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261B1 -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261B1
KR101880261B1 KR1020120066636A KR20120066636A KR101880261B1 KR 101880261 B1 KR101880261 B1 KR 101880261B1 KR 1020120066636 A KR1020120066636 A KR 1020120066636A KR 20120066636 A KR20120066636 A KR 20120066636A KR 101880261 B1 KR101880261 B1 KR 10188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mmunication device
auxiliary
pin
auxiliar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256A (ko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2006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2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커넥터는, 일측이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제1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1메인신호핀과,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와 일측이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고 타측이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제2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2메인신호핀과,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 또는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Description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COMPOSITE CONNECTOR OF TRANSMITTING RF SIGNAL AND CONTROL SIGNALS}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대방 통신기기에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고주파신호뿐만 아니라 상대방 통신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의 전송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기기 간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된다. 신호가 전송되는 유무선 통신기기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방법으로 숫 커넥터(male connector)와 암커넥터(female connecto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숫커넥터 및 암커넥터는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무선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무선통신기기, 예를 들어 무전기에는 안테나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테나에는 숫커넥터가 설치되고, 무선통신기기에는 암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안테나에 설치된 숫커넥터와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된 암커넥터가 체결됨으로써, 무선통신기기에서 발생한 무선신호가 체결된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서 공기중으로 무선신호가 송신될 수 있으며 안테나에 수신된 무선신호가 상기 체결된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거쳐 무선통신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통해서는 무선신호만이 전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의 다수의 동작제어에 필요한 제어신호(전원공급도 포함)들을 무선통신기기에서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LED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숫커넥터와 암커넥터와 별도로 상기 구동신호의 전송을 위한 숫커넥터가 안테나에 설치되어야 하며 암커넥터가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무선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뿐만 아니라 상기 안테나의 다수의 동작제어에 필요한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각각의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선통신기기의 시스템 크기가 커지며 제조단가도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대방 통신기기에 고주파신호 및 상대방 통신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한꺼번에 전송 가능한 복합 커넥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는, 일측이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제1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1메인신호핀과,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와 일측이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고 타측이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제2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2메인신호핀과,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 또는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이 수컷구조이고 상기 제2메인신호핀의 일측이 암컷구조이거나,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이 암컷구조이고 상기 제2메인신호핀의 일측이 수컷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이 수컷구조이고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의 일측이 암컷구조이거나,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이 암컷구조이고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의 일측이 수컷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메인신호핀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이 대응 삽입되고, 일측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몸체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1메인신호핀과 상기 제1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메인절연체;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과 대응되게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이 대응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과 상기 제1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보조절연체; 및 중공기둥 형상으로, 하면이 상기 제1보조절연체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1보조절연체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guide)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이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에 비접촉 가이드되어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결합되도록 하는 마모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2메인신호핀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이 대응 삽입되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이 삽입되고,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몸체;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몸체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2메인신호핀과 상기 제2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2메인절연체;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을 채워서,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상기 제2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수의 제2보조절연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은, 상기 제1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1절연튜브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2절연튜브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제1커플링 너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제2커플링 