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289A -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289A
KR20030036289A KR1020030010333A KR20030010333A KR20030036289A KR 20030036289 A KR20030036289 A KR 20030036289A KR 1020030010333 A KR1020030010333 A KR 1020030010333A KR 20030010333 A KR20030010333 A KR 20030010333A KR 20030036289 A KR20030036289 A KR 2003003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hickness
mouse
writing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복수
Original Assignee
(주)동원에스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에스앤에스 filed Critical (주)동원에스앤에스
Priority to KR102003001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6289A/ko
Publication of KR2003003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이 구현된 전자칠판시스템에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판서되는 글씨의 굵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있어서, 마우스 이동속도와 펜굵기비율의 매핑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판서글씨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펜글씨를 선택하는 단계; 마우스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마우스 이동속도에 대한 펜굵기 비율을 상기 매핑테이블에서 찾는 단계; 최대펜굵기, 마우스 이동속도, 펜굵기 비율을 연산하여 현재 펜굵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전자칠판 모니터 상에 판서되는 글씨나 그림 등의 선들의 굵기를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하여 쓸 수가 있으므로 전자유도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이 아닌 저항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도 붓글씨 형태와 같이 그 굵기가 변화하는 글씨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칠판의 판서방법{Black Board Demonstration Method of Electronic Board}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이 구현된 전자칠판시스템에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판서되는 글씨의 굵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칠판은 종래의 흑판이나 화이트보드와는 달리 컴퓨터를 이용하여 강의교안을 만들거나 또는 컴퓨터 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이를 강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강의교안을 보여주거나 또는 액정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이용하여 보여주면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에 관하여 많은 출원이 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 2001-0008393호(명칭 : 전자칠판을 이용하는 판서내용 제공시스템)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57271호(명칭 : 전자칠판장치) 등에 나타난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전자칠판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칠판시스템은 컴퓨터시스템(100)과 강의자용 모니터(110)와 수강자용 화면(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전자칠판은 판서를 위하여 컴퓨터의 모니터에 터치스크린을 구현하여 전자펜 등으로 모니터 상에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에서 터치 인식방법(Reading Method)에는 크게 전자유도방식(Electro Magnetic Sensitive Method)과 저항막방식(Resistive Overlay Method)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전자유도방식은 터치스크린 고유의 전자펜으로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전자유도방식의 장점은 X, Y좌표 뿐 아니라 터치누름세기 값(Z)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터치누름 세기 값(Z:압력값)을 전자칠판 시스템에서 펜굵기 조절 팩터로 사용하는 것으로, 펜굵기가 10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Z값이 최소값에서 최고값으로 변함에 따라 펜굵기가 1~10으로 변화되면서 화면에 선이 그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유도방식은 내구성이 약하고 고가이며 전량 수입에 의존해야 하며, 이로 인해 A/S의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전자유도방식은 전용 전자펜을 잊어버리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타블렛 컴퓨터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에서 터치 인식 필름의 다른 방법으로는 저항막방식이 있다. 저항막방식은 상기와 같은 전자유도방식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저가이고, 국내에서 생산되므로 빠른 A/S가 가능하며 사람 손가락 뿐 아니라 어떠한 펜이나 막대로도 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저항막방식은 터치누름 세기값(Z)을 인식할 수 없는데, 결과적으로 전자유도방식에서 사용하고 있는 터치누름 세기값(Z)을 인식하여 펜굵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항막방식에서는 펜굵기가 항상 일정한 상태에서 전자칠판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전자칠판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펜의 굵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는 있는데, 이것 역시 한번 굵기를 설정하면 계속 동일한 굵기의 글씨를 쓸 수 있을 뿐이므로 이러한 방식으로는 붓글씨와 같은 글씨의 굵기가 계속 변화하는 글씨를 표현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펜 