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719A -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719A
KR20110008719A KR1020090066206A KR20090066206A KR20110008719A KR 20110008719 A KR20110008719 A KR 20110008719A KR 1020090066206 A KR1020090066206 A KR 1020090066206A KR 20090066206 A KR20090066206 A KR 20090066206A KR 20110008719 A KR20110008719 A KR 2011000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sure
handwriting
pattern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255B1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펜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앤프리 filed Critical (주)펜앤프리
Priority to KR102009006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255B1/ko
Priority to US13/386,249 priority patent/US8952906B2/en
Priority to PCT/KR2009/004311 priority patent/WO2011010761A1/ko
Priority to JP2012521565A priority patent/JP2012533815A/ja
Publication of KR2011000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전자기기에 필기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필기 입력에 따른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을 규정한 다양한 패턴들을 사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필기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선택하거나, 자신의 원하는 필기 패턴을 선택하여 필기를 수행하면, 필기 패턴에 따라서 압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기를 표시함으로써, 위치만을 입력하고 동일한 두께로 출력하는 종래 기술의 단조로운 필기 입력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Description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hand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 handwriting pattern}
본 발명은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스크린 등의 디지털 필기 입력 장치에서 필기 압력을 추정하여 필기 위치 정보와 함께 입력하는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PDA 와 같은 전자 기기가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중요한 메모나 지인들의 연락처등을 수첩에 기록하는 대신에 이러한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기록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타블렛 PC 와 PDA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이 대중화되면서, 사용자들은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고 펜 등을 이용하여 직접 타블렛 PC 또는 PDA 의 터치스크린에 자신의 필기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그림판과 같은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필기뿐만 아니라 간단한 그림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필기 입력 방식은 입력 수단의 위치를 연결하여 입력 수단이 진행하는 궤적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또는 그림이 동일한 두께의 선으로 입력되어 표시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필기를 수행할 때 펜으로 지면을 누르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서 표현되는 글자의 두께 변화와 같은 자연스러운 필기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 수단에 압력 감지 센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입력 수단에 압력 센서가 추가 설치됨에 따라서 입력 수단의 부피가 커져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되고, 종래의 입력 장치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에 사용자의 필기 등을 입력함에 있어, 압력 센서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사전에 정의된 필기 패턴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입력되는 필기의 압력값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필기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필기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필기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기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사전에 정의된 필기 압력 패턴 정보를 저장한 패턴 DB; 및 상기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압력 패턴 정보에 따라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의 필기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압력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상기 좌표 정보,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필기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압력 정보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물체의 위치를 샘플링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필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 입력 장치에서,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는 기준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이고, 상기 위치 측정부는 상기 기준신호를 수신하는 기준신호 수신 센서와,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초음파 센세들을 포함하여 상기 신호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기준 신호와 초음파 신호가 상기 기준신호 수신센서와 초음파신호 수신센서에 각각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발생 장치의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측정부는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좌표 정보의 X 또는 Y 좌표값의 증가 방향 및 감소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가로획 및 세로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높은 필기압력을 설정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낮은 필기압력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낮아지도록 설정하거나,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낮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높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 속도에 반비례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증감이 반복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DB 는 복수의 필기 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정보 생성에 이용되는 필기 패턴을 선택받아 상기 압력 정보 생성부로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기 입력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필기 압력 패턴을 선택받는 단계; (b)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패턴 DB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필기 압력 패턴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압력 패턴 정보에 따라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의 필기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기 입력 방법은, (d) 상기 좌표 정보,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필기 압력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 입력 방법은, (e)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압력 정보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물체의 위치를 샘플링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용하여 필기를 입력하는 신호 발생 장 치에서 발생된 기준 신호와 초음파 신호가 상기 필기 입력 장치에 각각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발생 장치의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좌표 정보의 X 또는 Y 좌표값의 증가 방향 및 감소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가로획 및 세로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높은 필기압력을 설정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낮은 필기압력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낮아지도록 설정하거나,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낮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높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 속도에 반비례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증감이 반복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필기 입력에 따른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을 규정한 다양한 패턴들을 사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필기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선택하거나, 자신의 원하는 필기 패턴을 선택하여 필기를 수행하면, 필기 패턴에 따라서 압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기를 표시함으로써, 위치만을 입력하고 동일한 두께로 출력하는 종래 기술의 단조로운 필기 입력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기 입력 장치는 위치 측정부(200), 압력정보 생성부(100), 필기정보 저장부(400), 패턴 DB(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표시부(500) 및 입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위치 측정부(200)는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기 위해서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표 정보를 필기정보 저장부(400) 및 압력정보 생성부(100)로 출력한다. 이 때, 위치 측정부(200)는 좌표 정보와 함께 좌표 정보가 생성된 시간 정보를 함께 출력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 주기로 좌표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시간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200)는 터치스크린, 초음파 입력 장치,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이, 물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한이 없다.