너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마모방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형성하며, 상기 제2몸체는, 일측 내주면에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몸체의 중공기둥에 테스트신호선관통홀 및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과 대응되는 테스트핀관통홀을 더 형성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신호선; 과 일단이 상기 테스트신호선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핀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되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가 0[V]이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 가능하지 않은 커넥터로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가 0보다 큰 (+)값의 전위이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핀은, 포고(pogo)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신호선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신호선절연튜브로 둘러싸이며, 상기 테스트핀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핀절연체로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일측이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제1메인신호선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는 제2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제2커넥터의 제2메인신호핀과 결합되는 제1메인신호핀; 과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상기 제2커넥터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대응 결합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을 구비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일측이 제2통신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1통신기기와 제1메인신호선으로 연결된 제1커넥터의 제1메인신호핀 타측과 대응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제2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2메인신호핀; 과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와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으로 대응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구비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에 따르면, 상대방 통신기기에 고주파신호 및 상대방 통신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한꺼번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대방 통신기기의 다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숫커넥터와 암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통신기기의 시스템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통신기기의 제조단가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커넥터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a는 후술한 제1통신기기(미도시)에 연결된 제1메인케이블(10)의 제1메인신호선(11)과 제1메인신호핀(12)가 납땜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도 4b는 제1메인신호핀(12)의 일측과 제1메인케이블(10)의 제1메인신호선(11)이 커넥터로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즉, 제1통신기기의 제1메인케이블(10)의 제1메인신호선(11)과 제1메인신호핀(12)은 케이블로 직접 연결되거나 커넥터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a는 후술할 제2통신기기(미도시)에 연결된 제2메인케이블(51)의 제2메인신호선(50)과 제2메인신호핀(52)이 납땜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도 5b는 제2메인신호핀(52)의 타측과 제2메인케이블(51)의 제2메인신호선(50)이 커넥터로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즉 제2통신기기의 제2메인케이블(51)의 제2메인신호선(50)과 제2메인신호핀(52)은 케이블로 직접 연결되거나 커넥터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4a의 구조를 갖는 제1커넥터(100)와 도 5a의 구조를 갖는 제2커넥터(200)의 결합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를 구비한다.
제1커넥터(100)는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제1메인케이블(10)의 제1메인신호선(11)에 연결되는 제1메인신호핀(12)과, 상기 제1메인신호핀(12)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13)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을 구비한다.
이에 대응되는 제2커넥터(200)는, 일측이 상기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 연결된 제2메인케이블(51)의 제2메인신호선(50)에 연결되는 제2메인신호핀(52)과, 상기 제2메인신호핀(52)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을 구비한다.
이때, 제1메인신호핀(12), 제2메인신호핀(52),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은 금속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이 수컷구조인 경우 상기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은 암컷구조일 수 있으며, 이와 상반되게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이 암컷구조인 경우 상기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은 수컷구조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이 수컷구조인 경우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은 암컷구조일 수 있으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이 암컷구조인 경우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은 수컷구조일 수 있다.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시, 제1커넥터(100)의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과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이 서로 대응 결합 되고,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과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이 서로 대응 결합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커넥터(100)의 제1메인신호핀(12) 및 제2커넥터(200)의 제2메인신호핀(52)의 결합은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이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이 수컷구조를 가지며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이 암컷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의 반대 구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제1메인신호핀(12)의 타측이 암컷구조를 가지고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이 수컷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 결합시, 제2메인신호핀(52)의 일측이 제1메인신호(12)의 타측에 삽입된다.
또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제2보조신호핀(54)의 대응 결합은,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이 각기 대응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이 수컷구조를 가지면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이 암컷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의 반대 구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이 암컷구조를 가지면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이 수컷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 결합시,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일측이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의 타측에 대응 삽입된다.
