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544A -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 - Google Patents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544A
KR20110003544A KR1020107026237A KR20107026237A KR20110003544A KR 20110003544 A KR20110003544 A KR 20110003544A KR 1020107026237 A KR1020107026237 A KR 1020107026237A KR 20107026237 A KR20107026237 A KR 20107026237A KR 20110003544 A KR20110003544 A KR 20110003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shell
particles
inorgan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733B1 (ko
Inventor
울리치 놀테
미카엘 베르케이
토마스 사비토브스키
나딘 바스칠로브스키
Original Assignee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0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8Polymer particles coated by inorganic and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9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 C08J23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5Silane, siloxane or silicon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Cosmetic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왁스를 갖는 유기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무기계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사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PARTICULATE WAX COMPOSITES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미립자 왁스-함유 복합체 재료("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왁스-함유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싼 무기 쉘 또는 코팅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 및 이들 복합체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사용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특히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예를 들어 특히 페인트, 잉크 등, 모든 종류의 분산물, 플라스틱, 폼, 화장품, 특히 네일 바니시(매니큐어액), 접착제, 실란트 등에서 이들 복합체 입자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특히 전술한 시스템에서 필러 또는 성분으로서 이들 복합체 입자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들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이러한 시스템, 특히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예를 들어 특히 페인트, 잉크 등, 플라스틱, 폼, 및 화장품, 예를 들어 특히 네일 바니시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담체 매질 또는 분산 매질 중에 이들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혁신적인 분산물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다.
코팅 시스템 및 분산 시스템(예를 들어, 페인트, 잉크, 예를 들어 인쇄용 잉크, 코팅제를 포함하는), 및 플라스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히 구체적으로 그들의 마모 특성, 예를 들어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첨가제 및 필러, 예를 들어 왁스 또는 무기 필러 입자(예를 들어, 나노입자라 부르는 것)의 혼입이 당업자에게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무기 필러 입자는 실제로 어떤 환경에서는 이들이 사용된 코팅 시스템(예를 들어, 페인트)의 내스크래치성을 개선한다; 그러나, 적용 후, 결과의 코팅 막(예를 들어, 페인트 막)의 취약성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들 필러 입자의 혼입은 주로 코팅 시스템의 원치 않는 흐림 현상과 결함 있는 투명성을 가져온다. 이에 더하여,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필러 함량이 빈번히 필요하며, 이것은 결과의 분산 시스템의 안정화를 훨씬 어렵게 만들고, 비용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JP 07138484 A는, 예를 들어 왁스, 오일 또는 수지와 분말 무기 재료, 예를 들어 탈크 또는 실리카의 혼합물로부터 압출물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혼입된 추가 성분들이 왁스와 함께 압출 작업 동안 개선된 유동성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한다.
JP 06166756 A는 유화제로서 왁스 100 중량부 당 1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소수성 실리카를 사용한, 불활성 기체, 바람직하게는 불화탄화수소,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펜탄 중의 0.1 내지 100㎛의 입경을 갖는 미세 분말 왁스 입자의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유화제로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소수화된 실리카는 친수성 실리카의 표면을 소수화제, 특히 할로겐화된 알킬실란 또는 알콕시실란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JP 2004-339515 A는 표면-변형 특성을 갖는 침전 실리카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식으로 제조된 실리카는 페인트에서 소광제로서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표면 변형은 실리카 표면을 폴리에틸렌 왁스로 처리함으로써 일어나며, 그 결과 왁스-코팅된 실리카 입자가 얻어진다.
KR 10-2004-0098585 A는 폴리유기실록산 폴리머로 표면이 코팅된 침전 실리카,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표면-변형된 실리카는 투명 코팅 재료용 소광제로서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KR 10-2005-0094496 A는 왁스 입자와 라텍스 입자 사이의 커플링도를 개선하고, 그 과정에서 왁스 에멀젼을 미리 제조할 필요성을 없앰으로써 제조 과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코어/쉘 폴리머 라텍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식으로 제조된 제조물은 전자사진식 이미지 장치, 특히 복사기용 토너 조성물로서의 사용을 의도한다.
WO 95/31508 A1는 소광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왁스-코팅된 실리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EP 1 182 233 B1은 왁스로 실리카를 커버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취지는 여기 설명된 실리카를 페인트에서 소광제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EP 1 204 701 B1은 표면에 가까운 코팅 영역의 혼입된 필러 입자의 농도가 아래 놓인 코팅 영역의 이들 입자의 농도보다 더 큰, 코팅에 존재하는 필러 입자들의 농도 구배를 특징으로 하는 기판 위의 경화된 코팅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의 결과로서 코팅의 불균질성으로 인해 오로지 표면 영역에서만 개선이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US 2006/0228642 A1은 내부 왁스 코어와 외부 라텍스 쉘을 갖는 코어/쉘 구조를 가진 폴리머 라텍스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취지는 이러한 입자를, 특히 토너 조성물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코팅 시스템의 기계적 특성의 개선을 위한, 특히 내마모성의 증가를 위한 왁스-함유 복합체 입자는 선행 기술에서 지금까지 제안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전술한 시스템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종래의 입자와 관련된 단점들을 적어도 대부분 없애거나 또는 적어도 약화시키는, 전술한 종류의 필러 입자를 제공하고, 또한 이러한 입자의 상응하는 제조 방법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서두에 특정된 시스템에 혼입되었을 때, 효과적인 성능 증진을 유도하며, 특히 코팅 시스템 및 분산 시스템(예를 들어, 페인트, 잉크, 예를 들어 인쇄용 잉크, 코팅제 등), 및 플라스틱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는데, 특히 이들의 마모 특성, 특히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멸성을 증가시키는데 적합한, 서두에 특정된 타입의 혁신적인 필러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개략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따라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를 제안한다; 추가로, 유리한 구체예들이 각 종속항들의 내용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5 항 내지 제 28 항에 재현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속해서 관련 용도 청구범위 항들(청구범위 제 29 항 내지 제 31 항)에 재현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입자의 진보성 있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속해서 담체 매질 또는 분산 매질 중에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물을 제공한다(청구범위 제 32 항).
