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315A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0315A KR20110000315A KR1020090057753A KR20090057753A KR20110000315A KR 20110000315 A KR20110000315 A KR 20110000315A KR 1020090057753 A KR1020090057753 A KR 1020090057753A KR 20090057753 A KR20090057753 A KR 20090057753A KR 20110000315 A KR20110000315 A KR 201100003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 angle
- masonry wall
- vertical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7—Supporting consoles, e.g. adjustable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적벽체에 설치되며 판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수평 부재와, 상기 수평 부재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설치되며 수직 설치부가 형성된 수직 부재로 구성된 앵글 몸체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최대한 보강하여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벽체란 벽돌, 돌,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 등(이하, 벽돌로 통칭하기로 함)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조적벽체는 다수개의 벽돌을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조적하면서 각 상호간을 몰탈로 접합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조적벽체의 경우 온도와 바람의 풍압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에 의해 벽돌이 각각 접합되는 부분에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시간이 오래되면 수축 및 팽창을 집중적으로 받는 부분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는데, 특히 창호 윗부분에 탈락 현상이 발생하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벽돌의 일부분이 파손되어 건축물이 손상되기도 한다.
따라서, 조적벽체를 내력벽체와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짐으로써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의 하나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이 있다.
도 1은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건물의 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이루는 조적벽체(B')와 그 내부에서 건물을 지탱하는 내력벽체(I')로 이루어진다. 도면은 하자가 자주 발생하는 윈도우 프레임(W') 위쪽의 상인방 부위를 나타낸 것임을 참고하길 바란다.
종래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은 측단면이 니은(ㄴ)자 형상을 한 앵글로서 저부의 수평 부재(120)와 전면의 수직 부재(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부재(130)는 상기 수평 부재(120)에 대해 90도 정도로 상향 절곡된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은 저부에 윈도우 프레임(W') 등의 특정 구조물이 설치될 경우, 그 상부에서의 벽돌과 내력벽체(I')와의 결합 강성 증대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이 때, 수평 부재(120)와 수직 부재(130) 상에는 고정 나사(126, 136)를 결착하기 위한 수평 설치부(123) 및 수직 설치부(1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설치부(123, 133)는 횡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 나사(126, 136)를 결착시키기 위한 여유 공간이 횡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은 수직 부재(130) 상에 형성된 수직 설치부(133)를 통해 고정 나사(136)가 내력벽체(I')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수평 부재(120) 상에 형성된 수평 설치부(123)를 통해 다른 고정 나사(126)가 삽입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은 프레스 성형 후 벤딩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데, 절곡 부위(M')의 강성이 취약하여 조적벽체(B')를 견고히 지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평 부재(120)와 수직 부재(130)의 두께를 7mm 정도 이상으로 형성하여 절곡 부위(M')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어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적벽체의 일부구간을 교체하여 보강할 경우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최대한 보강하여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함에 있어, 보강 부위가 벽체의 조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설치부를 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길게 제작된 앵글을 일정 길이 절단할 때 수직 설치부가 잘려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직 설치부의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오목부를 형성하여, 종방향으로 긴 형상의 수직 설치부 내에 고정 나사가 삽입되었을 경우, 삽입된 고정 나사를 지지하여 고정 나사가 수직 설치부 내에서 삽입된 공간 이외의 다른 공간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에 보강 부재 이외의 다수의 보강 리브들을 형성하여, 절곡 부위의 강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부재의 상부면을 웨이브 형상으로 제작하여 재료를 절약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제공하는 것이 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부재의 판면에 미끄럼 방지 홀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부재가 수평 부재의 상부 벽돌과 미끄럼 방지 홀을 거쳐 하부 벽돌에 삽입 가능하여, 수평 부재의 상부 벽돌 및 하부 벽돌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에 따라, 상기 조적벽체에 설치되며 판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수평 부재와, 상기 수평 부재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설치되며 수직 설치부가 형성된 수직 부재로 구성된 앵글 몸체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적어도 상기 수평 부재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1 보강체와, 상기 제1 보강체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보강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평 부재에 횡방향으로 긴 모양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강 부재의 제2 보강체는 상기 결합부의 횡방향으로 삽입된 후 90도 회전하여 상기 수평 부재의 저면에 걸리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보강체에는 상기 보강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부재의 판면에는 종방향으로 긴 형상의 수직 설치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수직 설치부의 양측에는 종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오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설치부가 위치하는 수직선 상의 상기 절곡 부위에 제1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 부재의 판면에는 상기 수직 설치부가 위치하는 수직선 상에 횡방향으로 긴 형상의 수평 설치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선 상의 상기 절곡 부위에 제1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보강 리브의 양측의 상기 절곡 부위에 제2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수직 부재의 상부면은 볼록면과 오목면이 반복되는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록면은 상기 수직 설치부가 위치하는 상부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면과 양측의 상기 오목면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수평 부재의 판면에는 상기 수평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적재된 벽돌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홀이 관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최대한 보강하여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이 제공된다.