이렇게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 되는 경우, 서로 대응 결합 되는 제1커넥터(100)의 제1메인신호핀(12)과 제2커넥터(200)의 제2메인신호핀(52)을 통하여, 제1통신기기와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 되는 고주파 신호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1통신기기가 안테나이고 제2통신기기가 무전기 본체인 경우, 안테나에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서로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12)과 제2메인신호핀(52)을 통해서 무전기 본체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무전기 본체에서 발생한 고주파 신호는 서로 대응 결합 되는 제1메인신호핀(12)과 제2메인신호핀(52)을 통해서 안테나로 전송된 후 공중에 방사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 되는 경우, 서로 대응 결합 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을 통하여, 제1통신기기(100)를 제어하는 제2통신기기(200)가 제1통신기기(100)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제1통신기기로 전송하거나, 이와 반대로 제2통신기기(200)를 제어하는 제1통신기기(100)가 제2통신기기(200)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제2통신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기기(100)가 안테나이고 제2통신기기(200)가 무전기 본체로 상기 안테나의 다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무전기 본체가 안테나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1보조신호핀(14)과 제2보조신호핀(54)을 통하여,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 본체가 안테나에 설치된 LED(안테나 위치 표시용)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LED 점등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LED 점등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1보조신호핀(14)과 제2보조신호핀(54)을 통하여,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1커넥터(100)와 하나의 제2커넥터(200)의 결합만으로, 제1통신기기(100) 및 제2통신기기(200) 간에 송수신 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고, 제1통신기기(100)가 제2통신기기(200)를 제어하는 경우 제1통신기기(100)가 제2통신기기(200)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거나 제2통신기기(200)가 제1통신기기(100)를 제어하는 경우 제2통신기기(200)가 제1통신기기(100)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통신기기(100)가 제2통신기기(200)를 제어하는 경우 제1통신기기(100)가 제2통신기기(200)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 각각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 구조를 갖는 제2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2통신기기(200)가 제1통신기기(100)를 제어하는 경우 제2통신기가 제2통신기기(200)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 각각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 구조를 갖는 제2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결국 통신기기의 시스템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통신기기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1커넥터(100)는, 제1몸체(19), 제1메인절연체(16), 제1보조절연체(17) 및 마모방지부(18)를 포함한다.
제1몸체(19)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메인신호핀(12)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13)이 대응 삽입되고, 일측에 제1결합부(15)가 형성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1몸체(19)가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메인신호핀(12) 및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13) 간 신호간섭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1커넥터(100) 외부의 다른 신호선에서 방출되는 신호로부터 제1메인신호핀(12)를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 및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13)를 통해 흐르는 제어신호들이 영향받는 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에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만이 각각 대응되어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삽입되거나,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에는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13) 각각이 상기 몸체(19)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1절연튜브(20)로 둘러싸여 삽입될 수 있다.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13) 각각이 제1몸체(19)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서 제1절연튜브(20)에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메인절연체(16)는 상기 제1메인신호핀(12)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몸체(19)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1메인신호핀(12)과 상기 제1몸체(19)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제1보조절연체(17)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결합부(15)가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과 대응되게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이 대응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상기 제1몸체(19)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마모방지부(18)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하면이 상기 제1보조절연체(17)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 결합시 상기 제1보조절연체(17)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guide)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이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22)에 비접촉 가이드되어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마모방지부(18)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나사(23) 등의 결합고정수단에 의해서 제1보조절연체(17)의 상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마모방지부(18)는 금속 도체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보조절연체(17)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나아가 마모방지부(18)는 마모방지부(18)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2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24)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커넥터(100)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1몸체(19)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 되고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 결합시 상기 제2몸체(55)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제1커플링 너트(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링 너트(21)가 상기 제2몸체(55)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흔들림 없이 결합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커플링 너트(21)는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25)이 형성되며 타측 내주면에 제1회전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9)의 외주면에는 제2회전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회전홈(27) 및 제2회전홈(28)을 밀착 결합시켜, 제1커플링 너트(21)가 제1몸체(19)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제1링(29)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29)은 일 실시예로 C-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커플링 너트(21)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5)은 제2커넥터(200)의 제2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62)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0)에 제1커플링 너트(21)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이 이뤄졌지만, 제1커넥터(100)가 아닌 제2커넥터(200)의 제2몸체(55)에 상기 제1커플링 너트(21)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진 제2커플링 너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2커플링 너트에는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타측 내주면에 제3회전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55)의 외주면에는 제4회전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회전홈 및 제4회전홈을 밀착 결합시켜, 제2커플링 너트가 제2몸체(55)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제2링(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링은 일 실시예로 C-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커플링 너트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은 제1커넥터(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는, 제1커플링 너트 또는 제2커플링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로써, 제2몸체(55), 제2메인절연체(61) 및 다수의 제2보조절연체(57)를 구비한다.
