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209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209A
KR20220090209A KR1020200181178A KR20200181178A KR20220090209A KR 20220090209 A KR20220090209 A KR 20220090209A KR 1020200181178 A KR1020200181178 A KR 1020200181178A KR 20200181178 A KR20200181178 A KR 20200181178A KR 20220090209 A KR20220090209 A KR 20220090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input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writ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효
이성오
곽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209A/ko
Priority to EP21911523.5A priority patent/EP4246293A4/en
Priority to PCT/KR2021/019606 priority patent/WO2022139456A1/ko
Publication of KR2022009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209A/ko
Priority to US18/338,848 priority patent/US202303505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2Plur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device of the same type are in communication with a P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티브 패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고,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apparatus}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통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전자칠판,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능동형 스타일러스나 수동형 스타일러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직접 터치하고, 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어플리케이션이 발전되어 왔다.
능동형 스타일러스는 프로세서와 자이로 센서 등을 가진 일종의 모바일 기기로서, 터치 입력 마다 방위각이나 고도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터치 패널 기기에 전달하면 터치 패널 기기는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능동형 스타일러스의 경우에는, 스타일러스의 특징에 따라 호환되는 패널이 한정되어 있고, 패널에서는 이에 따른 운영체제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능동형 스타일러스는 수동형 스타일러스에 비해 고가이며, 충전 등의 불편함이 있다.
수동형 스타일러스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전통적인 연필 등과 같이 전자 기기가 아닌 터치 기기의 표면에 닿을 수 있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수동형 스타일러스는 특별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전달할 수 없으므로, 터치 패널 기기에서 터치 입력의 위치나 힘, 터치된 면적의 크기 등을 측정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한다. 따라서,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는 응용에서는 방위각이나 고도각 정보는 측정이 어려워서,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함으로써 패널에서 얻어지는 정보가 제한적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실을 잘 모사하고, 그래픽 표현이 고급스러운 드로잉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는 입력 장치의 방위각, 고도각 등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특히, 붓의 끝(Tip), 뉘어진 정도가 그림의 품질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수묵화와 같은 드로잉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더욱 입력 장치의 방위각이나 고도각 등의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미리 방위각이나 고도각에 대한 정보를 갖도록 전자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수동형 스터일러스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도, 미리 구비된 방위각이나 고도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티브 패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고,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을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이벤트들 중에서 제1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 및 제2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된 면적의 크기 변화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필법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상기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2필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필법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필법에 대응하는 각 데이터베이스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필법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 및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1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2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서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 터치 이벤트의 면적의 크기, 터치 이벤트의 발생 시간, 위치 벡터, 속도 벡터, 고도각, 방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와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터치 이벤트를 후보 터치 이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변환 또는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구현을 위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필법에 따라 미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해 놓음으로써, 사용자들은 저렴하고 범용성이 높은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드로잉을 하는 경우에도 터치 입력에 따른 방위각과 고도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고급스럽고 품질이 높은 드로잉 작업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해서 방위각이나 고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라 방위각과 고도각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중봉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필법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편봉과 중봉의 경우에 터치 이벤트의 크기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이벤트 집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에서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찾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해서 방위각이나 고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에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필법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수신된 하나 이상의 필법에 따른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각 필법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구비하여,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터치 입력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자 칠판, 모바일 기기, 태블릿 기기, 랩탑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 등 어떠한 형태의 전자 장치 라도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는 붓의 모를 가진 붓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능동형 스타일러스 10의 움직임에 따라 고도각과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능동형 스타일러스 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전자 장치 100로 전달하기 위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는 하나 이상의 필법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필법은 동양화나 서예에서 붓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필법은 제1필법과 제2필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필법은 제1필법과 제2필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필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필법은 중봉과 편봉을 포함할 수 있다. 중봉은 붓의 끝이 획의 가운데 있도록 하여 일정한 굵기의 획을 만들어 내는 필법을 나타내고, 편봉은 붓끝이 획의 한쪽에 노출되도록 획을 긋는 필법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필법은 중봉과 편봉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다른 필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는 하나 이상의 필법에 따라 수행된 터치 입력에 따라 측정된 방위각과 고도각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는 제1필법에 따른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방위각과 고도각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는 제2필법에 따른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방위각과 고도각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로터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해당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방위각, 고도각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는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방위각과 고도각에 대한 정보는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능동형 스타일러스 10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 적용된 필법에 따라 터치 입력의 정보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제1필법에 따라 수행된 터치 입력에 따라 획득된 터치 입력의 정보를 제1필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고, 제2필법에 따라 수행된 터치 입력에 따라 획득된 터치 입력의 정보를 제2필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를 