추가로,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특히 페인트, 잉크 등, 플라스틱, 폼, 화장품, 특히 네일 바니시, 접착제, 및 실란트를 제공한다(청구범위 제 33 항).
본 발명의 각 하나의 양태와만 관련된 설명들은 명백히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도 동등하게 상응하여 적용된다는 것이 하기 본문에서 인정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왁스를 포함하는 유기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무기계 쉘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무엇보다도 내부 왁스 코어와 외부 무기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또는 복합체 입자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복합체 입자는 지금까지 제공되지 않았다. 이들 입자는 한편의 왁스와 다른 한편의 각 무기 쉘 재료의 단일 구조 또는 단일 입자에 긍정적인 특성들을 통합하며, 전술한 종류의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에 필러 입자로서 이들의 혼입은 기계적 특성의 유의한 개선, 특히 내마모성, 특히 내스크래치성 및/또는 내마멸성의 증가를 가져온다.
종래의 벌크 상태의 순수한 광물성 또는 무기 필러 입자와 비교하여, 동일한 성능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양은 낮은 비 고유 중량(specific inherent weight)의 결과로서 상당히 낮아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는 전술한 시스템에 균질하며 안정하게 혼입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특히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예를 들어 페인트, 잉크 등에 이들의 혼입은 비교적 낮은 굴절률의 결과로서 해당 시스템의 흐림 현상을 상당히 적게 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와 관련해서, 이들 복합체 입자는 일반적으로 1 내지 1000nm, 특히 5 내지 800nm, 바람직하게 10 내지 700nm, 더 바람직하게 20 내지 600nm, 매우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nm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입자 크기는, 예를 들어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식 초원심분리 또는 동적 광산란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왁스-포함 코어는 1 내지 400nm, 특히 5 내지 300 nm, 바람직하게 10 내지 200nm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특정된 크기 표시 및 범위 표시 모두에 대해, 개별 사례 또는 특정 응용을 위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이들을 벗어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쉘을 형성하는 무기 재료의 분율과 관련해서, 이 분율은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쉘-형성 무기 재료의 분율은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0.5중량% 내지 80중량%, 특히 5중량%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 10중량% 내지 70중량%이다. 다른 한편의 코어-형성 유기 재료, 특히 왁스의 분율은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99.5중량% 내지 20중량%, 특히 95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 90중량%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쉘과 관련해서, 이 쉘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도핑된 무기 산화물(예를 들어, TiO2, ZnO, Al2O3, SiO2, CeO2, Fe2O3, Fe3O4 등), 수산화물(예를 들어, Al[OH]3 등), 산화물 수산화물(예를 들어, AlOOH 등), 바나듐산염(예를 들어, BiVO4 또는 YVO4:Bi3 +, Eu3 +), 텅스텐산염(예를 들어, CaWO4), 아파타이트, 티탄산염, 불화물(예를 들어, YbF3 또는 CaF2:Eu2 +), 제올라이트, 황산염(예를 들어, 알칼리토금속 황산염, 예를 들어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 인산염(예를 들어, 알칼리토금속 인산염, 예를 들어 인산칼슘, 또는 인산란탄 등), 황화물(예를 들어, 황화카드뮴, 황화아연 등), 탄산염(예를 들어, 알칼리토금속 탄산염, 예를 들어 탄산마그네슘, 또는 탄산칼슘 등), 규산염(예를 들어, 알칼리토금속 규산염, 예를 들어 규산칼슘 등), 및/또는 금속(예를 들어, 은),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것은 무기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황산염, 바나듐산염, 불화물, 텅스텐산염, 인산염, 황화물, 탄산염, 규산염, 및/또는 금속의 군으로부터의 전술한 쉘 재료가 각 매질에서 용해도가 낮은 형태를 갖는 것이다.
특히, 쉘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반금속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황산염, 인산염, 황화물, 탄산염, 규산염, 또는 어떤 다른 금속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쉘은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규소, 아연, 티탄, 세륨 및/또는 철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 수산화물, 알칼리토금속 황산염, 알칼리토금속 인산염 또는 인산란탄, 황화카드뮴 또는 황화아연, 알칼리토금속 탄산염, 알칼리토금속 규산염 또는 은,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쉘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TiO2, ZnO, Al2O3, SiO2, CeO2, Fe2O3, Fe3O4, Al(OH)3, Al(O)OH, 알칼리토금속 황산염(예를 들어,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 알칼리토금속 인산염(예를 들어, 인산칼슘), 인산란탄, 황화카드뮴, 황화아연, 알칼리토금속 탄산염(예를 들어,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등), 알칼리토금속 규산염(예를 들어, 규산칼슘 등) 및/또는 은, 및 또한 이러한 화합물들의 혼합물 또는 조합이다.