제2몸체(55)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2메인신호핀(52)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이 대응 삽입되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이 고정 삽입되고, 일측에 제2결합부(60)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5)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2몸체(55)가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메인신호핀(52)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 간 신호간섭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2커넥터(200) 외부의 다른 신호선에서 방출되는 신호로부터 제2메인신호핀(52)를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 신호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를 통해 흐르는 제어신호들이 영향받는 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만이 각각 대응되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삽입되거나,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는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 각각이 상기 제2몸체(55)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2절연튜브(58)로 둘러싸여서 삽입될 수 있다.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53) 각각이 제2몸체(55)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서 제2절연튜브(58)에 둘러 싸여진 상태로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메인절연체(61)는 상기 제2메인신호핀(52)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몸체(55)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2메인신호핀(52)과 상기 제2몸체(55)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다수의 제2보조절연체(57)는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을 채워서,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과 상기 제2몸체(55)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나아가, 제2몸체(55)에는 제2몸체(55)의 일측 내주면에 상기 제1커넥터(100)의 마모방지부(18)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24)가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5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결합홈(59)은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보조신호핀(14) 각각이 대응되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보조신호핀(52)과 정확하게 결합 되도록 해준다.
이하에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며, 제1커넥터(100)에 제1커플링 너트(21)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먼저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결합돌기(24)를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결합홈(59)에 정확하게 대응 삽입시킨다. 만약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결합돌기(24)가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결합홈(59)에 정확하게 대응 삽입되지 않으면 제1커넥터(100)의 제1메인신호핀(12)과 제2커넥터(200)의 제2메인신호핀(52)이 정확하게 결합 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이 정확하게 대응 결합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결합돌기(24)가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결합홈(59)에 정확하게 대응 삽입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결합돌기(24)가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결합홈(59)에 정확하게 대응 삽입되면,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이 정확하게 대응 결합 됨으로써, 제1통신기기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제2통신기기로부터 발생 되어, 상기 서로 정확하게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을 통하여, 제1통신기기로 전송되거나, 제2통신기기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제1통신기기로부터 발생 되어 상기 서로 정확하게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과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을 통하여, 제2통신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통신기기의 제어 또는 제2통신기기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1메인신호핀(12) 및 제2메인신호핀(52)가 정확하게 대응 결합 되고,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가 정확하게 대응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커넥터(100)의 제1커플링 너트(21)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커플링 너트(21)의 내주면 형성된 나사산(25)과 제2커넥터(200)의 제2몸체(55)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62)이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제2커넥터(200)의 제2몸체(55)에는 제2몸체(55)의 중공기둥에 테스트신호선관통홀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과 대응되는 테스트핀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55)의 중공기둥에 형성되는 테스트신호선관통홀은, 상기 제2몸체(55)의 중공기둥에 형성된 다수의 보조관통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핀관통홀은 상기 제2몸체(55)에 형성된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커넥터(200)는, 일단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신호선(미도시)과, 일단이 상기 테스트신호선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핀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핀(6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테스트신호선은 제2몸체(55)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서, 테스트신호선절연튜브로 둘려 싸여 대응되는 각각의 테스트신호선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핀(63)은, 상기 제2몸체(55)와의 전기적인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핀절연체(미도시)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제 제2통신기기가 테스트핀(63)을 이용하여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200)에 체결 가능한 커넥터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63) 타단의 전위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커넥터(200)에 결합되는 상기 제1커넥터(100)가 상기 제2커넥터(200)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63) 타단의 전위가 0[V]이면 상기 제1커넥터(100)가 상기 제2커넥터(200)와 체결 가능하지 않은 커넥터로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핀(63) 타단의 전위가 0보다 큰 (+)값의 전위를 가지면, 상기 제1커넥터(100)가 상기 제2커넥터(200)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에 제1커넥터(100)의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14)이 대응 결합되지 않고, 전위가 0[V]인 금속 도체, 즉 접지 전위를 갖는 금속 도체가 상기 제2커넥터(200)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54)의 전위가 0[V]가 되는 결과가 되어, 상기 제2커넥터(200)는 다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못하고 단순히 제2메인신호핀(52)을 통해서 고주파 신호만을 전송하는 커넥터로서만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를 결합하는 경우에 단순히 고주파 신호만이 전송되는 결과가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테스트핀(63)을 구비하여 제2커넥터(200)에 결합 되는 커넥터가 다수의 제어신호 및 고주파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커넥터인지를 판단하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테스트핀(63)은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 결합시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는 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핀(63)은 포고(pogo)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일측이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제1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1메인신호핀과,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와
