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655A -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655A
KR20110001655A KR1020090059288A KR20090059288A KR20110001655A KR 20110001655 A KR20110001655 A KR 20110001655A KR 1020090059288 A KR1020090059288 A KR 1020090059288A KR 20090059288 A KR20090059288 A KR 20090059288A KR 20110001655 A KR20110001655 A KR 2011000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view
display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881B1 (ko
Inventor
류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881B1/ko
Priority to US12/820,338 priority patent/US8593556B2/en
Priority to CN201010217939.5A priority patent/CN101938603B/zh
Publication of KR2011000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55A/ko
Priority to US14/088,668 priority patent/US89707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04N1/3873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 H04N1/3875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combined with 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2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장착된 교환 렌즈의 화각 정보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영상 신호 처리로서 생성하고,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촬영자로 하여금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화각 정보를 알리고, 촬영자는 원하는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초점 거리(화각 정보에 대응), 줌 배율 등을 달리한 복수의 렌즈들을 착탈가능한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되고 있다. 촬영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번갈아 사용한다. 전문가의 경우 많은 수의 렌즈를 때에 따라 교환하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장면을 더욱 멋지게 촬영하려고 한다. 특히, 화질이 우수한 단초점 렌즈의 경우 근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다가 원거리의 피사체 촬영시 촬영자가 이동하면서 초점 거리를 결정한다. 그러나 원하는 초점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렌즈로 교환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매번 교환한 렌즈로 초점 거리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촬영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교환 렌즈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원은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축소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입력 영상보다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이전에 저장된 영상 을 합성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블랙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확대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작은 제3 화각 정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오에스디(OS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복수의 화각 정보들 각각을 갖는 표시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코드화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로서,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와, 상기 교환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 영상 처리부와,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 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축소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입력 영상보다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이 작은 경우,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이전에 저장된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블랙으로 처리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확대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작은 제3 화각 정보를 갖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오에스디(OSD)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 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복수의 화각 정보들 각각을 갖는 표시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표시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장착된 교환 렌즈의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촬영자는 원하는 영상에 적합한 화각 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로 하여금 습득한 화각 정보에 대응하는 교환 렌즈를 한번에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PDA, 핸드폰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착탈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교환 렌즈(110)와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바디(210)를 구비한다.
교환 렌즈(110)는 포커싱 렌즈(111) 및 줌렌즈(114) 및 조리개(131)를 구비한다. 포커싱 렌즈(111)는 렌즈 MP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포커스 제어 회로(113) 및 포커싱 구동모터(112)를 통해 구동된다. 포커스 제어회로(113)는 포커싱 렌즈(111)의 이동에 따른 영역 패턴 신호 및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포커스 엔코더(encod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줌 렌즈(114)도 렌즈 MP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줌 제어 회로(116) 및 줌 구동모터(115)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교환 렌즈가 단렌즈인 경우 단일 초점 거리를 가지므로, 줌 구동모터(115)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줌 제어 회로(116)는 줌 렌즈(114) 구동 기능 이외에, 줌 렌즈(114)의 이동에 따른 영역 패턴신호를 출력하는 줌 엔코더(enco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커스 엔코더와 줌 엔코더로부터의 신호를 렌즈 MPU(140)가 판독하고, 피사체 거리와 초점거리의 조합에 의해 미리 기억되어 있던 촬영상 배율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촬영상 배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교환 렌즈(110)는 포커싱 렌즈(111), 줌 렌즈(114) 이외에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군, 이의 제어 회로 및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기능 수행을 위하여, 회전 진동을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 및 평행 진동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각속도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각 진동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 1와 신호 처리 회로 2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된 각 진동 신호는 렌즈 MPU(140)에 입력되어, 보정 렌즈 구동 목표 신호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군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교환 렌즈(110)는 상기 렌즈들을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개(121)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모터(122), 렌즈 MPU(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리개 구동모터(122)를 제어하는 조리개 제어 회로(123)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 MPU(140)는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이나 상태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이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상기 렌즈 MPU(140)에 의해 교환 렌즈(11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교환 렌즈(110)는 바디(210)와 렌즈 MPU(14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I/F1(150)를 구비하고, 상기 I/F1(150)는 초점 거리, 사출 동공 위치, 조리개값, 포커싱 거리 및 주변 광량 상태 등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바디(210)의 제어부(280)로 송신하고, 제어부(280)로부터 포커스 렌즈(111)의 구동량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촬영 시에는 AF 동작 완료 후의 초점 거리 정보, 조리개값 등의 데이터가 IF1(150)를 통해 제어부(280)로 송신된다.
