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743U - 아케이드 게임기 - Google Patents

아케이드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743U
KR20110008743U KR2020100002334U KR20100002334U KR20110008743U KR 20110008743 U KR20110008743 U KR 20110008743U KR 2020100002334 U KR2020100002334 U KR 2020100002334U KR 20100002334 U KR20100002334 U KR 20100002334U KR 20110008743 U KR20110008743 U KR 20110008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achine
unit
display member
spa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크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크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크바이
Priority to KR2020100002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743U/ko
Publication of KR20110008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Abstract

본 고안은 아케이드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보이고, 경품이 배열될 수 있는 제1 공간을 가지는 상체 및 상기 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공간을 가지는 하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며, 소정의 조작에 의해 가동되어 조작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해 주는 연산부,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도출되는 결과값을 표출해 주는 표출부, 그리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경품이 걸릴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도출된 결과값에 의해 상기 경품을 상기 제2 공간으로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케이드 게임기{ARCADE GAME MACHINE}
본 고안은 아케이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케이드 게임기는, 케이스 내부에 인형이나 장난감 등을 수납하여 크레인 등의 픽업 기구에 의해 케이스 외부로 인출하는 게임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게임기는 크레인을 작동시켜 경품 파지여부에 관계없이 크레인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게임이 종료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더욱이, 게임기는 크레인의 수축력에 의해 경품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크레인은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확장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경품 파지력이 미약하므로, 크고 무거운 경품을 집어 올리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된 것도 있으나,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력도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크레인이 원활하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지력을 크게 보강하기 곤란하고, 지나치게 경품 파지력이 강할 경우에는 영업상에 손실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 역시 경품 파지력을 제한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불만사항이 되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레인 등의 픽업 기구를 이용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게임을 할 때 지속적으로 게임 몰입도를 유발시켜 주기 위한 아케이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는, 내부가 보이고, 경품이 배열될 수 있는 제1 공간을 가지는 상체 및 상기 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공간을 가지는 하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며, 소정의 조작에 의해 가동되어 조작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해 주는 연산부,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도출되는 결과값을 표출해 주는 표출부, 그리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경품이 걸릴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도출된 결과값에 의해 상기 경품을 상기 제2 공간으로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버튼과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의 입력 제한 시간을 표출해 주는 표출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체에 형성되어 있고, 동전이 투입될 수 있는 동전 투입구 및 상기 동전 투입구에 투입된 상기 동전을 인식시켜 신호를 상기 연산부에 전달하는 가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낙하된 상기 경품을 상기 안착부로 인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품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상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경품이 길이 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바, 그리고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시켜 주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바에서 떨어지는 상기 경품의 낙하를 유도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경품이 상기 스크류바로부터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출부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며, 다수의 발광 부재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 표출 부재, 상기 제1 표출 부재와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부재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표출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표출 부재와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부재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3 표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표출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 부재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제1 표출 부재, 상기 제2 표출 부재, 그리고 상기 제3 표출 부재 순으로 발광 부재를 점등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출 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 부재들의 발광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표출 부재에 비해 빠르며, 상기 제3 표출 부재의 발광 부재들의 발광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표출 부재에 비해 빠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는, 작업자가 소정의 버튼을 이용하여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표출부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부재들에 의해 계속적으로 게임을 집중해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표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7은 낙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표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7은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1)는 본체(10), 연산부(20), 표출부(30) 그리고 제공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1)의 기본 골격이다. 본체(10)는 크게 제1 공간을 가지는 상체(100) 및 제2 공간을 가지는 하체(110)를 포함한다. 상체(10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는 내부가 잘 보이도록 투명창(101)으로 둘러싸여 있다. 투명창(101)에 의해 사용자는 상체(100)의 내부를 보다 잘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임을 할 때 보다 더 집중할 수 있다. 그러나 상체(100)의 측면 모두에 투명창(101)을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최소한으로 상체(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일측면만 투명창(101)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체(100)의 일측면은 개폐가 가능하다. 이는 상체(100)의 일측면을 개폐하여 제공부(40)에 경품(2)을 걸어 놓거나 제공부(40) 및 표출부(30)를 수리 또는 청소할 수 있기 위함이다. 그러나 개폐는 상체(100)의 일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측면에도 개폐할 수 있다.
