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039A -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039A
KR20110000039A KR1020090057374A KR20090057374A KR20110000039A KR 20110000039 A KR20110000039 A KR 20110000039A KR 1020090057374 A KR1020090057374 A KR 1020090057374A KR 20090057374 A KR20090057374 A KR 20090057374A KR 20110000039 A KR20110000039 A KR 2011000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joint
viewing angle
motor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139B1 (ko
Inventor
탁태오
이희운
유창일
정현구
황대건
원종성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1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서로 대각하는 제 1 및 제 3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1 및 제 2조인트부, 상기 프레임의 제 2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 4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조인트부를 이용하여 내장형 내비게이션 본체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측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057374
내비게이션, 조인트, 시야각, 회전

Description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ANGLE CONTROL OF NAVIGATION}
본 발명은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비게이션(Navigation)은 차량의 주행중에 목적지까지의 길안내를 음성 및 화면을 통하여 제공한다. 특히, 최근에는 내비게이션이 동영상, 엠피3(MPEG Audio Layer-3, 이하 'MP3'라 함) 파일의 재생 기능을 갖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ong, 이하 'DMB'라 함)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 그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내비게이션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 주행 도중에도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의 설치형태는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구분된다.
외장형 내비게이션은 흡착식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대시보드(Dash Board)의 상면에 내비게이션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외장형 내비게이션을 설치하는 거치대의 일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41168호(2008년 7월 22일 등록,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1에 의한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투명 흡착판,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흡착 지지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연결부, 흡착 지지부와 연결부 간의 물림 압력을 조절하는 제 1스크류, 연결부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며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연결부와 고정부 연결부위에 제공되어 연결부와 고정부 간의 물림 압력을 조절하는 제 2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종래기술1에 의한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외장형 내비게이션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거치대의 가격이 저렴하며,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1의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이용한 외장형 내비게이션은 전면유리나 대시보드 상부에 설치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고,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며, 도난의 위험 및 교통사고시 큰 부상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 설치에 따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비게이션을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매립하여 내장형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일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44579호(2009년 5월 14일 등록, 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2에 의한 내장형 내비게이션은 차량의 내부 센터페시아 상부에 절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매립홈에 삽입 장착되어 내비게이션을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매립홈을 커버하되 전면에 내비게이션의 화면표시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 개구부 내측면에 내비게이션이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액자형 전면틀, 전면틀의 상부면과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매립홈을 커버하는 상면부재 및 측면부재, 그리고 측면부재의 하단에 매립홈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움결합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종래기술2에 의한 내장형 내비게이션은 차량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외장형 내비게이션보다 시야각을 정확하게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비록, 상기의 종래기술2에 의한 내장형 내비게이션은 상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트(Tilt) 기능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시야각을 조절하더라도 좌우 방향으로는 시야각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을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서로 대각하는 제 1 및 제 3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1 및 제 2조인트부, 상기 프레임의 제 2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 4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모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감지수단 또는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조인트부의 각각은 상기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조인트, 상기 제 1조인트의 수직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2조인트 및 상기 제 2조인트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 3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제 1조인트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기어의 회전방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 2조인트로 전달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조인트는 중앙부에 상기 기어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선단에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의 수직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조인트는 상기 제 2조인트 및 내비게이션 본체 또는 상기 프레임 및 내비게이션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구와 일측이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회전량만큼 회전하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ⅰ) 내장형 내비게이션 본체를 장착하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다수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 계, (ⅱ) 상기 선택되어 구동되는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ⅰ)는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선택받는 스위치의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ⅳ) 시야각이 조정된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ⅳ)는 상기 스위치의 복귀신호 또는 추가로 구비되는 복귀스위치가 조작되거나 이그니션 키가 오프 조작되면, 시야각이 조정된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서로 대각하는 제 1 및 제 3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모터의 구동을 선택하면, 상기 제 1 및 제 2모터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조인트부를 이용하여 내장형 내비게이션 본체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측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에 최적화된 시야각을 제공하여 운전시 용이하게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내비게이션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는 내비게이션 본체(이하 '본체'라 약칭함)(1), 조인트부(2), 모터(3), 스위치(4), 감지수단(5) 및 제어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GPS 신호와 전자지도를 매핑시켜 현재위치를 표시하고, 목적지를 설정하여 경로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 등을 포함한다.