이용하여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구성하는 것은 전자 장치 100의 제조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0를 구매 등에 의해 제공받아, 전자 장치 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 및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 10를 통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터치 입력의 정보에 기반하여 필법을 판단하고, 판단된 필법에 대응하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동형 스타일러스 1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방위각이나 고도각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서 방위각이나 고도각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형 스타일러스 10는 사용자의 손가락 30이나, 전통적인 펜, 또는 전통적인 붓 20이나 기타 막대 형태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 10를 통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터치 입력의 정보로서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를 적절히 가공하여 이용함으로써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의 크기의 변화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편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의 크기의 변화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중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 판단된 필법에 대응하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편봉으로 판단한 경우, 편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중봉으로 판단한 경우, 중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편봉으로 판단한 경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편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중봉으로 판단한 경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중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계산하고,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에 대응하는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은 복수의 터치 이벤트로 구성되며, 전자 장치 100는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크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와 필법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터치이벤트들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의 차이가 임계치를 넘지 않는 후보 터치 이벤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후보 터치 이벤트의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는 메모리 110, 프로세서 120, 디스플레이 130, 터치 센서티브 패널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13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130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13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센서티브 패널 140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정전식, 감압식, 초음파, 적외선 등의 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티브 패널 140을 통해 수신된 터치 입력은 프로세서 120에 의해 해석되어 터치 입력의 발생 위치와 면적의 크기 (또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발생 위치 정보는 좌표의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터치 입력이 수신된 픽셀들을 기초로 도형을 구성하고 해당 도형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점의 X, Y 좌표를 터치 입력의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센서티브 패널 140의 유형에 따라 터치 입력의 압력 또는 터치 입력 면적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감압식의 경우 터치 입력의 힘(압력)을, 정전식, 초음파, 적외선의 경우 터치 입력의 면적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압력의 경우, 하드웨어 장비에서 인식할 수 있는 압력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어떤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최소값으로 하고, 그 사이에서 발생한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선형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분석된 힘의 상대값을 터치 입력의 압력으로 획득할 수 있다. 크기의 경우, 하드웨어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픽셀들의 값을 X축, Y축으로 그 값을 인식하여 양 축 길이의 평균을 이용한다.
메모리 1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10는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10는 프로세서 120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10는 필법에 따라 분류되어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는 예를 들어 제1필법 데이터베이스 및 제2필법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법은 편봉을 나타내고, 제2필법은 중봉을 나타낼 수 있다. 편봉이나 중봉은 예시적인 것이며, 그외 다른 필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1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도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이용하여 필법에 따른 궤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10는 상기 복수의 필법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필법에 대응하는 각 데이터베이스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필법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 및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1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2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서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 크기, 시간, 고도각, 방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여, 의도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 120내에 포함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와 별도로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 포함되는 메모리 1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12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여, 의도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데이터 처리 장치 내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소정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더라도, 프로세서가 소정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전자장치 내부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고,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포인팅 수단으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 및 제2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필법, 예를 들어, 편봉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상기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2필법, 예를 들어 중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와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터치 이벤트가 후보 터치 이벤트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에 관한 터치 이벤트 집합에 대응하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탐색하고, 상기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 집합은,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이전 터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이벤트 집합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변화 또는 크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이벤트 집합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변화와 임계치 미만의 차이를 가지는 위치 변화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집합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의 크기 변화와 임계치 미만의 차이를 가지는 크기 변화를 가지는 상기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 160는,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프로세서 및 내부 프로세서에서 처리 또는 이용될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예를 들어, RAM, ROM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6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이상의 멀티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헥사 코어, 옥타 코어, 데카 코어, 도데카 코어, 헥사 다시 벌 코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 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전자 장치 1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2 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는, 메모리 110, 프로세서 120, 디스플레이 130, 터치 센서티브 패널 140 이외에, 비디오 처리부 141, 오디오 출력부 142, 오디오 처리부 143, 통신부 150, 감지부 160, 필법 처리 모듈 170, 입/출력부 180, 및 사용자 입력부 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전자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 110 및 프로세서 120에 대하여,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3에서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130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통신부 150, 입/출력부 180, 메모리 1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 141는, 디스플레이 130에 의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143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 