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37A -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37A
KR20110006537A KR1020090064223A KR20090064223A KR20110006537A KR 20110006537 A KR20110006537 A KR 20110006537A KR 1020090064223 A KR1020090064223 A KR 1020090064223A KR 20090064223 A KR20090064223 A KR 20090064223A KR 20110006537 A KR20110006537 A KR 2011000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ntainer
skidway
load supporting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780B1 (ko
Inventor
유영현
Original Assignee
유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현 filed Critical 유영현
Priority to KR102009006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용이하게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이송방법은,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에서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하역하는 이송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방법은, 육상 또는 선박에 초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과다히 소요되며, 이로인한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불가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수평으로 미 유지시에는 이송이 곤란하며, 이송중 컨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어 컨테이너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이 육상에서 선박으로 용이하게 선적 또는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가 필요 없는 이송공법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이동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다수개의 대형화물이 동시에 용이하게 이송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단축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대폭 절감되며,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가능하고,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파손 방지와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컨테이너 크레인, 하중 지지장치, 이송 승강장치, 이동장치, 이송장치.

Description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LOADING OR UNLOADING MOVEMENT METHOD OF CONTAINERS}
본 발명은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상 또는 선박에 초 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이 미설치된 공법으로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용이하게 선적 또는 선적에서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의 이송방법은, 육상 또는 선박에 초 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과다히 소요되며, 이로인한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불가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수평으로 미 유지시에는 이송이 곤란하며, 이송중 컨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어 컨테이너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가 필요 없는 이송공법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이동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선박의 정박 시간이 단축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대폭 절감되며,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가능하고,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다수개의 대형화물이 동시에 용이하게 이송되며,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파손 방지와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기술의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이송방법으로는,
육상 또는 선박에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이송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방법은, 육상 또는 선박 에 초 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과다히 소요되며, 이로인한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불가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수평으로 미 유지시에는 이송이 곤란하며, 이송중 컨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어 컨테이너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의 중량에 따라 운반 가능한 중량 범위내의 컨테이너 크레인이 각기 설치되어 이송되는 이송방법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종류가 가 다양하여야 함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비 투자 비용이 과다하며, 운반 가능한 중량 범위내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각기 설치 사용 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투하공수가 과다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이송시에 컨테이너 크레인이 미 설치되는 이송공법으로,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이 용이하게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되는 구성의 컨테 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용이하게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을 제공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가 필요 없는 이송 공법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 절감과 설치 면적이 필요 없으며,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이동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단축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대폭 절감되며,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가능하고,
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다수개의 대형화물이 용이하게 이송되고,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파손 방지와,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육상 또는 선박에 초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이 미설치된 공법인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을 제공하여,
종래기술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방법의 문제점인 육상 또는 선박에 초 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과다히 소요되며, 이로인한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불가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수평으로 미 유지시에는 이송이 곤란하며, 이송중 컨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어 컨테이너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운반 가능한 중량 범위내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각기 설치 사용 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투하공수가 과다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 하는 동시에;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가 필요 없는 이송 공법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 절감과 설치 면적이 필요 없는 효과와,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이동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선박의 정박 시간이 단축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대폭 절감되며,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가능하고,
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다수개의 대형화물이 용이하게 이송되고,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파손 방지와,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또는 선박에 초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이 미설치된 공법으로 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을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용이하게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용이하게 하역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되는 이송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하역되는 이송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적재 이송되는,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와 이송장치가 스키드웨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가 하중 지지장치의 투입부에 투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이송 승강장치에 의하여 이동장치와 컨테이너가 적재된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들려(JACK-UP)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 하중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가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되는 이송 방법은, 종래기술의 컨테이너 크레인이 미설치된 구성의, 다음과 같은 S1 단계 내지 S7 단계의 이송공법으로, 다량의 컨테이너가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동시에 이송된다.
