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699U - 유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699U
KR20110002699U KR2020090011910U KR20090011910U KR20110002699U KR 20110002699 U KR20110002699 U KR 20110002699U KR 2020090011910 U KR2020090011910 U KR 2020090011910U KR 20090011910 U KR20090011910 U KR 20090011910U KR 20110002699 U KR20110002699 U KR 201100026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assage
main body
flow contro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중
Original Assignee
김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중 filed Critical 김인중
Priority to KR202009001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699U/ko
Publication of KR20110002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디스크,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작동 로드, 그리고 일측이 상기 작동 로드의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디스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로드의 타측 가장자리를 누르면 상기 디스크를 이동시켜 상기 통로를 열 수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수로, 문, 밀폐, 지렛대

Description

유량 조절 장치{FLUID FLOW CONTROL APPARATUS}
본 고안은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유량(流量) 조절 또는 수심(水深) 유지를 위하여 수로(水路)에 설치하는 문으로 수문에는 유량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용 문짝이 달려 있다.
이러한 수문에는 상기 문짝을 개폐하기 위한 권양 장치가 설치된다.
권양 장치는, 핸들의 구동으로 회전력이 제1 방향으로 발생된다. 상기 회전력은 다수의 기어 들로 결합된 감속기를 통하여 증가되며, 증가된 회전력은 문짝과 연결된 래크바에 전달되어 래크바를 상승시킨다. 상기 래크바의 상승으로 문짝이 상승되어 수로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권양 장치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리 래크바가 하강하면서 문짝이 수로를 닫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권양 장치를 많은 힘을 필요로 하여 조작자가 쉽게 지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수문을 개폐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지렛대 작용을 하는 작동 로드를 이용하여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는 디스크를 적은 힘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작동 로드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디스크의 개폐 정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디스크,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작동 로드, 그리고 일측이 상기 작동 로드의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디스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로드의 타측 가장자리를 누르면 상기 디스크를 이동시켜 상기 통로를 열 수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작동 로드 사이에는 지지부힌지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 로드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는 힌지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장치 상기 작동 로드에 장착되어 있으며, 소정 각도 회전한 상기 작동 로드를 상기 힌지 브래킷에 고정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작동 로드의 소정 위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으로 상기 힌지 브래킷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걸리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힌지 브래킷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장착된 전면 덮개, 상기 전면 덮개와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각기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가 장착되어 있는 상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통로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와 통로 사이를 패킹시키는 패킹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통로의 전면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곡면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디스크가 압착되면 변형되는 압착 공간이 형성되고, 디스크를 패킹시키는 제1 압착부, 그리고 상기 결합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디스크를 패킹시키는 제2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고, 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유체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디스크와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부재를 포 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에 소정 지점이 결합된 작동 로드가 작용점, 받침점, 그리고 힘점으로 이루어진 지렛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렛대 역할을 하는 작동 로드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디스크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킹 부재는 압착 공간이 형성된 제1 압착부, 돌출된 제2 압착부가 디스크의 표면에 접촉되고, 제1 압착부의 표면은 압착공간에 의해 디스크와 접촉시 변형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렛대 작용을 하는 작동 로드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면 디스크가 통로를 닫고 있고, 상기 작동 로드가 지지부 위에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 통로를 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작동 로드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가 통로를 열고 있는지 닫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가 경사진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디스크가 이동할 때에는 패킹 부재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이동 시 디스크와 패킹 부재 간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네오플렌 따 따위 만들어진 패킹 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III-III선을 따라 유량 조절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1)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 디스크(20),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된 지지부(40), 지지부(4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 로드(50), 그리고 작동 로드(50)와 디스크(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과 내부가 상하 관통된 하우징(11), 하우징(11)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덮개(12), 하우징(11) 내부 양측면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13), 그리고 하우징(11)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덮개(14)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그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전면은 개방되어 유로를 통과하는유체가 유입되는 입구(11b)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입구(11b)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11a)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상면과 전면의 가장자리는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구부러진 곳에는 간격을 두고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장자리는 구부러져 있지 않을 수 있고, 구멍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의 저면 가장자리 또한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받침턱(1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후면은 유로의 바닥면에서 수직하며, 전면은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전면이 경사지면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그 폭이 넓어진다. 하우징(11)의 전면에는 전면 덮개(12)가 장착되어 있다.
