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293A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4293A KR20110004293A KR1020100063805A KR20100063805A KR20110004293A KR 20110004293 A KR20110004293 A KR 20110004293A KR 1020100063805 A KR1020100063805 A KR 1020100063805A KR 20100063805 A KR20100063805 A KR 20100063805A KR 20110004293 A KR20110004293 A KR 201100042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information
- charging station
- electric vehicle
- custom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상기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충전선로, 그리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유선 혹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고객별 소비형태 및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소 서버를 포함한다.
이로써,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들린 차량에게 충전하는 긴 시간 동안 고객의 소비형태 및 취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인화된 맞춤형 부가서비스(영화, 음악, 차량 시스템,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들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지루함을 달래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상기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충전선로, 그리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유선 혹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고객별 소비형태 및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소 서버를 포함한다.
이로써,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들린 차량에게 충전하는 긴 시간 동안 고객의 소비형태 및 취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인화된 맞춤형 부가서비스(영화, 음악, 차량 시스템,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들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지루함을 달래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을 위하여 연결 된 충전방식 차량에서 다양한 정보를 받아 그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전력산업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R-2005-1-369-001, 과제명: 고부가 전력서비스용 수용가 통합자원 관리 시스템 개발].
최근의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EV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V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즉, 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언제 어디서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소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 기존의 주유소나 가스충전소와는 달리 긴 충전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차량에서 대기하는 고객의 지루함과 불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을 위하여 연결되는 전기자동차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상기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충전선로;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유선 혹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고객별 소비형태 및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소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선로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류를 연결하는 충전라인과 상기 전기자동차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라인 그리고 선로의 단부에서 상기 충전라인과 통신라인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객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충전소 서버로 전송하는 인식부; 유선 혹은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충전소 서버 및 상기 전기자동차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충전소 서버와 전기자동차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충전선로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로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소 서버는, 상기 부가서비스에 기초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제휴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전기자동차와 통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 상기 제휴사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정보 관리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데이터를 수집하는 고객관리정보 수집부; 사용중인 충전선로와 충전용량을 감시하며 충전 가능한 유휴 충전선로와 충전용량을 파악하는 충전 감시부; 고객의 인식정보에 따른 상기 CRM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고객관리정보로 관리하며 상기 고객관리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매칭하는 고객정보 관리부; 및 상기 고객의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시스템 업그레이드 정보, 개인화된 컨텐츠 정보 및 충전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와 충전선로를 연결하고 고객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충전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충전소 서버가 할당 가능한 유휴 충전용량을 파악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소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량 시스템 정보와 버전정보를 확인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와 충전선로를 연결하고 고객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충전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충전소 서버가 할당 가능한 유휴 충전용량을 파악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소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상기 고객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고객별 소비형태 및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제휴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충전중인 전기자동차의 차량 내부 시스템과 네비게이션/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편의장치를 간편하게 업데이트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전지자동차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대한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들린 차량에게 충전하는 긴 시간 동안 고객의 소비형태 및 취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인화된 맞춤형 부가서비스(영화, 음악, 차량 시스템,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들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지루함을 달래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소 사업자 측면에서는 충전중인 고객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따른 친화력과 서비스의 향상 및 부가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과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선로 연결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업데이트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객별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과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선로 연결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업데이트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객별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충전 스테이션(100), 충전소 서버(200) 및 제휴 서버(300)를 포함한다.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라인과 통신라인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소 서버(2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급전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시간 동안 차량 시스템 업데이트와 컨텐츠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제공한다. 또한, 전기자동차로부터 고객관계관리 데이터(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제휴 서버(300)는 상기 다양한 부가서비스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충전소 서버(200)로 제공하며, 예컨대, 제조사 서버(310), 컨텐츠 서버(320) 및 쇼핑몰 서버(330) 등일 수 있다.
