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696A - 중계커넥터 - Google Patents

중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696A
KR20100138696A KR1020090087469A KR20090087469A KR20100138696A KR 20100138696 A KR20100138696 A KR 20100138696A KR 1020090087469 A KR1020090087469 A KR 1020090087469A KR 20090087469 A KR20090087469 A KR 20090087469A KR 20100138696 A KR20100138696 A KR 20100138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lay
ground
connecto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682B1 (ko
Inventor
노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전송용의 인터페이스끼리를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을 이용하여 접속가능하고, 게다가 전송특성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대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체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중계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의 해결수단으로서 커넥터(10)의 시그널컨택트(20S)와 접속하는 컨택트접속부(62)와, 접속대상물(30)의 시그널컨택트(20S)의 단부에 접촉하는 탄성접속편(63)을 가진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와, 커넥터의 그라운드컨택트(20G)와 접속하는 컨택트접속부(62)와, 접속대상물의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의 단부에 접촉하는 탄성접속편(63)과, 접속대상물의 그라운드층(35)의 단부에 접촉하는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을 가진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커넥터(40)이다.
Figure P1020090087469
중계커넥터, 접속대상물, 그라운드컨택트, 시그널컨택트

Description

중계커넥터{TRUNK CONNECTOR}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단면에 설치한 SATA 등의 인터페이스와 FFC나 FPC 등의 박판상 접속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중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년, 2개의 전자기기 간의 신호전달 수단에는 대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커넥터)의 규격의 하나로서 소위 SATA(Serial ATA)가 알려져 있다. SATA는 (종래에는 패러럴 전송방식으로 보냈던) 대량의 신호를 시리얼 전송방식으로 보다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Blu-ray (등록상표) 디스크 드라이브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세트기기 등에 내장한 메인 기판에 설치한 SATA와,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ODD(광학디스크 드라이브; Optical Disc Drive)에 설치한 SATA를 접속하는 경우는, 동축케이블의 양단을 2개의 커넥터에 각각 접속하고 이들 2개의 커넥터를 상기 전자기기의 SATA에 접속하였다. 그러나 동축케이블은 직경이 크기 때문에 (5mm 정도) 굴곡성 및 가요성이 나쁘며 이 때문에 세트기기 내에서의 끌고 다니기가 불량하여 SATA에 대한 접속작업성이 용이하게 되지 않았다. 또한 끌고 다니기가 용이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이 세트기기 내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게 되기 때문에 세트기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었다. 또한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자체가 고가로 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작게 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192836호 공보와 같은 중계커넥터(신호커넥터)가 있다. 이 중계커넥터는 전자기기(FDD)에 설치한 인터페이스(암 커넥터 1A)와 접촉가능한 접속단부(숫 커넥터 2A)와, 이 접속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FPC의 한쪽 단부와 프레스핏트(pressfit)되거나 납땜된 도전성재료로 되는 복수의 편을 구비하고 있다. FPC는 동축케이블에 비하여 굴곡성 및 가요성이 양호하고 또 커넥터에 대한 접속이 용이하기 때문에 FPC의 다른 쪽 단부를 별도의 중계커넥터에 접속한 후에 이 커넥터를 별도의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려면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개의 인터페이스끼리를 접속하였다.