또한,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함에 있어, 보강 부위가 벽체의 조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설치부를 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길게 제작된 앵글을 일정 길이 절단할 때 수직 설치부가 잘려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직 설치부의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오목부를 형성하여, 종방향으로 긴 형상의 수직 설치부 내에 고정 나사가 삽입되었을 경우, 삽입된 고정 나사를 지지하여 고정 나사가 수직 설치부 내에서 삽입된 공간 이외의 다른 공간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에 보강 부재 이외의 다수의 보강 리브들을 형성하여, 절곡 부위의 강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부재의 상부면을 웨이브 형상으로 제작하여 재료를 절약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부재의 판면에 미끄럼 방지 홀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부재가 수평 부재의 상부 벽돌과 미끄럼 방지 홀을 거쳐 하부 벽돌에 삽입 가능하여, 수평 부재의 상부 벽돌 및 하부 벽돌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 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건물의 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이루는 조적벽체(B)와 그 내부에서 건물을 지탱하는 내력벽체(I)로 이루어진다.
내력벽체(I)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어 건물을 지탱하게 되고, 조적벽체(B)는 내력벽체(I)의 외측에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이하, 벽돌로 통칭하기로 함)을 쌓아 올려 건물의 외장을 이룬다.
이 때, 조적벽체(B)는 온도와 바람의 풍압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에 의해 벽돌이 각각 접합되는 부분에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시간이 오래되면 수축 및 팽창을 집중적으로 받는 부분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는데, 특히 창호 윗부분에 탈락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프레임(W) 위쪽의 상인방 부위에서 하자가 자주 발생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애초 신축 벽돌을 조적할 때 신축 조적벽체와 내력벽체 사이를 보강하는 작업을 하거나, 기 시공된 조적벽체의 하자(탈락 또는 균열)로 인해 교체 구간으로 선정된 윈도우 프레임(W) 위쪽 일부의 벽돌을 제거한 후 새로운 벽돌로 교체하는 보강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교체 구간의 벽돌과 내력벽체(I)와의 결합 강성 증대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이다.
이와 같이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은 내력벽체(I)와 조적벽체(B) 사이에 설치되어 내력벽체(I)에 대해 조적벽체(B)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력벽체(I) 및 조적벽체(B)에 설치되는 앵글 몸체(10)와, 앵글 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강을 위한 보강 부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앵글 몸체(10)는 대략 4mm ~ 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앵글 몸체(10)의 두께가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의 두께에 비해 현저히 작기 때문에 재료비가 적게 들어 제조 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앵글 몸체(10)의 두께를 작게 하더라도, 절곡 부위(M)의 강성이 보강 부재(40)에 의해 보강될 수 있기 때문에 앵글(1)의 전체 중량은 낮추면서 보강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글 몸체(10)의 전체 중량이 작기 때문에, 앵글 몸체(10)를 운반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앵글 몸체(10)를 내력벽체(I) 및 조적벽체(B)에 설치할 때 힘이 덜 들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앵글 몸체(10)는 조적벽체(B)에 설치되는 수평 부재(20)와, 수평 부재(20)로부터 90도 정도 상향 절곡 형성되어 내력벽체(I)에 설치되는 수직 부재(30)로 구성되어, 측단면이 니은(ㄴ)자 형상을 이룬다.
