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826B1 - 복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복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826B1
KR101534826B1 KR1020140156209A KR20140156209A KR101534826B1 KR 101534826 B1 KR101534826 B1 KR 101534826B1 KR 1020140156209 A KR1020140156209 A KR 1020140156209A KR 20140156209 A KR20140156209 A KR 20140156209A KR 101534826 B1 KR101534826 B1 KR 10153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nector
pin
mai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호
차선화
김영조
구황섭
김현제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4015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01R13/6469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on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B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기기간 동작제어를 위한 다수의 신호를 통합하여 송수신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고주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제1 메인핀 및 복수의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는 복수의 제1 제어핀이 구비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핀에 대응 연결되는 제2 메인핀과, 각각의 상기 제1 제어핀에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제어핀 및 복수의 상기 제2 제어핀의 제어신호를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일측이 복수의 상기 제2 제어핀의 타측에 동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되, 그 단부에 별도로 구비된 통신기기와 접속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가 설치된 FPCB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커넥터{A COMPOSITE CONNECTOR}
본 발명은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기기간 동작제어를 위한 다수의 신호를 통합하여 송수신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기기 간에는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 등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되며, 이러한 신호를 상호 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방법으로 수 커넥터(male connector)와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를 이용하여 양방을 연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일측 통신기기에 수 커넥터를 설치하고, 타측 통신기기에 암 커넥터를 설치하고,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체결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각각 통신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종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 등 다양한 신호들이 체결된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를 통하여 일측 통신기기에서 타측 통신기기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다수의 신호핀이 설치된다.
종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복합 커넥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등록특허공보 제10-1225048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시 사용되는 고주파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통신기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 등 연결선의 수량 증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통신 기기 간에 다량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통신기기의 부피가 증가되고, 통신기기의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절곡된 형태로 통신기기에 연결하는 경우, 다수개의 연결선을 절곡시키는 것이 어려워 통신기기가 설치되는 위치 및 면적 등 사용환경에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고주파 신호와 같이 민감한 신호의 경우 각각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신호핀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선 또는 신호핀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신호핀의 배열이 일정한 길이를 갖지 못하는 경우, 고주파 신호와 같이 길이에 민감한 신호를 전송 시 길이 오차를 발생시켜 위상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5048호 (2012. 03. 26.)
본 발명은 양방향 통신기기간 동작제어를 위한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면서, 통신기기와의 접속면적을 최소화하여 통신기기의 부피 및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시키되 위상차 발생 등 송수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기기의 위치 등 사용환경의 제약을 최소화하고, 통신기기와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복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고주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제1 메인핀 및 복수의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는 복수의 제1 제어핀이 구비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핀에 대응 연결되는 제2 메인핀과, 각각의 상기 제1 제어핀에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제어핀 및 복수의 상기 제2 제어핀의 제어신호를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일측이 복수의 상기 제2 제어핀의 타측에 동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되, 그 단부에 별도로 구비된 통신기기와 접속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가 설치된 FPCB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중공의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제1 바디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제1 안내부재와, 중심에는 상기 제1 메인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안내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제1 메인절연체 및 중심에 상기 제1 제어핀이 삽입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제1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 제어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중공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제어핀이 삽입 설치된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된 제2 안내부재와, 중심에는 상기 제2 메인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 안내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제2 메인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바디는 길이방향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중공의 직경이 상기 제1 영역의 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중공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PCB의 일단은 각각의 상기 제2 제어핀에 대응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분기되며, 상기 삽입홀은 복수 개로 분기된 FPCB의 일단이 상기 제2 메인핀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배열된 각각의 상기 제2 제어핀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바디는 타단에는, 상기 삽입홀에서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2 제어핀에 연결된 상기 FPCB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슬릿(Slit) 형상의 접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제2 바디와 고정부를 매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중 선택되는 하나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공전 결합되며,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주면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제어절연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제1 제어핀이 관통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이 원호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 제어절연체의 단부에 고정된 결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링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내주면에는 각각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메인핀 및 제2 메인핀은 암수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제어핀 및 제2 제어핀은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FPCB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의 신호를 통합하여 송수신함에 따라,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제어선을 최소화하고 통신기기와의 접속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통신기기의 부피 및 제조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신호를 전송시키면서도 위상차 발생 등 송수신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절곡되기 어려운 다수의 제1 제어선을 유연한 FPCB로 통합함에 따라, 통신기기의 위치 및 크기 등 사용환경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B와 제2 제어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크게 별도로 구비되는 제1 통신기기(미도시)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통신기기(미도시)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200)로 구성되며,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100)에는 일단이 제1 통신기기의 제1 메인선(10)과 연결되어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메인핀(101)과 일단이 제1 통신기기의 제1 제어선(20)과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는 복수의 제1 제어선(2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제어핀(102)이 구비된다.