쉘은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산화세륨,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매우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쉘은 이산화규소(예를 들어, 특히 고 분산 SiO2 또는 폴리실리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쉘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층 두께로, 특히 침전물로서(즉, 제조와 관련된 침전 생성물로서) 코어 상에 도포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코어와 관련해서, 이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왁스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왁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왁스는 특히 (i) 천연 왁스, 특히 식물성, 동물성, 및 광물성 왁스; (ii) 화학 변성 왁스; (iii) 합성 왁스; 및 또한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왁스의 개념과 관련해서, 이 용어는 천연에서 또는 인공적으로 또는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일련의 물질들을 현상학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다음의 특성들을 갖는 것을 말한다: 왁스는 20℃에서 반죽 가능함, 고체 내지는 취약한 경질, 조대 내지는 미세한 결정질, 반투명 내지는 불투명, 그러나 광택은 없음, 40℃ 이상에서 분해 없이 용융, 그러나 용융점을 약간만 넘어도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아짐, 그리고 일반적으로 유리하게는 실처럼 늘어나지 않음, 강한 온도-의존성 컨시스턴시 및 용해도를 나타냄, 그리고 온건한 압력에서 폴리싱 가능함. 상기 언급된 특성들 중 두 가지 이상이 없다면, 이 물질은 DGF(Deutsche Gesellschaft fur Fettwissenschaften)에 따라서 왁스가 아니다(DGF 표준 방법 M-I 1 (75) 참조).
왁스는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90℃에서, 특별한 경우에는 심지어 약 200℃까지에서 이들이 액체-용융물, 저-점도 상태로 전이되고, 실질적으로 회(ash)-형성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사한 합성 또는 천연 산물(예를 들어, 수지, 플라스틱 덩어리, 금속 비누 등)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왁스는 페이스트나 겔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거무스름한 불꽃을 내며 연소된다.
그 기원에 따라서, 왁스는 세 가지 그룹으로 나뉘는데, 즉 (i) 식물성 왁스(예를 들어,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일본 왁스, 에스파르토 풀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쌀배아유 왁스, 사탕수수 왁스, 오우리쿠리 왁스, 몬탄 왁스 등), 동물성 왁스(예를 들어, 밀랍, 셸락 왁스, 경랍, 라놀린 또는 울 왁스, 우지선 그리스 등), 및 광물성 왁스(예를 들어,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또는 지랍 등)를 포함하는 천연 왁스; (ii) 하드 왁스(예를 들어, 몬탄 에스테르 왁스, Sasol 왁스, 수소화 호호바 왁스 등)를 포함하는 화학 변성 왁스; 및 (iii) 폴리알킬렌 왁스, 폴리알킬렌 글리콜 왁스(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포함하는 합성 왁스이다.
천연 신생("재생가능") 왁스의 주 구성성분은 장쇄 지방산(왁스 산)과 장쇄 지방 알코올, 트리테르펜 알코올 또는 스테로이드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이들 왁스 에스테르는 또한 자유 카르복실 및/또는 히드록실 기를 함유하며, 이로써 소위 왁스 비누가 유화력을 가지게 된다. 천연 화석 왁스, 예를 들어 아탄 또는 석유 유래 왁스는, 예를 들어 Fischer-Tropsch 합성에 의한 왁스 또는 폴리알킬렌 왁스(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왁스)와 마찬가지로, 직쇄 탄화수소로 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자는 출처에 따라서 분지쇄 또는 고리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개 이들 "탄화수소" 왁스는 후속 산화 과정 등에 의해서, 폴리올레핀 왁스의 경우, 카르복실기와의 코모노머에 의해서 관능화된다.
왁스 개념에 관한 더 상세한 사항은, 예를 들어 Rompp Chemielexikon, 10th edition, volume 6, 1999,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New York, page 4906, entry heading: "Wachse" [Waxes], 및 본원에서 참고하는 문헌, 특히 Cosm. Toil. 101, 49 (1986), 그리고 또한 DGF standard methods, division M - waxes and wax products, 7th supplement 05/1999, Stuttgart: Wissenschaftliche Verlagsgesell-schaft를 참고하며, 전술한 참고문헌들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를 위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왁스는 쉘의 무기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히 그것과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능기는 바람직하게 극성기, 특히 O, N 및/또는 S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O를 함유하는 기, 바람직하게 히드록실기, 폴리에테르기, 특히 폴리알킬렌 옥시드기, 및/또는 카르복실기, 매우 바람직하게 폴리에테르기 및/또는 히드록실기이다. 복합체 입자의 코어를 형성하는 왁스의 관능기는 무기 쉘 재료에 대한 왁스 재료의 친화성을 유도하거나 증가시키며, 이로써 쉘 재료에 의한 왁스 코어의, 특히 균질한 또는 균일한 코팅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유기계 코어와 관련해서, 이 코어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또는 단일-코어 구성을 가질 수 있거나(즉, 말하자면, 하나의 균질한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둘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말하자면, 다중-코어 조성을 가질 수 있다.
한 특정 구체예에 따라서, 표면-변형 디자인을 가지도록 한 본 발명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의 무기계 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면 변형은 폴리실록산기에 의해서 유리하게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쉘의 표면에 또는 표면 상에 폴리실록산기가, 바람직하게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 특히 화학적 공유 결합에 의해서 적용된다.
