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782A -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782A
KR20080057782A KR1020060131474A KR20060131474A KR20080057782A KR 20080057782 A KR20080057782 A KR 20080057782A KR 1020060131474 A KR1020060131474 A KR 1020060131474A KR 20060131474 A KR20060131474 A KR 20060131474A KR 20080057782 A KR20080057782 A KR 2008005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unit
stand
top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782A/ko
Publication of KR2008005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6Computer h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충격시 집중 하중을 받을 수 있는 하부 중앙을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감싸는 바텀 커버,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감싸도록 수직 절곡된 전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측면프레임에 내측으로 절곡된 홈 형상의 완충부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갭을 줄인 탑 케이스, 및 탑 케이스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 스탠드, 탑 케이스, 충격, 완충

Description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FIXED STAND UNIT}
도 1은 종래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조립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탑 케이스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탑 케이스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선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액정 표시 모듈 200: 스탠드부
120: 디스플레이부 140: 케이싱
160: 체결 부재 122: 액정 표시 패널
123: 백라이트 유닛 124: 가이드 패널
142: 탑 케이스 142a: 전면프레임
142b: 측면프레임 142c: 관통 홀
144: 바텀 커버 146: 완충부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는 표시 화면에 문자나 도형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포괄하여 일컫는 말이다. 특히, 평판 표시 장치의 일종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경량, 박형하고,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비교적 저전압 및 저전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 (TV) 등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의 개재하에 상부 기판 및 하부기판이 합착되어 이루어진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에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및 액정 표시 패널과 구동회로를 조립하는 조립 부품을 포함하며, 컴퓨터용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하부에 스탠드가 고정되어 소정 공간에 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모델에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탠드 고정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액정 표시 모듈(10)과 액정 표시 모듈(10)에 하부에 설치되는 스탠드부(20)를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 구조를 이룬다.
세부적으로, 액정 표시 모듈(10)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와 디스플레이부(12)의 외곽을 감싸는 케이싱(14)으로 구성되며, 케이싱(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의 전, 후면을 각각 감싸는 탑 케이스(14a)와 바텀 커버(14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2)의 전면에 위치되는 탑 케이스(14a)는 체결 부재(16)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의 전면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 내측 하부에는 탑 케이스(14a)와 디스플레이부(12) 사이에 소정의 갭(g)이 발생되는데, 하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스탠드부(20)를 통해 탑 케이스(14a)의 하부 중앙에는 순간적인 충격량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탑 케이스(14a)와 디스플레이(12) 사이의 갭(g)이 없어지고 밀리면서 좁은 영역에 응력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탑 케이스(14a)의 전면이 들뜨게 되거나, 또는 내부의 디스플레이부(12)로 충격에 가해져 디스플레이부(12)가 파손(crack)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47인치의 경우 20㎏ 정도의 중량을 가지고 있으며, 스탠드부(20)에 의한 충격시 하부 중앙이 집중 하중을 받게 되어 가장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집중 하중을 받을 수 있는 하부 중앙을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스탠드 고 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감싸는 바텀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감싸도록 서로 수직 절곡된 전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에 내측으로 절곡된 홈 형상의 완충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갭을 줄인 탑 케이스, 및 상기 탑 케이스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스탠드부와 동일한 수직 라인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너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는 홈의 깊이가 0.3 내지 0.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조립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모듈(100)과, 액정 표시 모듈(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액정 표시 모듈(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탠드부(200)를 포함하여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이러한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나 텔레비전과 같이 소정 공간의 바닥면에 비치해 두기 위한 스탠드 구조로 사용된다.
여기서, 액정 표시 모듈(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영 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0)와, 디스플레이부(120)의 외측을 감싸는 케이싱(140)을 포함하며, 케이싱(140)은 전방과 후방으로 구분된다.
즉, 케이싱(140)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후면을 감싸는 바텀 커버(144)와, 디스플레이부(120)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감싸서 바텀 커버(144)의 측면과 결합되는 탑 케이스(14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는 액정 표시 패널(122)과, 액정 표시 패널(122)의 후방에 배치되어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123), 백라이트 유닛(123)의 전방에 액정 표시 패널(122)을 적층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패널(124)을 포함한다.
세부적으로, 백라이트 유닛(123)은 광원(도시하지 않음)과,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액정 표시 패널로 공급하기 위한 광학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텀 커버(144)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며, 최저층으로부터 백라이트 유닛(123)과 가이드 패널(124) 및 액정 표시 패널(122)을 적층하여 내부에 디스플레이부(120)를 수납한다.
탑 케이스(142)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20)의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감싼다.
도 6을 참조하면, 탑 케이스(142)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전면프레임(142a)과 디스플레이부(120)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42b)으로 구성된다.
전면프레임(142a)은 체결 부재(1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 홀(14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 홀(142c)에 체결 부재(160)가 관통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의 전면에 탑 케이스(142)가 고정된다.
