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921U - 카트식 장바구니 - Google Patents

카트식 장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921U
KR20110004921U KR2020090014657U KR20090014657U KR20110004921U KR 20110004921 U KR20110004921 U KR 20110004921U KR 2020090014657 U KR2020090014657 U KR 2020090014657U KR 20090014657 U KR20090014657 U KR 20090014657U KR 20110004921 U KR20110004921 U KR 201100049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rt
push rod
shopping ca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숙
Original Assignee
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숙 filed Critical 변숙
Priority to KR2020090014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921U/ko
Publication of KR20110004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9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이 본체에 밀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이동바퀴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장바구니를 들고다니다가 물품을 구매하여 상기 장바구니에 담아 보관한 경우에는 상기 밀대를 이용하여 장바구니를 밀고 다니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카트식 장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카트, 장바구니, 물품, 구매, 보관, 손잡이, 밀대, 이동

Description

카트식 장바구니{A SHOPPING CART TYPE SHOPPING BASKET}
본 고안은 카트식 장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바구니는 시장이나 백화점 등에서 물품(物品)을 구매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장바구니는 구매한 물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수용공간을 이용하여 다수의 물품을 한 번에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바구니는 통상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비닐봉지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용공간에 담겨져 있는 물품이 상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장바구니에는 휴대 및 이동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려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구매한 물품이 담겨져 있는 장바구니를 더욱 손쉽게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장바구니를 이용한 물품구매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바구니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구매한 물품을 들고다녀야 함으로써, 장바구니가 비어 있거나 물품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큰 부담이 없으나, 물 품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장바구니를 들고다니기에 상당한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양팔로 잡더라도 장바구니의 이동이 여의치가 않아 주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실정이다.
나아가, 장바구니의 무리한 이동으로 인해 팔의 인대가 늘어나는 등 후유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장바구니와 같이 반드시 손잡이를 이용하여 들고다니면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바구니를 들고다니거나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카트식 장바구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한 밀대 및;
상기 밀대를 이용하여 본체를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시장이나 백화점 등에서 구매한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를 들고다니거나 밀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 밀대 및 이동바퀴를 포함함으로써, 장바구니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이동바퀴가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카트식 장바구니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물품의 구매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밀대에 구비되는 보조손잡이를 더 포함함으로써, 본체로부터 밀대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대의 길이가 연장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후방스토퍼 및 전방스토퍼를 더 포함함으로써, 밀대의 회동움직임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게 되어 카트식 장바구니를 밀고 다니면서 이동시키는데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와 밀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이동바퀴가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에 설치된 손잡이의 실시 예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손잡이를 축 결합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밀대 및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를 밀면서 이동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후방스토퍼 및 전방스토퍼의 실시 예를 부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후방스토퍼 및 전방스토퍼가 구비되어 밀대의 회 동움직임을 단속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1)는 물품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들고다니거나 밀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이동에 따른 자유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시장이나 백화점 등에서 구매한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본체(10), 이 본체(10)를 들고다니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20), 상기 본체(10)를 밀고 다니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30) 및 이동바퀴(4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이와 연통하는 수용공간(12)이 내부에 마련되어 구매한 물품을 상기 수용공간(12)에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통상의 구성으로, 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써 반드시 이에 한정 짓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본체(10)의 측면에는 내구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홀이 배열형성되는데, 이는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볼 때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俠)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진열 또는 보관시 본체(10)를 상부방향으로 중첩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손잡이(20)는 구매한 물품이 담겨져 있는 본체(10)를 들고다닐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한 실시 예로써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손잡이(20)에 형성된 중심축(21)을 개구부(11)에 형성된 체결구멍(13)에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0)는 평상시 본체(10)의 안쪽에 접어놓고 있다가 물품 구매 등을 이유로 카트식 장바구니(1)가 필요해질 경우 상기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20)와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게 되는 밀대(30)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1)를 밀면서 이동시키게 된다.
그 실시 예로써 도 1 또는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외곽에 좌우편(31)(32) 및 이를 연결하는 연결편(33)으로 구성된 밀대(30)를 배치한 후 상기 좌우편(31)(32)의 끝 부분에 샤프트(Shaft)를 삽입하여 상기 본체(10)에 결합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34)는 밀대(30)를 일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좌우편(31)(32)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개구부(11)에 편심(偏心)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를 밀어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샤프트(34)를 중심으로 밀대(30)를 회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샤프트(34)를 개구부(11)의 중심에 결합하지 않고,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결합하게 되면 상기 밀대(30)의 회동시 좌우편(31)(32)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성인 기준으로 카트식 장바 구니(1)를 더욱 손쉽게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이동바퀴(40)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밀대(30)를 이용한 카트식 장바구니(1)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앞, 뒤로 한 쌍의 이동바퀴(40)가 설치되어 안정감 있는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퀴(40)를 포함하여, 밀대(30), 손잡이(20) 및 본체(1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은 구매한 물품을 손쉽게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되, 이 물품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2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를 들고다닐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반대로, 구매한 물품의 양이 많아 들기에 곤란할 경우에는 상기 밀대(30)와 이동바퀴(40)를 이용하여 본체(10)를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 장보기가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바퀴(40)는 본체(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실시 예로써 도 3에서 일부 확대하여 보인 것과 같이, 이동바퀴(40)를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축 결합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밀대(30)를 이용한 본체(10)의 움직임이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바퀴(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물품의 구매에 필요한 방향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조손잡이(35)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 보조손잡이(35)는 밀대(30)에 구비되어 상기 밀대(30)를 용이하게 회동시키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아울 러 이 밀대(30)의 길이를 연장하여 키가 큰 성인도 본체(10)를 용이하게 밀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손잡이(35)는 실시 예로써, 도 1 또는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밀대(30)를 구성하는 연결편(33)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밀대(30)를 본체(10)로부터 손쉽게 회동시키거나 키가 큰 성인이 본체(10)를 밀어 이동시키는데 따른 용이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더 포함되는 후방스토퍼(50)는 샤프트(34)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밀대(30)의 회동움직임을 단속하게 된다.
이를 위한 실시 예로써, 상기 후방스토퍼(50)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밀대(30)가 설치된 개구부(11)의 외곽에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밀대(30)를 구성하는 좌우편(31)(32)이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후방스토퍼(50)에 걸려 단속됨으로써, 상기 밀대(30)의 세움 각도(A)를 카트식 장바구니(1)를 밀고 다니기에 가장 적합한 100∼120°사이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후방스토퍼(50)를 이용한 밀대(30)의 단속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밀대(30)를 구성하는 좌우편(31)(32)에 각각 고정부(3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스토퍼(50) 또는 이 후방스토퍼(50)와 고정부(36)의 조합을 이용하여 밀대(30)의 회동상태를 단속하게 되어 카트식 장바구니(1)를 밀면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밀대(30)가 뜻하지 않게 뒤로 젖혀져 이로 인해 안전사 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전방스토퍼(51)는 본체(10)의 상부 개구부(11)에 구비되어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회동한 밀대(30)가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실시 예로써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34)와 인접한 개구부(11) 상에 전방스토퍼(51)가 힌지(Hinge)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전방스토퍼(51)를 개구부(11)에 힌지 결합하여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개구부(11)의 안쪽 또는 상부에 전방스토퍼(51)를 위치시켜 밀대(3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밀대(30)가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스토퍼(51)를 개구부(11)의 바깥으로 회동 인출하여 좌우편(31)(32)을 단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대(30)를 이용하여 본체(10)를 밀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닥의 이물질이나 과속방지턱 등에 이동바퀴(40)가 걸리더라도 전방스토퍼(51)가 밀대(30)가 단속하여 세움 각도(A)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밀대(30)의 뜻하지 않은 전방회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에 설치된 손잡이의 실시 예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카트식 장바구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후방스토퍼 및 전방스토퍼의 실시 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개구부
12 - 수용공간 20 - 손잡이
30 - 밀대 40 - 이동바퀴