이 때, 수직 부재(30)의 상부면은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후술할 수직 설치부(33)가 위치하는 상부면이 볼록면(30b)을 구성하고 수직 설치부(33)가 없는 위치의 상부면이 오목면(30a)을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수직 부재(30)의 상부면이 일자 모양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웨이브 모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힘이 더 가해지는 수직 설치부(33)의 상부면이 볼록면(30b)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부위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오목면(30a)과 볼록면(30b)은 도 6과 같이 상호 대응되도록 길이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도 6과 같이 볼록면(30b)과 오목면(30a)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이면, 앵글(1)을 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 하나의 웨이브 라인(L)을 따라 판재를 절단하면 두 개의 앵글(1)의 웨이브 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하나의 웨이브 라인(L)을 따라 판재를 절단하면, 하나의 앵글에 형성된 오목면과 볼록면에 의해 다른 하나의 앵글에는 볼록면과 오목면이 반복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의 동일한 앵글(1)이 두 개가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앵글(1) 제작시 생산성이 뛰어나며, 재료비가 절감되어 제조 원가가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 부재(20) 및 수직 부재(30)의 판면에는 각각 수평 설치부(23) 및 수직 설치부(33)가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수평 설치부(23) 및 수직 설치부(33)는 전개도 상태일 때 수직선(V, 도 7의 (c) 참조) 상에 위치한다.
수평 설치부(23)는 횡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 나사(26, 도 5 참조)의 삽입 위치가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수직 설치부(33)는 종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양측에 종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오목부(34)가 두 곳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 결과, 수직 설치부(33)는 고정 나사(36, 도 5 참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33a, 33b, 33c)이 3개로 구성된다.
오목부(34)는 종방향으로 긴 형상의 수직 설치부(33) 내에 고정 나사(36)가 삽입되었을 경우, 삽입된 고정 나사(36)를 지지하여 고정 나사(36)가 수직 설치 부(33) 내에서 삽입된 공간(33a) 이외의 다른 공간(33b, 33c)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고정 나사(36)가 도 3과 같이 수직 설치부(33)의 중간의 공간(33a)에 삽입된 경우, 오목부(34)는 삽입된 고정 나사(36)를 지지하여 고정 나사(36)가 상부 또는 하부의 다른 공간(33b, 33c)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도 2와 같이 앵글(1)의 양측 끝단에 있는 수직 설치부(33)가 반으로 잘려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고정 나사(36)가 끝단의 수직 설치부(33)의 어느 한 공간(33a)(33b)(33c)에 삽입되면 오목부(34)에 의해 다른 공간(33b, 33c)(33a, 33c)(33a, 33b)으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앵글(1)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종래의 앵글(101)이 도 7의 (b)와 같이 수직 설치부(133)가 잘려진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오목부가 없기 때문에 고정 나사(136, 도 1 참조)가 횡방향으로 유동되어 앵글(101)이 흔들려 견고하게 설치되기 어렵다.