조인트부(2)는 상기 본체(1)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프레 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를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조인트부(2)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터(3)는 스위치(4)로부터 선택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인트부(2)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모터(3)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회전량에 따라 회전하는 스텝모터(Step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4)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3)의 구동을 선택받아 그 선택신호를 제어부(6)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4)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나 핸들 또는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4)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지수단(5)은 상기 본체(1)나 룸미러(Room Mirror)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6)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수단(5)은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는 스위치(4) 또는/및 감지수단(5)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가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3)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는 별도의 마이크로제어장치(Micro Control Unit)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의 제어유닛 또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구성을 상세 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본체(1)는 차량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고정되는 프레임(10)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부(2)는 상기 프레임(10)의 서로 대각하는 제 1 및 제 3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 제 2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30) 및 제 4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지지봉(40)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의 좌측 상부 모서리 부분(제 1모서리 부분) 및 우측 하부 모서리 부분(제 3모서리 부분)에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좌측 하부 모서리 부분(제 2모서리 부분)에 고정부(30)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우측 상부 모서리 부분(제 4모서리 부분)에 지지부(40)가 마련된다.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의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모터(3, 3')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조인트(21), 상기 제 1조인트(21)의 수직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2조인트(22) 및 상기 제 2조인트(23)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본체(1)를 상하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제 3조인트(23)를 포함한다.
제 1조인트(21)는 제 1 또는 제 2모터(3, 3')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웜기어(3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웜휠(21a)과 상기 웜 휠(21a)의 수직방향 회전운동을 제 2조인트(22)로 전달하는 기어부(21b)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21b)에는 제 2조인트(22)의 걸림돌기(22a)가 걸어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 2조인트(22)는 중앙부에 상기 제 1조인트(21)의 기어부(21b)가 삽입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고, 일측 선단에는 상기 기어부(21b)의 나사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22a)가 형성된다.
제 3조인트(23)는 상기 본체(1)와 제 2조인트(22)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Spherical)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구(23a, 23b)와 상기 제 1 및 제 2결합구(23a, 23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2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조인트(22)와 제 3조인트(2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본체(1)의 상하방향 또는 좌측방향 회전운동시 제 3조인트(23)가 제 2결합구(23b)를 중심으로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조인트(22)와 제 3조인트(23)를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부(30)는 프레임(10)의 좌측 하부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구(31)와 일측이 상기 고정구(3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의 좌측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봉(32)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의 좌측 하부 모서리 부분의 변위를 상기 고정봉(32)의 길이로 제한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모터(3, 3')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30)가 상기 본체(1)의 좌측 하부를 고정하므로, 상기 본체(1)는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봉(40)의 일측은 프레임(10)의 우측 상부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본체(1)의 우측 상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홈(4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가 상기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에 의해 이동하여 프레임(10)의 장착공간에서 이탈되더라도 상기 지지봉(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에 의해 본체(1)가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41)의 직경은 상기 지지봉(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스위치(4)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는 본체(1)의 상부가 운전자를 향해 회전하도록 프레임(1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제 1모터(3)의 구동을 선택하는 제 1스위치(51), 본체(1)의 우측부가 운전자를 향해 회전하도록 프레임(10)의 우측 하부에 설치된 제 2모터(3')의 구동을 선택하는 제 2스위치(52), 상기 제 1스위치(51)에 의해 회전한 본체(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3스위치(53) 및 상기 제 2스위치(52)에 의해 회전한 본체(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4스위치(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스위치(51 내지 54)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시야각 조절신호를 제어부(6)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6)는 상기 시야각 조절신호를 전달받아 제 1 및 제 2모터(3, 3')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는 본체(1)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모터(3, 3')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만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한 번의 스위 치 조작에 따라 모터(3, 3')를 본체(1)의 최대 변위 또는 최대 변위각만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스위치(4)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 1 내지 제 4스위치(51 내지 54)의 선택 이후에 본체(1)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귀스위치가 선택되거나, 차량의 이그니션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6)는 상기 제 1 내지 제 4스위치(51 내지 54) 중에서 선택된 스위치에 의해 구동된 모터(3, 3')를 구동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본체(1)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을 도 4,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시야각 조정방법에 의한 제 1조인트부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시야각 조정방법에 의해 본체의 시야각이 조정된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본체(1)의 시야각을 선택함에 따라 시작된다(S10). 이때, 감지수단(5)이 운전자의 머리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에 따른 출력신호를 제어부(6)로 전달함에 따라 시작될 수도 있다.