SATA와 같은 인터페이스끼리를 접속하여 고속전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전송특성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2004-192836호 공보의 중계커넥터에는 전송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한 연구가 충분하게 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중계커넥터와 FPC의 단부를 프레스핏트나 납땜에 의해 접속하고 있지만 이들의 작업에는 공구가 필요로 되기 때문에 FPC에 대한 접속작업성이 나쁘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국 특개2004-192836호 공보의 중계커넥터를 SATA와 같은 전송특성과 전체의 코스트 저감이 요구되어지는 인터페이스에 그대로 전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전송용의 인터페이스끼리를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을 이용하여 접속가능하고, 또한 전송특성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대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전체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중계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중계커넥터는 전자기기에 설치한 시그널컨택트와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한 컨택트와, 그라운드층과, 그라운드전송용 도선과 이 그라운드층에 대하여 절연된 시그널전송용 도선과, 상기 그라운드층, 시그널전송용 도선 및 그라운드전송용 도선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표면을 덮는 커버층을 구비한 가요성을 가진 판상의 접속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커넥터로서, 일단에 상기 커넥터와 붙이고 떼는 커넥터 접속물을 가지며 타단에 상기 접속대상물의 단부가 끼우고 떼 기가 가능한 삽입용 개구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한 일단측에서 상기 커넥터 접속부에 접속한 상기 커넥터의 시그널컨택트와 접속하는 컨택트접속부를 가지며, 타단측에 상기 삽입용 개구에 삽입한 접속대상물의 상기 시그널전송용 도선의 노출한 단부에 접촉하는 탄성접촉편을 가진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한 일단측에 상기 커넥터 접촉단부에 접속한 상기 커넥터의 그라운드컨택트와 접속하는 컨택트접속부를 가지며, 타단측에 상기 삽입용 개구에 삽입한 접속대상물의 상기 그라운드전송용 도선의 노출한 단부에 접촉하는 탄성접촉편과, 상기 그라운드층의 노출한 단부에 접촉하는 단락용 탄성접촉편을 가지는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접촉대상물의 열 가장자리에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돌출부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는 로크(lock)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액츄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의 컨택트접촉부 및 탄성접촉편이 상기 접속대상물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삽입방향과 평행한 동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컨택트접촉부, 탄성접촉편 및 단락용 탄성접촉편이 상기 삽입방향에 평행한 동일직선상에 위치시켜도 좋다.
상기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상기 탄성접촉편과 단락용 탄성접촉편도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 중의 인슐레이터에 고정된 부분인 기부(基部)로부터 뻗어나오고 또 그의 선단이 탄성변형편에 근접하도록 구부러져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커넥터가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와는 별개로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또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가 접속대상물의 그라운드층에 접촉하기 때문에 시그널컨택트, 중계용 시그널컨택트 및 시그널전송용 도선에 흐르는 신호의 전송특성이 아주 안정하다. 그렇기 때문에 시그널컨택트, 중계용 시그널컨택트 및 시그널전송용 도선에 대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은 동축케이블에 비하여 얇고 굴곡성 및 가요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기기 내에서 끌고 다닐 수 있어 이동성과 접속작업성이 뛰어나고, 또 코스트가 낮다. 따라서 소형의 기기에도 대응할 수 있고, 발송특성과 전체의 코스트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로크(lock) 위치로 이동시키면 접속대상물과 인슐레이터의 한 쪽에 설치한 걸어맞춤오목부와 다른 쪽에 설치한 걸어맞춤돌출부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접속대상물의 인슐레이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와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를 같은 피치 또는 좁은 피치로 인슐레이터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단락용 탄성접촉편의 선단부를 탄성접촉편에 근접하도록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길이방향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용의 금형과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용 의 차이는 단락용 탄력접촉편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아니기 때문에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기계적ㆍ전기적 성능을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에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계적ㆍ전기적 성능상 유리하다. 또한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용의 금형에 대하여 간단한 설계나 설계변경을 행함으로써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용의 금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먼저, 중계커넥터(40)의 접속상대인 커넥터(10)와 FFC(Flexible Flat Cable)(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는 소위 SATA(Serial ATA) 규격의 인슐레이터이며, 큰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11)와, 그라운드컨택트(20G)와, 시그널컨택트(20S)와, 쉘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11)는 절연성이고 또 내열성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것이며 좌우방향으로 뻗은 벽부(12)와 벽부(22)의 양단부에서 벽부(1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측벽부(13)와, 벽부(12)로부터 측벽부(13)와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단면이 대략 L자형의 끼워 맞추면춤돌출부(14)를 가지고 있다. 좌측의 측벽부(13)의 내측면에는 끼워 맞추면춤오목부(15)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측벽부(13)의 외측면에는 맞물림오목부(16)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벽 부(12)에는 끼워 맞추면춤돌출부(14)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합계 7개의 압입공(17)이 관통공으로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끼워 맞추면춤돌출부(14)의 하면에는 각 압입공(17)에 대응하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7개의 부착용 오목부(18)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합계 3본의 그라운드컨택트(20G)와, 서로 이웃하는 그라운드컨택트(20G) 사이에 2본씩 위치하는 합계 4본의 시그널컨택트(20S)와 같이 스프링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을 들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로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도시하는 형상으로 순차이동금형(스탬핑)에 의해 성형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실시한다. 그라운드컨택트(20G) 및 시그널컨택트(20S)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뻗은 접촉편(21)과 접촉편의 후단에서부터 하향으로 뻗은 후 후방으로 뻗은 테일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그라운드컨택트(20G), 시그널컨택트(20S)는 그의 접촉편이 후방에서 인슐레이터(11)의 각 압입공(17)에 압입되고 각 접촉편(21)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빠짐방지돌기(23)가 대응하는 부착용 오목부(18)의 양측면에 눌러접합함으로써 등피치(좌우방향의 간격)로 인슐레이터(11)와 일체화하여 있고, 각 테일부(22)의 하단부는 인슐레이터(11)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있다.
