944A1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173032A1 (en) Method of produc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60026052A1 (en) Display device
US8659712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1108044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6874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KR10132891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41443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7260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20113850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181482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JP2007025281A (ja) 液晶表示装置
JP2020091318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