단계 S10에서 선택한 스위치가 제 1스위치(51)인 경우(S11), 제어부(6)는 본 체(1)의 상부가 운전자를 향해 회전하도록 제 1모터(3)를 구동한다(S12).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모터(3)가 구동됨에 따라 제 1모터(3)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기어(3a)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웜기어(3a)에 결합된 제 1조인트(21)의 웜휠(21a)은 상기 제 1모터(3)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웜휠(21a)에 연결된 기어부(21b)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 2조인트(22)의 걸림돌기(22a)가 기어부(21b)의 나사산에 걸어진 상태이므로, 기어부(21b)가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제 2조인트(22)는 제 1조인트(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러한 제 2조인트(2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제 3조인트(23)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를 운전자를 향해 직선 운동하게 한다(S13). 예를 들어, 본체(1)의 상하 방향의 최대 변위는 1㎝이고, 최대 변위각은 6˚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체(1)의 좌측 상부가 제 1조인트부(21)에 의해 직선 운동함에 따라 본체(1)의 우측 상부는 지지봉(4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함께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어서, 제 3스위치(53)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면(S14), 제어부(6)는 제 1모터(3)를 상기 제 1스위치(51) 선택시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한다(S15). 이에 따라, 본체(1)의 상부가 운전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S16).
반면, 단계 S10에서 제 1스위치(51)가 미선택되고, 또한 단계 S14에서 제 3스위치(53)가 미선택되고 제 2스위치(52)가 선택된 경우(S17), 제어부(6)는 본체(1)의 우측부가 운전자를 향해 직선 운동하도록 제 2모터(3')를 구동한다(S18).
즉, 제 2모터(3')가 구동됨에 따라 제 2모터(3')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기어(3a)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웜기어(3a)에 결합된 제 1조인트(21)의 웜휠(21a)은 상기 제 2모터(3')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웜휠(21a)에 연결된 기어부(21b)도 수직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제 2조인트(22)의 걸림돌기(22a)는 기어부(21b)의 나사산에 걸어진 상태이므로, 기어부(21b)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조인트(22)는 제 1조인트(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와 같은 제 2조인트(2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제 3조인트(23)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우측부가 운전자를 향해 좌측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한다(S19). 예를 들어, 본체(1)의 좌측 방향으로의 최대 변위는 최대 변위는 1㎝이고, 최대 변위각은 6.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본체(1)의 우측 하부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본체(1)의 우측 상부는 지지부(40)의 지지봉(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어서, 제 4스위치(54)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면(S20), 제어부(6)는 제 2모터(3')를 상기 제 2스위치(52) 선택시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한다(S21). 이에 따라, 본체(1)의 우측부가 운전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S22).
단계 S22를 수행한 이후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여 제 3스위치(53)의 선택 여부에 따라 본체(1)의 상부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만약, 단계 S20에서 제 4스위치(54)가 미선택된 경우, 제어부(6)는 차량의 이그니션 키가 오프 조작되어(S23)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추가로 구비된 복귀스위치가 선택되면, 제어부(6)는 제 1 및 제 2모터(3, 3') 중에서 정방향으로 구동된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S24) 본체(1)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킨다(S25).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의 시야각을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측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어 운전자에게 최적의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소형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제 1 및 제 2모터(3, 3')와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를 프레임(10)의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 설치하여 본체(1)를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 션의 시야각 조정방법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이다.