하체(110)는 상체(100)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내부는 비어 있으며,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1)가 구동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체(110)의 일측은 개폐가 가능하다. 이는 보관통(190)에 수납된 동전, 지폐 및 연산부(20)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에는, 사용자들이 게임을 하기 위해 소정의 조작을 하는 조작부(120)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120)에는, 다수의 버튼 및 버튼의 입력 제한 시간을 표출해 주기 위한 표출창(124)이 구비되어 있다. 표출창(124)의 경우 각 단계에 따라 버튼의 입력 제한 시간을 표출함으로서, 사용자에게는 긴박감을 느끼게 해 주어 보다 게임에 몰입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120) 버튼의 경우 크게 세 가지 버튼으로 나누어진다. 특정 경품(2)을 받기 위해 특정 스크류바(400)를 선택해 주는 제1 버튼(121),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제2 버튼(122), 그리고 게임을 진행 및 끝마치기 위한 제3 버튼(123)을 포함한다. 각 용도에 따라 배열된 버튼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 버튼에만 한정되지 않고, 추가될 수 있으며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략될 경우, 하나의 버튼만 이용해서 특정 스크류바 선택, 시작 및 게임 진행을 모두 할 수 있게 하거나, 두 개의 버튼만 이용하여 특정 스크류바 선택을 하나의 버튼에, 그리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버튼은 시작 및 게임 진행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체(110)의 내부에는, 안착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안착부(130)는 말 그대로 낙하하는 경품(2)이 안착되는 부위이다. 안착부(130)는 배출구(150)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는 안착부(130)에서 경품(2)을 꺼내 갈 수 있다.
이때, 하체(110) 내부 즉, 안착부(130)와 상체(100) 사이에는 가이드 부(140)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140)는, 낙하되는 경품(2)을 보다 안전하게 안착부(130)로 가이드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부(140)의 일측은, 안착부(13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체(110)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연결된다. 이렇게 안착부(130)와 하체(11)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부(140)는, 안착부(130)를 기준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다. 이는 안착부(130)의 면적이 하체(110)의 상부 면적이 더 작기 때문이다. 이때, 안착부(130) 또는 가이드부(1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품(2)이 제1 공간으로부터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경품(2)이 낙하될 때 감지 센서에 의해 경품(2)을 감지함에 따라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트 게임기(1)는 하나의 게임을 끝내고 다시 새로운 게임을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 센서 및 가이드 부(14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하체(110)의 일측에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160) 및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 투입구(18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체(110) 내부에는 동전 투입구(160)를 통해 투입되는 동전을 인식시켜 연산부(20)를 가동시켜 주는 가동 유닛(170) 및 동전 및 지폐를 보관해 주는 보관통(190)이 있다.
연산부(20)는, 본체(10) 내부 즉, 하체(110)인 제2 공간에 장착되어 있다. 연산부(20)는, 표출부(30) 및 제공부(40) 등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1)에서 구동되는 모든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작업자가 표출부(30) 및 제공부(40) 등의 모든 장치에 대한 설정을 임의적으로 조작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을 하게 되면, 조작부(120)에 의해 발생하는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정보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하여 표출부(30) 및 제공부(40)에 전송한다.
표출부(30)는, 상체(100) 내부에 장착되며, 연산부(20)에서 도출되는 결과값을 표출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표출부(30)는 바디(300), 제1 표출 부재(310), 제2 표출 부재(320), 그리고 제3 표출 부재(330)를 포함한다. 각각의 표출 부재들은 다수의 발광 부재(301)들이 일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발광 부재(301)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디(300)는 상체(100) 내부에 장착되며, 표출부(30)의 기본 몸체이다. 제1 표출 부재(310)와 제2 표출 부재(320), 그리고 제3 표출 부재(330)는 각각 소정거리 떨어져 바디(301)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표출 부재(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00)의 왼쪽 부위에 부착되며, 제2 표출 부재(320)는 바디(300)의 가운데 부위에 장착되고, 제3 표출 부재(330)는 바디(300)의 오른쪽 부위에 장착된다.