금속판의 프레스성형품인 쉘부재(25)는 끼워 맞추면춤돌출부(1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인슐레이터(11)의 상면을 덮은 천정부(26)와, 천정부의 양측부로부터 하방으로 뻗은 좌우의 맞물림오목부(16)에 걸어맞추는 측편(27)과, 좌우의 측편(27)의 하단에 돌출되게 설치한 천정부(26)와 평행한 테일부(28)를 구비하여 있고, 쉘부재(25)에는 좌우 한쌍의 걸림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Blu-ray (등록상표) 디스크 드라이브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세트기기에 내장된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ODD(광학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전자기기(도 3의 가상선 참조)에 내장되며, 그의 전단면이 해당 전자기기의 전단면에서 노출되어 있다. 또한 해당 전자기기의 내부에는 도시를 생략한 회로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각 그라운드컨택트(20G)의 테일부(22)는 해당 회로기판 상에 형성한 접지용 회로에 납땜되어 있으며, 각 시그널컨택트(20S)의 테일부(22)는 해당 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용 회로에 납땜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세트기기의 내부에는 메인기판(전자기기)이 설치되어 있고, 이 메인기판 상에 커넥터(10)와 같은 구조인 별도의 커넥터(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커넥터(10)의 각 그라운드컨택트(20G)의 테일부(22)는 메인기판의 접지용 회로에 납땜되어 있으며, 각 시그널컨택트(20S)의 테일부(22)는 메인기판 상의 신호용 회로에 납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속대상물인 FFC(30)는 평판상의 장척물(長尺物)이며 전체가 탄성변형 가능하다(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도 2, 도 11,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C(30)는 적층구조이며, FFC(30)의 연장방향에 따라 직선으로 뻗은 도전성 재료로 되는 합계 3본의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과 서로 이웃하는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사이에 2본씩 위치하는 도전성 재료로 되는 합계 4본의 시그널전송용 도선(31S)과,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및 시그널전송용 도선(31S)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양면을 덮고 또 절연재(예를 들면, 폴리에스텔이나 폴리이미드 등)으로 되는 절연층(33) 및 커버층(34)과, 절연층(33)에 의해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및 시그널전송용 도선(31S)과 절연되고 또 그의 양단이 절연층(33)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퇴한 인청동이나 황동 등의 동합금계 주석이나 금도금을 실시한 후 도전성 재료로 되는 그라운드층(35)과, 그라운드층(35)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표면을 덮는 절연성으로 되는 커버층(36)과, 커버층(34)의 표면 및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과 시그널전송용 도선(31S)의 양단부의 표면에 고착한 단부보강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시그널전송용 도선(31S)은 같은 위치이며, 각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시그널전송용 도선(31S)의 양단부와 그라운드층(35)의 양단부의 상면은 노출되어 있다. 또한 FFC(30)의 전단부 근방부와 후단부 근방부에는 좌우 한쌍의 걸어맞춤오목부(38)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중계커넥터(4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중계커넥터(40)는 큰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41)와,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와,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와, 액츄에이터(70)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41)는 절연성이고 또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41)의 후단면에는 끼워 맞추면춤돌출부(14)와 대략 같은 단면형상의 끼워 맞추면춤용 공간(커넥터접속단부)(42)이 전방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인슐레이터(41)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끼워 맞추면춤용 공간(42)의 단부를 규정하는 스토퍼벽(43)이 설치되어 있다. 인슐레이터(41)의 후단면에는 합계 7본의 컨택트수납공(44)이 전방으로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컨택트수납공(44)의 전단은 스토퍼벽(43)을 전방으로 관통하고 있다(도 6 참조). 