S1 단계; 육상 및 선박 구간에 종, 횡방향 스키드웨이 또는 격자 배열의 스키드웨이 설치 단계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육상 및 선박 구간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 스키드웨이를 설치하거나, 스키드웨이가 종,횡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격자 배열의 스키드 웨이를 설치한다.
S2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스키드웨이 설치단계
도 1 및 도 12에 도시한바와 같이, 컨테이너(600)가 적층되는 본체인 적층부(10), 컨테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부(20), 다량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 이송하기 위한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서로 결합되는 용도의 결합요홈부(111)와 결합돌출부(112)가 구비된 결합부(110),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화된 이동장치(200)가 투입되는 용도의 상기 적층부(10)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부인 투입부(30)로 구성된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다수개의 스키드웨이(500)의 외부에 각기 설치된다.
S3 단계;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 및 이송장치의 육상 스키드웨이 설치단계
도 1 및 도 13에 도시한바와 같이, 컨테이너(600)의 하중 지지 및 이송을 위한 용도의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스키드웨이(500)의 상부에 각기 설치 및,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된 이송장치(400: PUSH-PULL)가 스키드웨이(500)의 상부에 각기 설치된다.
S4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적층부에 컨테이너 적층단계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S2 단계의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의 적 층부(10)에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적층된다.
S5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투입부에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의 투입단계
도 3 및 도 14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S3 단계의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이송장치(400)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상기 이동장치(200)가 전진 이동되며, 전진 이동시에 상기 이동장치(200)의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어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로 투입된다.
S6 단계; 이송 승강장치의 상승에 의하여, 이동장치와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상승(JACK-UP)되어 이송되는 단계
도 4 및 도 15, 도 16에 도시한바와 같이,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0)에 의하여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의 전달하중이 지지되며,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상부로 상승시에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가,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로 컴프레서에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유로로 배출, 스키드웨이 바닥면과 이송 승강장치의 저면에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하여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공중 부양(JACK-UP)된 구성으로, 이송장 치(400: PUSH-PULL)의 밀어 주는 힘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이송시에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저면과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는 구성으로,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동시에 육상으로부터 선박으로 용이하게 이송, 선적된다.
S7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하강(JACK-DOWN) 및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 와 이송장치의 철수단계
도 5 및 도 14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S6 단계의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하부로 하강시에, 컴프레서에서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에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스의 공급이 중단되어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가 선박의 바닥면으로 하강(JACK-DOWN)되며,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에 투입된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당겨주는 힘에 의하여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어 하중 지지장치(100)의 외부로 철수 이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이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하역되는 이송 방법에 대하여 언급키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바와 같이, 초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 화물이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하역되는 이송 방법은, 상기 선적방법에서 언급한 S1 내지 S7 단계의 선적 이송방법의 역순으로 구성된 이송방법인, 다음과 같은 S8 단계 내지 S10 단계의 이송 공법으로,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이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이송된다.
S8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투입부에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의 투입, 설치단계
도 7 및 도 8, 도 14에 도시한바와 같이, 선박의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에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를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된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투입, 설치한다.
S9 단계; 이송 승강장치의 상승에 의하여, 이동장치와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상승(JACK-UP)되어 이송되는 단계
도 9 및 도 15, 도 16에 도시한바와 같이,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에 의하여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의 전달하중이 지지되며,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상부로 상승시에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가,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로 컴프레서에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유로로 배 출, 스키드웨이 바닥면과 이송 승강장치의 저면에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하여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공중 부양(JACK-UP)된 구성으로, 컨테이너의 이송시에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저면과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는 구성으로, 이송장치(400)의 당겨주는 힘에 의하여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동시에 선박으로부터 육상으로 용이하게 이송, 하역된다.
S10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하강(JACK-DOWN) 및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와 이송장치의 철수단계
도 10 및 도 13, 도 14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S9 단계의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하부로 하강 됨으로서, 컨테이너(600)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가 육상의 바닥면으로 하강(JACK-DOWN)되며,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에 투입된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당겨주는 힘에 의하여,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어 하중 지지장치(100)의 외부로 철수 이송된다.