폴리실록산기에 의한 상응하는 표면 변형은, 특히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가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에 필러로서 혼입되었을 때,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성능 특성을 훨씬 더 증가시키거나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기에 의한 표면 변형은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얻는 분산물의 침강 경향 및 겔-형성 경향을 감소시킨다. 이에 더하여, 건조 및/또는 경화된 코팅 시스템의 취성이 효과적으로 중화된다.
표면 변형의 추가의 이점은, 분산 시스템에 필러 입자로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혼입이 바인더와의 상호작용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치고, 이 과정에서 투명도 및 굴절률이 표면 변형되지 않은 입자에 비하여 훨씬 더 개선되며, 특히 굴절률의 차이가 감소된 결과로서, 광 산란이 상당히 적어진다는 것이다.
표면 변형, 특히 폴리실록산기에 의한 변형은 선행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해서, 특허출원 DE 10 2005 006 870 A1 또는 EP 1 690 902 A2 및 DE 10 2007 030 285 A1 또는 PCT/EP2007/006273을 참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출원인이 직접 발명한 것으로서,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 포함된다. 모든 전술한 공보들은 폴리실록산에 의한, 유리하게는 화학적, 특히 공유, 결합의 형성을 통한 금속- 또는 반금속-산화성 또는 수산화성 표면의 표면 변형에 관한 것이다.
추가하여,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상기 설명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의 제조 방법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되며, 이 방법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왁스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왁스로 구성된 유기계 입자가 무기계 쉘로 코팅되고, 이로써 유기계 왁스 입자가 무기계 쉘로 감싸진다.
상기 설명된 대로, 1 내지 400nm, 특히 5 내지 300nm, 바람직하게 10 내지 200n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왁스를 포함하거나 왁스로 구성된 출발 입자가 사용되고, 쉘의 무기계 재료로 코팅된 후에는, 1 내지 1000nm, 특히 5 내지 800nm, 바람직하게 10 내지 700nm, 더 바람직하게 20 내지 600nm, 매우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n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입자가 얻어진다.
상기 설명된 대로, 쉘-형성 무기 재료는 결과의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0.5중량% 내지 80중량%, 특히 5중량%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 10중량% 내지 7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및/또는 코어-형성 유기 재료, 특히 왁스는 결과의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99.5중량% 내지 20중량%, 특히 95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 90중량%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기 쉘 재료와 관련해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에 관한 상기 서술한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해서 동등하게 적용된다.
사용된 왁스와 관련해서, 이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에 관한 상기 서술한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관련해서 상응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관련해서, 쉘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층 두께로 코어에 도포되며, 이것은 특히 침전 반응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하기 상세히 더 설명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관련해서,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왁스 입자의 분산물을 제공하고, 그 다음 왁스 입자를 무기계 쉘 재료로 코팅하는데, 무기계 쉘 재료가, 특히 침전 반응에 의해서 왁스 입자 상에 부착된다.
이와 관련해서, 무기계 쉘 재료의 상응하는 전구물질을 사용하고, 이것이 계속해서 인시튜 반응조건에서(예를 들어, 가수분해하에) 무기 쉘 재료를 형성하고, 왁스-함유 코어 상에 부착되는데, 특히, 왁스-함유 코어 상에 부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무기계 쉘 재료는, 특히 침전 반응의 일부로서, 인시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로서, 무기계 쉘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실릭 에스테르(silicic ester)로부터, 특히 침전 반응의 일부로서, 인시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찰되는 실릭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유기 실릭 에스테르, 특히 C1-C10 알코올의 실릭 에스테르,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알콕시실란을 포함하며, 이들이 계속해서 인시튜 가수분해되고 및/또는 왁스 입자의 극성기와 반응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왁스 입자를 감싸는 쉘로서 왁스 입자 상에 폴리실리카 또는 이산화규소로서 부착된다. 다음에, 이것은, 특히 폴리실록산기에 의해서, 특히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표면 변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방식으로 얻어진 입자 또는 복합체 입자의 제거 또는 분리가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주어진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 입자의 무기계 쉘은, 특히 폴리실록산기의 적용에 의해서, 표면 변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더 상세한 사항은 상기 서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코어 재료로서 특히 마이크론화된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을 무기 쉘로 코팅하여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생성할 수 있다. SiO2가 바람직한 쉘 또는 외피 재료이지만, 본 발명은 SiO2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대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표면은, 상기 설명된 대로, 특히 폴리실록산에 의해서, 표면-변형되거나 관능화될 수 있다.
추가하여,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필러로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의 사용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는 특히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특히 페인트, 잉크 등, 모든 종류의 분산물, 플라스틱, 폼, 화장품, 특히 네일 바니시, 접착제, 및 또한 실란트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필러 또는 성분 또는 첨가제의 자격으로서 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는, 특히 전술한 시스템에서 기계적 특성의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특히 내마모성, 바람직하게 내스크래치성 및/또는 내마멸성의 증가에 기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서, 담체 매질 또는 분산 매질 중에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물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특히 페인트, 잉크 등, 플라스틱, 폼, 화장품, 특히 네일 바니시, 접착제, 및 실란트가 본 발명에 의해서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에 관해서, 왁스-기재 코어와 무기 쉘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유기-무기계 하이브리드 입자 또는 복합체 입자가 최초로 제공되며, 이것은 전술한 시스템에 혼입되었을 때, 유의한 성능 증진, 특히 기계적 특성, 특히 내마모성, 바람직하게 내스크래치성 및/또는 내마멸성의 유의한 개선을 가져온다.