또한 컨택트수납공(44)의 전단 및 후단을 제외한 부분의 상단은 개구(開口)되어 있고 끼워 맞추면춤용 공간(42)과 연이어 통하여 있다(도 5 및 10 참조).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41)의 전반부는 후반부보다 두께가 얇고 전반부의 하반부는 FFC 삽입공간(삽입용 개구)(46)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41)의 전반부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합계 7본의 컨택트수납홈(47)이 전반부의 전 길이에 걸쳐서 같은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컨택트수납홈(47)의 후단은 대응하는 컨택트수납공(44)의 전단(스토퍼벽(43)에 형성한 관통공)과 서로 연이어 통하여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41)의 전반부의 하면에는 컨택트수납홈(47)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걸어맞춤돌출부(48)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인슐레이터(41)의 후반부의 좌측부는 그의 상하를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한 끼워 맞추면춤오목부(15)와 대략 같은 단면형상의 끼워 맞추면춤돌출부(49)로 되어 있고, 인슐레이터(41)의 좌우양측 가장자리의 전단 근방부에는 슬라이드지지홈(50)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슬라이드홈(50)의 바로 위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로크용 돌출줄(5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지지홈(50)과 로크용 돌출줄(51) 사이에는 언로크유지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41)의 상면의 후단부 근방부에는 좌우 한쌍의 걸림돌기(53)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합계 3본의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와 서로 이웃하는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 사이에 2본씩 위치하는 합계 4본의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와는 일체로, 스프링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로손계동합금의 박판을 타발가공한 베로즈형의 것이며 표면에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 금도금을 실시하여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후부는 스프링 성능을 가진 탄성변형편(61)으로 되어 있고, 탄성변형편(61)의 후단부 근방에는 상방향으로의 접촉돌출부(컨택트접촉부)(62)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전부(前部)에는 일체로 스프링 성능을 가진 탄성접촉편(63)과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이 탄성변형편(61)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양태로 하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탄성접촉편(63)과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은 샤링가공 후에 잘라세우는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접촉편(63)은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전부를 구성하는 본체부(66)의 대략 중앙부를 잘라세워서 탄성접촉편(63)의 근원부가 본체부(66)의 기부(66a)(본체부(66)의 전단부)에 접속하도록 가공한 것이며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은 기부(66a)로부터 탄성접촉편(63)과 반대측으로 뻗어나오게 하며, 또 선단이 탄성접촉편(63)에 조정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되도록) 구부린 것이다. 그리고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전부의 폭이 넓은 경우는 타발가공에 의해 탄성접촉편(63)과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기부(66a)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빠짐방지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66a)는 빠짐방지돌기(65)를 통하여 컨택트수납홈(47)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변형이 어려워, 그의 기부(66a)로부터 뻗어나오는 탄성접촉편(63)과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은 FFC 삽입측이 근원으로 되기 때문에 FFC(30)를 중계커넥터(40)에 삽입할 때에 구부러지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는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와 대략 같은 형상이며, 후부는 스프링 성능을 가진 탄성변형편(61)으로 되어 있고, 탄성변형편(61)의 후단부 근방에는 상방향으로의 접촉돌출부(컨택트접촉부)(62)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전부에는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와 같은 요령으로 스프링성을 가진 탄성접촉편(63)이 탄성변형편(61)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양태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는 인슐레이터(41)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장착(압입)시킨다. 