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527U -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527U
KR20110006527U KR2020090016700U KR20090016700U KR20110006527U KR 20110006527 U KR20110006527 U KR 20110006527U KR 2020090016700 U KR2020090016700 U KR 2020090016700U KR 20090016700 U KR20090016700 U KR 20090016700U KR 20110006527 U KR20110006527 U KR 201100065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outlet
air
discharge
c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718Y1 (ko
Inventor
문치영
Original Assignee
문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치영 filed Critical 문치영
Priority to KR2020090016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1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가변 선회 취출구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내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조장치의 천장 덕트에 기류를 실내에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와,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에 통과하는 기류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트위스트 베인과, 상기 트위스트 베인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코어 튜브와,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하여 기류의 배출 형태를 제어하도록 취출구 케이스부재 및 코어튜브에 설치되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가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시 연동하도록 코어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의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토출노즐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링크부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VARIABLE DISCHARGE TYPE SWIRL DIFFUSER FOR HIGH PLACE INSTALLATION}
본 고안은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가변 선회 취출구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내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실내 공기조화(空氣調和, Air- conditioning)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적합한 온도와 습도 및 청정도로 유지시키면서 각종 먼지나 유해가스를 여과한다.
특히,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을 통하여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실내의 공기조화를 위해서는, 공기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 냉온 공기로 조성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공조장치로 조성된 냉온 공기는, 송풍장치에 의하여 해당 실내로 덕트(Duct)를 통해 송풍된다.
상기 덕트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실내에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벽체나 천장 또는 바닥면에는 덕트와 연결되는 각종 형태의 토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냉온 공기의 송풍을 위한 토출구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벽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벽체용 토출구와, 천장에 설치되어 하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천장용 토출구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바닥취출구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공조장치 경우에는, 공조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건물 천장의 덕트로부터 천장용 가변 선회 취출구를 통해 하향 공급되거나 천장용 배기구를 통해 배기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천장용 가변 선회 취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실내공기와 혼합된 후 천장에 있는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천장용 가변 선회 취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천장에서 토출된 후 실내 내부까지 이동하는 도달거리가 짧은 단점 때문에, 천장이 높은 실내 공간의 온도를 평준화시키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내 공간의 실내온도를 평준화시키는 데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공조장치의 운영비용이 상승하고 냉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내의 환기효율이 낮아져, 실내의 오염공기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장용 선회 취출구는, 실내로 공급되는 냉온 공기의 속도, 방향 및 풍량 등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공조장치를 별도로 조작해야 하고, 토출구의 조절이 가능하더라도 상부에 설치되면 그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천장 공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공조기(2)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장치(2)는, 실내의 천장부(C)에 구성된 천장 덕트(4)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 덕트(4)가 형성되는 천장부(C)에는, 공급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가변 선회 취출구(S)가 설치된다.
상기한 천장부(C)에는, 실내에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선회 취출구(S)외에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구(E)가 설치된다.
상기한 가변 선회 취출구(S)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 덕트(4)에 연결 설치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를 구비한다. 상기한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하단은, 기류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노즐(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내부에는, 코어 튜브(10)가 중심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어 튜브(10) 및 취출구 케이스부재(6)사이 둘레에는, 트위스트 베인(8)이 설치된다. 상기한 트위스트 베인(8)은, 기류의 스월링효과를 형성하여 실내 2차공기와의 유인비를 높이며, 기류를 용이하게 토출시킨다.