도 12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하중 지지장치(100)는;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본체인 적층부(10) 및,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컨테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적층부(10)의 측면에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적층되어 이송되기 위한 각각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서로 결합되는 용도의 요홈부인 결합요홈부(111)와 돌출부인 결합돌출부(112)로 구성된 결합부(110)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를 스키드웨이(600)의 외부에 설치시에 각각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결합요홈부(111)에 결합돌출부(112)가 삽입되어 다수개의 하중지지장치(100)가 결합 됨으로서 적층부(10)가 연장된 구성으로, 이송을 위한 컨테이너의 수량에 일치되는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상기 구성의 다수개의 하중지지장치(100)의 적층부
(10)에 적층되어 동시에 이송이 가능하며,
상기 적층부(10)의 하부에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화된 이동장치(200)가 투입되는 용도의 공간부인 투입부(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기 연장된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해체가 필요시에는 상기 결합요홈부(111)에 삽입된 결합 돌출부(112)를 외부로 이동 시킴으로서 용이하게 다수개의 하중지지장치(100)가 해체가 되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
이송을 위한 컨테이너(600)의 수량이 적을시에는 상기 구성의 하중 지지장치
(100)를 소량으로 설치 사용이 가능 함으로서, 이송을 원하는 컨테이너 수량에 일치되는 하중 지지장치(100)가 스키드웨이(5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송을 원하는 컨테이너 수량이 동시에 적층 이송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는;
다수개의 이동장치(200)의 리프트 아답터(240)에 각기 일체로 장착된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에 의하여 상기 이동장치(200)와 컨테이너(600)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의 하중이 지지되며,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가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상부로 상승시에,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로 컴프레서에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유로로 배출, 스키드웨이 바닥면과 이송 승강장치의 저면에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하여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공중 부양(JACK-UP)된 구성으로, 이동장치(200)의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저면과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다량의 컨테이너가 (600)가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송시에 컨테이너의 무게 중심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치우칠 경우는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바퀴(313)가 스키드웨이(500)의 레일부(520) 좌측 또는 우측의 내측벽에서 구동이 됨으로서,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유지되어 전,후진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기술구성으로,
상기 이동장치(200)의 이송장치 체결부(220)에 체결된 이송장치(400)로 이동 장치(200)의 본체(210)를 밀거나 당김으로서 이동장치(200)의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며,
상기 이동장치(200)의 리프트 아답터(240)에 장착된 이송 승강장치(300)가 스키드웨이(500)의 상부에서 마찰력이 최소화되며,
이송시에 컨테이너의 무게 중심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치우칠 경우는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바퀴(313)가 스키드웨이의 레일부(520) 좌측 또는 내측벽에서 구동되어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유지되어 전,후진 이송이 용이한 기술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400)는;
스키드웨이(500)의 레일부(520)에 설치되는 본체(410)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이동되어 상기 구성의 이동장치(200)가 전,후진 이동되는 용도의 유압실린더(4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410)의 저면에 스키드웨이(500)의 레일부(520)에 적층되는 적층부(4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부(430)의 하부에 상기 유압실린더(420)가 전,후진 이동시에 클램핑이 외부로 확장, 또는 내부로 절첩되어 상기 본체(410)가 전,후진 이동이 되는 구성의 클램핑부(440)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 구성의 상기 이동장치(200)의 이송장치 체결부(220)에 유압실린더(420)가 체결되어 이동장치(200)를 밀거나 당김으로서 상기 구성의 이동장치(200)와 이송 승강장치(300)가 스키드웨 이(500)의 상부에서 전,후진 이동이 되는 기술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이송 승강장치(300)와 이송장치(400)의 기술구성은,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 제0628695호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와 특허등록 제0598962호 "고하중물 운송장치의 수평 이동장치"로 선등록 받은 발명인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S1 내지 S10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방법의 상기 컨테이너의 이송을 위한 부속장치로 결합, 사용 됨을 본 발명에서 설명 및 주장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바와 같이,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
(200)가 이송장치(400)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상기 이동장치(200)가 전진 이동
되며, 전진 이동시에 상기 이동장치(200)의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
(510)에서 구동되어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로 투입되며;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바와 같이,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에 의하여 컨테이너(600)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의 전달하중이 지지되며,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상부로 승강 됨으로서, 컨테이너(600)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에 컴프 레서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유로로 배출, 스키드웨이 바닥면과 이송 승강장치의 저면에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하여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공중 부양(JACK-UP)된 구성으로, 상기 이송 승강장치(100)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는 구성으로,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동시에 이송된다.