제조사 서버(310)는 전기자동차의 제조사,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적용되는 시스템제조사, 네비게이션 및 카오디오와 같은 편의 시스템/장치 제조사 등(이하, 차량 시스템이라 통칭함)일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모델 혹은 적용된 차량 시스템에 따른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정보는 펌웨어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패치파일, 버전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컨텐츠 서버(320)는 MP3와 같은 오디오 음원 컨텐츠에서부터, DMB, VOD와 같은 멀티미디어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쇼핑몰 서버(330)는 신상품 정보, 세일정보, 알뜰 쇼핑정보, 이벤트 정보 등 쇼핑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충전소 서버(200)는 다양한 제휴사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니즈(Needs)에 맞는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과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선로 연결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은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100) 및 충전소 서버(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10)는 엔진/모터, 자동변속기, 자동브레이크시스템, 조향장치, 배터리 등의 전기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상태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차량 시스템(11)과 차량의 구동을 위한 충전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12)를 포함한다.
특히, 차량 시스템(11)은 배터리(12)의 충방전 상태를 체크하고 충방전 상태를 표시하여 알릴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오디오 시스템과 같이 차량내부에 장착되는 편의장치를 더 포함하여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장치와 오디오 시스템은 고객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스템(11)은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통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충전 스테이션(100)과의 연결시 부가서비스를 이용 및 수집된 고객정보의 전달을 위해 활성화 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0)은 통신부(110), 인식부(120), 선로 연결부(130) 및 충전선로(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선 혹은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충전소 서버(200)와 통신하는 한편 해당 주차공간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와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여기에 충전소 서버(200)와 전기자동차(1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통신부(110)는 충전소 서버(200) 및 전기자동차(10)와의 통신을 위해 각 충전 스테이션 별로 고유한 식별정보(ID)를 가지며, 상기 유선 혹은 무선 통신수단은 유선랜, 무선랜, 직비(ZigBee) 및 블루투스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래서, 충전대기/진행 시간동안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상기 유선 혹은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전기자동차(10)의 내부 시스템뿐 아니라 고객의 PDA, 노트북, 핸드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통해서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충전소 서버(200)의 연결을 통해 전기자동차(10)의 차량 시스템 업데이트, 네비게이션 및 오디오와 같은 차량 편의 장치 업데이트, 동영상 및 음원(예; mp3), 충전 스케줄(충전 대기/시작 여부) 정보, 충전상태정보(현재 배터리 충전용량, 충전 예상시간), 기상정보 업데이트, 차계부 업데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자동차(10)의 차량 시스템(11)으로부터 고객의 운전이력, 사용자 소비정보, GPS 위치추적(Tracking)정보, 음악/동영상 재생정보(횟수) 등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데이터를 수집하여 충전소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인식부(120)는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와 미리 등록되거나 혹은 발급된 고객의 ID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고객의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부(110)로 전달한다.
인식부(120)는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차량 ID)를 차량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차량 시스템과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통신을 수행하여 수집하거나,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되는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등급별로 ID 카드를 발급하거나 고객이 소지한 ID 카드를 고객정보에 매칭하여 등록함으로써 인식이 가능하다. 여기서, 캔 통신을 수행한다는 것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시스템의 통신 네트워크로 통신부(110)가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었음을 의미한다.
선로 연결부(130)는 충전 스테이션(100)과 전기자동차(10)를 연결하는 단자로 배터리(12)에 충전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인터페이스와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충전선로(140)는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충전라인(141)과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라인(142)을 포함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선로 내부에는 전류를 제공하는 충전라인(141)과 통신라인(142)이 구비되어 선로 연결부(13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플러그(143)의 연결시 통신라인(142)도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선로 연결부(130)의 인터페이스와 전기자동차의 인터페이스 구조가 미리 약속된 규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충전은 충전플러그(143)의 결합시 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지만, 바림직하게는 충전소 서버(200)의 충전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며 통신은 충전 스테이션(100)과 바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충전소 서버(200)는 외부인터페이스(210), 고객정보 관리부(220), 충전 감시부(230), 충전 설정부(240), 서비스 정보 관리부(250), 고객관리정보 수집부(260), 데이터베이스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외부인터페이스(210)는 제휴서버(300) 및 각 충전 스테이션(100) 그리고 각 충전 스테이션(200)을 통해 접속되는 고객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외부인터페이스부(210)는 유선 혹은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충전 주차공간에 구비된 충전 스테이션(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접속된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와 고객의 ID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고객 인식정보를 수신한다.