또한, 상기 코어 튜브(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장치의 신호로 액츄에이터(21)의 작동시 통로를 개폐하는 가변 댐퍼(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변 댐퍼(9)가 설치된 코어 튜브(10)의 하부에는, 기류의 배출을 수직으로 유도하는 천공 격자판(1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천장 공조장치는, 가변 선회 취출구(S)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 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서로 다른 기류가 형성되어 공조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냉방시에는, 냉기의 특성을 감안하여 실내의 상부에서 트위스트 베인에 의한 선회기류를 토출시켜 확산시키고 있으나, 기류가 실내를 이동하는 도달거리도 짧아 냉기를 실내공간에 제대로 전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방시에 토출되는 온기는, 천장의 가변 선회 취출구를 통해 토출되지만 실내를 이동하는 도달거리가 짧아 실내에 퍼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난방시 실내온도의 평준화가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변 선회 취출구(S)는, 토출되는 기류의 실내를 이동하는 도달거리가 짧아 공조효율을 저하시키고, 냉온기를 체감하기까지 공조장치를 오랜 시간 가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의 낭비 및 관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 덕트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에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변 선회 취출구의 제어를 통해 실내에 다양한 형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 선회 취출구를 통해 수평, 수직, 45ㅀ 방향으로 기류를 실내에 토출하여 실내의 공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는, 공조장치의 천장 덕트에 기류를 실내에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와,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에 통과하는 기류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트위스트 베인과, 상기 트위스트 베인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코어 튜브와,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하여 기류의 배출 형태를 제어하도록 취출구 케이스부재 및 코어튜브에 설치되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가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시 연동하도록 코어 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링크부와,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의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토출노즐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링크부에 설치되는 기류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취출구 케이스부재 및 코어 튜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의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튜브는, 가이드홀이 양측에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는,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코어 튜브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링크와, 상기 절곡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이드링부의 고정 브라켓트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 형성부재는, 기류가 통과하도록 격자판으로 형성되는 제트 스트레이트너와, 상기 제트 스트레이트너를 조립 고정하고 링크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링부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일정 직경의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의 내주면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중심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트 상에 코어 튜브의 가이드홀에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트 스트레이트너는, 일정 두께로 형성하여 격자판의 격자공을 통과하는 기류의 도달거리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는, 링크부에 의한 기류 형성부재의 승강 작동을 통해 토출노즐을 통과하는 기류의 배출형태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봉은, 기류 형성부재(A)의 승강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2개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트 스트레이트너를 통해 수직기류가 취출됨으로써 기류의 도달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트 스트레이트너를 통해 기류의 도달거리가 길어져 실내온도의 평준화를 신속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 선회 취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류의 실내확 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 선회 취출구에 설치되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의 제어를 통해 실내에 다양한 형태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에 수평, 수직, 45ㅀ 방향으로 기류를 실내에 토출할 수 있어 실내의 공조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의 특징부를 설명하기에 앞서, 가변 선회 취출구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S)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천장 덕트(4)에 실내로 기류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취출구 케이스부재(6)를 구비한다.
상기한 취출구 케이스부재(6)에는, 기류를 선회시켜 배출하도록 트위스트 베인(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트위스트 베인(8)의 중심에는 기류가 수직으로 배출되도록 코어 튜브(10)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S)에는,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하여 기류의 실내 배출을 제어하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한 일반적인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S)의 특징부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는, 공조장치(2)의 신호로 작동하도록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외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1)의 작동시 연동하도록 코어 튜브(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링크부(30)를 구비한다.
상기한 액츄에이터(21)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 및 코어 튜브(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22)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즉,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축(22)의 단부에 액츄에이터(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코어 튜브(1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판(14)이 상하로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판(14)은, 후술되는 안내봉(59)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판(14)에는, 안내봉(59)의 삽입과 안내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봉(59)은, 2개이상 설치하여 후술되는 기류 형성부재(A)의 승강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링크부(30)는, 액츄에이터(21)의 회전축(22)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링크(31)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링크(31)에는, 절곡링크(32)가 연결된다. 상기한 절곡링크(32)는, 2회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코어 튜브(10)의 중심에 타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절곡링크(32)에는, 일자형의 연결링크(34)가 연결된다. 상 기한 연결링크(34)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에 장착된 고정 브라켓트(56)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단부에 절곡된 연결부(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에는,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토출노즐(12)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링크부(30)에 기류형성부재(A)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한 기류 형성부재(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부(30)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링부(54)를 구비한다.