143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42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 150 또는 입/출력부 18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 11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42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150는 전자 장치 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100과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50는 방송 수신 모듈 151, 이동통신 모듈 152, 무선 인터넷 모듈 153 및 근거리 통신 모듈 15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150는 송/수신부로 호칭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 15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 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 15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153을 통해서 전자 장치 100는 다른 디바이스와 와이 파이(Wi-Fi) P2P(Peer to Peer)연결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 15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감지부 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로폰 161, 카메라부 162, 및 광 수신부 16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 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12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부 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 163는, 원격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 163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 180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 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 18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8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82), PC 포트(PC port, 183), 및 USB 포트(USB port, 18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 180는 HDMI 포트 181, 컴포넌트 잭 182, PC 포트 183), 및 USB 포트 18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19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19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110는, 프로세서 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 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 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10는 전자 장치 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110는 터치 입력 처리 모듈 111 및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2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처리 모듈 111은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참조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는 복수의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는 제1필법 DB와 제2필법 D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전자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 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1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 11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20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메모리 110에 저장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및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로세서 12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전자 장치 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 100는 능동형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필법에 따라 고유한 터치 입력 효과를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루의 말단에 붓의 모가 설치된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에 터치 입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은 필법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필법 별 터치 입력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생성할 수 있다.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는 하나 이상의 필법에 따라 필법별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필법은 예를 들어 중봉 또는 편봉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필법에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필법에 따라 수신된 터치 입력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위치, 터치 입력의 크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 시간, 터치 입력이 행해질 때 능동형 스타일러스 펜의 방위각 정보, 고도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은 복수의 터치 이벤트들로 이루어지며, 각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는 터치 입력을 구성하는 각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 터치 이벤트의 면적의 크기, 터치 이벤트의 발생 시간, 위치 벡터, 속도 벡터, 고도각 정보, 방위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는 전자 장치 100의 제조시에 전자 장치 100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 100가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법 데이터베이스 1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0에는 수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에도 필법 데이터베이스 100에 저장된 고도각과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필법에 따른 터치 입력의 효과를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표현해낼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동형 스타일러스 펜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전통적인 펜, 전통적인 붓 등 정보 처리 능력이 없거나 제한된 장치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을 기초로 필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에 따라 제1필법 또는 제2필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임계치를 넘으면 편봉으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중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200를 참조하여, 판단된 필법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동작 440에서 터치 입력을 편봉으로 판단했으면 편봉 데이터베이스를 서치하여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터치 입력을 중봉으로 판단했으면 중봉 데이터베이스를 서치하여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는, 고도각 또는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6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 100는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고도각 또는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될 출력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능동형 스타일러스가 전자 장치 100에 대해 터치 입력 동작을 수행함에 의해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나 제작자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센서티브 패널에 터치하면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가 터치 입력을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입력 수신에 의해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전자 장치 100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단위를 터치 이벤트로 언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1초 동안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1초 동안 수신된 터치 입력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는 수십 또는 수백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검출된 터치 이벤트 #1 부터 터치 이벤트 #7까지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이벤트가 검출되면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 터치 이벤트의 크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의 위치는 터치 이벤트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픽셀들로 이루어진 도형의 무게중심이 되는 위치를 X, Y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터치 이벤트의 크기는 터치 이벤트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픽셀들로 이루어진 도형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은 터치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의 전자 장치 100의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궤적은 일정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540에서,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는 터치 입력 동작에 따라 방위각 및 고도각을 측정하고 측정된 방위각 및 고도각 정보를 전자 장치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라 방위각과 고도각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능동형 스타일러스는 능동형 스타일러스의 일단에 붓의 모 710가 부착된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 700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 700은 자이로 센서 720와 통신 모듈 7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정보 처리를 위해 능동형 스트일러스 붓 700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도 7에 도시되지는 않는다.
