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87A -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87A
KR20110000887A KR1020090058202A KR20090058202A KR20110000887A KR 20110000887 A KR20110000887 A KR 20110000887A KR 1020090058202 A KR1020090058202 A KR 1020090058202A KR 20090058202 A KR20090058202 A KR 20090058202A KR 20110000887 A KR20110000887 A KR 2011000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rotective frame
panel
adjacent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560B1 (ko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5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 표시장치에서는, 각각의 패널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프레임에, 각도조절부재, 체결부재, 및 고정부재를 갖는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Figure P1020090058202
멀티 평판표시장치, 패널부, 보호프레임, 각도조절장치, 각도조절부재, 체결부재, 고정부재

Description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angle-adjustable multi flat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멀티 평판표시장치(multi flat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패널 자체의 대형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패널 자체의 대형화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그 대안의 하나로 멀티 평판표시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멀티 평판표시장치는, 복수개의 패널을 서로 인접하게 상하좌우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초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평판표시장치로서, 복수개의 패널 전체에 하나의 초대형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패널 전체 중 몇몇 패널 또는 각각의 패널에 동일하거나 다른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멀티 평판표시장치는, 초대형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모든 패널이 하나의 평평한 평면을 이루도록 나열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종래의 멀티 평판표시장치는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멀티 평판표시장치의 전(前)면을 바라볼 때, 서로 인접한 패널을 볼록면 형태로 설치하거나 서로 인접한 패널을 오목면 형태로 설치하도록,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각도조절형 거치대가 기존의 제품 거치대에 추가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므로 멀티 평판표시장치의 제품 원가가 비싸고 제품 가격경쟁력이 낮았다. 또한 각도조절형 거치대를 이용하더라도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기가 여전히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각도조절형 거치대를 사용하는 대신에 단순한 고정식 원판구조를 각각의 패널에 적용한 방식을 채택하였지만, 여전히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인접한 패널 간의 심(seam)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도 어렵다. 그러므로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인접한 패널 간의 심(seam)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 거치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패널에 설치된 각도조절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한 패널 간의 심(seam) 거리를 최소화하여 화질을 향상하도록 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거치대의 구조를 단순화하도록 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부의 후면에 설치된 보호프레임을 갖는 복수개의 패널; 및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평판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각각의 보호프레임의 상면 양측부 상의 제1홈부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제1홈부 내의 각도조절부재를, 해당하는 보호프레임과 체결하는 각각 체결부재; 및 각각의 인접한 각도조절부재의 삽입홀에 안착되어 상기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홈부 내의 각도조절부재와 체결함과 아울러 해당하는 보호프레임의 상면 양측부 상의 제2홈부에 각각 안착되어, 해당하는 보호프레임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와 나사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프레임과 나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좌우 양측부에 체결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원형 판재이고, 상기 제1홈부는 원형 홈부인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삽입홀은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프레임의 후방측 폭은, 상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프레임의 전방측 폭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는, 제품 거치대 대신에 보호프레임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인접한 패널이 하나의 동일한 평면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100)는, 복수개의 패널(10) 모두가 하나의 초대형 화상을 이룰 수 있도록, 각각의 패널(10)이 예를 들어 하나의 동일한 평면 상태로 나열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멀티 평판표시장치(100)는, 인접한 패널(10)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20)를 갖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패널(10)은, 패널부(11), 보호프레임(13)을 갖고 있다. 패널부(11)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부분이다. 보호프레임(13)은, 패널부(11)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패널부(11)의 후면 일부분, 예를 들어 후면의 상하좌우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체결된다. 보호프레임(13)의 후방측 폭은, 패널부(11)의 후면에 인접한, 보호프레임(13)의 전방측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과 같이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를 180도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도조절장치(20)는, 각도조절부재(21), 체결부재(23), 및 고정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재(21)는,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판재,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판재로서, 나사홀(21a)과 삽입홀(21b)을 갖고 있으며, 보호프 레임(13)의 제1홈부(22)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나사홀(21a)은,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임의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홈부(22)는, 패널부(11)의 보호프레임(13)의 일부분, 예를 들어 상면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홈부로서, 각도조절부재(21)에 해당하는 형상,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부(22)의 깊이는 각도조절부재(21)의 두께보다 큰 치수가 바람직한데, 이는 제1홈부(22)에 안착된 각도조절부재(21)의 상부면이 보호프레임(13)의 표면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체결부재(23)는, 대응하는 각도조절부재(21)를 해당하는 보호프레임(13)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편, 예를 들어 사각형 체결편으로서, 제1나사홀(23a)과 제2나사홀(23b)을 갖고 있으며, 보호프레임(13)의 제2홈부(24)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홈부(24)는, 보호프레임(13)의 상면 일부분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보호프레임(13)의 상면 좌우 양측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홈부(22)의 일부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홈부(24)는, 체결부재(23)에 해당하는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홈부(24)의 깊이는 체결부재(23)의 두께보다 큰 치수가 바람직한데, 이는 제2홈부(24)에 안착된 체결부재(23)의 상부면이 보호프레임(13)의 표면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홈부(24)의 깊이는 제1홈부(22)의 깊이보다 얕다.
또한 체결부재(23)는, 체결부재(23)의 제1나사홀(23a)을 거쳐 대응하는 각도조절부재(21)의 나사홀(21a)에 나사(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각도조절부재(21)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3)는, 체결부재(23)의 제2나사홀(23b)을 거쳐 대 응하는 제2홈부(24)의 저면 상의 나사홈(24a)에 나사(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보호프레임(13)과 체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25)는, 각각의 인접한 패널부(11)의 대향하는 각도조절부재(21)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볼트부(25a)와, 볼트부(25a)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된 너트부(25b)를 갖고 있으며, 각도조절부재(21)의 삽입홀(21b)에 안착된다. 삽입홀(21b)은,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되며, 볼트부(25a)가 삽입홀(21b)에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홀(21b)의 일측부가 각도조절부재(21)의 원주면까지 연장하여 형성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패널(10)이 횡방향으로만 나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패널(10)이 종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거나, 횡방향뿐 아니라 종방향으로도 나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널부(11)의 후면에 방열 매체를 개재하며 방열용 샤시 베이스가 고정되고, 샤시 베이스의 후면에 구동회로용 인쇄회로기판이 체결되고, 보호 프레임(13)의 후방 개방구를 커버하는 백커버가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성이 적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100)의 경우, 각도조절장치(20)를 이용하여 인접한 패널(10)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인접한 패널(10) 각각의 패널부(11)를 하나의 동일한 평면 상태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접한 보호 프레임(13) 각각의 대향하는 제1홈부(22)에 각도조절부재(21)를 각각 안착시키고, 보호 프레임(13)의 해당하는 제2홈부(24)에 체결부재(23)를 각각 안착시킨다. 이어서 체결부재(23)의 제1나사홀(23a)을 거쳐 대응하는 각도조절부재(21)의 나사홀(21a)에 나사(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체결부재(23)를 각도조절부재(21)와 체결시키고, 이와 아울러 체결부재(23)의 제2나사홀(23b)을 거쳐 대응하는 제2홈부(24)의 저면 상의 나사홈(24a)에 나사(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체결부재(23)를 보호프레임(13)과 체결시킨다. 그리고 나서 각도조절부재(21)의 삽입홀(21b)에 각각 고정부재(25)의 양측부를 안착시킴으로써 인접한 각도조절부재(21)가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인접한 각도조절부재(21)의 각각이, 대응하는 체결부재(23)에 의해 보호프레임(13)에 각각에 체결되고 아울러 고정부재(25)에 의해 서로 고정되면 패널부(11)의 앞에서 바라볼 때,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가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패널부(11) 모두가 하나의 동일한 평면을 이룬 상태, 즉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가 180도인 상태가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패널부(11)가 하나의 볼록면을 이룬 상태, 즉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가 180도보다 큰 각도인 상태가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패널부(11)가 하나의 오목면을 이룬 상태, 즉 인접한 패널부(11) 간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은 각도인 상태가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 내지 도 4의 상태를 조합함으로써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평면, 볼록면, 및 오목면을 조합한 다양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설명의 편의상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패널의 보호프레임에 설치한 각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인접한 패널 간의 각도를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인접한 패널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패널 간의 심(seam) 거리를 최소화하여 멀티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각도조절용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품 거치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각도조절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의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가 180도로 조절된 평면 상태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의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가 180도보다 크게 조절된 볼록면 상태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의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가 180도보다 작게 조절된 오목면 상태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Claims (7)