즉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를 대응하는 컨택트수납홈(47) 내에 위치시킨 후에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각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탄성변형편(61)이 대응하는 컨택트수납공(44)의 후단(스토퍼벽(43)에 형성한 관통공)으로부터 컨택트수납공(44) 내에 삽입되고, 또 탄성변형편(61)의 후단부가 대응하는 컨택트수납공(44)의 후단의 천정면에 맞닿는다(도 10 참조). 그래서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전부의 양측면에 형성한 복수의 빠짐방지돌기(65)가 대응하는 컨택트수납홈(47)의 양측면에 각각 눌러 접착함으로써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가 인슐레이터(11)에 일체화한다.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부재인 액츄에이터(70)는 평판상의 누름판(71)과, 누름판(71)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뻗은 슬라이드편(7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슬라이드편(72)의 대향면의 상단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뻗은 로크유지갈고리(74)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70)는 좌우의 슬라이드편(72)을 인슐레이터(41)의 대응하는 슬라이드지지홈(50) 내에 위치시킨 결과 각 로크유지갈고리(74)를 대응하는 언로크유지홈(52)에 걸어맞춤으로써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언로크 위치로 유지된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70)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로크유지갈고리(74)를 대응하는 로크용 돌출줄(51)의 상면에 끼워 맞추면, 액츄에이터(70)는 도 1,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로크 위치로 유지된다.
이어서, 커넥터(10), FFC(30) 및 중계커넥터(40)의 접속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FFC(30)의 양단부를 2개의 중계커넥터(40)에 접속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도시한 중계커넥터(40)의 액츄에이터(70)를 도 3 및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언로크 위치로 위치시켜서 FFC 삽입공간(46)과 누름판(71) 사이에 FFC(30)의 단부의 두께보다 상하 치수가 큰 공간을 형성하여 놓고, 이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FC(30)의 도시한 단부를 후방으로부터 중계커넥터(40)에 접근하여 해당 공간에 삽입하고, FFC(30)의 좌우의 걸어맞춤오목부(38)를 인슐레이터(FFC삽입공간(40))에 형성한 좌우의 걸어맞춤돌출부(48)에 각각 걸어 맞춘다. 이어서 액츄에이터(70)를 로크 위치까지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판(71)의 상면이 FFC(30)의 단부를 상방으로 누르기 때문에 각 시그널전송용 도선(31S)의 단부가 대응하는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탄성접촉 편(6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탄성접촉편(63)에 접촉하여 각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의 단부가 대응하는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탄성접촉편(6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탄성접촉편(63)에 접촉하며, 또 그라운드층(35)의 단부가 각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의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단락용 탄성접촉편(64)에 접촉한다.
이와 같은 요령에 의해 FFC(30)의 한쪽 단부를 중계커넥터(40)에 접속하면, FFC(30)의 걸어맞춤오목부(38)가 대응하는 걸어맞춤돌출부(48)에 의하여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70)를 의도적으로 언로크(unlock)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FFC(30)의 단부가 중계커넥터(40)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다. 그래서 이것과 같은 요령에 의해 FFC(30)의 다른 쪽 단부에 도시를 생략한 별도의 중계커넥터(40)를 접속한다.