자이로 센서 720는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 700의 움직임에 따라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 700의 방위각 이나 고도각을 측정할 수 있다. 방위각(azimuth angle)은 구면 좌표계에서 잰 각도이며, 원점에 있는 관측자로부터 대상까지의 벡터를 기준 평면에 수직으로 투영하여 그것이 기준 평면 위에 있는 기준 벡터와 이루는 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0도에서 360도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고도각 (altitude angle)은 수평선으로부터 측정한 하늘에서의 태양의 각 높이(angular height)를 나타내는 것으로, 0도에서 90도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능동형 스타일러스 붓 700는 자이로 센서 720에 의해 측정된 고도각과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 730을 통하여 전자 장치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55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터치 센서티브 패널로부터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 터치 이벤트의 크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전자 장치 100는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필법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할 때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레이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법중 중봉에 따른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중봉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입력한 다음 중봉에 따르는 터치 입력을 하고, 편봉에 따른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편봉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입력한 다음 편봉에 따르는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각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필법을 레이블링 할 수 있다. 하나의 터치 입력은 하나의 필법에 대응하므로, 하나의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는 모두 동일한 필법으로 레이블링될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전자 장치 100는 각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200에 검출된 터치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제1필법에 대응하는 제1필법 데이터베이스 210과 제2필법에 대응하는 제2필법 데이터베이스 220을 생성할 수 있다. 두개의 필법 즉, 중봉과 편봉으로 터치 입력을 하였다면 전자 장치 100는 중봉 데이터베이스와 편봉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중봉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나 제작자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센서티브 패널에 중봉 필법에 따라 다양한 궤적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중봉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제1궤적에 따른 터치 입력, .. 제N 궤적에 따른 터치 입력,.. 제M궤적에 따른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각 궤적에 따른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중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궤적에 따른 터치 입력이 예를 들어, 6개의 터치 이벤트로 구성된 경우, 중봉 데이터베이스는 제N궤적에 따른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로서, 터치 이벤트 #1에 대한 정보부터 터치 이벤트 #6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 터치 이벤트의 면적의 크기, 터치 이벤트의 발생 시간, 위치 벡터, 속도 벡터, 고도각, 방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이벤트의 위치, 크기, 시간에 대한 정보는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센서티브 패널로부터 검출된 값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의 고도각과 방위각에 대한 정보는 능동형 스타일러스 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8a에서는 중봉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마찬가지로 사용자나 제작자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센서티브 패널에 편봉 필법에 따라 다양한 궤적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편봉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b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는 터치 ID 805, 터치 이벤트 ID 810, 위치 815, 크기 820, 발생시간 825, 위치 벡터 830, 속도 벡터 835, 고도각 840, 방위각 845, 터치 종류 850, 필법 종류 855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ID 805은 하나의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식별자로서, 하나의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는 모두 동일한 터치 ID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터치 입력은 터치를 처음 시작하는 터치 다운으로부터 터치가 지속되는 무브를 거쳐서 터치를 종료하기 위해 스타일러스를 들어올리는 터치 업까지의 하나의 궤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b을 참조하면, 터치 ID 805에는 예를 들어, 제1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ID 1001, 제2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ID 1002, 제3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ID 2001, 제4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 ID 2002가 포함되어 있다.
터치 이벤트 ID 810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로서, 일련 번호로 매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을 참조하면 각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4개의 터치 이벤트가 존재한다.
위치 815은 터치 이벤트가 터치 센서티브 패널에 닿은 지점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가상의 그래픽 지점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로 나타내 질 수 있으며, 픽셀 값 또는 정규화된 값 등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크기 82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면적을 시스템에 의해 정규화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터치 이벤트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최대 면적을 1로 했을 때, 터치 이벤트에 의해 발생된 면적을 0과 1 사이의 값을 정규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8에서 크기 820는 0과 1 사이의 정규화된 값으로 표시되어 있다.