상기한 가이드링부(54)는, 일정 직경의 가이드링(57)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링(57)에는, 토출노즐(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플랜지(55)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링(57)의 내주면에는, 연결핀(58)의 일단이 설치된다. 상기한 연결핀(58)은,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58)의 타단은, 링크부(30)에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트(56)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연결핀(58)은 링크부(30)에 대한 가이드링(57)의 설치를 견고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트(56)에는, 코어 튜브(10)의 가이드홀(16)에 조립되도록 복수개의 안내봉(59)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안내봉(59)은, 가이드링부(54)의 승강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한 가이드링부(54)는, 후술되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를 더 설치하여 기류 방향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류 형성부재(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부(30)에 가이드링부(54)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제트 스트레이트너(50)는, 기류가 통과하는 격자공(52H)이 구비된 격자판(52)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트 스트레이트너(50)는, 가이드링(57)의 내주면에 조립되고 고정 브라켓트(56)에 의하여 중심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트 스트레이트너(50)에는,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자공(52H)이 형성된 격자판(52)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트 스트레이트너(50)는, 격자판(52)의 격자공(52H)을 통과하는 기류의 도달거리를 연장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t)를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는, 링크부(30)에 의한 기류 형성부재(A)의 승강 작동을 통해 토출노즐(12)을 통과하는 기류의 배출형태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조장치(2)의 작동으로 공기는,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실내 천장 덕트(4)를 통해 공급된다. 천장 덕트(4)를 이동한 공기는, 천장부(C)에 설치된 가변 선회 취출구(S)의 취출구 케이스부재(6)에 도달한다.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에서 공기는, 트위스트 베인(8)에 의하여 선회하면서 통과한다. 상기 트위스트 베인(8)을 통과한 공기는, 토출노즐(12)의 안내를 받아 실내에 확산 토출된다.
상기한 가변 선회 취출구(S)를 통한 기류의 토출 제어는, 기류 배출 조작장 치(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의 기본 작동은, 공조장치(2)의 신호로 액츄에이터(21)를 작동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21)는 회전축(22)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링크(31) 및 절곡링크(32), 연결링크(34)를 통해 가이드링부(54) 또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를 승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류가 실내에 토출될 때 실내에 대한 기류의 토출 형태는, 공조장치(4)의 신호로 제어되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다음의 실시예처럼 토출된다.
<제1실시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 스트레이트너(50)가 생략된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를 이용하여 기류의 토출을 제어한다.
난방시 - 수직취출기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의 액츄에이터(21)를 작동시켜 링크부(30)를 연동시킨다. 상기 링크부(30)는, 도 9의 (c)에 도시한 경우처럼 연결링크(34)에 설치된 가이드링부(54)를 상승시켜 토출노즐(12)의 하단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트위스트 베인(8)으로 통해 선회하는 기류는, 플랜지부(55)에 의하여 토출노즐(12)측이 차단됨에 따라 하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링(57)의 안내를 받아 수직 기류 상태로 하향 토출된다. 이때, 실내에 대한 기류의 수직 도달거리는, 3~10m 범위내에서 형성된다.
냉방시 - 수평취출기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의 액 츄에이터(21)를 작동시켜 링크부(30)를 연동시킨다. 상기 링크부(30)는, 도 9의 (a)(b)에 도시한 경우처럼 연결링크(34)에 설치된 가이드링부(54)를 토출노즐(12)측에서 이격되도록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트위스트 베인(8)으로 통해 선회하는 기류는, 가이드링부(54)의 하강으로 토출노즐(12)측을 따라 이동한 후 이격된 플랜지부(55)에 부딪친 일부는 수평으로 확산되고 나머지 일부는 가이드링(57)의 안내를 받고 수직으로 토출된다.
<제2실시예>
도 9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 스트레이트너(50)가 설치된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를 이용하여 기류의 토출을 제어한다.
