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364A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364A
KR20110000364A KR1020090057824A KR20090057824A KR20110000364A KR 20110000364 A KR20110000364 A KR 20110000364A KR 1020090057824 A KR1020090057824 A KR 1020090057824A KR 20090057824 A KR20090057824 A KR 20090057824A KR 20110000364 A KR20110000364 A KR 20110000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usbar
lead wire
prechar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798B1 (ko
Inventor
박지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1Functional circuits, e.g. logic, sequencing, interlock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릴레이;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부스바; 일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2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3 부스바; 리드선에 의해서 플러스 단자가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리드선에 의해서 일측 단자가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기 제2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저항;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리드선; 및 상기 전원선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프리 차지 저항, 릴레이.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장치로 사용되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구동원으로서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사용하는 형태의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종래의 내연 기관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배터리는 내연 기관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브레이킹 시에 소실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재충전되며, 이를 자동차의 구동에 재사용하기 때문에 내연 기관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자동차에 비해서 고연비의 특성을 갖고 있어, 고유가 및 점차적으로 강화되는 탄소 배출 규제와 같은 현재의 상황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에 통상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발전기(3), 상기 발전기(3)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5)가 인버터(7)와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발전기(3) 및 배터 리(5)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류가 인버터(7)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교류 전류로 변환된 후 모터(9)로 공급된다.
상기 인버터(7)에는 콘덴서(11)가 병렬로 접속되어, 전압 변동을 상기 콘덴서(11)에 의해서 억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인버터(7)에는 정류된 전류가 입력되어, 인버터(7)의 작동이 안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7)와 배터리(5)의 사이에는 두 개의 릴레이(15, 17)가 구비되며, 차량의 키 조작에 따라서 배터리(5)와 인버터(7) 사이의 접속 및 단락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5)와 인버터(7)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3)에 메인 회로(19) 및 프리 차지 저항(21)이 직렬로 접속되는 프리 차지 회로(23)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회로에 메인 릴레이(15) 및 프리 차지 릴레이(17)가 구비된다.
차량의 운전시에는 메인 릴레이(15)가 접속(ON)상태가 되고, 프리 차지 릴레이(17)가 차단(OFF)되므로, 메인 회로(19)를 통하여 배터리(5)의 전력이 인버터(7)로 인가된다. 차량의 키가 OFF 조작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메인 릴레이(15)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비주행시에는 배터리(5)와 인버터(7)의 접속이 차단되어 배터리(5) 전압이 인버터(7)를 통해 모터(9)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메인 릴레이(15)가 차단된 경우에는 상기 인버터(7)에 접속된 콘덴서(11)는 방전된다.
그 후, 차량을 다시 운전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프리 차지 회로(23)에 접속된 프리 차지 릴레이(17)가 접속된다. 이로 인해서, 배터리(5)의 전압이 상기 프리 차지 저항(21)에 의해 강하된 상태로 상기 인버터(7)에 인가되어, 그와 접속된 콘덴서(11)의 충전이 개시된다. 상기 콘덴서(11)의 충전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릴레이(15)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는 차단되어, 배터리(5)의 전압이 상기 인버터(7)에 인가된다.
이러한 프리 차지 회로(23)에 의해서 대전력이 급격하게 인가되어 상기 메인 릴레이(6)의 전극이 손상되거나 용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서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선도 접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신호선은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므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품을 보호하면서도 컴팩트한 부피를 갖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부품을 안전하게 수납하면서도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축소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메인 릴레이의 작동 불량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릴레이;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부스바; 일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2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3 부스바; 리드선에 의해서 플러스 단자가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리드선에 의해서 일측 단자가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기 제2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저 항;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리드선; 및 상기 전원선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각각의 릴레이 등과 같은 각각의 전기소자를 수납하는 한편, 이들을 금속제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부스바 및 통상적인 리드선으로 연결하여 컴팩트하면서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전류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스바와 제2 부스바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부스바는 상기 제1 부스바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는 상기 제1 부스바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는 상기 제3 부스바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센서, 프리 차지 릴레이 및 제1 메인 릴레이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리 차지 저항 및 상기 커넥터가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전류 센서, 프리 차지 릴레이 및 제1 메인 릴레이가 이루는 열과 상기 프리 차지 저항 및 상기 커넥터가 이루는 열의 사이에 상기 리드선 및 전원 공급용 리드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리드선 배치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선 배치공간은 격벽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격 벽에는 리드선 또는 전원 공급용 리드선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 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열로 배치되도록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단위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단위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전류 센서,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측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류 센서를 관통하는 제1 부스바; 일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2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3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4 부스바; 리드선에 의해서 플러스 단자가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리드선에 의해서 일측 단자가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기 제2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저항;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리드선; 및 상기 전원선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열에 배치되는 각각의 단위 공간에는 전류 센서, 프리 차지 릴레이 및 제1 메인 릴레이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부스바 및 제2 부스바는 상기 제1열에 배치되는 단위 공간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는 상기 제1 부스바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각각의 단위 공간에는 커넥터, 제2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저항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부스바 및 제4 부스바는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단위 공간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리 차지 저항이 상기 제3 부스바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사이에는 리드선 또는 전원 공급용 리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리드선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드선 수용공간은 격벽에 형성되는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리드선 또는 전원 공급용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 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파워 릴레이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 소자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파워 릴레이의 작동 원리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서, 상기 실시예는 직육면체 형태의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0)를 관통하여 후술할 제1 부스바(120) 및 제4 부스바(130)의 일단부가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각각의 부스바의 단부들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단자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1 부스바(120)의 단부가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며, 제4 부스바(130)의 단부가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제2 부스바(140) 및 제3 부스바(150)의 단부가 각각 노출되는데, 이들은 각각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되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와 연결되는 단자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부스바(140)의 단부는 인버터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며, 제3 부스바(150)의 단부는 인버터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부스바들은 얇은 박판의 형태를 가지며,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후술할 각각의 전기소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드선에 비해서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소정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서 크게 6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 어 있다.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들은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열에는 3개씩의 단위 공간이 배치된다.