발생 시간 825은,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전자 장치 100의 타이머 등에 의해 측정한 값으로서, 예를 들어, yyyy-MM-dd'T'HH:mm:ss*SSSSZZZZ 와 같은 타임스탬프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치 벡터 830은 원점 즉, 터치 입력의 첫번째 터치 이벤트와 해당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한 위치 벡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ID 1001인 터치 입력의 첫번째 터치 이벤트는 터치 이벤트 ID 1이 될 수 있다. 터치 ID 1001의 터치 이벤트 ID가 2인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는 터치 이벤트 ID 1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 ID 2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속도 벡터 835는 원점 즉, 터치 입력의 첫번째 터치 이벤트와 해당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한 속도 벡터를 나타낼 수 있다. 터치 ID 1001의 터치 이벤트 ID가 2인 터치 이벤트의 속도 벡터는 터치 이벤트 ID 1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 및 발생 시간 정보와 터치 이벤트 ID 2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 및 발생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다.
고도각 840은 수평선으로부터 측정한 하늘에서의 태양의 각 높이(angular height)를 나타낸다. 고도각 840은 0도에서 90도 사이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방위각 845은 구면좌표계에서 잰 각도이며, 원점에 있는 관측자로부터 대상까지의 벡터를 기준 평면에 수직으로 투영하여 그것이 기준 평면 위에 있는 기준 벡터와 이루는 각을 말한다. 방위각 845은 0도에서 360도 사이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터치 종류 850은 해당 터치 이벤트가 터치 입력의 어느 동작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운 (down)은 최초 발생된 터치 이벤트를 나타내고, 무브 (move)는 터치 이벤트 최초 발생후에 터치가 지속되는 터치 이벤트를 나타내고, 업 (up)은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 이벤트를 나타낸다.
필법 종류 855은 해당 터치 입력에 사용되는 필법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13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입력의 수신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터치 면적의 크기를 기반으로 복수의 필법 중 대응되는 하나의 필법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 이벤트들에 기반하여 터치 면적의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필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전자 장치 100는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터치 센서티브 패널에 닿은 터치 면적의 크기, 터치의 위치 및 터치가 발생한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전자 장치 100는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고도각 및 방위각을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서치할 수 있다.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의 위치, 크기, 발생 시간, 위치 벡터, 속도 벡터, 고도각 및 방위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현재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의 터치 이벤트와 대응되는, 또는 유사한 터치 이벤트 정보를 결정된 필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고, 찾아진 터치 이벤트 정보로부터 고도각과 방위각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이벤트의 위치, 시간, 크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치 벡터와 속도를 벡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 벡터와 속도 벡터를 이용하여 필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되는 후보 터치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이벤트의 위치, 시간, 크기 정보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후보 터치 이벤트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작 960에서, 전자 장치 100는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대해서 획득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 100는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대해서 획득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될 터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필법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수동형 스타일러스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입력에 따라 최초 터치 이벤트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까지 검출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판단을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동안의 터치 입력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의 크기, 위치, 발생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의 크기 변화율이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의 크기 변화율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내에서 처음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의 면적의 크기와 마지막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의 면적의 크기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의 크기 변화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필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050에서, 전자 장치 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의 크기 변화율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필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필법과 제2필법을 판단한 후에는 동작 A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편봉과 중봉의 경우에 터치 이벤트의 크기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봉은 붓의 끝이 획의 한가운데를 지나도록 하는 필법으로 중봉의 경우에는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면적의 변화가 크지 않다. 반면, 편봉은 붓의 끝이 획의 한쪽 끝을 지나도록 하는 필법으로 편봉의 경우에는 터치 입력의 초반에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면적의 변화가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편봉과 중봉을 구별할 수 있는 임계치를 설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 면적의 크기 변화율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편봉으로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 면적의 크기 변화율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중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봉의 경우 붓을 직각으로 세워 붓의 봉(Tip)이 그리는 획의 중간이 되도록 그리는 것이다. 중봉의 경우 획의 진행 방향과 붓결이 일치한다. 즉 터치 센서의 측면에서는 터치 입력의 궤적이 생성되는 방향으로 비교적 일정한 압력 또는 크기가 시간 내에 지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터치 입력을 중봉으로 지정하고 해당 궤적이 끝나기 전까지 중봉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고도각과 방위각을 얻을 수 있다. 