  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부의 후면에 설치된 보호프레임을 갖는 복수개의 패널; 및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각각의 보호프레임의 상면 양측부 상의 제1홈부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
    상기 제1홈부 내의 각도조절부재를, 해당하는 보호프레임과 각각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각각의 인접한 각도조절부재의 삽입홀에 공통 안착되어 상기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홈부 내의 각도조절부재와 체결함과 아울러 해당하는 보호프레임의 상면 양측부 상의 제2홈부에 각각 안착되어, 해당하는 보호프레임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와 나사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프레임과 나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좌우 양측부에 체결된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원형 판재이고, 상기 제1홈부는 원형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삽입홀은 십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프레임의 후방측 폭은, 상기 인접한 패널부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프레임의 전방측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KR1020090058202A 2009-06-29 2009-06-29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KR10135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02A KR101353560B1 (ko) 2009-06-29 2009-06-29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02A KR101353560B1 (ko) 2009-06-29 2009-06-29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87A true KR20110000887A (ko) 2011-01-06
KR101353560B1 KR101353560B1 (ko) 2014-01-22

Family

ID=4360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202A KR101353560B1 (ko) 2009-06-29 2009-06-29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5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21Y1 (ko) 2003-10-22 2004-01-24 주식회사 컴넷코리아 사방에서 광고면을 볼 수 있는 광고판
KR100596225B1 (ko) * 2003-11-18 2006-07-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개의 모니터 연결구조
US8854278B2 (en) 2003-12-19 2014-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560B1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071B2 (en) Display device
CN103748869B (zh) 支架、安装系统、模板纸、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机
US8339536B2 (en) Display module, display-module support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2024390A (zh) 图像显示装置
JP4342599B1 (ja) 表示装置
JP5928111B2 (ja) 表示装置
KR201401080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2173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047599A (ja) 薄形表示装置のスタンド
KR101353560B1 (ko) 각도조절형 멀티 평판표시장치
US20070091554A1 (en) Display device
KR10101446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15814A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58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402048B2 (ja) 電子機器及び支持構造
KR20080057782A (ko)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320630B1 (ko) 곡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088820A (ja) 表示装置と表示装置のスピーカ取付方法
KR20170072399A (ko)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JP7105026B2 (ja) 車両におけるモニタ取付け構造
WO2015098357A1 (ja) 表示装置
KR20100066136A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109057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151218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471858Y1 (ko) 멀티 디스플레이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