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05U - 주방용 집게 - Google Patents
주방용 집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7605U KR20110007605U KR2020100000830U KR20100000830U KR20110007605U KR 20110007605 U KR20110007605 U KR 20110007605U KR 2020100000830 U KR2020100000830 U KR 2020100000830U KR 20100000830 U KR20100000830 U KR 20100000830U KR 20110007605 U KR20110007605 U KR 2011000760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handle
- bite
- protector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톱니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원반(圓盤) 형상의 제 1 물림부; 상기 제 1 물림부의 일측 끝에서 연장되는 제 1 암(Arm);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톱니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물림부와 대향(對向)하는 원반 형상의 제 2 물림부; 상기 제 2 물림부의 일측 끝에서 연장되는 제 2 암;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암의 제 1 물림부 반대측 끝단과 상기 제 2 암의 제 2 물림부 반대측 끝단이 이어지되, 상기 제 1 물림부 및 제 2 물림부, 상기 제 1 암과 제 2 암이 소정의 내각을 이루며 각각 대향하도록 절곡되는 몸통; 상기 제 1 암의 소정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손잡이부; 상기 제 1 손잡이부의 제 1 물림부측 끝단에서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상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1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하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1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상부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는 제 1 물림부 반대쪽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제 1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암의 소정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손잡이부; 상기 제 2 손잡이부의 제 2 물림부측 끝단에서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 상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2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2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 하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2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2 상부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 상기 제 2 하부 연장부는 제 2 물림부 반대쪽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제 2 보호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는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 및 제 2 하부 연장부의 내측면에 접하되,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및 제 2 손잡이 보호부를 동시에 쥐고 양측에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 1 물림부 및 제 2 물림부가 서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는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상측을,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는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하측을 각각 통과하며,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는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암의 상측을, 상기 제 2 하부 연장부는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암의 하측을 각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에 식재료를 집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집게는 조리시 식재료 등을 집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인들의 인식과는 달리 집게의 사용시 다양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장시간 집게 등의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팔목을 아래로 꺾은 채로 상당시간을 유지하게 되어 손목의 횡수근 인대에 무리가 가거나, 집게로 집은 뜨거운 식재료가 자칫 떨어져 화상을 입는 일이 발생하곤 한다.
특히, 식재료가 둥글거나 다양한 형상을 가진 경우 이를 떨어뜨리는 빈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뿐만 아니라, 튀김요리 등의 경우 튀김 팬에서 20 내지 30 센티미터 정도의 근거리에는 항상 기름이 튀기 마련인데, 식재료를 팬으로 옮기는 과정에 기름이 튀어 손에 가벼운 화상을 입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특히, 이러한 사고는 직접 요리를 하는 사용자가 아니라, 사용자의 곁에 있던 유아가 당할 위험이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주방용 집게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지 못한 채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체공학적 구조를 가짐으로써 손목관절을 보호하는 주방용 집게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 식재료를 놓치지 않고 잘 붙들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집게의 제공에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집게를 폈을 때나 오므렸을 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의 손을 고온의 기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주방용 집게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방용 집게는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톱니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원반(圓盤) 형상의 제 1 물림부; 상기 제 1 물림부의 일측 끝에서 연장되는 제 1 암(Arm);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톱니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물림부와 대향(對向)하는 원반 형상의 제 2 물림부; 상기 제 2 물림부의 일측 끝에서 연장되는 제 2 암;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암의 제 1 물림부 반대측 끝단과 상기 제 2 암의 제 2 물림부 반대측 끝단이 이어지되, 상기 제 1 물림부 및 제 2 물림부, 상기 제 1 암과 제 2 암이 소정의 내각을 이루며 각각 대향하도록 절곡되는 몸통;