중봉의 경우 궤적의 진행방향으로 방위각이 결정되고, 고도각은 붓을 직각으로 세우는 특성상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전자 장치 100는 최초의 터치 입력된 시간을 T0으로 하고 이후에 들어오는 n초 간의 입력에서 터치 이벤트들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다. n초 간에 들어오는 터치 이벤트들의 갯수는 상황마다 다르므로 T1 까지 측정 되는 터치 이벤트 값을 모두 저장하고 관찰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가 최초에 입력된 위치에서, 소정 시간 경과후에도 그대로 인 경우이거나 또는 터치 크기가 변하면서, 크기가 최초 입력된 크기 대비 평균적인 변화를 측정하여 특정 임계치 이내로 변화하는 경우 이를 중봉 궤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화한 입력의 힘 또는 크기의 범위가 0에서 100이라고 할 때, 최초의 입력이 50으로 들어온 경우 이후 1 초간 들어오는 힘 또는 크기의 변화가 25~75 이내일 때, 즉 크기 변화율이 +50 % 와 -50% 사이인 경우, 이를 중봉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T0에서 T1 사이에 터치의 크기 값이 충분히 변했지만, 편봉으로 결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중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필법에 대한 분류는 해당 궤적이 끝날 때까지 유효하다.
편봉의 경우에는 붓을 눕혀서 봉(붓의 끝, Tip)이 획의 한 쪽을 지나는 것이다. 즉 붓의 끝 (Tip)이 그려지는 획의 한쪽 끝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붓의 고도각이 낮아지고, 방위각이 붓의 끝을 가리키는 방향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편봉의 경우에 수동적 스타일러스를 통해 들어오는 입력이 특징적인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우선 첫 터치 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순간부터, 급격하게 힘 또는 크기가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의 힘 또는 크기가 100% 이상 커지는 경우를 편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화한 입력의 힘 또는 크기의 범위가 0에서 100이라고 할 때, 최초의 입력이 25 라고 할 때, 1초 내에 들어온 입력의 크기가 50 이상으로 커지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에 궤적을 편봉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해당 궤적을 편봉에 의한 궤적으로 결정한 후에는 편봉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고도각과 방위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서 필법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1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판단된 필법에 따라 대응되는 각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앞서 도 10에 도시된 동작에 따라서 터치 입력의 초기 정보로부터 필법을 판단하여 제1필법인 경우에는 제1필법 데이터베이스 210를 탐색하고 제2필법인 경우에는 제2필법 데이터베이스 220를 탐색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획득된 필법 DB로부터, 처리할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후보 터치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처리할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이용하여, 획득된 필법 DB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 100는 처리할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와 획득된 필법 DB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벡터 830 및 속도 벡터 835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 인 터치 이벤트를 후보 터치 이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가 임계값 미만인 터치 이벤트를 찾지 못한 경우, 전자 장치 100는 임계값을 조정하고, 조정된 임계값 미만인 터치 이벤트를 다시 검색할 수 있다.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식별된 후보 터치 이벤트로부터 고도각 및 방위각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24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획득된 고도각과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필법 DB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찾을 때 위치 벡터와 속도 벡터를 이용하였지만, 필법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의 위치, 시간, 크기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필법의 특징을 반영하여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현재 터치 이벤트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이전의 터치 이벤트를 함께 고려하여 유사한 궤적을 찾고 찾아진 유사한 궤적에서의 터치 이벤트에서의 방위각과 고도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100는 이를 위해 현재 터치 이벤트 정보와 하나 이상의 이전 터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이벤트 집합 단위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현재 터치 이벤트 정보와 3개의 이전 터치 이벤트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총 4개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하므로 전자 장치 100는 필법 데이터베이스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4개의 터치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이벤트 집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1300이 수신된 경우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입력 13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이벤트들 중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 이벤트들 예를 들어, TE#1, TE #2, TE#3, TE#4를 기초로 이 터치 입력의 필법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입력 1300의 필법이 결정된 경우 이 터치 입력 1300의 궤적이 끝날 때 까지는 이 터치 입력 1300에 대해서 결정된 필법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 터치 입력 1300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 TE#6에 대한 처리를 하는 경우, 전자 장치 100는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TE#6 뿐만 아니라 TE#6 이전의 하나 이상의 터치 이벤트들에 대한 궤적을 파악함으로써 TE#6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는 터치 이벤트 TE#6에 대한 처리를 위해, TE#6 뿐만 아니라 TE#6 이전의 3개의 터치 이벤트 즉, TE#3, TE#4, TE#5를 포함하는 터치 이벤트 집합을 단위로 하여 이러한 터치 이벤트 집합과 유사한 궤적을 보이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상대 위치의 변화가 임계치 이하인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센서티브 패널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는 다르더라도 동일한 위치 변화를 갖는 궤적 즉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찾기 위해 상대 위치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가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는 터치 센서티브 패널의 위치 A 에서 발생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보 터치 이벤트는 위치 B에서 발생한 것이라도 양자간의 위치 변화 패턴이 동일하다면 전자 장치 100는 위치 B에 관한 터치 이벤트를 후보 터치 이벤트로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위치가 x,y 좌표 상에서 (100,100) 이고 