이어서, FFC(30)의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중계커넥터(40)를 대응하는 커넥터(10)에 각각 접속하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도시한 중계커넥터(40)의 인슐레이터(41)의 후단면을 도시한 커넥터(10)의 전단면과 대향시킨 후에 중계커넥터(40)를 후방으로 접근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끼워 맞추면춤돌출부(14)를 중계커넥터(40)의 끼워 맞추면춤공간(42)에 끼워 맞추면춘다. 그러하면, 각 그라운드컨택트(20G)의 접촉편(21)이 대응하는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접촉돌출부(52)에 접촉하고 대응하는 탄성변형편(61)을 하방으로 탄성변형시키고, 또 각 시그널컨택트(20S)의 접촉편(21)이 대응하는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접촉돌출부(62)에 접촉하여, 대응하는 탄성변형편(61)을 하방으 로 탄성변형시킨다. 또한 도 1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커넥터(40)의 한쌍의 걸림돌기(53)가 커넥터(10)의 한쌍의 걸림구멍(29)에 각각 걸어맞추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중계커넥터(40)를 커넥터(10)에 대하여 당겨 뽑지 않는 한 커넥터(10)와 중계커넥터(40)의 접속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요령에 의해 전자기기의 커넥터(10)와 한쪽의 중계커넥터(40)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요령에 의해 메인기판에 고정한 커넥터(10)와 다른 쪽 중계커넥터(40)(어느 것도 도시 생략)를 상호접속한다. 그러하면, 한 쌍의 커넥터(10), 한 쌍의 중계커넥터(40) 및 FFC(30)를 통하여 메인기판의 신호용 회로와 전자기기(HDD나 ODD 등) 측의 회로기판의 신호용 회로가 도통하기 때문에, 메인기판과 전자기기 사이에서 신호가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기판의 접지용 회로와 전자기기 측의 회로기판의 접지용 회로가 각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를 통하여 FFC(30)의 각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및 그라운드층(35)과 도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커넥터(40)의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가 커넥터(10)의 그라운드컨택트(20G)와 FFC(30)의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에 접속하고 또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이 FFC(30)의 그라운드층(35)에 접촉하기 때문에 커넥터(10)의 시그널컨택트(20S), 중계커넥터(40)의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 및 FFC(30)의 시그널전송용 도선(31S)에 흐르는 신호의 전송특성이 매우 안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시그널컨택트(20S),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 및 시그널전송용 도선(31S)을 이용하여 메인기판과 전자기 기(HDD나 ODD 등) 사이에서 대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츄에이터(70)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면 액츄에이터(70)가 FFC(30)를 상방으로 누름으로써, FFC(30)의 걸어맞춤오복부(38)와 인슐레이터(41)의 걸어맞춤돌출부(48)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FFC(30)의 중계커넥터(40)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FC(30)는 굴곡성 및 가요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세트기기 내에서의 끌고 다니는 성능이 양호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기기(HDD, 메인기기 등)의 레이아웃 세계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또 FFC(30)가 세트기기 내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세트기기의 소형화를 실현하기 쉽다.
또한, FFC(30)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에 비하여 케이블 자체가 값이 싸다. 그리고 FFC(30)의 단부는 공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중계커넥터(40)에 대하여 간단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취급이 용이(끌고 다니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세트기기 내에서의 전자기기와 중계커넥터(40)의 접속 작업성이 양호하다. 그렇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체의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의 탄성접촉편(63)과 단락용 탄성접촉편(64)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탄성접촉편(63)은 인슐레이터(41)의 컨택트수납홈(47)에 고정되어서 변형하기 어려운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기부(66a)에 형성하기 때문에 탄성접촉편(63) 및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은 안정한 거동으로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 시그널전송용 도 선(31S), 그라운드층(35)에 접촉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하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그라운드컨택트(20G), 시그널컨택트(20S))를 SATA 이외의 인터페이스로 대체하여도 좋다. 또한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탄성접촉편(63), 단락용 탄성접촉편(64)을 기부(66a)로부터 상방향으로 뻗어나오도록 하고, 또 액츄에이터(70)를 인슐레이터(41)의 단부에 부착하여도 좋다. 중계커넥터(40)를 이와 같이 설계변경하면, 메인기판에 대한 접촉의 방향(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상하의 방향)을 거꾸로 되게 한다.
