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269U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269U
KR20110007269U KR2020100005631U KR20100005631U KR20110007269U KR 20110007269 U KR20110007269 U KR 20110007269U KR 2020100005631 U KR2020100005631 U KR 2020100005631U KR 20100005631 U KR20100005631 U KR 20100005631U KR 20110007269 U KR20110007269 U KR 201100072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layer member
shaft portion
friction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히사 우지따
다께아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to KR2020100005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269U/ko
Publication of KR20110007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Abstract

본 고안의 과제는 팽이 완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또한 간단한 구조이고 저비용이면서 회전의 도중에 동작 형태를 바꿀 수 있는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희면(b)이 요면경 형상으로 만곡된 유희반(B) 상에서 회전시키는 팽이 완구(A)에 있어서, 유희면(b)에 접촉하는 축부(15)의 주위면에는 상기 축부(15)보다도 유희면과의 접촉에 있어서 상기 축부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마찰부(16)가 설치되고, 축부(15)의 선단(15a)은 마찰부(16)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팽이 완구 {TOY TOP}
본 고안은 팽이 완구, 상세하게는 유희반 상에서의 동작 특성이 회전의 전반과 후반에서 변화되는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성 부재를 재조립함으로써, 동작 형태를 바꿀 수 있는 팽이 완구가 본 출원인으로부터 제안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49383호 공보). 이 팽이 완구는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상층 부재와, 팽이 완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층 부재와, 유희반 상에서의 팽이 완구의 이동 형태를 결정하는 하층 부재를 층 형상으로 포개어 구성된 것으로, 하층 부재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축체의 형상이 다른 것이 준비되어, 형상이 다른 축체의 하층 부재를 교체하면 유희반 상에서의 동작 형태를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 속도에 의해 동작 형태가 변화되는 팽이 완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92120호 공보). 이 팽이 완구는 그 내부에 축체를 축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한 쌍의 미끄럼 이동 부재를, 축체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하고, 이 미끄럼 이동 부재가 원심력으로 외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축체를 하방 이동시켰을 때에는 축체의 하단부가 축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으로, 유희반의 유희면에 접촉하여 회전의 지지축으로 되는 부위를 회전 속도에 의해 축부 또는 축체로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이들 축부와 축체의 외경의 크기로 유희반 상에서의 동작 형태가 바뀌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팽이 완구 중, 전자의 팽이 완구에서는 하층 부재의 교체에 의해 유희반 상에서의 동작 형태를 바꿀 수 있지만, 동작 형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하층 부재를 바꿔야만 해, 동작 형태를 회전의 도중에 바꿀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팽이 완구에서는 회전의 도중에 동작 형태가 자동적으로 바뀌지만 부품의 점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구조가 복잡해져 생산 비용, 생산 공정의 면에서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팽이 완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를 교환하지 않고, 또한 간단한 구조이고 저비용이면서 회전의 도중에 동작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새로운 발상의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관한 팽이 완구는 유희면이 요면경 형상으로 만곡된 유희반 상에서 회전시키는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유희면에 접촉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의 주위면에는 상기 유희면과의 접촉에 있어서 상기 축부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마찰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선단은 상기 마찰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부는 마찰 계수가 작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하고, 마찰부는 마찰 계수가 큰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찰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부에 끼움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마찰부는 중앙에 축부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의 끼워 맞춤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을 축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축부에 고착하는 것이 좋다.
팽이 완구는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공격부를 구비한 상층 부재와, 팽이 완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층 부재와, 상기 중층 부재에 끼움 부착된 하층 부재와, 상기 상층 부재와 중층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하여, 하층 부재는 역원뿔대 형상이고, 축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팽이 완구는 고속 회전 시에 마찰부가 유희면에 접촉하면 유희면을 확실하게 그립하여 유희면 상을 고속으로 공전하고, 저속 회전으로 되면 요면경 형상의 유희면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마찰 계수가 작은 축부가 유희면에 접촉하여 이동하지 않고 회전을 지속시키므로, 사용자가 전혀 손질을 가하지 않고 회전 속도의 변화에 의해 팽이 완구의 동작 형태가 변화되어, 간단한 구조이면서 회전 속도에 의해 동적인 공격 모드로부터 정적인 지구 모드로 모드가 자동적으로 변화되어, 팽이 완구끼리의 대전에 새로운 전개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찰부를 마찰 계수가 큰 고무로 형성하고, 축부를 마찰 계수가 작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유희면과의 접촉에 있어서 작용하는 마찰력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공격 모드와 지구 모드의 모드의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찰부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부에 끼움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점수를 억제하여 제조 공정에서의 작업의 간략화와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팽이 완구의 일례를, 상기 팽이 완구를 그 위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유희반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팽이 완구를 구성하는 상층 부재의 저면도.
도 4a 및 도 4b는 팽이 완구를 구성하는 중층 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팽이 완구를 구성하는 하층 부재의 평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하층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측 분해 사시도, 저면측 사시도 및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팽이 완구의 조립의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유희반 상에 있어서의 팽이 완구의 축부와 유희면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a 및 도 9b는 유희반 상에 있어서의 팽이 완구의 동작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팽이 완구의 일례를 나타내고, 이 팽이 완구(A)는 도시하지 않은 스타터로 회전을 부여하여 유희면(b)이 요면경 형상으로 만곡된 유희반(B) 상에서 회전시켜, 다른 팽이 완구와 대전시켜 노는 것이다. 팽이 완구(A)는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기능을 구비한 상층 부재(1)와, 팽이 완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층 부재(2)와, 유희반(B) 상에서의 팽이 완구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는 하층 부재(3)와, 상기 상층 부재(1)와 중층 부재(2)를 연결하는 나사 형상의 연결 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층 부재(1)는 중앙에 연결 부재(4)를 삽입하는 개구부(5)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 접촉하여 공격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공격부(6)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에는 개구부(5)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한 쌍의 끼워 맞춤 돌기부(7)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끼워 맞춤 돌기부(7)를 후술하는 중층 부재(2)의 끼워 맞춤 오목부(11)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층 부재(1)와 중층 부재(2)의 조립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양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의 간극이 없어지도록 하고 있다.