위치 측정부(20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에,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는 사용자의 손가락, 일반 펜, 또는 터치스크린상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펜등이 해당되고, 위치 측정부(200)는 물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위치의 절대 좌표 정보를 출력한다.
위치 측정부(200)가 초음파 입력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는 적외선 신호 또는 RF 신호와 같은 기준신호 및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로 구현되고, 위치 측정부(200)는 기준 신호와 초음파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필기 공간상의 절대 좌표를 출력한다.
도 2 는 위치 측정부(200)가 초음파 입력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 좌표를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적외선 신호 또는 RF 신호와 같은 기준신호와 초음파신호를 동시에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22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필기를 수행한다.
한편, 위치 측정부(200)는 기준 신호 수신 센서(211), 서로 사전에 정의된 거리(C)만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초음파 수신 센서(212a,212b), 및 기준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초음파 신호가 각 초음파 수신 센서에 수신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 장치의 좌표를 계산하는 좌표 정보 계산부(230)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 장치(220)의 (x,y) 좌표는 다음의 수학식 1을 x 및 y 에 대해서 풀면 구할 수 있다.
a2=x2+y2
b2=(c-x)2+y2
수학식 1에서 기준 신호인 적외선 또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빛의 속도로 진행하므로 신호 발생 장치(220)에서 생성됨과 동시에 기준신호 수신센서(211)에 수 신된다고 간주하여, 거리 a 및 b 는 기준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초음파 신호가 좌측 초음파 센서(212a)와 우측 초음파 센서(212b)에 각각 수신된 시간간의 차이에 음속을 곱하여 구할 수 있고, 거리 c 는 사전에 설정된 값이므로, a, b, 및 c 값을 수학식 1 에 대입하여 x 및 y에 대해서 풀면, (x,y) 좌표를 구할 수 있다.
한편, 마우스 등의 일반적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부(200)의 구현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위치의 절대적인 좌표 정보보다는 상대적인 좌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압력정보 생성부(100)는 위치 측정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좌표 정보와, 패턴 DB(300)에 저장된 패턴 정보에 따라서 가상의 필기 압력값(압력 정보)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스러운 필기 입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필기 압력에 따라서 필기 획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등과 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필기를 입력하는 경우에, 별도의 압력 센서를 설치하지 않으면 필기 압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의 필기 상태에 따른 필기 획의 두께를 조절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사전에 정의된 필기 패턴에 따라서 필기 압력값을 생성하여 필기 정보로서 저장하거나 응용프로그램에 제공한다. 일반적인 필기 과정에서 필기 압력이 증가하면 두께도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본 발명의 필기 압력은 필기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이용된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필기정보 저장부(400)는 위치 측정부(200)로부터 입력된 좌표 정보 및 시간 정보(일정 시간 주기로 좌표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생략됨)와 압력정보 생성부(100)로부터 입력된 압력 정보를 서로 연계시켜 각각 저장하고, 저장된 좌표 정보와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표시부(500)로 출력하거나, 다른 응용프로그램 등의 입력값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기정보 저장부(400)가 생략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위치 측정부(200)로부터 입력된 좌표 정보 및 시간 정보(일정 시간 주기로 좌표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생략됨)와 압력정보 생성부(100)로부터 입력된 압력 정보는 실시간으로 표시부(500)로 출력되거나, 다른 응용프로그램 등의 입력값으로서 출력된다.