상기 제 1 암의 소정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손잡이부; 상기 제 1 손잡이부의 제 1 물림부측 끝단에서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상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1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하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1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상부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는 제 1 물림부 반대쪽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제 1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암의 소정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손잡이부; 상기 제 2 손잡이부의 제 2 물림부측 끝단에서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 상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2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2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 하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2 암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2 상부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 상기 제 2 하부 연장부는 제 2 물림부 반대쪽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제 2 보호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는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 및 제 2 하부 연장부의 내측면에 접하되,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 및 제 2 손잡이 보호부를 동시에 쥐고 양측에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 1 물림부 및 제 2 물림부가 서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는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상측을,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는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의 하측을 각각 통과하며,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는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암의 상측을, 상기 제 2 하부 연장부는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암의 하측을 각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인체공학적 구조를 가짐으로써 장시간 사용시에도 사용자의 손목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식재료를 놓치는 일 없이 잘 붙들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식재료를 떨어뜨릴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요리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게를 오므렸을 때에나 폈을 때를 가리지 않고서 뜨거운 열기나 고온의 기름이 사용자의 손에 튀어 가벼운 화상을 입는 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집게가 펴졌다 오므려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방용 집게의 동작을 일부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집게가 펴졌다 오므려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방용 집게의 동작을 일부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의 조립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는 몸통(100), 제 1 보호커버(200) 및 제 2 보호커버(300)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몸통(100)은 바람직하게는 내열성과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제조되며, 일체로 주조(鑄造)된 후 중앙부에서 절곡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하나씩 제 1 암(120), 제 2 암(140)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암(120) 및 제 2 암(140)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통공(通空)이 형성된다. 이는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때, 제 1 암(120)과 제 2 암(140)의 끝에는 각각 원반 형상의 제 1 물림부(110), 제 2 물림부(130)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제 1 물림부(110)와 제 2 물림부(130)에는 그 중앙에 각각 원형 돌출부(112, 132)가 외측으로 곡면을 이루며 돌출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 1 물림부(110)와 제 2 물림부(130)는 내부가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을 하게 되므로 원형의 물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원형 돌출부(112, 132)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는 집게의 사용시 물기의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물림부(110)와 제 2 물림부(130)는 각각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으로 톱니형상의 요철(111, 131)이 형성된다. 이때, 톱니형상의 요철(111, 131)은 제 1 물림부(110)와 제 2 물림부(130)와 수직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집게의 사용시 물체와 요철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가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단단히 붙잡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 1 암(120) 및 제 2 암(140)은 각각 제 1 물림부(110)와 제 2 물림부(130)의 일측 끝단에서 직선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다가 약 15도 내지 25도 각도만큼 하방으로 꺾여서 소정 길이 더 연장된다.
한편, 제 1 보호커버(200) 및 제 2 보호커버(300)는 제 1 암(120) 및 제 2 암(140)의 하방으로 꺾여 소정 길이 더 연장된 부분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이 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는 경우 손목을 아래로 심하게 꺾지 않고서도 팔과 제 1 암(120), 제 2 암(140)이 평행이 되어 손목관절 특히 횡수근 인대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이러한 제 1 보호커버(200) 및 제 2 보호커버(300)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주조되어 제조된다.
한편, 제 1 보호커버(200)는 제 1 암(120)의 상기 하방으로 꺾여서 더 연장된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제 1 손잡이부(210)를 갖는다. 제 1 손잡이부(21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대략 10센티미터 남짓의 길이를 가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제 1 암(120)을 감싸도록 끝 부분이 둥글게 굽어져 있다.
한편, 이러한 제 1 손잡이부(210)의 제 1 물림부(110)측 끝단에는 제 1 손잡이 보호부(220)가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제 1 손잡이부(210)의 끝단에서 상하측, 좌측으로 동시에 연장되는 제 1 손잡이 보호부(2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1 손잡이 보호부(220)의 상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다시 우측으로 재차 연장되어 제 1 상부 연장부(230)와 제 1 하부 연장부(240)를 이룬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 보호부(220)와 제 1 상부 연장부(230), 제 1 하부 연장부(240)는 "⊂" 형상을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제 1 상부 연장부(230)와 제 1 하부 연장부(240)의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며 이 공간 사이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암(140), 제 2 손잡이부(310)가 움직이는 것이다.
한편, 제 2 보호커버(300)는 제 2 암(140)의 상기 하방으로 꺾여서 더 연장된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며 끼워지는 제 2 손잡이부(310)를 가지며, 제 1 보호커버(200)와는 대칭이 되는 형상의 제 2 손잡이 보호부(320) 및 제 2 상부 연장부(330), 제 2 하부 연장부(340)를 갖는다.