상기 교환 렌즈(110)는 바디(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하에서 바디(210)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바디(210)는 교환 렌즈(110)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는 미러부(211)에 의해 일부가 반사된다. 반사된 일부 광학 신호는 5각 프리즘을 통해 측광부(221)에 의해 감지되고, 측광부(221)에 의한 측광 신호는 제어부(280)에 입력되고, 제어부(280)는 상기 측광 신호에 의해 노광시간, 개구수 등의 촬영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측광부(221)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어, 각 영역마다 측광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사된 일부 광학 신호는 상기 5각 프리즘에 의해 정립 상으로 형성되어 광학 뷰파인더(optical viewfinder:OVF)(222)를 통해서 피사체 화상으로서 촬영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광학 뷰파인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뷰 파인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촬상부(241)는 미러부(211)를 통과한 나머지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미러부(211)를 통과한 광학 신호는 셔터(2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또는 촬상부(241)에 도달할 수 있다. 미러부(211)는 제어부(280)로부터 제어 신호에 의해 미러 제어부(212) 및 미러 구동부(212)를 통해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셔터(231)도 제어부(28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셔터 제어부(233)와 셔터 구동부(232)에서 상기 셔터(23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촬상부(241)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처리부(242)는 촬상 소자(13)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게인(gain) 조정이나 파형을 정형화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처리를 행한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A/D 변환부(243)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44)는 제어부(28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럭을 기초로 하여 소정의 타이밍 펄스(수직 주사 펄스 øVn, 수평 주사 펄스 øVm, 리세트 신호 øVr 등을 발생시키는 펄스)를 생성하여 촬상부(241)에 출력하고, 촬상부(241)의 촬상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 펄스를 입력 신호 처리부(242)나 A/D 변환부(243)에 각각 출력함으로써, 신호 처리부(242) 및 A/D 변환부(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디스플레이부(265)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는 표시 영상 처리부(251)를 구비한다. 표시 영상 처리부(251)는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교환 렌즈(110)의 화각과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화각 미리 보기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도 2 등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 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상기 영상 파일은 기록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50)는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 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D 변환부(243)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전송 속도와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의 연산 처리 속도 차이가 있는 경우 버퍼 메모리로서 RAM(255)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버퍼 메모리로 SDRAM, MCP, DRAM 등의 메모리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ROM(26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작동하는 필요한 OS,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ROM(260)으로서 E2PROM, 플래쉬 메모리,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250)에서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한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65)로 전송되어 소정의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65)로 LCD, OLED, PDP, ED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27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27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Dcard/MM를 비롯하여, HDD(Hard Disk Driver),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홀로그램 메모리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275)는 촬영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 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조작부(275)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 입력된 영상, 영상 신호 처리부(250)의 영상 처리 결과 등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플래시 회로(281)는 플래시 촬영 모드에서 제어부(280)에 의해 설정된 발광량으로 발광하도록 플래시(282)를 제어한다. 플래쉬(282)는 입력 영상의 노출 정보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동작되며, 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부족한 노출 또는 특수한 효과를 위하여 촬영시 광량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위상차 AF 모듈(292)는 위상차 검출 방식에 의해 초점 조절 처리를 행하며, 이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싱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포커싱 제어 신호는 IF2(295)를 통해 교환 렌즈(110)에 전달되어 포커싱 렌즈(11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AF를 위해 AF 보조광(290)에서 보조광을 조사한다. 필요에 따라, 플래시 회로(281)를 통하여 플래시(282)를 발광시키거나 AF 보조광(291)을 발광시킬 수 있다.
IF2(295)는 바디(210)와 교환렌즈(110)의 통신을 위한 바디(210) 쪽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한다. IF2(295)는 포커스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바디(210) 및 교환렌즈(110) 내부의 동작상태 및 광학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촬영을 대기한다(S11). 라이브뷰(Live view)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지 판단한다(S12).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로서, 촬영자가 렌즈 착탈 버튼 또는 심도 미리 보기 버튼, 또는 조그 다이얼 등의 조작으로 상기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촬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특정 경우에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S11).