한편, 수직 설치부(33)가 종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일반적으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은 도 7의 (a) 및 (c)와 같이 길게 제작되는데,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설치부(133)가 횡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은 도 7의 (c)와 같이 수직 설치부(33)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길게 제작된 각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101, 1)을 필요 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데, 동일 길이를 절단하는 경우 종래의 경우에는 수직 설치부(133)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의 (b)와 같이 수직 설치부(133)가 잘려나가는 경우가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과 같이 수직 설치부(33)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게 되면 도 7의 (d)와 같이 수직 설치부(33)가 잘려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수직 설치부(133)가 잘리지 않도록 절단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 길이 만큼 절단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필요한 길이만큼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앵글(1)을 낭비하는 일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고정 나사(136)가 앵글(101)의 수직 부재(130)상에 형성된 수직 설치부(133)를 통해 내력벽체(I')에 삽입될 때, 고정 나사(136)의 삽입되는 위치와 내력벽체(I')의 안쪽에 설치된 철근의 위치가 일치하여 중첩될 경우 고정 나사(136)의 삽입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통상 고정 나사(136)를 수직 설치부(133)의 측방향의 여유 공간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 나사(136)를 다시 삽입시키는데, 이 때 내력벽체(I')에 설치된 철근 역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고정 나사(136)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위치의 중첩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종래의 경우에는 앵글(101)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수직 설치부(33)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수직 설치부(33)의 공간(33b)의 위치에 내부 철근이 위치하여 고정 나사(36)가 공간(33b)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공간(33a 또는 33b)에 고정 나사(36)를 삽입하여 앵글(1)을 내력벽체(I)에 고정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앵들(1)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 설치부(33)가 종방향으로 긴 형상이기 때문에, 같은 길이(횡방향)를 기준으로 종래의 수직 설치부(133, 도 7의 (a) 및 (b) 참조)에 비해 더 많은 수직 설치부(33)를 형성할 수 있다(종래의 수직 설치부(133)는 횡방향으로 긴 형상이므로 본 발명에 비해 수직 설치부(133)의 개수가 적을 수 밖에 없음). 따라서, 하나의 앵글에 수직 설치부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되도록 감안해서 절단할 때, 본 발명의 앵글(1)은 종래 앵글(101)에 비해 짧은 길이 단위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길이의 앵글이 필요한 곳에 적당히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수평 부재(20)의 판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 홀(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 미끄럼 방지 홀(24)은 수평 부재(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한 벽돌(60, 65)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50)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 벽돌(60) 및 하부 벽돌(65)에는 각각 구멍(60a, 65a)이 형성되어 있는데, 미끄럼 방지 부재(50)는 하부 벽돌(65)의 구멍(65a) 및 미끄럼 방지 홀(24)에 끼워진 다음, 상부 벽돌(60)의 구멍(60a)에 미끄럼 방지 부재(50)가 삽입되도록 수평 부재(20)의 상부에 상부 벽돌(60)을 얹는다. 이에, 미끄럼 방지 부재(50)에 의해 상부 벽돌(60)과 하부 벽돌(65)이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미끄럼 방지 부재(50)로는 철선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보강 부재(40)는 수평 부재(20)와 수직 부재(30)의 절곡 부위(M)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앵글 몸체(10)와는 분리 제작되어 수평 부재(20)에 형성된 결합부(25)에 결합된다.
이 때, 결합부(25)는 수평 부재(20)에 횡방향으로 긴 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보강 부재(40)의 위치를 상황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를 감안한 것이다. 즉, 결합부(25)가 횡방향으로 긴 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예컨대 벽돌(60, 65)이 도 3의 (a)와 같은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보강 부재(40)를 결합부(25)의 맨 왼쪽에 위치시킬 수 있고, 벽돌(60, 65)이 도 3의 (b)와 같은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보강 부재(40)를 결합부(25)의 맨 오른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보강 부재(4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보강 부재(40)는 크게 절곡 부위(M)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1 보강체(41)와, 제1 보강체(41)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수평 부재(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보강체(42)로 구성된다. 이 때, 보강 부재(40)는 수평 부재(20)의 폭이 넓어지면 이에 대응하여 제1 보강체(41) 및 제2 보강체(42)가 수평 부재(20)의 폭 방향으로 길어지게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제1 보강체(41)는 절곡 부위(M)와 동일한 니은(ㄴ)자 측단면 형상을 가져 절곡 부위(M)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제2 보강체(42)는 제1 보강체(41)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결합부(25)를 관통하여 수평 부재(20)의 저면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상부 조적벽체의 하중이 수평 부 재(20)에 가해지더라도 일측면이 내력벽체(I)와 접하고 있는 제2 보강체(42)가 한편으로 수평 부재(2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 부재(2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부 조적벽체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제2 보강체(42)에는 보강 부재(40)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45)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42a)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보강 부재(40)가 도 4의 (c)와 같이 결합부(25)에 조립된 상태에서 보강 부재(40)가 결합부(25)에서 유동될 수 있는데, 이 때 고정 부재(45)를 삽입홈(42a)에 삽입시키면 보강 부재(40)가 결합부(25)에 대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45)는 쐐기 형상일 수 있다.