한편, 중앙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02)에는 홈(102a)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102a)은 후술할 각각의 전기 소자들을 서로 연결하는 리드선 또는 각각의 전기 소자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리드선을 수용하기 위한 리드선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에는 다수의 슬롯(104a 내지 104g)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들은 상기 각각의 리드선들이 격벽을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들이다.
따라서, 상기 리드선들은 우선 각각의 격벽에 형성되는 슬롯(104a 내지 104g)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모인 후 상기 홈(102a)의 내부에 수용되어 정렬된다. 이렇게 리드선들이 케이스(100) 중앙부에 위치하는 홈(102a)에 정렬되므로 기기의 구성이 간결하고 컴팩트해지며 작동 중에 리드선이 이탈하거나 분리되는 등의 문제도 없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에 전자 소자들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단위 공간 중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하부의 공간에는 전류 센서(160)가 설치된다. 상기 전류 센서(160)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정하는 역할을 하며, 측정된 전류값은 리드선(미도시)를 통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설치되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부스바(120)가 상기 전류 센서(160)와 연결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슬롯(104d) 및 슬롯(104e)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후술할 커넥터(210)와 연결된다.
상기 전류 센서(160)의 우측에는 프리 차지 릴레이(17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0)는 플러스 단자(172) 및 마이너스 단자(174)를 갖는데, 상기 플러스 단자(172)는 상기 제1 부스바(120)와 리드선을 통해서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174)는 후술할 프리 차지 저항(190)의 일측 단자와 리드선을 통해서 연결된다. 상기 프리 차지 저항(190)측으로 연결되는 리드선은 상기 슬롯(104g)을 통해 상기 홈(102a)에 수용되고 다시 슬롯(104c)를 통해 프리 차지 저항(190)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0)는 상기 제1 부스바(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서, 양자가 수직적으로 배치되므로 효율적인 공간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전원 공급용 리드선(미도시)을 통해서 제공되며, 상기 전원 공급용 리드선은 상기 슬롯(104g), 상기 홈(102a) 및 상기 슬롯(104e)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210)와 연결된다.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0)의 우측에 제1 메인 릴레이(180)가 위치한다.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80)는 플러스 단자(182) 및 마이너스 단자(184)를 갖는데, 상기 플러스 단자(182)는 상기 제1 부스바(120)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마이너스 단자(184)는 상기 제2 부스바(140)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8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전원 공급용 리드선(미도시)을 통해서 제공되며, 상기 전원 공급용 리드선은 상기 홈(102a) 및 상기 슬롯(104e)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210)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80)가 배치된 단위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 공 간에는 프리 차지 저항(190)이 배치된다. 상기 프리 차지 저항(190)는 초기에 입력되는 과도한 전류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두 개의 단자(미도시)를 갖는다. 하나의 단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0)의 마이너스 단자(174)와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단자는 상기 제2 부스바(140)와 연결된다. 상기 프리 차지 저항(190)과 상기 제2 부스바(140)를 연결하는 리드선은 상기 슬롯(104c)을 통과한다.