굵기 변화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전자칠판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 3c는 본 발명의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기 전의 판서글씨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 4c는 본 발명의 필터링 방법을 사용한 후의 판서글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있어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조절하여 판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조절하여 판서하는 단계는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증가할수록 판서되는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굵게 하고,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감소할수록 판서되는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얇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와 반대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증가할수록 판서되는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얇게 하고,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감소할수록 판서되는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굵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조절하여 판서하는 단계는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와 펜굵기비율의 매핑테이블을 작성하는 제 1단계; 판서글씨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펜글씨를선택하는 제 2단계; 검출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대한 펜굵기 비율을 상기 매핑테이블에서 찾는 제 3단계; 제 3단계에서 찾은 펜굵기 비율에 최대펜굵기를 곱하여 현재 펜굵기를 구하는 제 4단계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굵기 비율에 최대펜굵기를 곱하여 현재 펜굵기를 구하는 제 4단계는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의 불균일한 변화에 의한 글씨의 계단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펜굵기 비율에 최대펜굵기를 곱하여 구한 현재 선분의 펜굵기와 이전 선분에서 사용된 펜굵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픽셀을 넘을 경우 그 차이를 기준픽셀로 수정하여 현재 선분에서 사용될 실제 펜 굵기를 구하고, 그 차이가 기준픽셀 미만일 경우 이전 선분에서 사용된 펜 굵기를 현재 선분에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픽셀은 1픽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는 전자펜이나 마우스가 이동될 때 특정 시간 간격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에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현재 좌표를 알려준다. 현재 좌표와 이전 좌표간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그 거리는 결정된다. 물론 빨리 움직일수록 그 거리는 길어지며 천천히 움직일수록 그 거리는 짧아진다. 이때 경험적으로 최저거리, 평균거리, 최대거리를 산출하여 펜굵기 변화의 인자로 이용한다.
예컨대, 펜굵기가 10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마우스 이동거리가 적음 ~ 많음으로 변함에 따라 펜 굵기 1~10으로 변화되면서 화면에 선이 그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최저거리와 최소 펜 굵기, 최장거리와 최대 펜 굵기로 매핑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최저거리를 최대 펜 굵기, 최장거리를 최소 펜 굵기로 매핑하면 펜 굵기 조절 반대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시간간격 동안의 마우스가 움직인 거리가 길수록, 즉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펜의 굵기가 굵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전자칠판에서 사용자가 판서를 하고자 할 경우, 글씨의 굵기를 선택할 수가 있다. 즉, 최대 펜굵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최대 펜굵기를 선택하면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아무리 빠르더라도 글씨의 굵기는 선택한 최대 굵기를 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펜굵기가 변화하는 판서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마우스 이동속도와 펜굵기 비율의 매핑테이블을 작성한다.
매핑테이블을 만드는 예는 다음과 같다.
최대펜굵기를 10로 하고 펜굵기가 10보다 작아져 0으로 갈수록 글씨의 굵기가 얇아지는 것으로 하고, 마우스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경험적으로 일반적인 마우스의 이동속도의 변화범위를 찾아, 이러한 일반적 마우스 이동속도의 범위를 다시 10등분하여 1에서 10의 번호를 지정한다. 여기서 마우스 이동속도 5는 가장 평균적인 마우스 이동속도가 된다.
예컨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마우스를 움직이는 속도가 1m/min에서 10m/min이라고 하면 1m/min을 1로 10m/min을 10으로 하고, 5m/min을 가장 평균적인 속도 5로 잡는것과 같은 경우이다.
여기에 펜굵기 비율을 0.1에서 1까지 지정하여 펜굵기 비율이 1인 경우에는 글씨의 굵기가 최대 펜굵기가 되도록 하고, 펜굵기 비율이 0.1인 경우에는 글씨의 굵기가 최대 펜굵기의 1/10 이 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마우스 이동속도와 펜굵기비율을 표 1과 같이 매핑시킨다.
마우스 이동속도 펜굵기비율
1 미만 0.1
1 0.1
2 0.2
3 0.3
4 0.4
5 0.5
6 0.6
7 0.7
8 0.8
9 0.9
10 이상 1
표 1과 같이 마우스 이동속도와 펜굵기비율을 매핑시키면 마우스가 10이상의 속도로 움직이면 펜굵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최대펜굵기를 넘지 않게 되고,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5일 때에는 펜굵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최대펜굵기의 1/2의 굵기가 된다.