전면 덮개(12)는 하우징(11)의 전면 상부에 장착되어 입구(11b)의 위 쪽을 막는다. 전면 덮개(12)는 그 가장자리가 하우징(11)의 전면 가장자리에 용접 따위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볼트 너트 따위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상면에는 상부 덮개(14)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덮개(14)는 그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하우징(11)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 덮개(14)는 분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따위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내부면 양측에는 전면 덮개(12)와 간격을 두고 가이드 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3)는 하우징(11)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하우징(11)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13)와 전면 덮개(12) 사이에는 통로(11a)를 열고 닫는 디스크(20)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20)는 가이드 부재(13)의 안내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한쪽 면은 통로(11a)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20)의 이동 정도에 따라 통로(11a)를 막거나 어느 정도 열어 하우징(11)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디스크(20)가 통로(11a)를 닫고 있는 상태가 되면 디스크(20)의 저면은 받침턱(111)에 받쳐져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20)는 하우징(11)의 저면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20)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섬유, 폴리염화비닐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디스크(20)를 위와 같은 재질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통로(11a)와 밀착되는 디스크(20)의 한쪽 면은 수직한 상태이며, 양측 가장자리는 가이드 부재(13)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20)의 전면은 하우징(11)의 전면과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
디스크(20)와 통로(11a)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패킹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 부재(30)는, 통로(11a)와 결합되는 결합부(31), 결합부(31)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압착부(32), 결합부(31)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압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1)는 통로(11a)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끼움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31a)은 통로(11a)의 가장자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그 폭이 넓어 진다. 이에 따라 협소한 부분이 벌어지면서 통로(11a)의 가장자리가 끼움홈(31a)의 내부로 끼워진다. 벌어진 부분은 그 탄성력에 의하여 다물어지면서 결합부(31)가 통로(11a)의 가장자리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제1 압착부(32)는 결합부(31)의 일측이 디스크(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디스크(20)가 압착되면 변형될 수 있도록 압착 공간(3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착부(32)의 표면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분은 디스크(20)의 한쪽 면에 접촉되면서 압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제2 압착부(33)는 결합부(31)의 일측이 디스크(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끝부분은 돌출되어 디스크(20)의 한쪽 면에 접촉된다. 돌출부분은 디스크(20)의 한쪽 면에 접촉되면서 압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패킹 부재(30)의 제1 압착부(32) 및 제2 압착부(33)가 디스크(20)의 한쪽 면에 각기 압착되어 기밀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패킹 부재(30)는 네오플렌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한편, 디스크(20)가 경사지기 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경사진 각도로 움직임으로써, 디스크(20)가 움직일 때에는 패킹 부재(30)와 접촉이 되지 않아 디스크(20)의 움직임에 의한 패킹 부재(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지지부와 작동 로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상부 덮개(14)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하우징(1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지지부(40)의 단면 모양은 사각 모양이다. 그러나 지지부(40)는 다양한 형성 모양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0)의 상단에는 힌지 브래킷(41)이 장착되어 있다.
힌지 브래킷(41)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힌지 브래킷(41)에는 힌지핀(43)이 결합되어 있다.
작동 로드(50)는 소정 위치가 힌지핀(43)에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핀(4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 로드(5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디스크(20)의 열림 정도가 제어된다.
작동 로드(5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후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 로드(50)에 잠금 부재(52)가 장착되어 있다.