상기 프리 차지 저항(190)의 좌측에는 제2 메인 릴레이(200)가 배치된다. 상기 제2 메인 릴레이(200)는 통상적으로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긴급 상황시에 인버터측으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즉, 인버터측으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80) 및 프리 차지 릴레이(170)를 모두 차단하여도 되지만, 이들의 작동에 문제가 있어 차단이 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2 메인 릴레이(200)를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메인 릴레이(200)를 생략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메인 릴레이(200)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202, 204)를 각각 갖는데, 상기 플러스 단자(202)는 상기 제3 부스바(15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마이너스 단자(204)는 상기 제4 부스바(13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메인 릴레이(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전원 공급용 리드선(미도시)을 통해서 제공되며, 상기 전원 공급용 리드선은 상기 슬롯(104e)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21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메인 릴레이(200)의 좌측 공간에는 커넥터(210)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2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전원 공급용 리드선 및 전류 센서(160)에 의해 측정된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리드선과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210)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106)에 형성되는 커넥터 삽입홈(10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10)에 제어부측의 카운터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양자의 연결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릴레이;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부스바;
    일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2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3 부스바;
    리드선에 의해서 플러스 단자가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리드선에 의해서 일측 단자가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기 제2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저항;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리드선; 및
    상기 전원선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전류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바와 제2 부스바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부스바는 상기 제1 부스바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는 상기 제1 부스바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는 상기 제3 부스바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 프리 차지 릴레이 및 제1 메인 릴레이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프리 차지 저항 및 상기 커넥터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센서, 프리 차지 릴레이 및 제1 메인 릴레이가 이루는 열과 상기 프리 차지 저항 및 상기 커넥터가 이루는 열의 사이에 상기 리드선 및 전원 공급용 리드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리드선 배치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배치공간은 격벽에 의해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리드선 또는 전원 공급용 리드선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 또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1. 제1 및 제2열로 배치되도록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단위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단위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전류 센서,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측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류 센서를 관통하는 제1 부스바;
    일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플러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2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인버터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는 제3 부스바;
    일단부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측 마이너스 단자를 형성하는 제4 부스바;
    리드선에 의해서 플러스 단자가 상기 제1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릴레이;
    리드선에 의해서 일측 단자가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기 제2 부스바와 연결되는 프리 차지 저항;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 및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리드선; 및
    상기 전원선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에 배치되는 각각의 단위 공간에는 전류 센서, 프리 차지 릴레이 및 제1 메인 릴레이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바 및 제2 부스바는 상기 제1열에 배치되는 단위 공간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는 상기 제1 부스바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각각의 단위 공간에는 커넥터, 제2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저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스바 및 제4 부스바는 상기 제2열에 배치되는 단위 공간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차지 저항이 상기 제3 부스바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사이에는 리드선 또는 전원 공급용 리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리드선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수용공간은 격벽에 형성되는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리드선 또는 전원 공급용 리드선이 통과하는 관통공 또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1020090057824A 2009-06-26 2009-06-26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KR10124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824A KR101241798B1 (ko) 2009-06-26 2009-06-26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824A KR101241798B1 (ko) 2009-06-26 2009-06-26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64A true KR20110000364A (ko) 2011-01-03
KR101241798B1 KR101241798B1 (ko) 2013-03-14

Family

ID=4360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824A KR101241798B1 (ko) 2009-06-26 2009-06-26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7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24U (ko) * 2012-06-14 2013-12-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파워릴레이 어셈블리
CN104685741A (zh) * 2012-07-27 2015-06-03 矢崎总业株式会社 电气接线箱
CN108964166A (zh) * 2017-09-30 2018-12-07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带主正继电器的预充模块
KR20190106514A (ko) * 2018-03-09 2019-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KR20220134275A (ko) 2021-03-26 2022-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파워릴레이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4601B2 (ja) 2004-04-02 2009-04-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24U (ko) * 2012-06-14 2013-12-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파워릴레이 어셈블리
CN104685741A (zh) * 2012-07-27 2015-06-03 矢崎总业株式会社 电气接线箱
EP2879255A4 (en) * 2012-07-27 2016-03-23 Yazaki Corp ELECTRICAL CONNECTION BOX
US9585269B2 (en) 2012-07-27 2017-02-28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08964166A (zh) * 2017-09-30 2018-12-07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带主正继电器的预充模块
CN108964166B (zh) * 2017-09-30 2024-02-23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带主正继电器的预充模块
KR20190106514A (ko) * 2018-03-09 2019-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KR20220134275A (ko) 2021-03-26 2022-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파워릴레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798B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7162B2 (ja) 蓄電装置
JP5726605B2 (ja) 組電池を内蔵した電池ブロックおよび蓄電装置
JP6087838B2 (ja) 電源装置、回路基板、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KR102085344B1 (ko)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5298093B2 (ja) 蓄電装置
JP5630431B2 (ja) 組電池
CN103563122A (zh) 蓄电装置
WO2017047258A1 (ja) 組電池
KR101241798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JP5919919B2 (ja) 組電池
CN103427050A (zh) 电源装置
US10734628B2 (en) Terminal and wiring module
WO2014024435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5470317B2 (ja) 蓄電装置
JP2014107161A (ja) バスバモジュール構造体
JP5430957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
JP5530884B2 (ja) 蓄電装置
JP6282510B2 (ja) 蓄電装置
JP2013012514A (ja) 混成回路
JP7309314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WO2013108786A1 (ja) 電源装置、これを備える車両及び蓄電装置並びに電源装置用の回路基板
JP2021068567A (ja) 蓄電装置
JP2018133215A (ja) バッテリパック
WO2016208335A1 (ja) 蓄電装置
WO2021079935A1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