난방시 - 수직취출기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의 액츄에이터(21)를 작동시켜 링크부(30)를 연동시킨다. 상기 링크부(30)는,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34)에 설치된 가이드링부(54)를 상승시켜 토출노즐(12)의 하단에 위치시킨다.
상기한 가이드링부(54)는, 토출노즐(12)측을 차단하고, 제트 스트레이트너(50)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 및 튜브 코어(10)의 하부 통로 전체를 커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트위스트 베인(8) 및 튜브 코어(10)를 통해 가변 선회 취출구(S)를 통과하는 기류는, 토출노즐(12)측을 차단하는 가이드링(57) 및 제트 스트레이트너(50)의 안내를 받아 통과함으로써 도달거리 가 길게 형성된다. 즉, 기류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를 통과할 때 일정 두께(t)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공(52H)의 안내를 받아 토출거리가 길어진다.
상기한 기류는, 실내 토출에 의한 도달거리를 길게 형성하게 됨에 따라 실내공기와 신속하게 열교환 됨으로써 실내온도의 평준화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에 대한 기류의 수직 도달거리는, 25m 범위내에서 형성된다.
냉방시 - 수평취출기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의 액츄에이터(21)를 작동시켜 링크부(30)를 연동시킨다. 상기 링크부(30)는, 도 9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34)에 설치된 가이드링부(54)를 토출노즐(12)의 하단에서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트위스트 베인(8)으로 통해 선회하는 기류는, 토출노즐(12)측을 차단하던 가이드링(57)이 하강하여 이격됨에 따라 제트 스트레이트너(50) 및 플랜지부(55)가 저항벽을 형성함에 따라 토출노즐(12)을 따라 수평으로 대부분 토출된다.
그리고, 나머지 기류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에 형성된 격자공(52H)을 통해 최소량만 수직상태로 취출된다.
상기한 토출노즐(12) 및 제트 스트레이트너(50)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는, 도달거리가 길어 실내의 바닥에 넓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실내온도의 평준화를 신속하게 한다.
또한, 환절기에는, 45ㅀ취출기류를 형성하도록 액츄에이터(21)의 제어를 통해 토출노즐(12)의 하단으로 부터 가이드링부(54) 및 제트 스트레이트너(50)의 간 격을 적정하게 이격시켜 기류가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트 스트레이트너(50)를 구성하는 격자공(52H)이 형성된 격자판(52)은, 도 10(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S)를 형성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와 코어 튜브(1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취출구 케이스부재(6)와 코어 튜브(1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격자공(52H)이 형성된 격자판(52)은, 코어 튜브(10)의 구조에 관계없이 고정 상태에서 제트 스트레이트너(50)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취출구 케이스부재(6)와 코어 튜브(10) 사이에 설치된 격자판(52)은, 기류가 수직으로 취출되도록 하여 도달거리가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온도의 평준화를 신속히 한다.