벌크 상태의 광물성 재료로 이루어진 선행 기술의 광물성 필러 입자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는 상당히 더 낮은 밀도 또는 고유 중량을 가진다. 그 결과, 해당 시스템의 기계적 특성은 필러 입자의 부피 분율에 의해 결정되므로, 비슷한 특성 및/또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는 순수한 광물성 필러 입자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중량을 정량하여 사용하면 되게 된다. 이것은 상당한 비용 절약뿐만 아니라 훨씬 높은 성능의 분산물을 가져오며, 필러 함량이 감소된 결과로서 취급 상황도 개선된다.
더욱이, 선행 기술의 순수한 무기 필러 입자는 이들이 순수한 바인더와 비교하여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는 것이 단점인데, 때문에 해당 바인더에 이들이 혼입되면 어떤 흐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광택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를 사용하면 이런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데, 즉 상기 주어진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는 종래의 광물성 필러 입자에 비하여 상당히 적은 양만 필요하게 되므로 해당 바인더 시스템에 혼입되어도 유의한 흐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필러 입자는 어떤 유의한 분리나 어떤 다른 표면 축적 없이 해당 시스템에 안정한 상태로 쉽게 혼입될 수 있고, 특히 장기 안정성 및 상 안정성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에 걸쳐 균일하게 성능 증진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 및 본 발명의 분산물의 응용 가능성은 매우 광범하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 및 본 발명의 분산물의 극도로 높은 효능과 조합된 광범한 응용력은 선행 기술의 입자 및 분산물을 훨씬 초과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 및 분산물은, 예를 들어 기존 시스템에 첨가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이 더 가공되어, 예를 들어 페인트, 접착제, 플라스틱 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 또는 본 발명의 분산물의 소량의 첨가를 통해서도 예상외로 증가된 기계적 내성이 얻어진다. 놀랍게도, 해당 시스템, 특히 페인트, 플라스틱 등의 다른 가공 특성들은 영향받지 않거나 유의하게 영향받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응용의 경우에 나머지 변수들을 새로 최적화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체 입자 및 그것의 분산물은 모든 종류의 코팅 재료, 플라스틱, 접착제, 실란트 등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 변화,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인지되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작업 실시예를 사용하여 예시되며, 이들은 어떤 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작업 실시예
실시예 1: 왁스 코어와 SiO 2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의 제조
출발 재료는 폴리에테르기와 비닐트리에톡시실란(VTEO)(hydrol.)을 측쇄로서 갖는 폴리메틸알킬실리콘 기재 왁스의 분산물을 선택했다(실리콘 왁스 + 알릴-EO + C15 올레핀 + VTEO의 애덕트). 이 수성 에멀젼을 4:1의 왁스 에멀젼/메톡시프로판올 비로 메톡시프로판올로 희석하고, 물을 사용하여 고형분 분율 22%로 조정했다.
이 혼합물 100g을 40℃로 가열하고, 세게 교반하면서 TEOS(테트라에톡시실란) 94.0g과 8시간에 걸쳐 혼합했다. 후속 반응을 위해서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더 40℃에서 교반했다.
이 반응 단계 후 입자 함량은 30.7중량%였다. 이로써 왁스 코어와 SiO2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의 분산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폴리실록산에 의한 표면 변형
실시예 1의 입자의 관능화와 유기용매로의 전달을 다음 설명에 따라서 수행했다:
실시예 1의 입자 분산물 60g을 메톡시프로판올 70g으로 희석하고, 암모니아 용액(25% 강도) 1g을 사용하여 pH > 8로 조정했다. 다음에, 이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10mmol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교반했다. 다음에,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80g을 가하고, 감압하에 용매 혼합물 63g을 제거했다(75℃). 그 다음, 트리메톡시실릴 앵커기를 가진 실리콘(Mn = 1000g/mol) 1.22g을 가하고 2시간 교반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입자의 표면을 관능화했다. 분산물의 안정성과 상이한 결합제에서의 양립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분산 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증류에 의해 분산물의 입자 함량을 17중량%로 조정했다.
실시예 3: 응용 시험
실시예 2의 생성물을 UV-경화 투명코팅 재료에 가하고, 내스크래치성을 시험했다. 이 목적을 위해서, 투명코팅 재료 중 1중량%의 입자 함량으로 설정했고, 이것을 표준 조건에서 경화시켰고, 특히 마찰견뢰도기(crock meter) 시험을 실시하여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했다. 본 발명이 아닌 벌크 상태의 순수한 SiO2 입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접근법을 수행했다.