    일측이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고 타측이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제2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2메인신호핀과,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 또는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이 수컷구조이고 상기 제2메인신호핀의 일측이 암컷구조이거나,
    상기 제1메인신호핀의 타측이 암컷구조이고 상기 제2메인신호핀의 일측이 수컷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이 수컷구조이고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의 일측이 암컷구조이거나,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이 암컷구조이고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의 일측이 수컷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메인신호핀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이 대응 삽입되고, 일측에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몸체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1메인신호핀과 상기 제1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메인절연체;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과 대응되게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이 대응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과 상기 제1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보조절연체; 및
    중공기둥 형상으로, 하면이 상기 제1보조절연체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1보조절연체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guide)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이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에 비접촉 가이드되어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결합되도록 하는 마모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2메인신호핀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이 대응 삽입되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이 삽입되고,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몸체;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몸체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2메인신호핀과 상기 제2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2메인절연체;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을 채워서,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상기 제2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수의 제2보조절연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은, 상기 제1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1절연튜브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2절연튜브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제1커플링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제2커플링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마모방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형성하며,
    상기 제2몸체는, 일측 내주면에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몸체의 중공기둥에 테스트신호선관통홀 및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과 대응되는 테스트핀관통홀을 더 형성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신호선; 과
    일단이 상기 테스트신호선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핀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커넥터에 결합되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가 0[V]이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 가능하지 않은 커넥터로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가 0보다 큰 (+)값의 전위이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핀은, 포고(pogo)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신호선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신호선절연튜브로 둘러싸이며,
    상기 테스트핀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핀절연체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15. 일측이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제1메인신호선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는 제2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제2커넥터의 제2메인신호핀과 결합되는 제1메인신호핀; 과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상기 제2커넥터의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대응 결합되는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을 구비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메인신호핀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이 대응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제2커넥터의 제2몸체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메인신호핀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몸체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1메인신호핀과 상기 제1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메인절연체;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관통홀과 대응되게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이 대응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과 상기 제1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1보조절연체; 및
    중공기둥 형상으로, 하면이 고정부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고정부의 마모를 방지하고,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guide)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이 상기 다수의 가이드 홈에 비접촉 가이드되어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결합되도록 하는 마모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은, 상기 제1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1절연튜브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2커넥터의 제2몸체에 체결되는 제1커플링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마모방지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시, 상기 제2커넥터의 제2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에 대응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일측이 제2통신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1통신기기와 제1메인신호선으로 연결된 제1커넥터의 제1메인신호핀 타측과 대응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제2메인신호선에 연결되는 제2메인신호핀; 과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둘러싸며, 일측이 상기 제1통신기기와 다수의 제1보조신호선으로 대응 연결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의 타측과 대응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된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구비하며,