패턴 DB(300)는 사전에 정의된 복수의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각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필기를 수행하는 위치의 변화, 즉, 좌표 정보의 변화에 따라서 어떻게 압력 정보를 생성할 것인가에 대한 규칙등을 규정한 패턴으로서, 각 패턴의 예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표시부(500)는 필기정보 저장부(400)로부터 입력되는 필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표시부(500)는 필기 정보에 포함된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표시부(500)상의 위치에 압력 정보에 대응되는 두께로 사용자의 필기를 표시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필기정보 저장부(400)에 저장된 필기 정보를 입력받는 대신에, 위치 측정부(200) 및 압력정보 생성부(100)로부터 각각 좌표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입력부(600)는 사용자로부터 패턴 선택 정보 및 선택된 패턴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압력정보 생성부(10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필기 정보 생성 패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로 서로 다른 규칙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압력 정보를 생성하도록 규정하는데, 사용자는 입력부(600)를 통해서 자신의 실제 필기 습관이나, 자신의 표현하고자 하는 필기 방식에 따라서 필기 정보를 입력할 필기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패턴 DB(300)에 저장되는 본 발명의 필기 정보 생성 패턴들에 따라서 생성된 필기 정보를 표시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의된 다양한 필기 정보 입력 패턴에 따라서 사용자의 필기 압력값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필기 정보를 표시한다.
먼저, 도 3 에 예시된 패턴(제 1 패턴이라 칭함)은 가로획과 세로획을 구별하여 가로획(또는 세로획)에 대해서 세로획(또는 가로획)에 비하여 더 높은 압력 가중치를 설정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 에 도시된 종래의 필기 방식에 따르면 가로획과 세로획의 구별없이 동일한 압력과 이에 따른 동일한 두께가 표시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 1 패턴에 따르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획은 세로획에 비하여 압력이 더 높게 설정되므로 더 두껍게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4 에 예시된 패턴(제 2 패턴이라 칭함)은 필기 방향과 무관하게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압력값의 증감이 반복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 2 패턴은 사전에 증감이 반복될 압력 크기의 최소값(도 4의 예에서는 10) 및 최대값(도 4의 예에서는 20)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필기를 수행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압력의 최소값(10)에서 압력이 점차 증가하여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의 절반에 해당되는 시점 또는 지점에서 압력값이 최대값(20)이 되고, 압력값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시간 또는 거리가 한 주기가 되는 시점 또는 지점에서 다시 압력값이 최소값(10)이 되고, 이후 다시 증가하여 증가 감소를 반복한다.
도 5 에 예시된 패턴(제 3 패턴이라 칭함)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좌표값의 증가 방향 또는 감소 방향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규정한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서는 X축의 증가 방향에 대해서 압력값이 높게 생성되도록 가중치를 부여한 예가 도시되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정보가 X 축 방향으로 좌표값이 감소하는 구간인 401 구간 및 403 구간의 필기 압력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생성하고, X 축으로 증가하는 구간인 402 구간 및 404 구간에서는 401 구간 및 403 구간에 비해서 필기 압력값을 높게 설정하여 더 두껍게 표시한다. 도 5에는 X 축 방향에 따라서 압력값이 변화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Y축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패턴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에 예시된 패턴(제 4 패턴이라 칭함)은 필기 획의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에서의 압력값을 사전에 설정된 값에 따라서 생성한다.
도 6의 (a) 의 경우에는 획의 시작부분에서 압력값이 점증한 후(두께가 점증한 후), 일정구간 동안 동일한 압력값(두께)이 유지되다가 종료부분에서 압력값(두께)이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예시하였다.
또한, 6의 (b)는, 획의 시작부분은 압력을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종료부분으로 갈수록 압력값이 점차 감소하도록 설정하거나(ⓑ 방향으로 획을 긋는 경우), 획의 시작 부분은 압력을 최소값으로 설정하고 종료 부분으로 갈수록 압력값이 점차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패턴(ⓐ방향으로 획을 긋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사용자의 필기 속도에 따라서 압력값을 생성하는 패턴(제 5 패턴이라 칭함)의 예를 도시하였다. 제 5 패턴은, 일반적인 필기 과정에서 필기 속도가 빠르면 펜에 인가되는 필기압력이 작아져서 필기 두께가 얇아지고, 필기 속도가 느리면 펜에 인가되는 필기압력이 커져서 필기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를 디지털 필기 입력 방식에 적용하여, 도 7의 (a) 와 같이 사용자가 601 지점부터 612 지점까지 필기를 수행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획을 일정한 시간 간격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각 좌표(601~612)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각 좌표 구간의 필기속도를 계산한다. 각 좌표(601~612)를 샘플링하는 시간이 일정하므로 필기 속도는 좌표간 거리에 정비례한다.