마찰견뢰도기 시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했다: 패널을 상응하는 필러-함유 코팅 재료로 코팅하고, 코팅된 판에 대해 마찰견뢰도기 기기(모델 CM-5, ATLAS)를 사용하여 내스크래치성을 시험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코팅된 판을 3M 회사의 폴리싱 천(3M 폴리싱 페이퍼)에 재현 가능하게 노출시켰다(분말도 9㎛, 10 더블 럽, 9 뉴턴의 힘을 적용). 테스트 패널에서 노출되지 않은 위치의 광택과 비교해서 노출 위치의 광택을 측정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했다. 광택은 BYK-GARDNER의 마이크로-트리-광택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했고, 관찰 각도는 20°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재현한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샘플 스크래치 전 광택/
광택 단위(GU)
마찰견뢰도기
10회 사이클 후 광택/
광택 단위(GU)
대조군 87 40
실시예 2의 본 발명의
입자 1중량%
87 70
실시예 2의 본 발명의
입자 1.5중량%
87 80
SiO2 입자 1중량%(본 발명 아님) 79 46
SiO2 입자 2중량%(본 발명 아님) 75 55
SiO2 입자 3중량%(본 발명 아님) 71 64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입자의 혼입을 통해서 내스크래치성에 상당한 개선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양은 선행 기술의 벌크 상태의 순수한 SiO2 입자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적다. 또한, 상기 특정된 양으로 본 발명의 입자의 혼입은 코팅 시스템에 어떤 유의한 흐림 현상을 가져오지 않았지만, 본 발명이 아닌 입자의 경우에는 스크래치 노출 전의 원래 코팅 시스템에도 뚜렷한 흐림 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시험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입자의 증진된 성능 능력을 인상적으로 증명한다.

Claims (33)

  1. 적어도 하나의 왁스를 포함하는 유기계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싼 무기계 쉘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복합체 입자가 1 내지 1000nm, 특히 5 내지 800nm, 바람직하게 10 내지 700nm, 더 바람직하게 20 내지 600nm, 매우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n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왁스-포함 코어가 1 내지 400nm, 특히 5 내지 300nm, 바람직하게 10 내지 200nm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형성 무기 재료의 분율은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0.5중량% 내지 80중량, 특히 5중량%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 10중량% 내지 70중량%이고, 및/또는 코어-형성 유기 재료, 특히 왁스의 분율은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99.5중량% 내지 20중량%, 특히 95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 90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도핑된 무기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황산염, 인산염, 황화물, 탄산염, 규산염 및/또는 금속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도핑된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황산염, 인산염, 황화물, 탄산염, 규산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반금속 또는 어떤 다른 금속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은 알루미늄, 규소, 아연, 티탄, 세륨 및/또는 철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도핑된 산화물,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 수산화물, 알칼리토금속 황산염, 알칼리토금속 인산염 또는 인산란탄, 황화카드뮴 또는 황화아연, 알칼리토금속 탄산염, 알칼리토금속 규산염, 또는 은,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은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산화세륨,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더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 또는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더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은 이산화규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층 두께로, 특히 침전물로서 코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왁스로 형성되거나 상기 왁스를 포함하며, 특히 여기서 왁스는 (i) 천연 왁스, 특히 식물성, 동물성, 및 광물성 왁스; (ii) 화학 변성 왁스; (iii) 합성 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왁스는 쉘의 무기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히 그것과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관능기는 극성기, 특히 O, N 및/또는 S의 군으로부터의 어떤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O를 함유하는 기, 바람직하게 히드록실기, 폴리에테르기, 특히 폴리알킬렌 옥시드기, 및/또는 카르복실기, 매우 바람직하게 폴리에테르기 및/또는 히드록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1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계 쉘이, 특히 폴리실록산기에 의해서, 표면-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입자.
  15. 적어도 하나의 왁스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왁스로 구성된 유기계 입자를 무기계 쉘로 코팅하고, 이로써 유기계 왁스 입자를 무기계 쉘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무기-유기 복합체 입자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1 내지 400nm, 특히 5 내지 300nm, 바람직하게 10 sowl 200n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왁스를 포함하거나 왁스로 구성된 출발 입자가 사용되고, 및/또는 쉘의 무기계 재료로 코팅된 후, 복합체 입자는 1 내지 1000nm, 특히 5 내지 800nm, 바람직하게 10 내지 700nm, 더 바람직하게 20 내지 600nm, 매우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n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형성 무기 재료를 결과의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0.5중량% 내지 80중량%, 특히 5중량% 내지 75중량%, 바람직하게 10중량% 내지 7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고, 및/또는 코어-형성 유기 재료, 특히 왁스를 결과의 복합체 입자를 기준으로 99.5중량% 내지 20중량%, 특히 95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 90중량%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쉘을 형성하는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도핑된 무기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황산염, 인산염, 황화물, 탄산염, 규산염, 및/또는 금속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 특히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수산화물, 황산염, 인산염, 황화물, 탄산염, 규산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반금속 또는 어떤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규소, 아연, 티탄, 세륨 및/또는 철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도핑된 산화물,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 수산화물, 알칼리토금속 황산염, 알칼리토금속 인산염 또는 인산란탄, 황화카드뮴 또는 황화아연, 알칼리토금속 탄산염, 알칼리토금속 규산염, 또는 은,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어떤 다른 혼합물 또는 조합, 매우 바람직하게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산화세륨,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더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 산화세륨, 산화아연 및/또는 이산화티탄, 특히 바람직하게 이산화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쉘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층 두께로, 특히 침전에 의해서 코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코어를 형성하는 왁스는 (i) 천연 왁스, 특히 식물성, 동물성, 및 광물성 왁스; (ii) 화학 변성 왁스; (iii) 합성 왁스; 및 또한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의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코어를 형성하는 왁스는 쉘의 무기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히 그것과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코어를 형성하는 왁스는 극성기, 특히 O, N 및/또는 S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O를 함유하는 기를 포함하는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코어를 형성하는 왁스는 히드록실기, 폴리에테르기, 특히 폴리알킬렌 옥시드기, 및/또는 카르복실기, 매우 바람직하게 폴리에테르기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왁스, 매우 바람직하게 폴리에테르기- 및/또는 히드록실기-관능화된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저 왁스 입자의 분산물을 제공하고, 그 다음 왁스 입자를 무기계 쉘 재료로 코팅하는데, 특히 무기계 쉘 재료를 침전 반응에 의해서 왁스 입자 상에 부착, 특히 비공유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무기계 쉘 재료는, 특히 침전 반응의 일부로서, 인시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무기계 쉘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실릭 에스테르로부터, 특히 침전 반응의 일부로서, 인시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릭 에스테르, 특히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유기 실릭 에스테르, 특히 C1-C10 알코올의 실릭 에스테르,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의 관능기를 갖는 알콕시실란이 인시튜 가수분해되고, 및/또는 왁스 입자의 극성기와 반응되며, 이 방식에서 왁스 입자 상에 이들을 둘러싼 쉘로서 폴리실리카 및/또는 이산화규소의 형태로 부착, 특히 비공유 부착되고, 선택적으로 이어서, 특히 폴리실록산기에 의해서, 표면 변형되고, 및/또는 선택적으로 이어서 이 방식에서 얻어진 복합체 입자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계 쉘이, 특히 폴리실록산기의 적용에 의해서, 표면-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필러로서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입자의 사용.