고객정보 관리부(220)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수신된 고객 인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고객정보 관리부(220)는 고객(차량)의 식별정보에 따라 고객의 운전이력정보, 소비행태/취향정보, 고객관심정보 등의 CRM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고객관리정보로 관리하며, 고객관리정보에 해당 고객별로 개인화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매칭하여 관리한다.
충전 감시부(230)는 충전소 내에 현재 충전중인 선로와 충전용량을 감시하며, 충전 가능한 선로와 가용 충전용량을 파악한다.
충전 설정부(240)는 각 충전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충전선로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요청된 충전 스테이션(100)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이 때, 충전 설정부(240)는 고객의 등급 및 비용지불수단을 통해 충전레벨을 상향 설정하여 급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등급은 고객의 등급을 차등 구분한 것으로 예컨대, 일정기간 정기충전고객(우대고객) 및 이용충전이용횟수/용량에 따라 차등 적용할 수 있으며, 비용지불수단은 추가충전금액, 마일리지, 우대쿠폰, 제휴사와의 우대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서비스 정보 관리부(250)는 제휴 서버(300)로부터 각종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차량 시스템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 음원 및 동영상과 같은 각종 컨텐츠 정보, 쇼핑 정보, 금융 정보, 스포츠 정보, 여행정보, 날씨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들은 고객관리정보를 토대로 개인화된 부가서비스 정보로 가공되어 해당고객의 접속시 제공된다.
고객관리정보 수집부(260)는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연결된 전기자동차(10)로부터 고객의 운전이력정보, 소비행태정보, 고객관심정보 등의 CRM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CRM 데이터는 고객별 개인화된 부가서비스정보의 가공을 위해 활용되며,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체인망인경우 본사의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70)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운영을 위한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자동차 충전소의 이용에 따라 고객별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80)는 충전소 서버(2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제어부(28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고객의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충전상태정보, 부가서비스 정보 및 차량 시스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부가서비스 제공부(270)는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연결된 차량내부 시스템 또는 고객 단말에 충전 스케줄 정보(예; 충전 대기/시작 여부), 충전상태정보(예; 현재 배터리 충전용량, 충전 예상시간), 프리미엄 충전서비스(예; 비용지불수단을 통해 충전용량이 향상된 급충전 서비스),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기상정보 업데이트, 영화, 오락프로, MP3등의 컨텐츠 서비스, 차량정보 업데이트(차량의 구동버전) 및 차량관리(에너지, 소모품 관리등의 차계부) 등의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시스템이 충전 중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진입한 차량(전기자동차)이 충전용 주차공간에 주차하여 충전선로를 연결하면 해당 주차공간에 구비된 충전 스테이션(100)이 고객 인식정보를 인식하여(S101), 충전소 서버(200)로 전송한다(S102). 여기서, 상기 충전선로의 연결은 충전라인 뿐아니라 통신라인이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와 충전소 서버가 통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고객 인식정보를 상기 차량과의 연결을 통한 차량 시스템(11)이나, 미리 등록된 ID카드를 통하여 인식하여 충전소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실질적인 충전을 요청이 이루어진다.
충전소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수신되는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와 고객의 ID 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고객 인식정보를 파악한다(S103). 그리고,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할당 가능한 유휴 충전용량을 파악하여(S104), 충전용량이 충분한 경우 충전을 시작하고, 상기 충전용량이 부족하면 가능시까지 대기 후 충전한다(S105). 이 때, 충전소 서버(200)는 충전 스케줄 정보(예; 충전 대기/시작 여부), 충전상태정보(예; 현재 배터리 충전용량, 충전 예상시간), 프리미엄 충전서비스(예; 비용지불수단을 통해 충전용량이 향상된 급충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진행 상황정보를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전기자동차(10)로 전달한다(S106).
충전소 서버(200)는 충전중인 전기자동차의 차량 및 편의시스템이 최신버전인지 확인하여(S107), 최신버전이 아닌 경우 차량 시스템 및 편의장치의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S108), 반면, 이미 최신버전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서비스를 생략한다.
충전소 서버(200)는 전기자동차(10)의 CRM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의 GPS 정보, 운전이력, 소비정보 등을 파악한다(S110). 그리고, 파악된 CRM 데이터를 토대로 개인화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전기자동차(10)로 제공한다(S111, S112).