중층 부재(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벽면에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4)의 나사(4a)를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산(8)이 형성된 나사 구멍(9)을 갖고 있다. 그리고, 중층 부재(2)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팽출된 팽출부(10)가 형성되고, 이 팽출부(10)에는 대칭으로 한 쌍의 끼워 맞춤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4a 참조).
이 팽출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통부(12)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하층 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16)에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 돌기부(14)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4b 참조).
하층 부재(3)는 유희반(B)의 유희면(b)과의 접촉 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은, 즉 유희면(b)과의 접촉 시의 마찰 계수가 작은 소재인 경질의 플라스틱 등의 수지나 금속으로 역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부(15)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15)의 주위면에는 마찰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부(16)는 유희면(b)과의 접촉 시의 마찰 계수가 큰 고무를 소재로 하여 중앙에 끼워 맞춤 구멍(17)을 형성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도 6a 참조), 끼워 맞춤 구멍(17)의 내경은 상기 축부(15)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워 맞춤 구멍(17)을 축부(15)에 끼워 맞춤으로써(억지 끼워 맞춤) 마찰부(16)를 축부(15)에 고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6b 참조). 또한, 상기 마찰부(16)의 두께는 상기 축부(15)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고, 마찰부(16)를 축부(15)에 고정했을 때에 축부(15)의 선단(15a)이 마찰부(16)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도 6c 참조).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부재(3)는 축부(15)의 상측 외측에 축부(15)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한 쌍의 원호 형상의 개구부(20)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0)의 내벽의 일부는 중심을 향해 팽출되어 결합 받침부(21)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층 부재(3)를 구성함으로써, 중층 부재(2)의 결합 돌기부(14)를 하층 부재(3)의 개구부(20)의 결합 받침부(21)가 없는 부분에 정합시켜 하층 부재(3)를 중층 부재(2)에 하부로부터 끼워 넣은 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 받침부(21)의 하측에 중층 부재(2)의 결합 돌기부(14)가 결합하여 중층 부재(2)에 하층 부재(3)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팽이 완구(A)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층 부재(1)의 끼워 맞춤 돌기부(7)를 중층 부재의 끼워 맞춤 오목부(11)에 끼워 맞춘다(도 7a 참조).
다음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의 나사(4a)를 상방으로부터 개구부(5)를 삽입 관통시켜, 중층 부재(2)의 나사 구멍(9)에 비틀어 넣어, 상층 부재(1)를 중층 부재(2)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4)로 상층 부재(1)가 중층 부재(2)에 압접되어 덜걱거림 없이 고정된다(도 7c 참조).
그리고,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층 부재(2)의 통부(12)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14)를 하층 부재(3)의 개구부(20)에 대응시켜 삽입하고, 하층 부재(3)를 중층 부재(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 돌기부(14)를 결합 받침부(21)의 하측에 결합시킴으로써, 상층 부재(1), 중층 부재(2), 하층 부재(3)로 이루어지는 팽이 완구(A)를 조립할 수 있다(도 7d 참조).
조립한 팽이 완구(A)를, 도시하지 않은 스타터로 고속 회전을 부여하여 유희반(B)의 유희면(b)의 경사면 상에 발사하면(도 8a 참조),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팽이 완구(A)는 자이로 효과에 의해 축부(15)를 중심으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므로, 축부(15)와 함께 마찰부(16)의 선단부의 코너가 유희면(b)에 접촉하게 되어, 유희면(b)과의 접촉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큰 마찰부(16)가 고무 타이어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여, 팽이 완구(A)는 마찰부(16)에서 유희면(b)을 슬립하지 않고 확실하게 그립하여 유희면(b) 상을 원호를 그리면서 고속으로 이동(공전)한다. 이때 팽이 완구(A)는 회전 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큰 원호를 그리고 이동하게 되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A)는 한군데에 머무르지 않고 유희면(b) 상을 크게 이동하게 되어, 동작 형태는 상대의 팽이 완구로 스스로 이동하여 접촉하는 공격 모드로 되어 있다.
팽이 완구(A)의 회전 속도가 저하되어 오면 공전의 반경이 작아져,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A)는 유희면(b)의 중앙으로 이동해 가지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희면(b)의 중앙 혹은 중앙 부근에서는, 마찰부(16)는 유희면(b)에 접촉하지 않아, 유희면(b)과의 접촉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작은 축부(15)의 선단(15a)이 유희면(b)에 접촉한 상태로 되므로, 팽이 완구(A)는 유희면(b) 상의 일 점에 머무른 채 이동하지 않고 회전이 지속되는 지구 모드로 되어, 상대의 팽이 완구가 접촉해 오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A)를 유희반(B)의 유희면(b)의 경사면 상에 고속 회전을 부여하여 발사하면, 마찰부(16)가 유희면(b)에 접촉한 상태로 되므로, 마찰부(16)가 유희면(b) 상을 공전하지 않고 확실하게 그립하여, 팽이 완구(A)는 고속으로 공전하여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공격 모드를 실행하고, 회전 속도가 저하되면 공전의 직경이 작아져 가, 결국 유희면(b)의 중앙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유희면(b)과의 접촉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작은 축부(15)의 선단(15a)이 유희면(b)에 접촉하므로, 회전이 지속되는 지구 모드로 동작 형태가 변화된다.
본 고안의 팽이 완구(A)에 따르면, 축부(15)에 마찰부(16)를 설치하는 심플한 구조이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전반은 적극적으로 대전 상대에 접촉하는 공격 모드를 실행하고, 회전 속도가 저하되는 후반에서는 소극적이지만 대전 상대의 공격을 기다리는 지구 모드를 실행할 수 있어, 부품을 재조립하거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동작 형태를 바꾸는 복잡한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동작 형태를 바꿀 수 있어, 유희자에게 있어서도 생산자에게 있어서도 의미가 있는 팽이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팽이 완구(A)를 유희반(B)의 유희면(b)에 발사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A)를 유희면(b)의 경사면 상에 발사하여 동작 모드를 공격 모드로 스타트시킨 후 지구 모드로 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팽이 완구(A)를 유희면(b)의 중앙에 발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처음부터 지구 모드로 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공격 모드로 스타트시키고, 그 후 지구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화시키거나, 혹은 처음부터 지구 모드로 스타트시키는 것을, 팽이 완구(A)를 유희반(b)의 어느 위치에 발사할지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략적으로 우위의 동작 모드의 선택을 실현할 수 있다.
1 : 상층 부재
2 : 중층 부재
3 : 하층 부재
4 : 연결 부재
15 : 축부
15a : 선단
16 : 마찰부
A : 팽이 완구
B : 유희반
b : 유희면