따라서, 제 5 패턴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속도(좌표간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필기 압력 정보(필기 두께 정보)를 생성하여, 필기 속도가 느린 구간인 필기획의 시작 부분과 종료 부분에서는 필기 압력값이 큰 두꺼운 필기가 입력되고, 필기 속도가 빠른 구간에서는 필기 압력값이 작은 얇은 두께의 필기가 입력된다.
한편, 제 4 패턴 및 제 5 패턴의 경우에는 압력 정보를 최종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필기 획의 종료 부분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 4 패턴 및 제 5 패턴에 따라서 필기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필기정보 저장부(400)는 버퍼로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여, 압력정보 생성부(100)는 실시간으로 생성된 압력 정보(두께 정보)를 필기정보 저장부(400)에 저장한 후, 위치 측정부(200)로부터 일정한 시간동안 좌표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필기 획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필기 획의 종료 부분에 해당되는 압력 정보를 패턴 정보에 따라서 수정하여 다시 필기정보 저장부(400)로 다시 출력하고, 필기정보 저장부(400)에 수정되어 저장된 압력 정보는 다시 표시부(500)로 출력되거나 외부 전자기기 또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필기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이 필기를 입력할 때 이용할 패턴을 선택한다(S810). 패턴 선택은 사전에 정의된 패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사전에 정의된 패턴에서 일부를 변경하여 선택할 수도 있으며,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패턴을 정의하여 패턴 DB(300)에 저장한 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패턴을 선택하면서, 각 패턴의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 S8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제 1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로획에 가중치를 부여할지 또는 세로획에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함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S8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제 2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 용자는 반복적으로 증감하는 압력값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함께 설정할 수 있고,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S8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제 3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의 변화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 및 선택된 축방향의 좌표값의 증가 방향 또는 감소 방향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함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S8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제 4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필기의 시작 부분 및 종료 부분에 대한 설정값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 의 (a)에 대응되는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압력값이 점증하거나 점감하는 시작 부분 및 종료 부분의 길이 및 이 때의 변화 정도(예컨대 각 시간 또는 거리 구간에서의 압력 설정값)을 함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6 의 (b)에 대응되는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필기 획의 시작 부분을 높은 압력으로 설정하고 압력이 감소될 일정한 비율을 함께 설정하거나, 필기 획의 시작 부분을 작은 압력으로 설정하고 압력이 증가될 일정한 비율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S8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제 5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직접 필기 속도에 따른 압력 감소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패턴을 선택한 후 필기를 수행하면 위치 측정부(200)는 사용자가 필기를 수행하는 물체(상술한 신호 발생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에 접촉시킨 손가락, 펜 등)의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820).
좌표 정보를 수신한 압력정보 생성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을 패턴 DB(300)에서 조회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에 따라서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0).
도 9 는 도 8의 제 S83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압력정보 생성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을 조사하고(S831),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을 패턴 DB(300)에서 조회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과 각 패턴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정보에 따라서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2~S836).
상술한 패턴의 예시들 중에서, 사용자가 제 1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따라서 가로획 또는 세로획에 대해서 높은 압력 가중치를 설정하여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2).
사용자가 제 2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반복적으로 증감하는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3).
사용자가 제 3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에 따라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좌표 증가 방향 또는 감소 방향에 대해서 높은 압력 가중치를 설정하여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4).
사용자가 제 4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필기 획의 시작 부분 및 종료 부분에 대해서 사전에 패턴 DB(30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패턴에 따라서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5).
사용자가 제 5 패턴을 선택한 경우에, 압력정보 생성부(100)는 필기 속도에 따라서 필기 속도에 반비례하는 압력 정보를 생성한다(S836).