이후, 충전소 서버(20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완료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전기자동차로 전달하여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S114).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업데이트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기자동차는 기계적인 구동을 위해 수 많은 부품 및 장치들이 연동하는 한편, 이들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이 내부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운행을 고려한 다양한 편의장치들이 장착되는데 반해 이를 일일이 관리하는 것이 불편할 뿐아니라 전문가의 도움 없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5의 S108 단계를 구체화한 하나의 실시 예로 전기자동차(10)가 충전소 서버(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자동차(10)의 차량 시스템(11)의 종류(모델) 및 버전정보를 수집하여 파악한다(S1081). 이 때, 수집되는 정보는 전기자동차의 제조사,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적용되는 시스템제조사, 네비게이션 및 카오디오와 같은 편의 시스템/장치 제조사 등의 고유 모델정보와 적용중인 버전정보이며 차량 시스템(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충전소 서버(200)는 수집된 상기 버전정보를 상기 차량 시스템(11)을 제조한 제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최신 업데이트 버전 정보와 비교하여(S1082),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차량 시스템 업데이트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전기자동차(10)로 전송한다(S1083). 여기서, 업데이트 정보는 펌웨어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패치파일, 버전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전기자동차(10)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한 다음 업데이트가 완료됨에 따라 업데이트 완료 확인메시지를 수신한다(S1084~S1086).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휴사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충전중인 전기자동차의 차량 내부 시스템과 네비게이션/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편의장치를 간편하게 업데이트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전지자동차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대한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객별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5의 S112 단계를 구체화한 하나의 실시 예로 전기자동차(10)가 충전소 서버(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이력 및 음악/동영상 재생정보와 같은 CRM 데이터를 수집한다(S1121). 상기 운전이력정보는 GPS 의 위치이동정보 또는 네비게이션의 운행정보(목적/경유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동영상 재생정보는 고객이 전기자동차를 이용 중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횟수, 재생시간을 통계로 고객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의 A백화점과 B골프장으로 운행한 운전이력정보와 음악(MP3)의 재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파악된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및 최신 음악 컨텐츠를 상기 전기자동차(10)의 고객정보에 매칭하여(S1122), 개인화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S1123). 즉, A백화점의 신상품 및 가격할인 이벤트 정보와 B골프장의 요금할인정보와 같은 광고 컨텐츠 및 최신 MP3 음악파일 다운로드 목록을 메뉴화하여 개인화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는 해당정보로의 링크가 설정된 웹 페이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충전소 서버(200)는 고객이 개인화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통해 MP3 컨텐츠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고, 컨텐츠 다운로드 완료에 따른 메시지를 수신한다(S1124~S1127). 이외에도 A백화점 및 B골프장에 대한 이벤트 쿠폰 등을 모바일을 통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들린 차량으로 충전하는 긴 시간 동안 고객의 소비형태/취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인화된 맞춤형 부가서비스(영화, 음악, 차량 시스템, 네비게이션 업데이트)들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지루함을 달래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소 사업자 측면에서는 충전중인 고객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따른 친화력과 서비스의 향상 및 부가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충전 스테이션(100)은 선로 연결부(130)에 충전플러그(143)가 결합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충전 스테이션(100)로부터 연장된 충전선로(140)가 충전플러그(143)를 통해 전기자동차(10)의 선로 연결부에 결합되는 구조도 설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충전선로(140)는 양단에 충전플러그(143)가 각각 구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전기자동차(10)의 충전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 및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따른 설명에서는 고객의 업데이트 요청 및 컨텐츠 구매요청에 따른 과금을 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과금결제를 수행하는 것은 일반적인 전자결제 또는 충전요금 결제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기본 충전요금이외에 추가 지불에 따른 프리미엄 충전서비스(급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위의 도 6 및 도 7에 기초한다면 예측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상기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충전선로;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유선 혹은 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고객별 소비형태 및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소 서버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선로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류를 연결하는 충전라인과 상기 전기자동차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라인 그리고 선로의 단부에서 상기 충전라인과 통신라인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객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충전소 서버로 전송하는 인식부;
유선 혹은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충전소 서버 및 상기 전기자동차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충전소 서버와 전기자동차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충전선로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인터페이스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로 연결부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서버는,