각각의 표출 부재들은 연산부(2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산부(20)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각각의 표출 부재들은 작동된다. 각 표출 부재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연산부(20)에서 전달된 정보값을 토대로 우선, 제1 표출 부재(310)가 가동된다. 제1 표출 부재(310)의 다수 발광 부재(301)들은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점등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120)를 통해 제3 버튼(123)인 진행 버튼을 누르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발광 부재들 중 진행 버튼을 누른 시점의 발광 부재(301)에서 이동이 멈춘다. 멈춘 발광 부재(301)에서는 계속적으로 빛을 발산한다. 이후에 제2,3 표출 부재(320,330)도 동일하게 발광 부재(301)들이 순차적으로 점등하며, 진행 버튼을 통해 멈추게 하면 된다. 제2,3 표출 부재(320,330)의 멈춘 발광 부재(301)도 역시 빛을 계속적으로 발산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들은, 연산부(20)에 작업자가 어떠한 정보값을 입력한 후 표출부(30)에 전달함에 따라 표출부(30)에서 표출되는 정보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연산부(20)에 임의적으로 제1 표출 부재(310)에서 제2 표출 부재(320)를 거쳐 제3 표출 부재(330)의 발광 부재(301)들을 순차적으로 점등시켜 주기로 입력시키면, 이러한 정보값을 토대로 표출부(30)에서는 제1 표출 부재(310)에서 제2, 3 표출 부재(320,330)로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그러나 반대로 입력할 경우에는 제3 표출 부재(330)에서 제2,1 표출 부재(320,310)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표출 부재의 발광 부재(301)들이 작동한다. 또한, 각각의 표출 부재에서 발광 부재(301)들이 발광되는 속도를 모두 다르게 함으로써, 각 표출 부재의 난이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1 발광 부재(310)에 비해 제2 발광 부재(320)를 빠르게 하고, 제2 발광 부재(320)에 비해 제3 발광 부재(330)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출부(30) 역시 표출되는 정보값이 달라진다. 또한 게임의 성공 유무 역시 제1 내지 제3 표출 부재(310, 320,330)의 발광 부재가 모두 중앙에 일치하는가 아니면 특정 무늬를 나타나게 하는지는 작업자의 설정에 따라 성공 유무가 달라진다.
제공부(40)는, 본체(10)의 제1 공간인 상체(100)에 장착되며, 경품(2)이 다수 걸려 있고, 사용자가 게임을 하여 성공했을 때, 경품을 안착부(130)로 낙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제공부(40)는 스크류바(400), 그리고 모터(410)를 포함한다.
스크류바(400)는 상체(100)에 다수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나사선을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바(400)는 나사선이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경품(2)을 걸면 된다. 또한, 스크류바(400)의 일측에는 모터(410)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게임에 성공하여 연산부(20)에서 의해 제공부(40)가 가동시키게 되면, 스크류바(400)는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나사선이 회전하게 되며, 나사선에 걸려 있던 경품(2)은 자동으로 스크류바(400) 타측으로 이동되어 낙하하게 된다.