관통 홀(142c)은 각 4면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에는 내부로 절곡된 완충부(146)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세부 구조는 하기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탠드부(200)는 액정 표시 모듈(100)의 하부에 고정되는 바, 탑 케이스(142)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22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프레임(210)은 탑 케이스(220)의 측면에 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탑 케이스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탑 케이스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Ⅸ-Ⅸ'선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7은 탑 케이스(142)의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면을 이루는 하나의 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 탑 케이스(142)의 하부 프레임에 해당된다.
이 외에, 탑 케이스(142)의 다른 프레임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케이스(142)는 서로 수직으로 절곡된 전면프레임(142a)과 측면프레임(142b)으로 구성되며, 전면프레임(142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홀(14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42b)에는 중앙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홈 형상의 완충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부(146)는 하부의 스탠드부(2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하중을 분산하고 재료 자체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감쇄(damping)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 작용을 한다.
완충부(146)는 측면 프레임(142b) 상에 어느 위치라도 형성될 수 있으나, 하부의 스탠드부(200)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완충 작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부의 스탠드부(200)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된다.
다시 말해, 완충부(146)는 스탠드부(200)가 위치된 수직 라인에 형성된다. 이는 스탠드부(200)가 액정 표시 모듈(100)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해야 함을 고려하면, 통상, 측면 프레임(142b)의 중앙부에 해당될 것이다.
그리고, 완충부(14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의 너비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며, 내측으로 절곡된 홈의 깊이(dp)는 탑 케이스(142)와 디스플레이(120) 사이의 갭(G)에 의해 결정된다. 세부적으로, 0.3 내지 0.5㎜ 정도가 된다.
또한, 완충부(1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하중의 분산을 균형있게 하기 위해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쪽에 두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탑 케이스를 이용하여 조립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바텀 커버(144)에 백라이트 유닛(123)과 가이드 패널(124) 및 액정 표시 패널(12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수납되고, 디스플레이부(120)의 전면에는 탑 케이스(142)가 장착되어 바텀 커버(144)의 측면과 결합된다. 그리고, 탑 케이스(142)의 전면에는 관통 홀(142c)을 통해 체결 부재(160)가 체결됨으로써 탑 케이스(142)가 조립된다. 그리고, 탑 케이스(142)의 하부에 스탠드부(200)가 고정됨으로써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조립된다.
이때, 내측 하부에는 탑 케이스(142)의 측면프레임(142b)에 형성된 완충부(146)가 디스플레이부(120)의 내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탑 케이스(142)와 디스플레이(120) 사이의 갭(G)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는, 완충부(146)가 디스플레이(120)에 맞닿아 탑 케이스(142a)와 디스플레이(120) 사이의 갭(G)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로부터 스탠드부(2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120)와 거의 맞닿아 있는 탑 케이스(142)의 완충부(146)가 먼저 디스플레이부(120)에 닿게 되어 외부에서 주어지는 순간적인 충격량을 완화하게 된다. 즉, 단위면적당 충격량을 감소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46)의 절곡 형상에 의해 탑 케이스(14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는, 스탠드부를 통한 충격시 집중 하중을 받을 수 있는 탑 케이스의 하부 중앙부에 홈 형상의 완충부를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하중을 분산하고 하부로부터 받게 되는 순간적인 충격량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탑 케이스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감싸는 바텀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감싸도록 서로 수직 절곡된 전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에 내측으로 절곡된 완충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갭을 줄인 탑 케이스; 및
    상기 탑 케이스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
    를 포함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스탠드부와 동일한 수직 라인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너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0.3 내지 0.5㎜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탑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
    를 포함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적층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가이드 패널
    을 포함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131474A 2006-12-21 2006-12-21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57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474A KR20080057782A (ko) 2006-12-21 2006-12-21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474A KR20080057782A (ko) 2006-12-21 2006-12-21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782A true KR20080057782A (ko) 2008-06-25

Family

ID=398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474A KR20080057782A (ko) 2006-12-21 2006-12-21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7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356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65738A1 (en) * 2013-04-05 2014-10-09 Tgi Systems Corporation Safety frame system for an led sign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356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65738A1 (en) * 2013-04-05 2014-10-09 Tgi Systems Corporation Safety frame system for an led signage
US9070310B2 (en) 2013-04-05 2015-06-30 Tgi Systems Corporation Safety frame system for an LED sign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071B2 (en) Display device
EP252771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879868B1 (ko) 액정표시장치
EP207139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backlight unit with a light guide
KR1017920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59824B2 (en) Narrow bezel flat panel display
KR102177834B1 (ko) 표시장치
EP2607946B1 (en) Display apparatus
KR20080057782A (ko) 스탠드 고정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4130194A (ja) 表示装置
JPWO2013136639A1 (ja) 薄型表示装置
KR100405391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84350A (ko) Lcd 모듈의 강도 개선구조
KR101014464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0015098A (ja) 映像表示装置
KR1024231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697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6613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55371A (ko) 스탠드 고정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KR102412108B1 (ko) 표시장치
KR2010008173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4460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56668B1 (ko)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375578B1 (ko) 멀티 디스플레이
KR101740735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