또한, 이송시에 컨테이너의 무게 중심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치우칠 경우는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바퀴(313)가 스키드웨이(500)의 레일부(520) 좌측 또는 우측의 내측벽에서 구동이 됨으로서,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유지되어 전,후진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7에 도시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가;
상기 결합요홈부(111)와 결합돌출부(112)로 구성된 결합부(110)가 미 구비된 구성의, 본체인 적층부(10)의 측면이 평활한 평활면(113)으로 구성된 적층부(10') 및, 상기 적층부(10')의 하부에 체결부(40)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
(100)가 체결구로 각기 체결되어 연장 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S1 단계에서 언급된 육상 및 선박 구간에 설치된 스키드웨이
(500)가,
종,횡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격자 배열의 스키드웨이(500)가 설치되어, 횡 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방향으로 이동된 컨테이너가 타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이동 방법으로 컨테이너의 이동이 더욱 용이하고, 투하공수가 더욱 절감 되는 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상기 S1 내지 S10 단계에서 언급된 이송 대상물인 컨테이너가 대형화물로 대체 구성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S1 내지 S10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방법의 문제점인 육상 또는 선박에 초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설치공간이 별도로 소요되며,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컨테이너가 하나씩 운반되는 이송방법으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선박의 정박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과다히 소요되며, 이로인한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불가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의 무게중심이 수평으로 미 유지시에는 이송이 곤란하며, 이송중 컨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어 컨테이너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운반 가능한 중량 범위내의 컨테이너 크레인을 각기 설치 사용 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투하공수가 과다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구성인 동시에;
특히,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가 필요 없는 이송 공법으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설치비용 절감과 설치 면적이 필요 없는 기술 구성과;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동시에 이동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선박의 정박 시간이 단축 됨으로 인한 항만 이용료가 대폭 절감되며, 선박의 효율적인 항만 관리가 가능한 기술구성과;
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600) 또는 대형화물이 용이하게 이송되는 기술구성과;
육상 및 선박에 설치된 스키드웨이(500)의 상부에서 컨테이너(600)가 수평 이송이 되는 구성으로, 이송중에 컨테이너(600)의 파손 방지와,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는 기술구성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되는 이송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선박으로 부터 육상으로 하역되는 이송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적재 이송되는,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와 이송장치가 스키드웨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가 하중 지지장치의 투입부에 투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이송 승강장치에 의하여 이동장치와 컨테이너가 적재된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들려(JACK-UP)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하중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하중 지지장치
10,10' : 적층부
110 : 결합부
111 : 결합요홈부 112 : 결합돌출부
113 : 평활면
20 : 지지부
30 : 투입부
40 : 체결부
200 : 이동장치
210 : 본체
220 : 이송(PUSH-PULL)장치 체결부
230 : 이동장치 연결부
240 : 리프트 아답터 250 : 바퀴
300 : 이송 승강장치
310 : 본체 311 : 유압실린더
312 : 이동장치 장착부 313 : 바퀴
314 : 에어 챔버(AIR CHAMBER)
400 : 이송(PUSH-PULL)장치
410 : 본체 420 : 유압실린더
430 : 적층부 440 : 클램핑부
500 : 스키드웨이(SKIDWAY)
510 : 바닥면 520 : 레일부
600 : 컨테이너(CONTAINER)

Claims (5)

  1. 중량물인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이 육상으로 부터 선박으로 선적 또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하역되는 이송방법이;
    육상 또는 선박에 초중량물인 컨테이너 크레인이 미설치된 공법인, 다음과 같은 S1 단계 내지 S7 단계의 이송방법으로 육상으로 부터 선박에 선적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S1 단계; 육상 및 선박 구간에 종, 횡방향 스키드웨이 또는 격자 배열의 스키드웨이 설치 단계
    육상 및 선박 구간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 스키드웨이를 설치하거나, 스키드웨이가 종,횡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격자 배열의 스키드웨이를 설치한다.