지지바(420)는, 스크류바(400)의 하부와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지지바(420)는 스크류바(400) 및 스크류바(400)에 걸린 경품(2)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바(420)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43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430)는 스크류바(400)에서 떨어지는 경품(2)의 낙하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탄성 부재(430)는 연산부(20)와 연결되어 경품(2)이 스크류바(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역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품(2)이 이탈되면, 하나의 게임은 종료되고 새로운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경품(2)이 떨어졌다는 정보를 탄성 부재(430)에 의해 전달받은 연산부(20)를 통해 연산부(20)는 모터(410)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산부(20)는, 다수의 스크류바(400) 중 특정 스크류바만 가동시킬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스크류바(400)가 동시에 가동되면, 다수의 스크류바(400)에 걸려 있는 경품(2)들이 모두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아케이드 게임기(1)의 대해 정리하자면, 우선 사용자가 동전 투입구(160)에 동전을 투입하게 되면, 동전은 보관통(190)에 보관되고, 동전이 투입된 것을 감지한 가동 유닛(170)에 의해 연산부(20)는 가동된다. 가동된 연산부(20)에서는 조작부(120)의 표출창(124)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여 표출창(124)에서는, 버튼의 입력 제한 시간이 표출된다. 이때, 버튼 입력 제한 시간 내로 사용자가 버튼을 누리지 못할 경우 사용자는 의도한 바로 게임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우선 입력 제한 시간 내에 다수의 스크류바(400) 중에 특정 스크류바(400)를 결정해 준다. 이는 제1 버튼(121)을 이용하여 정하면 된다. 이때, 특정 스크류바(400)를 결정해 주어야 하는 이유는, 특정 스크류바(400)에 걸려 있는 경품(2)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체(1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스크류바(400)의 경우에는 비싸고 큰 경품(2)이, 하측에 장착되어 있는 스크류바(400)의 경우에는 저렴하고 작은 경품(2)이 걸려 있어 어떠한 스크류바(400)를 선택함에 따라 경품(2)이 달라진다. 큰 경품(2)이 걸려 있는 스크류바(400)를 선택할 경우에는 작은 경품(2)에 비해 게임 난이도가 올라가게 된다. 예를 들어 발광 부재(301)의 점등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한다.
이렇게 특정 스크류바(400)를 선택한 후, 시작 버튼인 제2 버튼(122)을 누르게 되면 표출부(30) 중 제1 표출 부재(310)에 배열된 다수의 발광 부재(301)들은 순차적으로 점등되면서 빛이 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진행 버튼인 제3 버튼(123)을 누르게 되면,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빛은 멈추게 되고, 빛이 멈춘 발광 부재에서는 계속적으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후에 제2, 3 표출 부재(320,330)도 순차적으로 발광 부재(301)들이 점등되며,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진행 버튼인 제3 버튼(123)을 이용하여 발광되는 발광 부재(301)의 위치를 결정해 주면 된다.
이때, 연산부(20)는 발광 부재(301)가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하면서 이동하는 속도를 제3 표출 부재(330)부터 제1 표출 부재(310) 순으로 빠르게 함으로써, 게임의 난이도를 높였으며, 이는 게임을 끝까지 몰입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점등된 제1,2,3 표출 부재(310,320,330)의 빛이 모두 중앙 부위에 모두 일치하게 맞추었을 경우 사용자는 경품(2)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중앙 부위에 모두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대로 게임은 종료된다.
제1,2,3 표출 부재(310,320,330) 모두 중앙 부위에 빛을 모두 일치시켜 게임에 성공할 경우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특정 스크류바(400)는 모터(410)에 의해 회전되어 경품(2)을 자연스럽게 안착부(130)로 낙하시킨다. 이렇게 안착부(130)에 안착된 경품(2)은 배출구(150)를 통해 꺼내가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아케이드 게임기 2 : 경품
10 : 본체 100 : 상체
110 : 하체 101 : 투명창
120 : 조작부 121 : 제1 버튼
122 : 제2 버튼 123 : 제3 버튼
124 : 표출창 130 : 안착부
140 : 가이드 부 150 : 배출구
160 : 동전 투입구 170 : 가동 유닛
180 : 지폐 투입구 190 : 보관통
20 : 연산부
30 : 표출부 300 : 바디
310 : 제1 표출 부재 320 : 제2 표출 부재
330 : 제3 표출 부재 301 : 발광 부재
40 : 제공부 400 : 스크류바
410 : 모터 420 : 지지바
430 : 탄성 부재

Claims (11)

  1. 내부가 보이고, 경품이 배열될 수 있는 제1 공간을 가지는 상체 및 상기 경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공간을 가지는 하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며, 소정의 조작에 의해 가동되어 조작에 대한 결과값을 도출해 주는 연산부,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도출되는 결과값을 표출해 주는 표출부, 그리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경품이 걸릴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도출된 결과값에 의해 상기 경품을 상기 제2 공간으로 보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공부
    를 포함하는 아케이드 게임기.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 및 상기 버튼과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의 입력 제한 시간을 표출해 주는 표출창을 가지는 아케이드 게임기.