  30.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특히 페인트, 잉크 등, 모든 종류의 분산물, 플라스틱, 폼, 화장품, 특히 네일 바니시, 접착제, 및 실란트에서, 특히 필러로서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입자의 사용.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특히 내마모성, 바람직하게 내스크래치성 및/또는 내마멸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사용.
  32. 담체 매질 또는 분산 매질 중에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물.
  3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 특히 페인트, 잉크 등, 플라스틱, 폼, 화장품, 특히 네일 바니시, 접착제, 및 실란트.
KR1020107026237A 2008-04-25 2009-03-26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 KR101235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1005A DE102008021005A1 (de) 2008-04-25 2008-04-25 Partikuläre Wachskomposite mit Kern/Hülle-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02008021005.6 2008-04-25
PCT/EP2009/002215 WO2009129907A1 (de) 2008-04-25 2009-03-26 Partikuläre wachskomposite mit kern/hülle-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544A true KR20110003544A (ko) 2011-01-12
KR101235733B1 KR101235733B1 (ko) 2013-02-21

Family

ID=4090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237A KR101235733B1 (ko) 2008-04-25 2009-03-26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195099A1 (ko)
EP (1) EP2268729B1 (ko)
JP (1) JP2011518900A (ko)
KR (1) KR101235733B1 (ko)
CN (1) CN102076755B (ko)
AT (1) ATE517148T1 (ko)
DE (1) DE102008021005A1 (ko)
ES (1) ES2367956T3 (ko)
WO (1) WO20091299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42B1 (ko) * 2015-09-17 2015-12-31 주식회사 엔에이치씨 전선피복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2922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6266B2 (en) 2009-03-11 2014-12-23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laminat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laminate
WO2011060050A1 (en) 2009-11-11 2011-05-19 Byk-Chemie Gmbh Coating composition
JP5579512B2 (ja) * 2010-06-24 2014-08-2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41667B (zh) * 2011-09-26 2014-10-01 昆明理工大学 一种核壳结构的La掺杂TiO2粉体及其制备方法
ES2761202T3 (es) * 2012-05-22 2020-05-19 Dsm Ip Assets Bv Nanopartículas orgánicas-inorgánicas híbridas
FR2992232B1 (fr) * 2012-06-21 2017-12-15 Centre Nat Rech Scient Materiau multicompartimente pour la delivrance thermostimulee de substances d'interet, procede de preparation, applications.
FR2992231B1 (fr) * 2012-06-21 2014-08-01 Centre Nat Rech Scient Materiau multicompartimente pour la delivrance thermostimulee de substances d'interet, procede de preparation, applications.
US20140071213A1 (en) * 2012-09-13 2014-03-13 Xerox Corporation Phase Change Ink Compositions For Image Robustness
CN103467829B (zh) * 2013-09-25 2015-10-28 南京天诗新材料科技有限公司 负载纳米二氧化硅的蜡水性分散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9243162B1 (en) * 2014-08-28 2016-01-2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Wax coating composition for cellulosic surfaces
US10913826B2 (en) 2014-09-26 2021-02-09 Henry Company, Llc Powders from wax-based colloidal dispersions and their process of making
US10007203B2 (en) 2015-01-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lex particle, external additive for toner and method of preparing complex particle
US11365306B2 (en) * 2017-11-29 2022-06-21 Pirelli Tyre S.P.A. Microbeads comprising silicate fibres with needle-shaped morphology of nanometric size, preparation thereof, elastomeric compositions and tyres for vehicles comprising them
JP7066436B2 (ja) * 2018-02-08 2022-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用外添剤の製造方法
CN112272690A (zh) * 2018-06-18 2021-01-26 爱克发有限公司 水性树脂基喷墨油墨
CN114058221B (zh) * 2021-12-16 2022-09-06 江西省龙海化工有限公司 一种水性高耐磨高硬度高抗刮核壳结构蜡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0782C3 (de) * 1966-03-15 1979-11-15 Deutsche Texaco Ag, 2000 Hamburg Rieselfähige Lichtschutzwachse
US4919841A (en) * 1988-06-06 1990-04-24 Lever Brothers Company Wax encapsulated actives and emulsion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5093130A (en) * 1989-09-26 1992-03-03 Plant Genetics Powder coated hydrogel capsules
JPH06166756A (ja) 1992-10-30 1994-06-14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ワックス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39523B2 (ja) * 1993-03-19 2001-12-17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ポリシロキサン複合重合体ラテックス
JPH07138484A (ja) 1993-11-19 1995-05-30 Nippon Seirou Kk 形状確認用ワックス組成物
GB9409388D0 (en) 1994-05-11 1994-06-29 Unilever Plc Silica products
US6099894A (en) * 1998-07-27 2000-08-08 Frisby Technologies, Inc. Gel-coated microcapsules
MX238958B (es) 1999-07-30 2006-07-27 Ppg Ind Ohio Inc Recubrimientos curados que tienen una mejorada resistencia al rayado, sustratos recubiertos y metodos relacionados con los mismos.