    S2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스키드웨이 설치단계
    컨테이너(600)가 적층되는 본체인 적층부(10), 컨테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부(20), 다량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 이송하기 위한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서로 결합되는 용도의 결합요홈부(111)와 결합돌출부(112)가 구비된 결합부(110),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화된 이동장치(200)가 투입되는 용도의 상기 적층부(10)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부인 투입부(30)로 구성된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다수개의 스키드웨이(500)의 외부에 각기 설치된다.
    S3 단계;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 및 이송장치의 육상 스키드웨이 설치단계
    컨테이너(600)의 하중 지지 및 이송을 위한 용도의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스키드웨이(500)의 상부에 각기 설치 및,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된 이송장치(400: PUSH-PULL)가 스키드웨이(500)의 상부에 각기 설치된다.
    S4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적층부에 컨테이너 적층단계
    상기 S2 단계의 다수개의 하중 지지장치(100)의 적층부(10)에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적층된다.
    S5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투입부에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의 투입단계
    상기 S3 단계의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이송장치(400)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상기 이동장치(200)가 전진 이동되며, 전진 이동시에 상기 이동장치(200)의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어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로 투입된다.
    S6 단계; 이송 승강장치의 상승에 의하여, 이동장치와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상승(JACK-UP)되어 이송되는 단계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0)에 의하여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의 전달하중이 지지되며,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상부로 상승시에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가,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로 컴프레서에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유로로 배출, 스키드웨이 바닥면과 이송 승강장치의 저면에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하여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공중 부양(JACK-UP)된 구성으로,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밀어 주는 힘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이송시에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저면과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는 구성으로,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동시에 육상으로부터 선박으로 용이하게 이송, 선적된다.
    S7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하강(JACK-DOWN) 및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 와 이송장치의 철수단계
    상기 S6 단계의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하부로 하강시에, 컴프레서에서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버(314: AIR CHAMBER)에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스의 공급이 중단되어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가 선박의 바닥면으로 하강(JACK-DOWN)되며,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 입부(30)에 투입된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당겨주는 힘에 의하여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어 하중 지지장치(100)의 외부로 철수 이송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량의 컨테이너 또는 대형화물이, 다음과 같은 S8 단계 내지 S10 단계의 이송방법으로 선박으로 부터 육상에 하역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S8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투입부에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의 투입, 설치단계
    선박의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에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를 상기 이동장치(200)에 체결된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투입, 설치한다.
    S9 단계; 이송 승강장치의 상승에 의하여, 이동장치와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가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상승(JACK-UP)되어 이송되는 단계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에 의하여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의 전달하중이 지지되며,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상부로 상승시에 컨테이너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와 이동장치(200)가,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에어 챔 버(314: AIR CHAMBER)로 컴프레서에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유로로 배출, 스키드웨이 바닥면과 이송 승강장치의 저면에 유입되어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하여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공중 부양(JACK-UP)된 구성으로, 컨테이너의 이송시에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의 저면과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과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는 구성으로, 이송장치(400)의 당겨주는 힘에 의하여 다량의 컨테이너(600)가 동시에 선박으로부터 육상으로 용이하게 이송, 하역된다.