상기 부가서비스에 기초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제휴사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전기자동차와 통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
상기 제휴사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정보 관리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데이터를 수집하는 고객관리정보 수집부;
사용중인 충전선로와 충전용량을 감시하며 충전 가능한 유휴 충전선로와 충전용량을 파악하는 충전 감시부;
고객의 인식정보에 따른 상기 CRM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고객관리정보로 관리하며 상기 고객관리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매칭하는 고객정보 관리부; 및
상기 고객의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시스템 업그레이드 정보, 개인화된 컨텐츠 정보 및 충전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RM 데이터는,
고객의 운전이력정보, 소비행태정보, 고객관심정보, 컨텐츠 재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시스템의 종류와 적용된 버전정보의 상위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량 시스템에 설치되는 부가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CRM 데이터 및 차량 시스템의 종류와 버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충전소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서버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충전선로에 전류를 인가 혹은 차단하고 고객에 따라 충전레벨을 조절하는 충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와 충전선로를 연결하고 고객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충전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충전소 서버가 할당 가능한 유휴 충전용량을 파악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소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량 시스템 정보와 버전정보를 확인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연결되는 상기 충전선로를 통해 충전라인과 통신라인이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구동제어를 위한 차량 내부 시스템 제조사, 네비게이션 및 카오디오 시스템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의 모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시스템에 적용된 버전정보를 각각 최신 업데이트 버전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기 차량 시스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전기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충전중인 고객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구비되는 충전 스테이션이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와 충전선로를 연결하고 고객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충전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충전소 서버가 할당 가능한 유휴 충전용량을 파악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소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로부터 상기 고객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고객별 소비형태 및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RM 데이터는,
상기 고객의 운전이력정보, 음악 및 동영상 컨텐츠 재생정보, 소비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객의 인식정보에 따른 상기 CRM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고객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리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개인화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제 13 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파악에 따른 충전스케줄 및 충전진행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비용지불수단을 통해 단위시간당 충전용량이 향상되는 급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1839 | 2009-07-07 | ||
KR20090061839 | 2009-07-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4293A true KR20110004293A (ko) | 2011-01-13 |
KR101154525B1 KR101154525B1 (ko) | 2012-06-13 |
Family
ID=4361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3805A KR101154525B1 (ko) | 2009-07-07 | 2010-07-02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4525B1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5455A1 (ko) * | 2012-02-01 | 2013-08-0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들 및 장치들 |
KR101356666B1 (ko) * | 2011-12-15 | 2014-02-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차량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413291B1 (ko) * | 2012-10-10 | 2014-06-27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KR101483083B1 (ko) * | 2012-10-26 | 2015-01-19 | 한국전기연구원 | 전기자동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50921A (ko) * | 2015-11-02 | 2017-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정보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
WO2020007837A1 (de) * | 2018-07-02 | 2020-01-09 | Daimler Ag |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ischen fahrzeugs |
KR102186804B1 (ko) * | 2020-07-29 | 2020-12-04 | (주)동은전지 | 이차전지 공용 고주파 충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관리시스템 |
KR20210011630A (ko) * | 2019-07-23 | 2021-02-02 | (주)아이비티 | 빌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
CN112406538A (zh) * | 2019-08-21 | 2021-02-26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电动车辆的电力管理装置及方法 |
KR102394617B1 (ko) * | 2021-06-30 | 2022-05-06 | 대영채비(주) |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89053A (ko) * | 2020-12-21 | 2022-06-28 |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 패턴 비교부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 장치 |