이때, 제2 커넥터(200)에는 일단이 제1 메인핀(10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통신기기의 제2 메인선(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암 커넥터가 형성된 제2 메인핀(201)과 일단이 각각의 제1 제어핀(102)에 대응 연결된 복수의 제2 제어핀(202) 및 일측이 복수의 제2 제어핀(202)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통신기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는 연결단자가 설치된 FPCB(203)가 구비된다.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연결되면, 제1 메인핀(101)과 제2 메인핀(201)을 통하여 제1 통신기기와 제2 통신기기 간에 고주파 신호가 송수신되며 동시에, 제1 제어핀(102), 제2 제어핀(202) 및 FPCB(203)를 통하여 제1 통신기기와 제2 통신기기 간에 다수의 제어신호가 송수신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기기가 안테나이고 제2 통신기기가 무전기 본체인 경우, 안테나에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서로 대응 결합된 제1 메인핀(101)과 제2 메인핀(201)을 통해서 무전기 본체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무전기 본체에서 발생한 고주파 신호는 서로 대응 결합 되는 제1 메인핀(101)과 제2 메인핀(201)을 통해서 안테나로 전송된 후 공중에 방사될 수 있다.
한편, 서로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제어핀(102)과 제2 제어핀(202) 및 FPCB(203)를 통하여 제1 통신기기와 제2 통신기기 간에 상대 통신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기기가 안테나이고 제2 통신기기가 무전기 본체로 상기 안테나의 다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무전기 본체가 안테나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제1 제어핀(102)과 제2 제어핀(202) 및 FPCB(203)를 통하여,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결합만으로 제1 통신기기 및 제2 통신기기간 고주파 신호뿐만 아니라 다수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면서, FPCB(203)를 이용하여 다수의 제어신호를 통합하여 통신기기에 연결되기 때문에, FPCB(203)가 연결되는 통신기기는 다수의 제어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통신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0)는 중공의 제1 바디(110)와 제1 바디(1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1 안내부재(120)와 제1 메인핀(101)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메인핀(101)과 제1 안내부재(1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 메인절연체(130) 및 각각의 제1 제어핀(102)을 감싸 제1 제어핀(102)과 제1 바디(11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 제어절연체(140)를 포함한다.
제1 안내부재(120)에는 제1 메인핀(101)이 중심에 삽입된 제1 메인절연체(130)가 삽입되고, 제1 메인선(10)이 제1 안내부재(120)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메인핀(101)의 일단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한편, 각각의 제1 제어핀(102)은 제1 제어절연체(140)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1 바디(11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제1 통신기기의 제1 제어선(20)은 제1 바디(110)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제어핀(102)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1 메인선(10) 및 제1 제어선(20)은 절연튜브 등으로 둘러싸인 상태로 제1 안내부재(120) 또는 제1 바디(1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메인핀(101) 및 제1 메인선(1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와 각각의 제1 제어핀(102) 및 제1 통신기기의 제1 제어선(2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제어신호가 서로 간섭되어 노이즈가 발생되거나 송수신 오류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0)는 제2 커넥터(200)와 결합시, 서로 대응되는 제1 메인핀(101)과 제2 메인핀(201) 및 제1 제어핀(102)과 제2 제어핀(202)의 연결을 가이드 하는 결합링(15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링(150)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200)는 중공의 제2 바디(210)와 제2 바디(210)에 삽입 설치된 가이드링(230)과 가이드링(230)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2 안내부재(240)와 제2 메인핀(201)을 감싸는 제2 메인절연체(2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200)는 가이드링(230)과 제2 바디(210)를 매개하는 고정부(220)를 더 포함한다. 즉, 고정부(220)는 그 일단이 제2 바디(21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가이드링(230)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가이드링(230)을 제2 바디(210)에 고정시킨다.