이후 얻어진 위치가 (101,101) 이라면, 각각 x축, y축으로 1만큼 증가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최초 위치 (200,200) 에서 (201,201)로 변화한 궤적과 동일한 위치 변화를 가진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이와 같은 상태 위치 변화를 토대로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위치 변화와 유사한 위치 변화를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지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 100는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위치 변화와 임계치 미만의 차이를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지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 결과 전자 장치 100가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위치 변화와 유사한 위치 변화를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 경우에 전자 장치 100는 동작 1240으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동작 1230으로 진행하여 임계치를 조정하고 다시 탐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상대 크기 변화가 임계치 이하인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대 위치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크기의 경우에도 상대 크기의 개념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절대적인 크기는 다르더라도 궤적을 이루는 터치 이벤트들의 크기 변화가 유사하다면 이를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으로 선택하기 위함이다. 전자 장치 100는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크기 변화와 임계치 미만의 차이를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지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 결과 전자 장치 100가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크기 변화와 유사한 크기 변화를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있는 경우에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들중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 정보로부터 고도각과 방위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탐색 결과 전자 장치 100가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크기 변화와 유사한 크기 변화를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이 없는 경우에는 임계치를 조정하고 다시 탐색을 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필법 데이터베이스에서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찾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에는 4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4개의 터치 ID, 1001, 1002, 2001, 2002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4의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에는 필법 종류 890라는 필드를 두어 편봉과 중봉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처음부터 편봉 데이터베이스와 중봉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에서 전자 장치 100는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및 하나 이상의 이전 터치 이벤트로 구성된 터치 이벤트 집합과 유사한 궤적을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유사한 궤적을 가진다는 것은, 유사한 위치 변화 및/또는 유사한 크기 변화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위치 변화가 "C"자형 궤적을 나타낸다면 전자 장치 100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에서 "C" 자형 궤적에 가까운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의 크기 변화가 점점 커지는 추세의 패턴을 나타낸다면 전자 장치 100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에서 크기가 점점 커지는 추세의 패턴을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가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및 3개의 이전 터치 이벤트를 포함하여 총 4개의 터치 이벤트로 이루어진 터치 이벤트 집합과 유사한 궤적을 가지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 100는 필법 데이터베이스 800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4개의 터치 이벤트로 이루어진 터치 이벤트 집합 단위로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탐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4개의 터치 이벤트로 이루어진 터치 이벤트 집합 단위들 중에서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 집합에서의 위치 변화 및/또는 크기 변화와 가장 유사한 궤적을 가지는 터치 이벤트 집합 단위를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필법 데이베이스 800에서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을 터치 ID 1002에 대응하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으로 결정한 경우 전자 장치 100는 후보 터치 이벤트 집합에서 마지막 터치 이벤트 정보의 고도각 정보와 방위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추출된 고도각 및 방위각 정보를 현재 처리하려는 터치 이벤트의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티브 패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고,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을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이벤트들 중에서 제1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 및 제2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된 면적의 크기 변화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필법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상기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2필법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필법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필법에 대응하는 각 데이터베이스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필법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 및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1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2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서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 터치 이벤트의 면적의 크기, 터치 이벤트의 발생 시간, 위치 벡터, 속도 벡터, 고도각, 방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와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터치 이벤트를 후보 터치 이벤트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변환 또는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10.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을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이벤트들 중에서 제1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 및 제2시점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크기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필법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가 상기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2필법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필법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필법에 대응하는 각 데이터베이스는,