잠금 부재(52)는 작동 로드(50)의 소정 위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52a) 및 회전부(52a)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전부(52a)와 직각을 이루고, 힌지 브래킷(41)에 걸릴 수 있는 잠금부(52b)를 포함한다. 회전부(52a)는 직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힌지 브래킷(41)의 외곽에는 잠금부(52b)가 걸릴 수 있는 고정홀(41a)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홀(41a)의 일측은 개방되어 그 내부로 잠금부(52b)의 일부분이 위치하여 걸릴 수 있다. 잠금부(52b)가 고정홀(41a)에 걸려 있으면 디스크(20)는 어느 정도 통로(11a)를 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복수의 고정홀(41a) 위치에 따라 디스크(20)가 통로(11a)를 열고 있는 정도가 다르다. 힌지핀(43)을 기준으로 작동 로드(50)의 일측에는 손잡이(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디스크(20)와 연결된 연결 부재(60)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지지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디스크(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로드(50)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손잡이(51) 부분은 힘점, 힌지핀(43)이 결합된 부분은 받침점, 그리고 연결 부재(60)가 결합된 부분은 작용점이 된다. 이와 같이 지렛대 역할을 하는 작동 로드(50)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디스크(20)를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와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의 관계에 따라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작용점과 받침점의 사이의 거리보다 크면 작은 힘으로 디스크(20)를 움직일 수 있고,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우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디스크(20)와 상부 덮개(14) 사이에는 리턴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부재(80)는 디스크(20)가 상승하며 압축되어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20)의 상승이 종료된 후 작동 로드(50)를 놓거나, 작동 로드(5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압축 상태에서 원상 복귀 되면서 디스크(20)에 탄성력을 부여 하여 디스크(20)가 통로(11a)을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리턴 부재(80)는 탄성력이 있는 코일 스프링 따위로 형성된다. 리턴 부재(80)를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리턴 부재(8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에는 디스크(20)의 하중에 의해서 디스크(20)가 통로(11a)의 닫히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한편, 입구(11b)를 정의 하는 하우(11)의 전면 하부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하 방향으로 삽입홈(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11c)에는 유체 중에 포함된 이물질 따위를 걸러주는 필터(70)가 장착되어 있다. 필터(70)는 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12b)에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필터(70)는 금속, 유리섬유, 폴리염화비닐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터(70)를 위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필터(7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유량 조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유량 조절 장치의 동작 상태도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는 먼저, 본체(10)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벽면에 천공된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디스크(20)가 통로(11a)를 막고 있어 천공된 곳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못한다. 이때에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로드(50)가 힌지핀(43)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지지부(40)와 동일하게 수직한 상태를 유지한다.
유체가 흐르기 위해서는 디스크(20)가 상승하여 통로(11a)가 열려야 한다. 이에 따라,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작동 로드(50)의 힘점인 손잡이(51)를 잡고 일 방향으로 당겨 회전시키면 작동 로드(50)는 받침점인 힌지핀(43)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작용점인 작동 로드(50)의 타측 끝이 들리면서 연결 부재(60)를 당기게 되고, 당겨진 연결 부재(60)에 의하여 디스크(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되는 디스크(20)는 그 한쪽 면이 패킹 부재(30)에서 떨어지고, 저면이 받침턱(111)에서 떨어져, 경사진 가이드 부재(13) 따라 상승하게 된다. 작동 로드(50)가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디스크(20)를 적은 힘으로 올릴 수 있다.
그러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51)를 놓게 되면 디스크(20)의 하중에 의하여 작동 로드(5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디스크(20)가 하강되어 통로(11a)를 닫게 된다. 이때 압축된 리턴 부재(80)가 원상 복귀하면서 디스크(20)가 경사진 가이드 부재(13)를 따라 하강하여 통로(11a)를 닫게 된다.
이렇게, 통로(11a)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부(52b)를 잡고 돌리면 회전부(52a)가 회전되면서 잠금부(52b)가 복수의 고정홀(41a-1, 41a-2)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잠금부(52b)가 고정홀(41a-1, 41a-2)에 걸리게 되면 디스크(20)는 어느 정도 통로(11a)를 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복수의 고정홀(41a-1, 41a-2) 위치에 따라 디스크(20)가 통로(11a)를 열고 있는 정도가 다르다.
즉,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브래킷(41)의 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고정홀(41a-1)에 잠금부(52a)가 위치하게 되면 디스크(20)가 통로(11a)를 조금 열고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브래킷(41)의 하부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고정홀(41a-2)에 잠금부(52b)가 위치하면, 디스크(20)는 통로를 많이 열고 있게 된다.