JP2001106791A (ja) * 1999-10-05 2001-04-17 Jsr Corp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1182233B1 (de) 2000-08-23 2004-09-08 Degussa AG Verfahren zur Belegung von Kieselsäuren mit Wachsen
AUPR725701A0 (en) * 2001-08-24 2001-09-20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Functionalised nanoparticle concentrates
EP1477457B1 (de) 2003-05-14 2007-07-25 Degussa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Fällungskieselsäuren
KR101104088B1 (ko) 2003-05-14 2012-01-12 에보닉 데구사 게엠베하 표면 개질된 침강 실리카
KR20050094496A (ko) 2004-03-23 2005-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왁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라텍스의 제조 방법
US7119161B2 (en) * 2004-03-31 2006-10-10 Solaris Nanosciences, Inc. Anisotropic nanoparticles and anisotropic nanostructures and pixels, displays and inks using them
DE102005006870A1 (de) * 2005-02-14 2006-08-24 Byk-Chemie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Nanopartikel,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8252495B2 (en) 2005-03-10 2012-08-2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Electrophotographic t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38010B2 (ja) 2005-03-10 2011-12-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01019B2 (en) * 2005-03-31 2009-03-10 Chevron U.S.A., Inc. Granular solid wax particles
KR100715851B1 (ko) 2005-04-07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고분자 라텍스 입자의 제조 방법
US20070009823A1 (en) * 2005-07-08 2007-01-11 Xerox Corporationd Toner and developer compositions
US8530048B2 (en) 2006-08-06 2013-09-10 Byk-Chemie Gmbh Surface-modified particles and production method
DE102007030285A1 (de) 2006-08-06 2008-02-07 Byk-Chemie Gmbh Oberflächenmodifizierte Partikel und Herstellungsverfahren
CN100564428C (zh) * 2007-12-12 2009-12-02 天津大学 用于电子墨水的核-颜料层-壳的复合结构的电泳粒子制备方法
JP5669720B2 (ja) * 2008-03-25 2015-02-12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Xerox Corporation シリカでカプセル化された有機ナノ顔料と同顔料の作製法
DE102008021006A1 (de) * 2008-04-25 2009-11-05 Byk-Chemie Gmbh Partikuläre Wachskomposi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PT2285574E (pt) * 2008-06-02 2012-09-10 Pst Sensors Pty Ltd Impressão a jacto de tinta de tintas funcionais de nanopartícul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42B1 (ko) * 2015-09-17 2015-12-31 주식회사 엔에이치씨 전선피복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2922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8729B1 (de) 2011-07-20
ES2367956T3 (es) 2011-11-11
CN102076755B (zh) 2015-04-01
ATE517148T1 (de) 2011-08-15
WO2009129907A1 (de) 2009-10-29
DE102008021005A1 (de) 2009-10-29
CN102076755A (zh) 2011-05-25
EP2268729A1 (de) 2011-01-05
KR101235733B1 (ko) 2013-02-21
JP2011518900A (ja) 2011-06-30
US20110195099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733B1 (ko)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
KR101228364B1 (ko) 미립자 왁스 복합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사용
KR101250268B1 (ko) 왁스 및 무기 나노입자의 분산물 및 그의 용도
DE69927427T2 (de) Mit Silan oberflächenbehandelte Kieselsäureteilch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302444B1 (de) Kieselsäure mit geringem Gehalt an Kieselsäure-Silanolgruppen
JP3756339B2 (ja) シラン表面処理シリカ系微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有機樹脂組成物
DE10260323A1 (de) Wasserbenetzbare silylierte Metalloxide
EP1834215A1 (de) Metalloxide mit einer in einem weiten ph-bereich permanenten positiven oberflächenladung
EP1713725A1 (en) Natural particulate carbonate
DE102006061057A1 (de) Organofunktionelle Silikonharzschichten auf Metalloxiden
JP2007536416A (ja) 官能基で均質にコーティングされた粉末粒子、及び同粉末粒子の製造方法及び使用
DE102007033448A1 (de) Hochdisperse Metalloxide mit einer hohen positiven Oberflächenladung
JP6072461B2 (ja) 有機無機複合粒子粉末
JP6352242B2 (ja) 塗料用白色顔料
JP4407789B2 (ja) 改質カーボンブラック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法、当該改質カーボンブラック粒子粉末を含有する塗料及び樹脂組成物
JP2019210203A (ja)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被膜の形成方法。
JP2007314590A (ja) 複合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306897A (zh) 含有膠體狀二氧化矽粒子和三聚氰酸鋅粒子之有機溶媒分散液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