또한 그라운드컨택트(20G), 시그널컨택트(20S)의 접촉편(21)에 가지도록 함으로써,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탄성변형편(61)을 탄성변형하지 않는 것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또한 박판상의 접속대상물로서는 FFC(30)와는 다른, 예를 들면 FPC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FFC(30)나 FPC에 걸어맞춤돌출부(48)에 상당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인슐레이터(41) 측에 걸어맞춤오목부(38)에 상당하는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FFC(30)의 그라운드층(35)과 그라운드전송용 도선(31G)을 절연함이 없이 양자를 스로우 홀 등에 의해 접속하여도 좋다. 중계커넥터(40)의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는 접속대상물을 인슐레이터(41)의 FFC(삽입공간)(46)에 삽입한 것만으로는 (액츄에이터(70)가 언로크 위치에 위치할 때는) 접속대상물과의 사이에서 접촉압력을 발생하지 않는 소위 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이지만,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단부를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유상태인 해당 두 갈래 부분의 극간 간격을 접속대상물의 극간 간격을 접속대상물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중계커넥터(40)를 소위 NON-ZIF 타입의 커넥터로 설계변형하여도 좋다.
또한 액츄에이터(70)를 회전식 액츄에이터로 변경하여도 좋다. 그리고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탄성변형편(61)을 탄성접촉편(63) 및 단락용 탄성접촉편(64)과 FFC(30)의 인슐레이터(11)에 대한 삽입방향과 평행한 동일직선상에서 나란히 형성하고 있지만,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60G) 및 중계용 시그널컨택트(60S)의 적어도 한 쪽의 탄성변형편(61)의 폭방향 위치를 탄성접촉편(63)(및 단락용 탄성접촉편(64))과 겹치지 않도록 비켜놓아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커넥터(10)의 그라운드컨택트(20G)와 시그널컨택트(20S)의 일부의 피치(간격)를 다른 피치에 대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 중계커넥터 및 FFC를 서로 접속할 때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중계커넥터 및 FFC를 서로 분리할 때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중계커넥터 및 FFC를 서로 분리할 때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중계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중계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의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IX-IX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X-X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커넥터, 중계커넥터 및 FFC를 서로 접속할 때의 시그널컨택트, 그라운드컨택트, 중계용 시그널컨택트,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 및 FFC의 접촉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부호 설명>
10: 커넥터 11: 인슐레이터
12: 벽부 13: 측벽부
14: 끼워맞춤돌출부 15: 끼워맞춤오목부
16: 맞물림오목부 17: 압입공
18: 부착용 오목부 20G: 그라운드컨택트
20S: 시그널컨택트 21: 접촉편
22: 테일부 23: 빠짐방지돌기
25: 쉘부재 26: 천정부
27: 측편 28: 테일부
29: 걸림구멍 30: FFC(접속대상물)
31G: 그라운드전송용 도선 31S: 시그널전송용 도선
33: 절연층 34: 커버층
35: 그라운드층 36: 커버층
37: 단부보강부재 38: 걸어맞춤오목부
40: 중계커넥터 41: 인슐레이터
42: 끼워맞춤공간(커넥터접속단부) 43: 스토퍼벽
44: 컨택트수납공 46: FFC삽입공간(삽입용 개구)
47: 컨택트수납홈 48: 걸어맞춤돌출부
49: 끼워맞춤돌출줄 50: 슬라이드지지홈
51: 로크용 돌출줄 52: 언로크유지홈
53: 걸림돌기 60G: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
60S: 중계용 시그널컨택트 61: 탄성변형편
62: 접촉돌출부(컨택트접촉부) 63: 탄성접촉편
64: 단락용 탄성접촉편 65: 빠짐방지돌기
66: 본체부 66a: 기부
70: 액츄에이터 71: 누름판
72: 슬라이드편 73: 전부돌출편
74: 로크유지갈고리

Claims (4)

  1. 전자기기에 설치된 시그널컨택트와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한 커넥터와,
    그라운드층과, 그라운드전송용 도선과, 상기 그라운드층에 대하여 절연된 시그널전송용 도선과 상기 그라운드층 시그널전송용 도선 및 그라운드전송용 도선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표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가요성을 가진 판상의 접속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커넥터로서,
    일단이 상기 커넥터와 붙이고 뗄 수 있는 커넥터 접속단부를 가지며, 타단에 상기 접속대상물의 단부가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삽입용 개구를 가진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한 일단측에 상기 커넥터에 접속단부에 접속한 상기 커넥터의 시그널컨택트와 접속하는 컨택트접속부를 가지며, 타단측에 상기 삽입용 개구에 삽입한 접속대상물의 상기 시그널전송용 도선의 노출한 단부에 접촉하는 탄성접촉편을 가진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한 일단측에 상기 커넥터접촉부에 접속한 상기 커넥터의 그라운드컨택트와 접속하는 컨택트접속부를 가지며, 타단측에 상기 삽입용 개구에 삽입한 접속대상물의 상기 그라운드전송용 도선의 노출한 단부에 접촉하는 탄성접촉편과, 상기 그라운드층의 노출한 단부에 접촉하는 단락용 탄성접촉편을 가지는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의 열 가장자리에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접속대상물로부터 떨어진 언로크 위치와 상기 접속대상물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와 