본 고안은 천장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설치된 기류 배출 조작장치에 의하여 천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내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효율 향상과 실내공기가 쾌적하도록 하는 것으로, 빌딩 및 사무공간의 공조장치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변 선회 취출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가변 선회 취출구의 기류 배출 조작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선회 취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가변 선회 취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변 선회 취출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5에 나타낸 가변 선회 취출구의 작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b)(c)는, 도 5에 나타낸 격자판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공조장치 4: 천장 덕트(Duct)
6: 취출구 케이스부재 8: 트위스트 베인(Twist Vane)
10: 코어 튜브(Core Tube) 14: 가이드판
16: 가이드홀 20: 기류 배출 조작장치
21: 액츄에이터(Actuator) 22: 회전축
30: 링크부 31: 구동링크
32: 절곡링크 33: 연결수단
50: 제트 스트레이트너(Jet Straightener)
54: 가이드링부 56: 고정 브라켓트
57: 가이드링 58: 연결핀

Claims (10)

  1. 공조장치의 천장 덕트(4)에 기류를 실내에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와,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에 통과하는 기류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트위스트 베인(8)과, 상기 트위스트 베인(8)의 중심에 수직으로 기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코어 튜브(10)와,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하여 기류의 배출 형태를 제어하도록 취출구 케이스부재(6) 및 코어튜브(10)에 설치되는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외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1)가 공조장치의 신호로 작동시 연동하도록 코어 튜브(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링크부(30)와,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토출노즐(12)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링크부(30)에 설치되는 기류형성부재(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가변 선회 취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1)는, 취출구 케이스부재(6) 및 코어 튜브(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22)과,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의 외부에 노출되는 회전축(2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가변 선회 취출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튜브(10)는, 가이드홀(16)이 양측에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가변 선회 취출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30)는, 액츄에이터(21)의 회전축(22)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링크(31)와, 상기 구동링크(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코어 튜브(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링크(32)와, 상기 절곡링크(32)에 일단이 연결되고 가이드링부(54)의 고정 브라켓트(56)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링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가변 선회 취출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부재(A)는, 기류가 통과하도록 격자판(52)으로 형성되는 제트 스트레이트너(50)와, 상기 제트 스트레이트너(50)를 조립 고정하고 링크부(30)에 설치되는 가이드링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부(54)는, 플랜지부(55)를 형성한 일정 직경의 가이드링(57)과, 상기 가이드링(57)의 내주면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핀(58)과, 상기 연결핀(58)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중심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트(56)와, 상기 고정 브라켓트(56) 상에 코어 튜브(10)의 가이드홀(16)에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내봉(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가변 선회 취출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 스트레이트너(50)는, 일정 두께(t)로 형성하여 격자판(52)의 격자공(52H)을 통과하는 기류의 도달거리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배출 조작장치(20)는, 링크부(30)에 의한 기류 형성부재(A)의 승강 작동을 통해 토출노즐(12)을 통과하는 기류의 배출형태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가변 선회 취출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59)은, 기류 형성부재(A)의 승강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2개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케이스부재(6)와 코어 튜브(10) 사이에는, 상기 격자공(52H)이 형성된 격자판(52P)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KR2020090016700U 2009-12-23 2009-12-23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KR200458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700U KR200458718Y1 (ko) 2009-12-23 2009-12-23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700U KR200458718Y1 (ko) 2009-12-23 2009-12-23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27U true KR20110006527U (ko) 2011-06-29
KR200458718Y1 KR200458718Y1 (ko) 2012-03-07

Family

ID=4929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700U KR200458718Y1 (ko) 2009-12-23 2009-12-23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47B1 (ko) * 2011-11-23 2012-05-09 권오민 자동압력대응방식의 전기전자식 디퓨져
KR20180113845A (ko) * 2017-04-07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480B1 (ko) * 2015-07-17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6456A (ja) 2007-05-16 2008-11-27 Panasonic Corp 空気吹出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47B1 (ko) * 2011-11-23 2012-05-09 권오민 자동압력대응방식의 전기전자식 디퓨져
KR20180113845A (ko) * 2017-04-07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718Y1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3334B2 (ja) 換気送風装置および換気送風システム
JP4838081B2 (ja) 吹出口装置
CN109990387B (zh) 空调组件
JP2014199177A (ja) 空気調和装置
CN113227667A (zh) 紧凑型供气通风系统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JP20053155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KR100943859B1 (ko)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JP6184190B2 (ja) 低温吹出口装置
JP7217596B2 (ja) 空調システム
KR100209035B1 (ko) 팬 배출 덕트용 루우버 조립체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CN110145851A (zh) 空调器
CN212511503U (zh) 窗式空调器
JP460431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EP2333436A2 (en) Supply air unit and method in ventilation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0611881B1 (ko)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GB2503778A (en) Ventilation assembly
KR200453512Y1 (ko)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JP2002039606A (ja) 給気ファンユニット
JP2004205080A (ja) 床吹出口装置
KR100953269B1 (ko) 환기 장치
JP4514860B2 (ja) 床吹出し型空調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