상기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가 성생된 경우, 표시 영상을 생성한다(S13). 상기 표시 영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어진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교환 렌즈가 갖는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갖도록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오에스디(OSD)가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S14), 촬영자로 하여금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한 화각 정보를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각 미리 보기를 위한 표시 영상의 생성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화각 미리 보기 제어 신호가 생성된 경우(S21), 화각 감소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한다(S22). 화각 감소 제어 신호가 생성된 경우 입력 영상을 확대하는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한다(S23).
상기 화각 감소 제어 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영상을 축소하는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한다(S24). 상기 화각 감소 제어 신호는 상기 화각 미리 보기 를 실행하는 경우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촬영자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화각 감소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화각 증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화각 증가 제어 신호가 생성된 경우, 입력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입력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을 축소하는 경우, 입력 영상의 크기와 축소된 영상의 크기를 비교한다(S25). 입력 영상의 크기가 축소 영상의 크기 보다 큰 경우, 즉 축소 영상의 크기가 작은 경우 표시 영상은 상기 축소된 영상과 상기 축소된 영상 이외의 영역은 블랙으로 처리할 수 있다(S26). 블랙으로 처리하는 것은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축소된 영상 이외의 영역에 미리 저장된 다른 영상을 합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축소된 영상과 상기 축소된 영상의 외곽은 블랙으로 처리된 표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의 크기가 상기 축소 영상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축소하여 축소되 영상을 표시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27). 상기 표시 영상에서는 해당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OSD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재 교환 렌즈의 제1 화각 정보가 50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것인 경우, 입력 영상은 도 4의 영상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화각 미로 보기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도 5와 도 6은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작은 화각을 갖는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표시 영상의 일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확대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작은 200mm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이고, 도 6은 400mm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이다. 도 5와 도 6의 영상들은 현재 장착된 교환 렌즈를 통해 입력된 입력 영상에 대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얻을 수 있는 것들이다.
도 7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제1 화각 정보보다 큰 화각을 갖는 제3 화각 정보를 갖는 표시 영상의 일 실시 예이다.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축소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생성한 것이다. 축소된 영상은 상기 입력 영상 대비 그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도 7에 따른 영상은 17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화각 정보를 갖는 것이다. 초점 거리가 짧은 경우, 현재 장착된 교환 렌즈를 기준으로 표현 불가능한 외곽 부분은 블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축소된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하여 블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축소된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하여 기 저장된 다른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외곽 영역을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교환 렌즈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의 다른 실시 예로서, OSD로 화각 정보를 나타냄을 예시한다.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를 통해 입력된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오에스디(OSD)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50mm의 초점 거리를 갖는 교환 렌즈를 통해 입력된 입력 영상에 대하여 50mm의 초점 거리와 다른 초점 거리를 나타내는 OSD들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 예로서 상기 OSD로 80mm의 초점 거리, 200mm의 초점 거리 각각을 나타내는 숫자 "80mm", "200mm"와 80mm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영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검은 테두리(T1), 200mm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영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검은 테두리(T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OSD로 초점 거리의 숫자 및 상기 초점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검은 테두리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OSD를 사용할 수 있다.
촬영자는 교환 렌즈를 일일이 교한하면서 화각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할 수 있으며, 화각 정보를 미리 보여줌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한 화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를 한번에 선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DSLR)에 디스플레이된 화면들을 예시한 것이다. 상 기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265)에 표시 영상이 디스플레이됨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일안반사식 디지털 카메라의 상면 또는 배면에는 광학 뷰파인더(222)가 배치되며 다양한 조작 버튼, 다이얼 등(275-1. 275-1, 275-2, 275-4, 275-5)이 배치된다.