제2 바디(210)는 제1 바디(110)에 대응되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그 일측이 제1 바디(110)에 결합되어 연결되며, 이때,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210)는 암수 결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 제어핀(202)은 제2 메인핀(201)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배열되며, FPCB(203)의 일단은 각각의 제2 제어핀(202)과 동시에 연결되도록 제2 제어핀(202)의 갯수만큼 분기되며 타단은 제2 바디(210) 외부로 돌출되어 제2 통신기기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제2 바디(210)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링(230)은 길이 방향으로 각각의 제2 제어핀(202)이 제2 메인핀(201)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삽입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핀(202) 중 어느 하나는 포고핀(20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커넥터(200)가 그에 대응되는 제1 커넥터(100) 이외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0)에 구비된 제1 제어핀(102) 중 어느 하나를 빈 공간으로 하고, 제2 커넥터(200)에서 제1 커넥터(100)의 빈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를 포고핀(204)으로 형성함으로써, 포고핀(204)의 접속여부에 따라, 제2 커넥터(200)에 대응되는 제1 커넥터(1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제1 커넥터(100) 이외의 커넥터가 제2 커넥터(200)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접속되지 않는 포고핀(204)이 커넥터의 제어핀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커넥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200)에 대응되는 제1 커넥터(100)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210)는 길이 방향으로 제1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며, 제2 영역은 그 중심에 제1 영역의 중공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 및 복수의 제2 메인핀(201)의 배열에 대응하도록, 중공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그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는 삽입홀(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FPCB(203)의 분기된 일단이 삽입홀(221)로 삽입되면서 삽입홀(22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원호형상으로 배열되어 가이드링(230)을 관통한 다수의 제2 메인핀(201)의 단부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210)의 타단에는 삽입홀(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FPCB(203)의 폭보다 넓은 슬릿(Slit) 형상의 접속공(211)이 형성되어, 일단이 삽입홀(221)에서 다수의 제2 제어핀(202)과 연결된 FPCB(203)의 타단이 접속공(211)을 통해 제2 바디(2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단부에 제2 통신기기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203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종래 다수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다수의 제어선을 FPCB(203)로 대체함으로써, 통신기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통신기기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FPCB(203)는 종래 통신기기의 제어선에 비하여 절곡이 용이하기 때문에 설치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통신기기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실시함으로써, 통신기기와 연결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메인절연체(250)는 그 중심에 제2 메인핀(201)이 삽입되고, 그 외주면이 제2 안내부재(24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제2 안내부재(240)에 삽입되고, 제2 제어핀(202)이 삽입되는 가이드링(230)의 재질은 플라스틱, 고무 등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제어핀(202)과 FPCB(203)가 연결되는 삽입홀(221)은 그 내주면에는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연층(미도시)은 제1 바디(110)을 관통하여 삽입홀(221)과 연통되는 주입공(222)을 통하여 에폭시 등 절연재질을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2 메인핀(201) 및 제2 메인선(미도시)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와 각각의 제2 제어핀(202) 및 제2 통신기기의 제어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제어신호가 서로 간섭되어 노이즈가 발생되거나 송수신 오류를 유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안내부재(120) 및 제2 안내부재(240)는 통신기기와 연결시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1 메인핀(101) 및 제2 메인핀(201)을 통하여 RF(Radio Frequence)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외부영향으로 인하여 노이즈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를 연결시키는 결합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3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210) 중 선택되는 하나의 외주면에 공전 결합되며,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결합부재(30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해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100)는 제2 커넥터(200)와 결합시, 서로 대응되는 제1,2 메인핀(101, 201) 및 제1,2 제어핀(102, 202)의 연결을 가이드 하면서, 제1 제어절연체(140)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제2 커넥터(20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제1 제어절연체(140)의 단부에 고정된 결합링(150)을 더 포함한다.
이때, 결합링(150)은 중공의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51)가 형성되고, 제1 커넥터(100)와 연결되는 제2 바디(210)의 일측 내주면은 결합링(15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돌기(1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 연결시,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제1 제어핀(102) 및 제2 제어핀(202)이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수신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메인핀(101) 및 제2 메인핀(201)은 암수 구조로 결합되며, 제1 제어핀(102) 및 제2 제어핀(202)도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서로 대응되는 제1,2 메인핀(101, 201) 및 제1, 2 제어핀(102, 202)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B와 제2 제어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먼저 작업자가 결합링(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51)를 제2 바디(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각각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 바디(210)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제1 안내부재(120) 및 제2 안내부재(240)는 결합링(150)에 형성된 중공에서 연결된다.