걸어맞춤돌출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액츄에이터를 설치한 중계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용 시그널컨택트의 컨택트접촉부 및 탄성접촉편이 상기 접속대상물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삽입방향과 평행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컨택트접촉부, 탄성접촉편 및 단락용 탄성접촉편이 상기 삽입방향과 평행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중계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의 상기 탄성접촉편과 단락용 탄성접촉편은 중계용 그라운드컨택트 중의 인슐레이터에 고정되는 부분인 기부에서 뻗어 나오고, 또 상기 단락용 탄성접촉편은 탄성접촉편과는 반대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또 그의 선단이 탄성변형편에 가깝게 되도록 구부러진 중계커넥터.
KR1020090087469A 2009-06-24 2009-09-16 중계커넥터 KR101090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9312 2009-06-24
JP2009149312A JP2011008978A (ja) 2009-06-24 2009-06-24 中継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96A true KR20100138696A (ko) 2010-12-31
KR101090682B1 KR101090682B1 (ko) 2011-12-12

Family

ID=4351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469A KR101090682B1 (ko) 2009-06-24 2009-09-16 중계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08978A (ko)
KR (1) KR101090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26B1 (ko) * 2014-11-11 2015-07-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복합 커넥터
KR20150109140A (ko) * 2014-03-19 2015-10-01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9861A (zh) * 2017-03-09 2017-08-11 陈文九 电转接卡
CN112042062B (zh) 2018-04-27 2022-03-18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连接器和基板
JP6923851B2 (ja) * 2018-12-28 2021-08-25 Smk株式会社 中継コネクタ
JP7453756B2 (ja) 2019-07-26 2024-03-2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46094B2 (ja) 2019-12-03 2024-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対象物、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KR102560489B1 (ko) 2021-02-04 2023-07-28 이미경 Ffc용 커넥터
WO2023074053A1 (ja) * 2021-10-29 2023-05-04 京セラ株式会社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WO2023074641A1 (ja) * 2021-10-29 2023-05-04 京セラ株式会社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8001B2 (ja) * 2002-06-28 2009-03-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175655B2 (ja) * 2005-09-21 2008-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ェル付き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140A (ko) * 2014-03-19 2015-10-01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커넥터
KR101534826B1 (ko) * 2014-11-11 2015-07-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복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682B1 (ko) 2011-12-12
JP2011008978A (ja)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682B1 (ko) 중계커넥터
TWI689136B (zh)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CN102099970B (zh) 具有电容耦合匹配接口的输入/输出连接器
US7291034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US10236628B2 (en) Connector
US20060292898A1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EP0421789B1 (en) Connector
US778969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and slider
US20110111618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57024A (ko)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CN102474052A (zh) 电气支架组件和电气支架组件的系统
EP2629373B1 (en) Electric connector
CN102570116B (zh) 用于电连接器的接口触头
JP5699110B2 (ja) コネクタ
JP2022186858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EP3213375B1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CN101888046A (zh) 线缆连接器组件
US2012004054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o change arrangement of wires
CN110707502A (zh) 一种电连接器制成方法
TWI358173B (en) Card connector and assembly of the same
CN103001064B (zh) 连接装置
JP5756698B2 (ja) 電気コネクタ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JP7229126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9806471B2 (en) Power connector and a pluggable connector configured to mate with the pow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