도 9는 교환 렌즈의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들 각각을 갖는 복수의 표시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예시한다. 도 9에 따르면, 도 4의 입력 영상을 비롯하여 도 5 내지 도 7의 화각 정보가 상이하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한 표시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따라서 촬영자는 한눈에 화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5)

  1.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축소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입력 영상보다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이 작은 경우,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이전에 저장된 영상을 합성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블랙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확대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작은 제3 화각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오에스디(OS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복수의 화각 정보들 각각을 갖는 표시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코드화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
  9. 복수의 교환 렌즈들을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교환 렌즈;
    상기 교환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 영상 처리부;
    상기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축소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입력 영상보다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이 작은 경우,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이전에 저장된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 이외의 영역에 대해 블랙으로 처리하여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확대의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1 화각 정보 보다 작은 제3 화각 정보를 갖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화각 정보를 갖는 영상과 상기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화각 정보를 나타내는 오에스디(OSD)를 포함하는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하여 표시 영상 처리를 행하여 제1 화각 정보와 상이한 복수의 화각 정보들 각각을 갖는 표시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표시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1020090059288A 2009-06-30 2009-06-30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9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288A KR101599881B1 (ko) 2009-06-30 2009-06-30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2/820,338 US8593556B2 (en) 2009-06-30 2010-06-22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gle of view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CN201010217939.5A CN101938603B (zh) 2009-06-30 2010-06-29 数字图像处理设备和控制所述设备的方法
US14/088,668 US8970764B2 (en) 2009-06-30 2013-11-25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gle of view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288A KR101599881B1 (ko) 2009-06-30 2009-06-30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55A true KR20110001655A (ko) 2011-01-06
KR101599881B1 KR101599881B1 (ko) 2016-03-04

Family

ID=4338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288A KR101599881B1 (ko) 2009-06-30 2009-06-30 화각 미리 보기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593556B2 (ko)
KR (1) KR101599881B1 (ko)
CN (1) CN101938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11171832A (ja) * 2010-02-16 2011-09-0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US9300882B2 (en) * 2014-02-27 2016-03-29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anoramic image processing
CN105007415B (zh) * 2015-06-30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预览方法和装置
CN108293087B (zh) * 2015-11-17 2019-07-09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影装置及其控制方法
US11265474B2 (en) * 2020-03-16 2022-03-01 Qualcomm Incorporated Zoom setting adjustment for digital cameras
CN114979487A (zh) * 2022-05-27 2022-08-30 联想(北京)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1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322B2 (ja) * 1991-11-14 2000-08-14 株式会社ニコン トリミ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
US5678096A (en) * 1992-02-25 1997-10-14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an interchangeable retractable lens barrel
US5594517A (en) * 1993-05-07 1997-01-14 Olympus Optical Co., Ltd. Enlargement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0041162A (ja) * 1998-07-24 2000-02-08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2139788A (ja) 2000-11-01 2002-05-1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3812824B2 (ja) * 2002-03-12 2006-08-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合焦状況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41632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US7505078B2 (en) * 2004-03-30 2009-03-1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stroboscopic device, methods of controlling the camera system and stroboscopic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6047602A (ja) * 2004-08-04 2006-02-16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
JP2006129173A (ja) * 2004-10-29 2006-05-18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US7481534B2 (en) * 2005-07-15 2009-01-2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Optomechanical and digital ocular sensor reader systems
JP4288612B2 (ja) * 2005-09-14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13705B2 (ja) 2005-11-21 2012-08-29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画面表示方法,焦点調整方法,露出調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064773A (zh) * 2006-04-26 2007-10-31 杭州草莓资讯有限公司 多镜头实景合成数码照像机系统与方法
JP2008096584A (ja) * 2006-10-10 2008-04-24 Nikon Corp カメラ
JP4989730B2 (ja) * 2007-10-15 2012-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本体および撮像装置
JP5094485B2 (ja) * 2008-03-11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KR101467293B1 (ko) * 2008-04-22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될 영상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US8248499B2 (en) * 2009-02-23 2012-08-21 Gary Edwin Sutton Curvilinear sensor system
US20110080489A1 (en) * 2009-10-02 2011-04-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rait photo assist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1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8603A (zh) 2011-01-05
KR101599881B1 (ko) 2016-03-04
US20140078373A1 (en) 2014-03-20
US20100328513A1 (en) 2010-12-30
CN101938603B (zh) 2014-09-24
US8593556B2 (en) 2013-11-26
US8970764B2 (en)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3453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US867006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970764B2 (en) Digit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gle of view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JP2007264196A (ja) ストロボ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7311861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200717857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1414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432664B2 (ja) 撮像装置
JP5203657B2 (ja) 拡大表示機能付きカメラ
JP510041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054698A (ja) 手振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9036985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6270426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13596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9267893A (ja) 撮像装置
JP2009036987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9048123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5027029B2 (ja) 拡大表示機能付きカメラおよびカメラの制御方法
JP2009086036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483864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37084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9118247A (ja) 撮影装置
JP2007226141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2006203665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610140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