    능동형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필법에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 및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1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법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는, 상기 제2필법에 따라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행함으로서 얻어진 복수의 궤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궤적 정보는 각 궤적을 나타내는 터치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이벤트의 발생 위치, 터치 이벤트의 면적의 크기, 터치 이벤트의 발생 시간, 위치 벡터, 속도 벡터, 고도각, 방위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와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터치 이벤트들의 위치 벡터 및 속도 벡터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터치 이벤트를 후보 터치 이벤트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필법으로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에 포함된 각 터치 이벤트의 위치 변화 또는 크기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터치 이벤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터치 이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고도각 또는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구현을 위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 센서티브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
    복수의 필법 중에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는 필법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필법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181178A 2020-12-22 2020-12-22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90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78A KR20220090209A (ko) 2020-12-22 2020-12-22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1911523.5A EP4246293A4 (en) 2020-12-22 2021-12-22 ELECTRONIC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PCT/KR2021/019606 WO2022139456A1 (ko) 2020-12-22 2021-12-22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8/338,848 US20230350565A1 (en) 2020-12-22 2023-06-21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178A KR20220090209A (ko) 2020-12-22 2020-12-22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209A true KR20220090209A (ko) 2022-06-29

Family

ID=8215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178A KR20220090209A (ko) 2020-12-22 2020-12-22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50565A1 (ko)
EP (1) EP4246293A4 (ko)
KR (1) KR20220090209A (ko)
WO (1) WO20221394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208A (ko) * 2005-03-03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시스템의 필기체 표시방법
KR101080255B1 (ko) * 2009-07-21 2011-11-08 (주)펜앤프리 필기 패턴에 따른 필기 정보 입력 장치 및 필기 정보 입력 방법
JP2012048623A (ja) * 2010-08-30 2012-03-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06628B1 (ko) * 2011-08-31 2012-01-20 김태진 패턴을 활용한 궤적 검색 방법
KR101898202B1 (ko) * 2012-02-09 2018-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위한 필기 입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CN105765503B (zh) * 2013-11-19 2018-10-19 株式会社和冠 用于墨水数据生成、墨水数据呈现、墨水数据操纵以及墨水数据通信的方法和系统
KR20180003367U (ko) * 2017-05-23 2018-12-03 황수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필기체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456A1 (ko) 2022-06-30
US20230350565A1 (en) 2023-11-02
EP4246293A4 (en) 2024-05-15
EP4246293A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1612B2 (en) Gesture recognition techniques
US20140300542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n-contact interface
JP6153727B2 (ja) 映像表示装置で応用プログラムのレイアウトをスケーリ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158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on remote screen
CN105900056A (zh) 辅助显示器的悬停敏感控制
US20140022159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s
Caputo et al. 3D hand gesture recognition based on sensor fusion of commodity hardware
WO2014067110A1 (zh) 绘图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501690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501810B2 (en) Creating a virtual environment for touchless interaction
CN109992111B (zh) 增强现实扩展方法和电子设备
US20170047065A1 (en) Voice-controllable image display device and voice control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US11231901B2 (en) Display device performing screen mirror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520409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328158A (zh) 交互方法、显示装置、发射装置、交互系统及存储介质
US10564719B1 (en)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user input devices using a digital glove
CN111160308A (zh) 手势动作识别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444054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13569635A (zh) 一种手势识别方法及系统
CN109542218B (zh) 一种移动终端、人机交互系统及方法
KR20220090209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2054B1 (ko) 라이브 경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방법
CN111258413A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和装置
US8913008B2 (en)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8008875B (zh) 一种控制光标移动的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