제 1 패턴 내지 제 5 패턴에 따라서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술한 제 1 패턴 내지 제 5 패턴 이외에도 다양한 패턴이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였다. 비록,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개의 패턴에 따라서 필기를 입력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5개 이외에도 다양한 패턴들이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특징은 개개의 패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패턴을 사용자 자신이 직접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필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점에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위치 측정부가 초음파 입력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 좌표를 측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패턴 DB에 저장되는 본 발명의 필기 정보 생성 패턴들에 따라서 생성된 필기 정보를 표시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 는 도 8의 제 S83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22)

  1.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사전에 정의된 필기 압력 패턴 정보를 저장한 패턴 DB; 및
    상기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압력 패턴 정보에 따라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의 필기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압력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필기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압력 정보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물체의 위치를 샘플링하여 좌 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필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는 기준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이고,
    상기 위치 측정부는 상기 기준신호를 수신하는 기준신호 수신 센서와,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초음파 센세들을 포함하여 상기 신호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기준 신호와 초음파 신호가 상기 기준신호 수신센서와 초음파신호 수신센서에 각각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발생 장치의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는 터치스크린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좌표 정보의 X 또는 Y 좌표값의 증가 방향 및 감소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가로획 및 세로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높은 필기압력을 설정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낮은 필기압력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낮아지도록 설정하거나,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낮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 속도에 반비례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증감이 반복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입력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DB 는 복수의 필기 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필기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정보 생성에 이용되는 필기 패턴을 선택받아 상기 압력 정보 생성부로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장치.
  13. 필기 입력 장치에서 필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로부터 필기 압력 패턴을 선택받는 단계;
    (b) 사용자가 필기를 입력하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패턴 DB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필기 압력 패턴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 압력 패턴 정보에 따라서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의 필기 압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d) 상기 좌표 정보,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필기 압력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각각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e)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압력 정보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물체의 위치를 샘플링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좌표 정보 및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용하여 필기를 입력하는 신호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기준 신호와 초음파 신호가 상기 필기 입력 장치에 각각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발생 장치의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좌표 정보의 X 또는 Y 좌표값의 증가 방향 및 감소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19.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가로획 및 세로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높은 필기압력을 설정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낮은 필기압력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20.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낮아지도록 설정하거나,
    필기의 시작 부분에 대해서는 낮은 압력을 설정하고 필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압력이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21.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필기 속도에 반비례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22.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거리 주기로 증감이 반복되는 압력값을 생성하도록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 방법.
KR1020090066206A 2009-07-21 2009-07-21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KR10108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06A KR101080255B1 (ko) 2009-07-21 2009-07-21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US13/386,249 US8952906B2 (en) 2009-07-21 2009-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riting pattern
PCT/KR2009/004311 WO2011010761A1 (ko) 2009-07-21 2009-07-31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JP2012521565A JP2012533815A (ja) 2009-07-21 2009-07-31 筆記パターンによる筆記情報入力装置及び筆記情報入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06A KR101080255B1 (ko) 2009-07-21 2009-07-21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19A true KR20110008719A (ko) 2011-01-27
KR101080255B1 KR101080255B1 (ko) 2011-11-08

Family

ID=4349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206A KR101080255B1 (ko) 2009-07-21 2009-07-21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52906B2 (ko)
JP (1) JP2012533815A (ko)
KR (1) KR101080255B1 (ko)
WO (1) WO201101076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836B2 (en) 2011-07-04 2016-05-1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realizing virtual handwriting input
KR20160086359A (ko) * 2013-11-19 2016-07-1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잉크 데이터의 생성, 잉크 데이터의 렌더링, 잉크 데이터의 조작, 및 잉크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1703A (ko) * 2014-09-29 2017-06-0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습식 잉크 예측기
KR20230010797A (ko) * 2014-10-17 2023-01-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1725B2 (en) * 2012-06-07 2016-04-12 Barracuda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WO2014017791A1 (ko) * 2012-07-24 2014-01-30 (주)피엔에프 초음파 센서간 거리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80961B1 (ko) * 2013-07-16 202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571633B (zh) * 2013-10-29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笔迹获取方法、装置及超声波电子笔
WO2016098218A1 (ja) 2014-12-18 2016-06-23 株式会社ワコム デジタルインク生成装置、デジタルインク生成方法及びデジタルインク再生装置
WO2018010062A1 (zh) * 2016-07-11 2018-01-1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字帖、练字笔及系统
US11068158B2 (en) 2019-06-07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20090209A (ko) * 2020-12-22 202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6774854A (zh) * 2023-06-15 2023-09-19 广州文石信息科技有限公司 笔迹调节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543B2 (ja) * 1990-09-25 1998-05-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図形出力装置
EP0559708A1 (en) * 1990-11-30 1993-09-15 Cambridge Animation Systems Limited Image synthesis and processing
FR2676568B1 (fr) * 1991-05-17 1997-04-18 Aviau De Piolant Jean Louis D Systeme de dessin graphique.