상기와 같이 작성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펜굵기를 변화시켜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컴퓨터는 마우스의 커서가 이동될 때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전자펜으로 인식되는 좌표가 이동할 때 특정 시간 간격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에 마우스 또는 전자펜의 현재 좌표를 알려주며, 이러한 현재 좌표와 이전 좌표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마우스의 이동속도를 상기 표 1의 매핑테이블에서 찾아 대응하는 펜굵기비율을 구한다.
이렇게 구한 펜굵기비율에 사용자가 선택한 최대펜굵기를 곱하여 현재펜굵기를 계산하며,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씨를 쓸 경우 이와 같이 계산된 펜의 굵기로 글씨가 써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최대펜굵기, 마우스 이동속도 및 펜굵기 비율 등을 이용하여 현재 펜굵기를 조절하여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쓰여진 글씨의 굵기가 급변하여 글씨가 계단형태로 쓰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컴퓨터가 마우스가 이동될 때 특정 시간 간격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에 마우스의 현재 좌표를 알려주고, 이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속도 및 펜굵기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때, 마우스의 속도가 균일하게 변하지 않고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할 수가 있다.
도 2는 컴퓨터가 알려주는 마우스의 현재좌표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각각의 점은 컴퓨터가 마우스의 현재좌표를 인식하는 순간의 마우스의 위치이며, 이웃하는 두 점을 잇는 선분은 마우스가 이동한 거리이다.
만약, 도 2에서 A점에서 B점으로 마우스가 이동한 속도가 3이고 B점에서 C점으로의 마우스 이동속도가 8이라고 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최대선굵기가 10이라고 할 경우, 선분 AB의 펜굵기는 상기의 방식에 의해 계산하면 3이 되고 선분 BC의 펜굵기는 8이 되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분 AB와 선분 BC간에는 계단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부드러운 글씨체가 되기 힘들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필터링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현재펜굵기가 계산되면 이전 선분의 펜굵기와 현재 선분의 펜굵기를 비교한다.
현재 선분의 펜굵기와 이전 선분의 펜굵기의 그 차이가 1픽셀을 초과할 경우 매핑테이블 상의 마우스 이동속도의 차이를 1픽셀로 수정하여 현재 선분의 실제 펜굵기를 구한다.
현재펜굵기와 이전펜굵기의 그 차이가 사용자가 선택한 최대펜굵기의 차이가 1픽셀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전 선분의 펜굵기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준픽셀을 1픽셀로 하여 굵기가 1픽셀 이상씩 증가하지 못하도록 구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기준픽셀은 1픽셀보다 크거나 또는 1픽셀보다 작을 수도 있다.
도 3a ~ 3c는 본 발명의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기 전의 판서글씨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 4c는 본 발명의 필터링 방법을 사용한 후의 판서글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기 전에는 글씨를 쓰는 속도가 급변함에 따라 계단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도 4a ~ 4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링 방법을 사용한 후에는 글씨의 굵기가 급변하지 않고 서서히 변화하여 계단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은 근래에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태블릿PC와 같이 키보드 대신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하고 있는 기기들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것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전자칠판에 판서를 할 때 마우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마우스 뿐만 아니라 전자펜을 이용하거나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판서를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것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전자칠판 모니터 상에 판서되는 글씨나 그림 등의 선들의 굵기를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하여 쓸 수가 있으므로 전자유도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뿐만 아니라 저항막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도 붓글씨 형태와 같이 그 굵기가 변화하는 글씨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통상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칠판의 판서방법에 있어서,
    a)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조절하여 판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판서단계는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증가할수록 판서되는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굵게 하고, 측정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가 감소할수록 판서되는 선이나 글씨의 굵기를 얇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판서단계는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와 펜굵기비율의 매핑테이블을 작성하는 제 1단계;
    판서글씨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펜글씨를 선택하는 제 2단계;
    검출한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에 대한 펜굵기 비율을 상기 매핑테이블에서 찾는 제 3단계;
    제 3단계에서 찾은 펜굵기 비율에 최대펜굵기를 곱하여 현재 펜굵기를 구하는 제 4단계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전자펜이나 마우스의 이동속도의 불균일한 변화에 의한 글씨의 계단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펜굵기 비율에 최대펜굵기를 곱하여 구한 현재 선분의 펜굵기와 이전 선분에서 사용된 펜굵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픽셀을 넘을 경우 그 차이를 기준픽셀로 수정하여 현재 선분에서 사용될 실제 펜 굵기를 구하고,