  3. 제2항에서,
    상기 하체에 형성되어 있고, 동전이 투입될 수 있는 동전 투입구 및
    상기 동전 투입구에 투입된 상기 동전을 인식시켜 신호를 상기 연산부에 전달하는 가동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아케이드 게임기.
  4. 제2항에서,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낙하된 상기 경품을 상기 안착부로 인도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아케이드 게임기.
  5. 제4항에서,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품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아케이드 게임기.
  6. 제1항에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상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경품이 길이 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바, 그리고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시켜 주는 모터
    를 포함하는
    아케이드 게임기.
  7. 제6항에서,
    상기 스크류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바에서 떨어지는 상기 경품의 낙하를 유도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아케이드 게임기.
  8. 제7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경품이 상기 스크류바로부터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인 아케이드 게임기.
  9. 제1항에서,
    상기 표출부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며, 다수의 발광 부재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 표출 부재,
    상기 제1 표출 부재와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부재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표출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표출 부재와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부재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3 표출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표출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 부재가 점등될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기.
  10. 제9항에서,
    상기 연산부는, 제1 표출 부재, 상기 제2 표출 부재, 그리고 상기 제3 표출 부재 순으로 발광 부재를 점등시켜 주는 아케이드 게임기.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표출 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 부재들의 발광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표출 부재에 비해 빠르며, 상기 제3 표출 부재의 발광 부재들의 발광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표출 부재에 비해 빠른 아케이드 게임기.
KR2020100002334U 2010-03-08 2010-03-08 아케이드 게임기 KR201100087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34U KR20110008743U (ko) 2010-03-08 2010-03-08 아케이드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34U KR20110008743U (ko) 2010-03-08 2010-03-08 아케이드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43U true KR20110008743U (ko) 2011-09-16

Family

ID=4509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334U KR20110008743U (ko) 2010-03-08 2010-03-08 아케이드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7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652B1 (ko) 2018-10-10 2020-03-31 (주) 모어스 온라인 연계 아케이드 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계 게임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652B1 (ko) 2018-10-10 2020-03-31 (주) 모어스 온라인 연계 아케이드 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계 게임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384B2 (ja) 遊技機
JP2007117500A (ja) 遊技機
KR20110008743U (ko) 아케이드 게임기
KR101292834B1 (ko) 경품용 아케이드 게임기
JP6921410B2 (ja) 遊技機
JP7012341B2 (ja) 遊技機
JP2010017471A (ja) 遊技機
JP6326663B2 (ja) 遊技機、遊技情報表示装置、及び遊技情報表示システム
JP2019051136A (ja) 遊技機
KR101398867B1 (ko) 상품 진열장이 구비되는 게임기
JP5467428B2 (ja) 遊技機
JP5057577B2 (ja) 遊技機
KR101755542B1 (ko) 런닝볼을 이용한 미션형 게임기
JP6299988B2 (ja) 遊技機
JP7085250B2 (ja) 遊技機
JP7072206B2 (ja) 遊技機
JP6337289B2 (ja) 遊技機
JP2006110122A (ja) 遊技機
JP5109106B2 (ja) 遊技機
JP6186036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5917922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JP6205384B2 (ja) 遊技機
KR101331216B1 (ko) 크레인식 아케이드 게임기
JP5913481B2 (ja) 遊技機
JP5900570B1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