이렇게 잠금부(52a)가 회전되어 복수의 고정홀(41a)에 삽입되면 작동 로드(5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 로드(50)가 회전 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렛대 역할을 하는 작동 로드(50)에 의하여 디스크(20)를 적은 힘으로 이동시켜 통로(11a)를 열수 있고, 작동 로드(50)의 각도에 따라 디스크(20)가 통로(11a)를 열고 있는 정도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디스크(20)가 경사진 가이드 부재(13)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디스크(20)가 이동할 때에는 패킹 부재(30)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20) 이동 시 디스크(20)와 패킹 부재(30) 간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패킹 부재(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III-III선을 따라 유량 조절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조절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유량 조절 장치의 동작 상태도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하우징
11a: 통로 11b: 입구
11c: 삽입홀 111: 받침턱
12: 전면 덮개 13: 가이드 부재
14: 상부 덮개 20: 디스크
30: 패킹 부재 31: 결합부
31a: 끼움홈 32: 제1 압착부
32a: 압착 공간 33: 제2 압착부
40: 지지부 41: 힌지 브래킷
41a: 고정홀 42: 잠금 부재
43: 힌지핀 50: 작동 로드
51: 손잡이 52: 잠금 부재
52a: 회전부 52b: 잠금부
60: 연결 부재 70: 필터
80: 리터 부재

Claims (8)

  1. 유체가 흐르는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디스크,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작동 로드, 그리고
    일측이 상기 작동 로드의 한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디스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로드의 타측 가장자리를 누르면 상기 디스크를 이동시켜 상기 통로를 열 수 있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작동 로드 사이에는 지지부힌지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 로드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는 힌지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유량 조절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작동 로드에 장착되어 있으며, 소정 각도 회전한 상기 작동 로드를 상 기 힌지 브래킷에 고정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작동 로드의 소정 위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으로 상기 힌지 브래킷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걸리는 잠금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홀은 상기 힌지 브래킷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유량 조절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장착된 전면 덮개,
    상기 전면 덮개와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각기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가 장착되어 있는 상부 덮개
    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통로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와 통로 사이를 패킹시키는 패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통로의 전면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곡면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디스크가 압착되면 변형되는 압착 공간이 형성되고, 디스크를 패킹시키는 제1 압착부,
    상기 결합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디스크를 패킹시키는 제2 압착부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고, 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통과하는 유체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디스크와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KR2020090011910U 2009-09-10 2009-09-10 유량 조절 장치 KR201100026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10U KR20110002699U (ko) 2009-09-10 2009-09-10 유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10U KR20110002699U (ko) 2009-09-10 2009-09-10 유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99U true KR20110002699U (ko) 2011-03-16

Family

ID=4420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10U KR20110002699U (ko) 2009-09-10 2009-09-10 유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69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213B1 (ko) * 2016-03-18 2016-10-11 주식회사 보람 어로가 설치된 친환경 하천 취입보
KR101889541B1 (ko) * 2018-02-09 2018-08-17 미래수문 주식회사 쐐기형 문비를 구비한 수문장치
KR102574339B1 (ko) * 2022-11-28 2023-09-06 엄수욱 농지의 수위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213B1 (ko) * 2016-03-18 2016-10-11 주식회사 보람 어로가 설치된 친환경 하천 취입보
KR101889541B1 (ko) * 2018-02-09 2018-08-17 미래수문 주식회사 쐐기형 문비를 구비한 수문장치
KR102574339B1 (ko) * 2022-11-28 2023-09-06 엄수욱 농지의 수위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699U (ko) 유량 조절 장치
JP6788287B2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のための固定機構
JP6249255B2 (ja) 貫通開口用の閉鎖システム
CN220565898U (zh) 具有换气功能及水平紧贴功能的门窗组装体
US6292978B1 (en) Door stop apparatus
CA2265402C (en) Door system for a mine stopping
EP2944748B1 (en) A locking assembly for a ventilating window
JP6666618B2 (ja) 辷り出し窓の開度設定装置
EP1970514B1 (en) A sliding door or window
JP5284375B2 (ja) 可動性枠組装置
KR101625677B1 (ko)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JP7384650B2 (ja) 止水装置
JP6403343B2 (ja) 建具の開度調整装置及び開閉窓装置
CN205823009U (zh) 一种控制玻璃窗多角度开启的传动机构
JP5518593B2 (ja) 開閉規制機能付き昇降サッシ窓およびこれを具備させた封入装置
JP2009084950A (ja) 浴室ドア
JP5226563B2 (ja) 辷り出し窓、及び、辷り出し窓用ステー
KR101805751B1 (ko) 메커니컬 펌프의 흡입부 개폐 장치
JP7078514B2 (ja) 建具
KR102017861B1 (ko) 유압식 수문장치
JP3173767U (ja) 強度強化昇降コ−ド及び昇降コ−ド適合ストッパーの上下自在型ブラインド
JP6509582B2 (ja) 開閉体の中柱装置
JP6652433B2 (ja) 建具
JP2020076286A (ja) 上吊引き戸の防水機構
JPH03214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