KR102479087B1 (ko) * | 2021-12-08 | 2022-12-19 |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사업자들 및 차량 제조사들을 연결하는 중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진단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
KR102504952B1 (ko) * | 2022-08-01 | 2023-03-02 | 주식회사 와이비에너지 | 휴게실 겸용 전기차 충전스테이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3053B1 (ko) * | 2012-05-21 | 2014-12-2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충전 스탠드의 데이터 갱신 방법 |
KR101548948B1 (ko) | 2013-03-08 | 2015-09-03 | 주식회사 케이티 | 충전중인 전기차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
KR20180100986A (ko) | 2017-03-03 | 2018-09-12 |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80100973A (ko) | 2017-03-03 | 2018-09-12 |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31221A (ko) | 2018-09-14 | 2020-03-24 | 김봉진 | 충전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KR20200031220A (ko) | 2018-09-14 | 2020-03-24 | 김봉진 |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서비스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6973A (ja) * | 2002-09-04 | 2004-03-25 | Kenwood Corp | データ取得システム |
KR100824073B1 (ko) * | 2006-03-22 | 2008-04-21 | 호진형 | 차량 연계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
-
2010
- 2010-07-02 KR KR1020100063805A patent/KR1011545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666B1 (ko) * | 2011-12-15 | 2014-02-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차량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WO2013115455A1 (ko) * | 2012-02-01 | 2013-08-0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들 및 장치들 |
KR101413291B1 (ko) * | 2012-10-10 | 2014-06-27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KR101483083B1 (ko) * | 2012-10-26 | 2015-01-19 | 한국전기연구원 | 전기자동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50921A (ko) * | 2015-11-02 | 2017-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정보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 |
WO2020007837A1 (de) * | 2018-07-02 | 2020-01-09 | Daimler Ag |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ischen fahrzeugs |
US11993245B2 (en) | 2018-07-02 | 2024-05-28 | Daimler Ag |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
CN112368173A (zh) * | 2018-07-02 | 2021-02-12 | 戴姆勒股份公司 | 电动车辆操作方法 |
KR20210011630A (ko) * | 2019-07-23 | 2021-02-02 | (주)아이비티 | 빌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
CN112406538A (zh) * | 2019-08-21 | 2021-02-26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电动车辆的电力管理装置及方法 |
KR102186804B1 (ko) * | 2020-07-29 | 2020-12-04 | (주)동은전지 | 이차전지 공용 고주파 충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관리시스템 |
KR20220089053A (ko) * | 2020-12-21 | 2022-06-28 |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 패턴 비교부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 장치 |
KR102394617B1 (ko) * | 2021-06-30 | 2022-05-06 | 대영채비(주) |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KR102479087B1 (ko) * | 2021-12-08 | 2022-12-19 |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사업자들 및 차량 제조사들을 연결하는 중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진단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
KR102504952B1 (ko) * | 2022-08-01 | 2023-03-02 | 주식회사 와이비에너지 | 휴게실 겸용 전기차 충전스테이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4525B1 (ko) | 2012-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4525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1102618B1 (ko)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교체 충전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US9886813B2 (en) |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to user equipment associated with electric vehicle | |
JP5585515B2 (ja) | 情報配信システム | |
CN107046553B (zh) | 车辆服务处理方法及移动终端 | |
CN107843265A (zh) | 车辆系统、装载有副车辆的车辆的导航系统及出行方法 | |
CN105957260A (zh) | 一种电动汽车分时租赁预约充电系统及方法 | |
CN104394472B (zh) | 一种3g车载无线视频娱乐点播系统及方法 | |
KR101483083B1 (ko) | 전기자동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20190087927A (ko) | 광고 차량 및 차량용 광고 시스템 | |
US11945323B2 (en) | Cooperative automotive mobile charging infrastructure | |
US930530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batching content for playback on an electronic device | |
JP2019180226A (ja) | バッテリーの紐付け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WO2012160665A1 (ja) | 充電支援装置 | |
JP2011166355A (ja) | 広告配信機能付き給電システム | |
WO2015039588A1 (zh) | 基于设备识别信息的设备启用控制系统及控制方法 | |
JP7024630B2 (ja)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 |
KR20120102462A (ko) | 전기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 |
CN113870485B (zh) | 通信系统及通信控制方法 | |
KR20210036178A (ko) | 차량 충전 상태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JPWO2019082919A1 (ja) | 充電課金システム及び充電課金方法 | |
JP4158894B2 (ja) | 路車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 |
US20100312607A1 (en) | Advertisement delivery method | |
KR20210038003A (ko) | 전기차 충전소의 광고 연계 및 충전 결제 시스템 | |
US20180166907A1 (en) | Wireless charging service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