이때,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제 1 상부 연장부(230) 및 제 1 하부 연장부(240)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손잡이부(210) 방향으로 만곡(彎曲)되어 곡면을 이룬다. 제 2 손잡이 보호부(320), 제 2 상부 연장부(330) 및 제 2 하부 연장부(340) 또한 일체로 형성되되 제 2 손잡이부(310) 방향으로 만곡되어 곡면을 이룬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 집게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집게가 펴졌다 오므려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인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부(210) 및 제 2 손잡이부(310)를 감싸듯 곡면을 이루고 있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 1 손잡이부(210) 및 제 2 손잡이부(310)를 쥐었을 때 기름 등이 손에 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 연장부(230), 제 2 상부 연장부(330)가 제 1 하부 연장부(240), 제 2 하부 연장부(340)에 비하여 다소 더 길게 연장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제 1 손잡이부(210) 및 제 2 손잡이부(310)를 쥐었을 때 아래쪽으로는 검지부터 소지(小指)까지의 손가락 끝부분이 위치하며 위쪽으로는 손등과 손목이 노출되기 때문에 손의 충분한 보호를 위하여 제 1 상부 연장부(230), 제 2 상부 연장부(330)가 제 1 하부 연장부(240), 제 2 하부 연장부(340)에 비하여 30% 내지 60% 가량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중요한 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 연장부(230), 제 1 하부 연장부(240)가 제 2 손잡이 보호부(320)의 내측면과 접하며, 제 2 상부 연장부(330), 제 2 하부 연장부(340)가 제 1 손잡이 보호부(220)의 외측면에 접한다는 점이다. 물론, 이때 내측면과 외측면이란 만곡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손잡이부(210), 제 2 손잡이부(310) 방향을 내측면, 그 반대측면을 외측면이라 칭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 보호부(220)와 제 1 상부 연장부(230), 제 1 하부 연장부(240)가 "⊂"형상을, 제 2 손잡이 보호부(320)와 제 2 상부 연장부(330), 제 2 하부 연장부(340)가 "⊃"형상을 이루며, 제 1 상부 연장부(230)와 제 1 하부 연장부(240), 제 2 상부 연장부(330)와 제 2 하부 연장부(340)가 서로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부(210)와 제 2 손잡이부(310)를 가압하여 집게를 오므렸다 폈다하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방용 집게의 동작을 일부 확대한 도면인데, 이에 의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를 오므렸을 때에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를 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이 충분히 가려질 수 있어 안전성이 그대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100 : 몸통
110 : 제 1 물림부
111 : 톱니형상 요철 112 : 원형 돌출부
120 : 제 1 암
130 : 제 2 물림부
131 : 톱니형상 요철 132 : 원형 돌출부
140 : 제 2 암
200 : 제 1 보호커버
210 : 제 1 손잡이부 220 : 제 1 손잡이 보호부
230 : 제 1 상부 연장부 240 : 제 1 하부 연장부
300 : 제 2 보호커버
310 : 제 2 손잡이부 320 : 제 2 손잡이 보호부
330 : 제 2 상부 연장부 340 : 제 2 하부 연장부
110 : 제 1 물림부
111 : 톱니형상 요철 112 : 원형 돌출부
120 : 제 1 암
130 : 제 2 물림부
131 : 톱니형상 요철 132 : 원형 돌출부
140 : 제 2 암
200 : 제 1 보호커버
210 : 제 1 손잡이부 220 : 제 1 손잡이 보호부
230 : 제 1 상부 연장부 240 : 제 1 하부 연장부
300 : 제 2 보호커버
310 : 제 2 손잡이부 320 : 제 2 손잡이 보호부
330 : 제 2 상부 연장부 340 : 제 2 하부 연장부
Claims (6)
-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톱니형상의 요철(111, 131)이 형성된 원반(圓盤) 형상의 제 1 물림부(110); 상기 제 1 물림부(110)의 일측 끝에서 연장되는 제 1 암(120)(Arm); 외주연(外周緣)을 따라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톱니형상의 요철(111, 131)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물림부(110)와 대향(對向)하는 원반 형상의 제 2 물림부(130); 상기 제 2 물림부(130)의 일측 끝에서 연장되는 제 2 암(140);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암(120)의 제 1 물림부(110) 반대측 끝단과 상기 제 2 암(140)의 제 2 물림부(130) 반대측 끝단이 이어지되, 상기 제 1 물림부(110) 및 제 2 물림부(130), 상기 제 1 암(120)과 제 2 암(140)이 소정의 내각을 이루며 각각 대향하도록 절곡되는 몸통(100);
상기 제 1 암(120)의 소정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손잡이부(210); 상기 제 1 손잡이부(210)의 제 1 물림부(110)측 끝단에서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상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1 암(120)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상부 연장부(230); 및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하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1 암(120)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상부 연장부(230);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230),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240)는 제 1 물림부(110) 반대쪽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제 1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암(140)의 소정 위치에서 바깥쪽을 감싸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손잡이부(310); 상기 제 2 손잡이부(310)의 제 2 물림부(130)측 끝단에서 외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손잡이 보호부(320);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320) 상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2 암(140)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2 상부 연장부(330); 및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320) 하부 내측 끝단에서 상기 제 2 암(140)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 2 상부 연장부(330);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320),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330), 