제 1 및 제 2스위치(51, 52)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되면, 제 1 및 제 2모터(3, 3')가 모두 구동되어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가 본체(1)의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를 직선 운동시킴에 따라 본체(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이어서, 제 3 및 제 4스위치(53, 54)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선택되면,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가 본체(1)의 상부 및 우측부를 운전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킴에 따라 본체(10)가 본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영국이나 일본과 같이 운전석이 차량의 우측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모터(3, 3')와 제 1 및 제 2조인트부(20, 20')를 프레임(10)의 우측 상부 및 좌측 하부에 설치하여 본체(1)를 상하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프레임(10)의 좌측 하부에 설치된 고정부(30) 대신에 지지부(40)를 설치하거나, 모터(3)와 제 1조인트부(20)를 추가하여 본체(1)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본체(1)의 상부가 운전자를 향해 직선 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을 향하도록 시야각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제 3 또는 제 4스위치(53, 54)가 선택됨에 따라 제 1 또는 제 2모터(3, 3')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본체(1)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어서, 제 1 또는 제 2스위치(51, 52)가 선택되 면, 제 1 또는 제 2모터(3, 3')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본체(1)가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시야각 조정방법에 의한 제 1조인트부의 동작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시야각 조정방법에 의해 본체의 시야각이 조정된 동작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비게이션 본체 2: 조인트부
3,3': 모터 4: 스위치
5: 감지수단 6: 제어부
10: 프레임 20: 제 1조인트부
20': 제 2조인트부 21: 제 1조인트
22: 제 2조인트 23: 제 3조인트
30: 고정부 40: 지지봉

Claims (14)

  1.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서로 대각하는 제 1 및 제 3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1 및 제 2조인트부,
    상기 프레임의 제 2모서리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 4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모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감지수단 또는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조인트부의 각각은
    상기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조인트,
    상기 제 1조인트의 수직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2조인트 및
    상기 제 2조인트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직선 운동시키는 제 3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인트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기어의 회전방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 2조인트로 전달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인트는
    중앙부에 상기 기어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선단에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의 수직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조인트는
    상기 제 2조인트 및 내비게이션 본체 또는 상기 프레임 및 내비게이션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구와
    일측이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회전량만큼 회전하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10. (ⅰ) 내장형 내비게이션 본체를 장착하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다수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ⅱ) 상기 선택되어 구동되는 모터의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ⅰ)는
    운전자의 자세 또는 운전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선택받는 스위치의 출력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ⅳ) 시야각이 조정된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ⅳ)는
    상기 스위치의 복귀신호 또는 추가로 구비되는 복귀스위치가 조작되거나 이그니션 키가 오프 조작되면, 시야각이 조정된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서로 대각하는 제 1 및 제 3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제 1 및 제 2모터의 구동을 선택하면, 상기 제 1 및 제 2모터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본체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내비게이션 시야각 조정방법.
KR1020090057374A 2009-06-26 2009-06-26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KR10113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74A KR101135139B1 (ko) 2009-06-26 2009-06-26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74A KR101135139B1 (ko) 2009-06-26 2009-06-26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39A true KR20110000039A (ko) 2011-01-03
KR101135139B1 KR101135139B1 (ko) 2012-04-16

Family

ID=4360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374A KR101135139B1 (ko) 2009-06-26 2009-06-26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671A (ko) 2020-10-06 202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의 모니터 각도 자동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521B1 (ko) * 1996-02-27 1998-10-15 한승준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100514694B1 (ko) * 1998-06-01 2005-11-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에이브이 시스템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0494509B1 (ko) 2002-09-25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향 위치 가변형 트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139B1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71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onitor and method thereof
JP3426821B2 (ja) 縦方向および横方向3次元画像表示装置
US2012024979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02060727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de video monte sur vehicule
WO2016067730A1 (ja) 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の機能変更方法
JP2004082829A (ja) 車載カメラ
WO2009151037A1 (ja) 案内表示装置及び案内表示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および表示内容の切換え方法
JP2019077327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20100048853A (ko) 패널 자세 변경 장치 및, 패널 자세 변경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10000039A (ko) 내장형 내비게이션의 시야각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JP6943525B2 (ja) 情報提示装置、操舵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
KR200387226Y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용 룸미러
KR100945395B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자동 틸팅 장치
CN110316078B (zh) 车辆、基于车载显示终端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20070204240A1 (en) Display control and antenna position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CN100402348C (zh) 汽车天窗多媒体大屏幕影像系统
KR100539028B1 (ko)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20120029113A (ko) 수납식 차량용 거치대
CN209541767U (zh) 一种防水性能好的车载导航装置
KR20130001512U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19172315U (zh) 一种防摔型汽车导航仪
JP2005238885A (ja) 車載表示装置
CN211943168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CN215609318U (zh) 一种具有漂移功能的玩具车
CN204674490U (zh) 携行自拍及车用固定的多用途电子装置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