US5434959A (en) * 1992-02-11 1995-07-18 Macromedia, Inc.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variable width lines within a graphics system
US5594855A (en) * 1992-02-11 1997-01-14 Macro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al time calligraphic curves
JPH06175777A (ja) * 1992-12-03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毛筆書体形成装置および毛筆書体形成方法
JP3171738B2 (ja) * 1993-10-22 2001-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毛筆書体生成装置
TW338815B (en) * 1995-06-05 1998-08-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recognition of handwritten input
JP2803718B2 (ja) * 1996-03-21 1998-09-24 日本電気株式会社 手書き入力表示装置
GB2317089B (en) * 1996-09-06 2001-05-16 Quantel Ltd An electronic graphic system
CN1173247C (zh) * 1999-01-13 2004-10-27 国际商业机器公司 具有文字分割用户接口的手写信息处理系统
US6707473B2 (en) * 2001-08-01 2004-03-1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endering of ink strokes with transparency
US6909430B2 (en) * 2001-08-0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Rendering ink strokes of variable width and angle
AUPR824501A0 (en) * 2001-10-15 2001-11-0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and systems (npw003)
JP2003157070A (ja) * 2001-11-20 2003-05-30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文字パターン生成方法、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プログラム
KR20030036289A (ko) * 2003-02-19 2003-05-09 (주)동원에스앤에스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KR20060096208A (ko) * 2005-03-03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JP4119436B2 (ja) 2005-03-10 2008-07-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入力変換プログラム及び情報入力変換装置
JP4534954B2 (ja) * 2005-10-31 2010-09-01 ぺんてる株式会社 手書き筆跡入力システム
US20070146393A1 (en) * 2005-12-28 2007-06-28 Xcpt,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izing objects
US7697002B2 (en) * 2007-01-25 2010-04-13 Ricoh Co. Ltd. Varying hand-drawn line width for display
KR100869712B1 (ko) * 2007-02-09 2008-11-21 (주)펜앤프리 필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836B2 (en) 2011-07-04 2016-05-1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realizing virtual handwriting input
KR20160086359A (ko) * 2013-11-19 2016-07-1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잉크 데이터의 생성, 잉크 데이터의 렌더링, 잉크 데이터의 조작, 및 잉크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023127B2 (en) 2013-11-19 2021-06-01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US11042292B2 (en) 2013-11-19 2021-06-22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US11169696B2 (en) 2013-11-19 2021-11-09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US11188223B2 (en) 2013-11-19 2021-11-30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US11747976B2 (en) 2013-11-19 2023-09-05 Wa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k data generation, ink data rendering, ink data manipulation and ink data communication
KR20170061703A (ko) * 2014-09-29 2017-06-0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습식 잉크 예측기
KR20230010797A (ko) * 2014-10-17 2023-01-1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52906B2 (en) 2015-02-10
WO2011010761A1 (ko) 2011-01-27
KR101080255B1 (ko) 2011-11-08
JP2012533815A (ja) 2012-12-27
US20120139863A1 (en)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255B1 (ko)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US10649552B2 (en)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pen input device
EP2098946B1 (en) Handwriting electronic input system
KR100869712B1 (ko) 필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
US10095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touch discontinuities
KR102141044B1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TWI584164B (zh) 在多點觸控裝置上模擬壓感
Poupyrev et al. Haptic feedback for pen computing: directions and strategies
JP2019192279A (ja) グラニュラーシンセシスを用いたハプティック変換システム
US20150077345A1 (en) Simultaneous Hover and Touch Interface
KR20140047897A (ko) 터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782131A (zh) 笔锋实现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Hwang et al. Micpen: pressure-sensitive pen interaction using microphone with standard touchscreen
CN104423802A (zh) 窗口扩展方法和相关联的电子设备
US87326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more realistic interaction experience using a stereoscopic cursor
Kang et al. An alternative method for smartphone input using AR markers
Hong et al. MaterialSense: Estimating and utilizing material properties of contact objects in multi-touch interaction
KR20140002900A (ko) 단말의 음원 재생 방법 및 그 단말
US20130342437A1 (en)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13450429B (zh) 轨迹绘制方法及装置
JP2014082605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0736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id-aligned inking
Covarrubias et al. Flexible touch sensor for evaluating geometric properties of virtual shapes through sound: This paper reports a sonification approach to visualise geometric features that are missing in haptic display
US20140108926A1 (en) Using metadata
CN111679745A (zh) 音箱控制方法、装置、设备、可穿戴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