이하, 보강 부재(40)가 결합부(25)에 결합되는 원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이 보강 부재(40)를 결합부(25)의 횡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 후, 도 4의 (b)와 같이 보강 부재(40)의 제2 보강체(42)를 결합부(25)의 횡방향으로 삽입하는데, 이 때 제1 보강체(41)는 수평 부재(20)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강 부재(40)를 도 4의 (c)와 같이 90도 까지 회전시키면 제2 보강체(42)가 수평 부재(20)의 저면에 걸리게 되어 결합부(25)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 부재(40)를 결합부(25)에 결합시킨 후에는, 제2 보강 체(42)에 형성된 삽입홈(42a)에 고정 부재(45)를 삽입하게 되면, 보강 부재(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절곡 부위(M)의 강성을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 리브들을 마련하였다.
즉, 수직선(V) 상의 절곡 부위(M)에는 제1 보강 리브(5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보강 리브(51)의 양측의 절곡 부위(M)에는 제2 보강 리브(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보강 리브(51) 및 제2 보강 리브(52)는 절곡 부위(M)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20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앵글(201)에서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수직 설치부(333)의 형상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수직 설치부(33)에서는 오목부(34)가 두 곳에 형성되어 수직 설치부(33)의 공간(33a, 33b, 33c)이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제2 실시예의 수직 설치부(233)에서는 오목부(234)가 한 곳에 형성되어 수직 설치부(233)의 공간(233a, 233b)이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앵글 몸체(10)의 절곡 부위(M)에 별도의 보강 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절곡 부위(M)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으므로, 교체구간의 조적벽체(B)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글 몸체(10)의 두께를 작게 하더라도, 절곡 부위(M)의 강성이 보강 부재(40)에 의해 보강될 수 있기 때문에 앵글(1)의 전체 중량을 낮출 수 있으므로,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보강 부재가 결합부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보강 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이 내력벽체와 저부의 벽돌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앵글 몸체를 제작하기 하기 위한 전개도.
도 7의 (a)는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의 전개도, (b)는 (a)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의 전개도, (d)는 (c)의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10 : 앵글 몸체
20 : 수평 부재 23 : 수평 설치부
24 : 미끄럼 방지 홀 25 : 결합부
30 : 수직 부재 33 : 수직 설치부
34 : 오목부 40 : 보강 부재
41 : 제1 보강체 42 : 제2 보강체
51 : 제1 보강 리브 52 : 제2 보강 리브
Claims (12)
-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로서,상기 조적벽체에 설치되며 판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수평 부재와, 상기 수평 부재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설치되며 수직 설치부가 형성된 수직 부재로 구성된 앵글 몸체와;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수직 부재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는 적어도 상기 수평 부재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1 보강체와, 상기 제1 보강체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보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평 부재에 횡방향으로 긴 모양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 관통 형성되고,상기 보강 부재의 제2 보강체는 상기 결합부의 횡방향으로 삽입된 후 90도 회전하여 상기 수평 부재의 저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제2 보강체에는 상기 보강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설치부는 종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수직 설치부의 양측에는 종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오목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수직 설치부가 위치하는 수직선 상의 상기 절곡 부위에 제1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수평 부재의 판면에는 상기 수직 설치부가 위치하는 수직선 상에 횡방향으로 긴 형상의 수평 설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수직선 상의 상기 절곡 부위에 제1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보강 리브의 양측의 상기 절곡 부위에 제2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부재의 상부면은 볼록면과 오목면이 반복되는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록면은 상기 수직 설치부가 위치하는 상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볼록면과 양측의 상기 오목면은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부재의 판면에는 상기 수평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적재된 벽돌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753A KR101119604B1 (ko) | 2009-06-26 | 2009-06-26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753A KR101119604B1 (ko) | 2009-06-26 | 2009-06-26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315A true KR20110000315A (ko) | 2011-01-03 |
KR101119604B1 KR101119604B1 (ko) | 2012-03-06 |