Claims (5)

  1. 유희면이 요면경 형상으로 만곡된 유희반 상에서 회전시키는 팽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유희면에 접촉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의 주위면에는 상기 유희면과의 접촉에 있어서 상기 축부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마찰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선단은 상기 마찰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팽이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부에 끼움 장착되어 있는, 팽이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중앙에 상기 축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의 끼워 맞춤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 맞춤 구멍을 상기 축부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축부에 고착되어 있는, 팽이 완구.
  5. 제3항에 있어서,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공격부를 구비한 상층 부재와, 팽이 완구의 높이를 결정하는 중층 부재와, 상기 중층 부재에 끼움 부착된 하층 부재와, 상기 상층 부재와 중층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하층 부재는 역원뿔대 형상이고, 상기 축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팽이 완구.
KR2020100005631U 2010-01-12 2010-05-31 팽이 완구 KR201100072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631U KR20110007269U (ko) 2010-01-12 2010-05-31 팽이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0-000124 2010-01-12
KR2020100005631U KR20110007269U (ko) 2010-01-12 2010-05-31 팽이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9U true KR20110007269U (ko) 2011-07-20

Family

ID=4559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631U KR20110007269U (ko) 2010-01-12 2010-05-31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26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8299U (ja) コマ玩具
EP2380642A1 (en) Toy top
EP3195911B1 (en) Toy top
US10118103B2 (en) Toy top
JP3160638U (ja) コマ玩具
CN201214014Y (zh) 抗攻击玩具陀螺
JP5861158B2 (ja) 遊技機
JP3149384U (ja) コマ玩具
US20150044937A1 (en) Inertial Dynamic Toy
JP6236177B1 (ja) コマ玩具
KR20110007269U (ko) 팽이 완구
CN200948357Y (zh) 一种摩擦搓动式玩具陀螺
JP2010284490A (ja) 多連ジャイロ・モータ独楽
KR100524155B1 (ko) 자석놀이완구의 회전체 구조
JP2009247882A (ja) 多連独楽
JP2006288840A (ja) 起上り玩具
JP3881994B2 (ja) コマ玩具
JP2011000414A (ja) 多連相互逆回転ジャイロ・モータ独楽
JPH09155067A (ja) 独 楽
CN207153096U (zh) 回旋球
JP3077133U (ja) コマ玩具
CN201329182Y (zh) 可握在手中玩耍的悠悠球
CN212548259U (zh) 一种基于跳舞机原理的音乐律动游戏机
CN214551105U (zh) 一种游戏机
US10406449B2 (en) Vibrating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