상기 제 2 하부 연장부(340)는 제 2 물림부(130) 반대쪽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제 2 보호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230) 및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240)는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330) 및 제 2 하부 연장부(340)의 내측면에 접하되,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및 제 2 손잡이 보호부(320)를 동시에 쥐고 양측에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 1 물림부(110) 및 제 2 물림부(130)가 서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 1 상부 연장부(230)는 제 2 손잡이 보호부(32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320)의 상측을,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240)는 제 2 손잡이 보호부(32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 2 손잡이 보호부(320)의 하측을 각각 통과하며,
상기 제 2 상부 연장부(330)는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암(120)의 상측을, 상기 제 2 하부 연장부(340)는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 1 암(120)의 하측을 각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집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림부(110) 및 제 2 물림부(130)의 중앙에는 외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며 돌출된 원형 돌출부(112, 132)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원형 돌출부(112, 132)의 중앙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집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120) 및 제 2 암(140)은 상기 제 1 물림부(110) 및 제 2 물림부(130) 일측 끝단에서 직선을 이루며 연장되다 하방으로 소정 각도 꺾여서 더 연장되며, 상기 제 1 손잡이부(210) 및 제 2 손잡이부(310)는 각각 상기 제 1 암(120) 및 제 2 암(140)의 소정 각도로 꺾여서 더 연장된 부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집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 보호부(220) 및 제 2 손잡이 보호부(320)가 상기 제 1 손잡이부(210) 및 제 2 손잡이부(3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에 비하여 30% 내지 60%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집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00)은 금속재질로 일체로 주조(鑄造)된 후 중앙부에서 절곡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제 1 보호커버(200) 및 제 2 보호커버(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집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120) 및 제 2 암(140)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집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00830U KR200460722Y1 (ko) | 2010-01-25 | 2010-01-25 | 주방용 집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00830U KR200460722Y1 (ko) | 2010-01-25 | 2010-01-25 | 주방용 집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605U true KR20110007605U (ko) | 2011-08-02 |
KR200460722Y1 KR200460722Y1 (ko) | 2012-06-04 |
Family
ID=4559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00830U KR200460722Y1 (ko) | 2010-01-25 | 2010-01-25 | 주방용 집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072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725B1 (ko) * | 2013-11-29 | 2014-10-16 | 서우석 | 주방용 집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6347B1 (ko) * | 2013-01-09 | 2014-08-07 | 김지연 | 주방용 집게 |
KR101672694B1 (ko) | 2015-11-05 | 2016-11-04 | 이창희 | 주방용 집게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67058U (ko) | 1977-10-19 | 1979-05-12 | ||
KR200315247Y1 (ko) | 2003-03-10 | 2003-06-02 | 김선민 | 주방용 안전 집게 |
-
2010
- 2010-01-25 KR KR20100000830U patent/KR2004607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725B1 (ko) * | 2013-11-29 | 2014-10-16 | 서우석 | 주방용 집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0722Y1 (ko) | 2012-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1190B1 (ko) |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 |
KR200460722Y1 (ko) | 주방용 집게 | |
US9149157B2 (en) |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 |
JP2007100282A (ja) | 調理手袋 | |
JP4848055B2 (ja) | 調理用把持具 | |
KR200411456Y1 (ko) | 튀김조리용 기구 | |
GB2424388A (en) | Pan-handle covers | |
US7896191B1 (en) | Removable insulated hand grip device for lid handle | |
US2747912A (en) | Kitchen tongs | |
JP3123150U (ja) | 調理容器 | |
JP2018057777A (ja) | 把手用調理小物置き | |
KR102484110B1 (ko) | 프라이팬 | |
JP6547156B1 (ja) | 調理用鍋 | |
US9930995B2 (en) | Cooking utensil handling device | |
JP2015062466A (ja) | 包丁仮置きスタンド | |
CN202665285U (zh) | 厨具配套安全罩 | |
JP5911076B1 (ja) | 柄の立つお玉 | |
JP5823839B2 (ja) | てんぷら等油飛散から手腕を守るカバー付き揚げ物挟み | |
JP3078716U (ja) | 食器取出し用具 | |
CN216256815U (zh) | 一种烹饪容器 | |
JP3229086U (ja) | 鍋蓋係止具を備えた鍋蓋 | |
JP6625506B2 (ja) | 鍋取っ手カバー | |
CN201239046Y (zh) | 一种防烫手锅铲 | |
KR200399289Y1 (ko) | 조리용기 손잡이 | |
WO2013149085A2 (en) | Pot lid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