    상기 대응 결합된 제1메인신호핀 및 제2메인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대응 결합된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통해서 상기 제1통신기기 및 제2통신기기 간에, 상기 제1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제2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중공에 상기 제2메인신호핀이 삽입되며, 중공기둥에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2보조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이 대응 삽입되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에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에 대응 연결되는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이 삽입되고, 일측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제1몸체와 결합하며, 금속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몸체;
    상기 제2메인신호핀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몸체의 중공에 채워져, 상기 제2메인신호핀과 상기 제2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2메인절연체; 및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제2고정관통홀을 채워서,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과 상기 제2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수의 제2보조절연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보조신호선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제2절연튜브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제2몸체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 결합시 상기 제1몸체의 일측 외주면과 체결되는 제2커플링 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일측 내주면에 다수의 결합홈을 더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결합홈은,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결합시, 상기 다수의 제1보조신호핀 및 다수의 제2보조신호핀이 정확하게 대응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제1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몸체의 중공기둥에 테스트신호선관통홀 및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과 대응되는 테스트핀관통홀을 더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제2통신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신호선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신호선; 과
    일단이 상기 테스트신호선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핀관통홀에 삽입되는 테스트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가 0[V]이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와 체결 가능하지 않은 커넥터로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핀 타단의 전위가 0보다 큰 (+)값의 전위이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핀은, 포고(pogo)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신호선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신호선절연튜브로 둘러싸이며,
    상기 테스트핀은, 상기 제2몸체와의 전기적인인 절연을 위하여 테스트핀절연체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20066636A 2012-06-21 2012-06-21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KR10188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36A KR101880261B1 (ko) 2012-06-21 2012-06-21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36A KR101880261B1 (ko) 2012-06-21 2012-06-21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56A KR20130143256A (ko) 2013-12-31
KR101880261B1 true KR101880261B1 (ko) 2018-07-19

Family

ID=4998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636A KR101880261B1 (ko) 2012-06-21 2012-06-21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26B1 (ko) * 2014-11-11 2015-07-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복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991Y2 (ko) * 1983-10-31 1989-09-12
KR20010095053A (ko) * 2000-03-31 2001-11-03 윈켈만 존 디. 고속 신호 및 데이터 전송용 전자 접속 장치
KR200457538Y1 (ko) * 2010-10-04 2011-12-23 주식회사 우진 탄성체로 키 로킹 기능을 구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34826B1 (ko) * 2014-11-11 2015-07-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복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991Y2 (ko) * 1983-10-31 1989-09-12
KR20010095053A (ko) * 2000-03-31 2001-11-03 윈켈만 존 디. 고속 신호 및 데이터 전송용 전자 접속 장치
KR200457538Y1 (ko) * 2010-10-04 2011-12-23 주식회사 우진 탄성체로 키 로킹 기능을 구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34826B1 (ko) * 2014-11-11 2015-07-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복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56A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edal spindle
CN102714384B (zh) 可旋转电联接器和所述可旋转电联接器的连接器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US1159491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ystem for inductively transmitting energy to a mobile part,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0985500B1 (ko) 검사용 소켓
EP2980539B1 (en) Radio-wave level meter
US20150102941A1 (en) Metering device and parts therefor
KR20150056792A (ko) 플러그 커넥터
CN105769532B (zh) 按摩设备
US10398622B2 (en) Massage device with remote control
KR101880261B1 (ko) 고주파신호 및 제어신호 전송용 복합커넥터
JP5011397B2 (ja) 張力荷重伝達手段を備えた多導体ケーブル用コネクタプラグ
US8142204B2 (en) Automation appliance which uses the same configuration plug connectors for connecting antenna plug and coaxial cable
CN101867134A (zh) 三同轴转接接触件
CN104335433B (zh) 用于rf同轴电缆的电力适配器和用于安装的方法
US4850895A (en) Coaxial cable connection assembly with a transceiver
CN109449699A (zh) 一种射频同轴转接器
KR200478019Y1 (ko)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신호 전송 시스템
KR101095907B1 (ko) 검사용 소켓
KR101394065B1 (ko) 고주파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구조
KR101534826B1 (ko) 복합 커넥터
CN107313725B (zh) 一种无线接收短节
JP5793791B2 (ja) 食品生産用の2つの装置の間のコネクタ
KR100483611B1 (ko) 차동 임피던스 측정 프로브장치
WO2022014435A1 (ja) 検査用プローブ装置及びコネクタ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