    그 차이가 기준픽셀 미만일 경우 이전 선분에서 사용된 펜 굵기를 현재 선분에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기준픽셀은 1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KR1020030010333A 2003-02-19 2003-02-19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KR20030036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333A KR20030036289A (ko) 2003-02-19 2003-02-19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333A KR20030036289A (ko) 2003-02-19 2003-02-19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289A true KR20030036289A (ko) 2003-05-09

Family

ID=2957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333A KR20030036289A (ko) 2003-02-19 2003-02-19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62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7024A1 (en) * 2007-02-09 2008-08-14 Pnf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dwriting and input system using the same
WO2010140728A1 (ko) * 2009-06-02 2010-12-09 (주)프리애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필기 입력 장치
WO2011010761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777A (ja) * 1992-12-03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毛筆書体形成装置および毛筆書体形成方法
JPH06266492A (ja) * 1993-03-12 1994-09-22 Toshiba Corp 筆跡入力方法及び同装置
JPH10320540A (ja) * 1997-05-21 1998-12-04 Casio Comput Co Ltd 線描画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11232033A (ja) * 1998-02-13 1999-08-27 Nec Corp 電子式ホワイトボ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777A (ja) * 1992-12-03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毛筆書体形成装置および毛筆書体形成方法
JPH06266492A (ja) * 1993-03-12 1994-09-22 Toshiba Corp 筆跡入力方法及び同装置
JPH10320540A (ja) * 1997-05-21 1998-12-04 Casio Comput Co Ltd 線描画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11232033A (ja) * 1998-02-13 1999-08-27 Nec Corp 電子式ホワイトボー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7024A1 (en) * 2007-02-09 2008-08-14 Pnf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dwriting and input system using the same
KR100869712B1 (ko) * 2007-02-09 2008-11-21 (주)펜앤프리 필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입력 시스템
WO2010140728A1 (ko) * 2009-06-02 2010-12-09 (주)프리애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필기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필기 입력 장치
WO2011010761A1 (ko) * 2009-07-21 2011-01-27 (주)펜앤프리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US8952906B2 (en) 2009-07-21 2015-02-10 Penandfre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riting patte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sterman Hand tracking, finger identification, and chordic manipulation on a multi-touch surface
US6424338B1 (en) Speed zone touchpad
US20040095314A1 (en) Human interactive type display system
US10719229B2 (en) Detecting erasure gestures in an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CN101980117A (zh) 触摸操控方法及触摸操控装置
EP3413179B1 (en) Rejecting extraneous touch inputs in an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JP2014220720A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527940A (zh) 书写笔迹确定方法及装置
KR20160033547A (ko)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782131A (zh) 笔锋实现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1281442A (zh) 一种触摸介质的笔迹显示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9564496B (zh) 交互式显示叠覆系统及相关方法
KR100713407B1 (ko)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CN113485570B (zh) 多人书写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9584129A (zh) 一种书法的临摹方法和装置
Engel et al. TouchPen: rich interaction technique for audio-tactile charts by means of digital pens
CN113515228A (zh) 一种虚拟标尺显示方法以及相关设备
KR20030036289A (ko) 전자칠판의 판서방법
Annett et al. Hands, hover, and nibs: understanding stylus accuracy on tablets
KR102477220B1 (ko) 개선된 적외선 터치패널의 판서인식과 함께 인식된 판서를 보정하는 전자칠판 및 그 동작 방법
US10409481B2 (en) Adaptive inking in an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CN107291344A (zh) 一种内容选择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20200225787A1 (en) Stroke-based object selection for digital board applications
US11513678B2 (en) Context based annotating in an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Hosokawa et al. Development of tars mobile app with deep fingertip detector for the visually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