    S10 단계; 하중 지지장치의 하강(JACK-DOWN) 및 이송 승강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와 이송장치의 철수단계
    상기 S9 단계의 이송 승강장치(300)의 유압실린더(311)가 하부로 하강 됨으로서, 컨테이너(600)가 적층된 하중 지지장치(100)가 육상의 바닥면으로 하강(JACK-DOWN)되며,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의 투입부(30)에 투입된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가 이송장치(400: PUSH-PULL)의 당겨주는 힘에 의하여, 바퀴(250)가 스키드웨이(500)의 바닥면(510)에서 구동되어 하중 지지장치(100)의 외부로 철수 이송된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가,
    컨테이너(600)가 적층되는 본체인 적층부(10) 및,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컨테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적층부의 측면에 다량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적층되어 이송되기 위한 각 각의 하중 지지장치(100)가 서로 결합되는 용도의 요홈부인 결합요홈부(111)와 돌출부인 결합돌출부(112)로 구성된 결합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부(10)의 하부에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화된 이동장치(200)가 투입되는 용도의 공간부인 투입부(3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장치(100)가;
    적층부(10)의 측면이 평활한 평활면(113)으로 구성된 적층부(10') 및, 상기 적층부(10')의 하부에 체결부(4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승강장치(300)가 일체로 장착된 이동장치(200)와 이송장치(400)가;
    이동장치(200)의 리프트 아답터(240)에 이송 승강장치(300)가 각기 일체로 장착 및, 이동장치(200)의 이송장치 체결부(220)에 이송장치(400)가 체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KR1020090064223A 2009-07-14 2009-07-14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KR10106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23A KR101069780B1 (ko) 2009-07-14 2009-07-14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223A KR101069780B1 (ko) 2009-07-14 2009-07-14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37A true KR20110006537A (ko) 2011-01-20
KR101069780B1 KR101069780B1 (ko) 2011-10-04

Family

ID=4361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223A KR101069780B1 (ko) 2009-07-14 2009-07-14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194A (ko) * 2013-12-31 2015-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20170029184A (ko) 2015-09-07 2017-03-15 전어진 소독 및 해충퇴치 기능을 갖는 파우치 포장기
CN109279387A (zh) * 2018-12-06 2019-01-29 陈利娟 一种与货运船对接的智能物流搬运设备及其工作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194A (ko) * 2013-12-31 2015-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20170029184A (ko) 2015-09-07 2017-03-15 전어진 소독 및 해충퇴치 기능을 갖는 파우치 포장기
CN109279387A (zh) * 2018-12-06 2019-01-29 陈利娟 一种与货运船对接的智能物流搬运设备及其工作方法
CN109279387B (zh) * 2018-12-06 2020-09-22 江苏卓燃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与货运船对接的智能物流搬运设备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780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308B1 (ko) 화물 자동화창고
TW583130B (en) Device for carrying articles of container, carrying in and carrying out method and pallet for carrying article in and out
US8529175B2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centrated mass loads by container
US20120288349A1 (en) Container Handling Device, Use of Such a One, and Methods in Unloading and Loading
KR20230106717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N102101595A (zh) 用于装载和卸载集装箱的岸壁系统、用于其中的移动港口及运输装置
CN102256892B (zh) 用于操纵风力涡轮机的机舱的系统和方法
US10934053B1 (en) Adjustable pallet rack
KR101069780B1 (ko)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CN100364810C (zh) 运送货物用的箱体
US3178216A (en) Cargo pallet construction
WO2016026001A1 (en) Removable lid for a transport structure, transpor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JP4664747B2 (ja) 搬送物搬送方法
WO2008004083A2 (en) Container lifting device
CN203064554U (zh) 一种吊装平台及集装箱单元
KR20110041781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20130091757A (ko) 운송 컨테이너
JP2003020125A (ja) ドライコンテナへの搬送物の搬出入システム及び搬出入構造体
CN114890158B (zh) 一种集装箱自动装卸的堆场设施及装卸工艺
CN111689390B (zh) 轨道吊转场的方法
CN110816382A (zh) 一种物流运输车智能自动装卸装置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CN203624284U (zh) 一种集装箱运输架
CN219447249U (zh) 一种适用于海上运输的组合式支墩结构
CN213676487U (zh) 一种重型设备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