Family
ID=4360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7753A KR101119604B1 (ko) | 2009-06-26 | 2009-06-26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960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92317U1 (ru) * | 2019-07-18 | 2019-09-12 | Серг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рхангельский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го пустотелого кирпича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навесного фасада |
FR3112562A1 (fr) * | 2020-07-17 | 2022-01-21 | International Fixing Systems | Dispositif de descente de charge de briques de parement de façade en retombée de linteau |
US11313132B2 (en) * | 2019-07-30 | 2022-04-26 | Masonry Support Systems Limited | Covering element support arrangement |
IT202100023633A1 (it) * | 2021-09-14 | 2023-03-14 | Matteo Mattei | Raccordo per struttura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445B1 (ko) | 2014-04-24 | 2014-07-22 | 심장보 | 벽돌 건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641015B1 (ko) * | 2015-02-05 | 2016-07-19 | 박형준 | 벽돌 지지구조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2343762B1 (ko) * | 2021-04-27 | 2021-12-29 |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 개구를 가지는 조적 벽체용 보강 구조 |
KR102493121B1 (ko) | 2022-03-16 | 2023-01-30 | 김웅회 | 단열성능 향상 및 외벽마감재 시공을 위한 조적앵글시스템 |
KR102533105B1 (ko) | 2023-01-12 | 2023-05-16 |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 열교차단재를 이용한 창호공간 단열성능 향상 및 외벽마감재 시공을 위한 조적앵글시스템 |
KR102606665B1 (ko) * | 2023-02-08 | 2023-11-24 | 최연수 | 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48916Y2 (ko) * | 1980-10-28 | 1982-10-26 | ||
KR200368180Y1 (ko) * | 2004-08-16 | 2004-11-17 | 유상훈 | 석재판넬 시공용 브라켓트 |
KR200397205Y1 (ko) * | 2005-06-27 | 2005-09-29 | 권화숙 | 조적벽돌 받침구조 |
-
2009
- 2009-06-26 KR KR1020090057753A patent/KR1011196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92317U1 (ru) * | 2019-07-18 | 2019-09-12 | Серг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рхангельский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го пустотелого кирпича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навесного фасада |
US11313132B2 (en) * | 2019-07-30 | 2022-04-26 | Masonry Support Systems Limited | Covering element support arrangement |
FR3112562A1 (fr) * | 2020-07-17 | 2022-01-21 | International Fixing Systems | Dispositif de descente de charge de briques de parement de façade en retombée de linteau |
IT202100023633A1 (it) * | 2021-09-14 | 2023-03-14 | Matteo Mattei | Raccordo per struttur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9604B1 (ko) | 2012-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9604B1 (ko)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
KR100949707B1 (ko) |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 |
KR101107300B1 (ko) | 강판전단벽 | |
KR101030320B1 (ko) |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 |
US20040216415A1 (en) | Welded wire reinforcement for modular concrete forms | |
KR101119605B1 (ko)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
JP4845226B2 (ja) |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 |
CA2492969C (en) | Welded wire reinforcement for modular concrete forms | |
JP2006511745A (ja) | 中空ガラスの建築部材を使用した壁構造 | |
CN107217783B (zh) | 一种装配式整体外墙板 | |
KR200444261Y1 (ko) |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 |
KR102174760B1 (ko) |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 |
KR101124820B1 (ko) |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 |
KR200405522Y1 (ko) |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 |
KR20090124721A (ko) | 건축물 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56237B1 (ko) | 건축물 벽체의 보강패널 시공방법 및 보강패널을 사용한 건축물 벽체의 보강구조 | |
KR20060114572A (ko) | 직교되는 보강재를 갖는 한 쌍의 익스펜디드 메탈라스를이용한 매립형 거푸집 시스템 | |
KR200226668Y1 (ko) | 배수로 설치용 형틀 | |
KR100761052B1 (ko) | 가변형 합벽지지대 | |
KR102216112B1 (ko) | 창틀 수평유지용 브라켓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JP5451508B2 (ja) | 耐震用下地材及びこの耐震用下地材を用いた耐震壁構造 | |
KR100727383B1 (ko) |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 |
KR100757318B1 (ko) | 문틀용 거푸집 | |
KR100670021B1 (ko) | 철골 계단 구조 | |
JP3161779U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