이에, 제1 메인핀(101)과 제2 메인핀(201)을 정확히 대응시켜 결합시키면서 동시에, 각각의 제1 제어핀(102)과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2 제어핀(202)을 정확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메인핀(101)과 제2 메인핀(201)이 정확히 연결되고, 복수의 제1 제어핀(102)이 그에 대응하는 제2 제어핀(202)에 정확히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210) 중 선택되는 하나에 공전 결합된 결합부재(30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부재(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1 커넥터(100)는 제1 통신기기와 제1 메인선(10) 및 다수의 제1 제어선(20)으로 연결되고, 제2 커넥터(200)는 제2 통신기기와 제2 메인선 및 FPCB(203)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커넥터(100)도 제2 커넥터(200)와 마찬가지로 FPCB(203)를 구비하여 제1 통신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메인선 20: 제1 제어선
100: 제1 커넥터 101: 제1 메인핀
102: 제1 제어핀 110: 제1 바디
120: 제1 안내부재 130: 제1 메인절연체
140: 제1 제어절연체 150: 결합링
151: 결합돌기 200; 제2 커넥터
201: 제2 메인핀 202: 제2 제어핀
203: FPCB 203a: 연결단자
204: 포고핀 210: 제2 바디
211: 접속공 212: 결합홈
220: 고정부 221: 삽입홀
222: 주입공 230: 가이드링
240: 제2 안내부재 250: 제2 메인절연체
300: 결합부재

Claims (8)

  1. 고주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제1 메인핀 및 복수의 제어신호가 송수신되는 복수의 제1 제어핀이 구비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핀에 대응 연결되는 제2 메인핀과, 각각의 상기 제1 제어핀에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제어핀 및 복수의 상기 제2 제어핀의 제어신호를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일측이 복수의 상기 제2 제어핀의 타측에 동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되, 그 단부에 별도로 구비된 통신기기와 접속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가 설치된 FPCB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핀 및 제2 제어핀은 각각 상기 제1 메인핀 및 제2 메인핀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FPCB는 그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2 제어핀에 대응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중공의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제1 바디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제1 안내부재와, 중심에는 상기 제1 메인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안내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제1 메인절연체 및 중심에 상기 제1 제어핀이 삽입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제1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 제어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중공의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제어핀이 삽입 설치된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된 제2 안내부재와, 중심에는 상기 제2 메인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 안내부재에 삽입 설치되는 제2 메인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길이방향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중공의 직경이 상기 제1 영역의 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중공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복수 개로 분기된 FPCB의 일단이 상기 제2 메인핀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배열된 각각의 상기 제2 제어핀에 연결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타단에는, 상기 삽입홀에서 일단이 각각의 상기 제2 제어핀에 연결된 상기 FPCB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슬릿(Slit) 형상의 접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일단이 제2 바디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가이드링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링과 제2 바디를 매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커넥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중 선택되는 하나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공전 결합되며,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내주면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제어절연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어절연체의 단부에 고정된 결합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링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측 내주면에는 각각의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핀 및 제2 메인핀은 암수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제어핀 및 제2 제어핀은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KR1020140156209A 2014-11-11 2014-11-11 복합 커넥터 KR10153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09A KR101534826B1 (ko) 2014-11-11 2014-11-11 복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09A KR101534826B1 (ko) 2014-11-11 2014-11-11 복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826B1 true KR101534826B1 (ko) 2015-07-24

Family

ID=5387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09A KR101534826B1 (ko) 2014-11-11 2014-11-11 복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61B1 (ko) * 2012-06-21 2018-07-19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4714A (ja) * 2009-04-01 2010-10-28 Sony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製造方法
KR20100138696A (ko) * 2009-06-24 2010-12-3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중계커넥터
KR20130143256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4714A (ja) * 2009-04-01 2010-10-28 Sony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製造方法
KR20100138696A (ko) * 2009-06-24 2010-12-3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중계커넥터
KR20130143256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61B1 (ko) * 2012-06-21 2018-07-19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7501B (zh) Probe
JP619618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US201503120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matching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KR100985500B1 (ko) 검사용 소켓
JP6097119B2 (ja) 電波レベル計
US20150102941A1 (en) Metering device and parts therefor
US1044849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ith narrower line width
US8253647B2 (en) High isolation multi-band monopole antenna for MIMO systems
TW201444308A (zh) 無接觸式連接器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KR101534826B1 (ko) 복합 커넥터
US20150188608A1 (en)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ale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KR101230978B1 (ko)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KR1011073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송수신장치
JP2010097823A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KR101880261B1 (ko)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US10938089B2 (e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through device case
KR20180093601A (ko) 안테나 장치
KR102280019B1 (ko)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KR101573018B1 (ko) 복합커넥터
KR20150089376A (ko) 이어폰 안테나
KR100486515B1 (ko) 무선 이어-마이크
CN109155456A (zh) 用于机动车的诊断系统的通信装置
KR100949357B1 (ko) 고주파 신호 전송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