Claims (5)

  1.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와 연통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한 밀대 및;
    상기 밀대를 이용하여 본체를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식 장바구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는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식 장바구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대에는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식 장바구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밀대의 회동움직임을 단속하는 후방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식 장바구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밀대의 회동움직임을 단속하는 전방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식 장바구니.
KR2020090014657U 2009-11-11 2009-11-11 카트식 장바구니 KR201100049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657U KR20110004921U (ko) 2009-11-11 2009-11-11 카트식 장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657U KR20110004921U (ko) 2009-11-11 2009-11-11 카트식 장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21U true KR20110004921U (ko) 2011-05-18

Family

ID=4929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657U KR20110004921U (ko) 2009-11-11 2009-11-11 카트식 장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9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9146S1 (en) * 2020-10-29 2022-08-02 DasDa ug Portion of a shopping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9146S1 (en) * 2020-10-29 2022-08-02 DasDa ug Portion of a shopping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118B2 (en) Connecting and stabilizing mechanism of foldable cart and foldable cart having same
JP5767489B2 (ja) 乳母車
US20170008544A1 (en) Collapsible wheeled support or carrier
US9981679B2 (en) Full folding tricycle
KR20050042756A (ko) 쇼핑용 손수레
AU2012265046B2 (en) Shopping cart displaceable by hand and having a detachable handle
KR20110004921U (ko) 카트식 장바구니
JP2009530195A (ja) 容器
NL2000227C2 (nl) Voertuig.
KR20110004922U (ko) 카트식 장바구니
JP2019112052A (ja) ベビーカー用バッグ及びベビーカー用バッグの使用方法
US20120319371A1 (en) Infant stroller with athletic accessory container
ES2306175T3 (es) Carro de compra apilable.
US989561A (en) Perambulator.
US4074826A (en) Collapsible container
US11014475B2 (en) Child car seat
IT201900009027A1 (it) Monopattino elettrico ripiegabile multifunzione
NL2008194C2 (en) Golf cart.
ES2635619B1 (es) Caballete para cochecito infantil, cochecito infantil y uso de un caballete correspondiente
BE1013785A6 (fr) Chariot orientable, prolonge ou non par une trottinette.
JPH09329A (ja) 乳母車兼用旅行鞄
US20210403072A1 (en) Storage assembly and child carrier therewith
JP3835559B1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3627751B1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KR200248107Y1 (ko) 절첩식 운반수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