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019B1 -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019B1
KR102280019B1 KR1020150040609A KR20150040609A KR102280019B1 KR 102280019 B1 KR102280019 B1 KR 102280019B1 KR 1020150040609 A KR1020150040609 A KR 1020150040609A KR 20150040609 A KR20150040609 A KR 20150040609A KR 102280019 B1 KR102280019 B1 KR 10228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female
conductor
curved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605A (ko
Inventor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inductive component, e.g.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04B5/43
    • H04B5/72
    • H04B5/7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디의 외부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수형 커넥터(100a)는, 수형 보디(1lOa)와, 수형 도체(120a)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보디(1lOa)는, 곡면형상의 곡면(111a1)과, 수형 보디(1lOa)의 곡면(111a1)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112a)를 가지고 있다. 수형 도체(120a)는 수용공간(112a)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형 도체(120a)는 기능부(121a)를 가지고 있다. 기능부(121a)가, 수형 통신안테나, 수형 송전안테나 및 수형 수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MALE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본 발명은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비접촉으로 신호를 전송 가능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는, 수형 보디와, 수형 코일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코일 요소는, 사출 성형되는 수형 보디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는, 접속구멍을 가지는 암형 보디와, 암형 코일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암형 커넥터의 암형 보디의 접속구멍에 수형 커넥터의 선단부가 끼워맞춤 가능하게되어 있다. 암형 코일 요소는, 사출 성형되는 암형 보디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46122호 공보
그런데, 상기 수형 커넥터의 수형 보디의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곡면형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암형 커넥터의 접속구멍의 내벽면의 일부 및 전부를 곡면형상으로 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요망에 따르는 것이 곤란하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상기 수형 커넥터의 수형 보디의 외부면 중의 수형 코일 요소가 근방에 위치하는 외부면은, 수형 코일 요소가 실장되는 리지드 기판의 형상에 의존하여 평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암형 커넥터의 접속구멍의 내벽면 중의 암형 코일 요소의 근방에 위치하는 내벽면도, 암형 코일 요소가 실장되는 리지드 기판의 형상에 의존하여 평평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보디의 외부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수형 커넥터 및 접속구멍의 내벽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암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수형 보디와, 수형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형 보디는, 곡면을 가지는 외부면과,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당해 수형 도체는 기능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능부가, 수형 통신안테나, 수형 송전안테나 및 수형 수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수형 커넥터에 의할 경우, 수형 도체가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보디의 외부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형 보디는,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의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절연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가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수형 커넥터에 의할 경우, 수형 도체의 기능부를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수용공간의 벽면이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이므로, 수형 도체를 수용공간의 벽면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능부를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상기 수형 커넥터, 수형 절연체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형 절연체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형 절연체 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가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수형 커넥터에 의할 경우, 수형 도체의 기능부를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수형 절연체가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므로, 수형 도체를 수형 절연체 위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능부를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형 보디는,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절연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고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외부면의 상기 곡면은 원통형상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원통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커넥터는, 수형 회로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형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형 회로 또는 상기 수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수형 기판과, 상기 수형 기판 위에 설치된 수형 제어부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는, 암형 보디와, 암형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형 보디는, 접속구멍과, 곡면을 가지는 상기 접속구멍의 내벽면과, 당해 암형 보디 내부의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당해 암형 도체는 기능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능부가, 암형 통신안테나, 암형 수전안테나 및 암형 송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암형 커넥터에 의할 경우, 암형 도체가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보디의 접속구멍의 내벽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암형 보디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의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절연성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암형 커넥터에 의할 경우, 암형 도체의 기능부를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수용공간의 벽면이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이므로, 암형 도체를 수용공간의 벽면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능부를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상기 암형 커넥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암형 절연체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암형 절연체 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암형 커넥터에 의할 경우, 암형 도체의 기능부를 접속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암형 절연체가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므로, 암형 도체를 암형 절연체 위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능부를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암형 보디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절연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고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내벽면의 상기 곡면은 원통형상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원통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커넥터는, 암형 회로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암형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부가하여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형 보디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 회로 또는 상기 암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암형 기판과, 상기 암형 기판 위에 설치된 암형 제어부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보디의 외부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수형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에서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도 1a 중의 1B-1B 단면도.
도 2a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도 1b 중의 2A-2A 부분단면도로서, 당해 수형 커넥터의 수형 도체의 일예(수형 통신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도 1b 중의 2A-2A 부분단면도로서, 당해 수형 커넥터의 수형 도체의 다른 일예(수형 송전안테나 또는 수형 수전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암형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에서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도 3a 중의 3B-3B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도 3b 중의 4A-4A 부분단면도로서, 당해 암형 커넥터의 암형 도체의 일예(암형 통신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도 3b 중의 4A-4A 부분단면도로서, 당해 암형 커넥터의 암형 도체의 다른 일예(암형 수전안테나 또는 암형 송전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상기 수형 커넥터 및 상기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상기 수형 커넥터 및 상기 암형 커넥터의 도 5a 중의 5B-5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수형 커넥터 및 상기 암형 커넥터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수형 커넥터(100a)에 대하여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100a)는, 수형 보디(1lOa)와, 복수의 수형 도체(120a)와, 복수의 수형 회로(130a)와, 수형 기판(140a)과, 복수의 수형 제어부(150a)와, 케이블(160a)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수형 커넥터(100a)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형 보디(1lOa)는, 도 1a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형상의 절연수지이다. 수형 보디(1lOa)는, 외부면(111a)과, 수용공간(112a)과, 벽면(113a)을 가지고 있다. 수형 보디(1lOa)의 외부면(111a)은, 수형 보디(1lOa)의 원통형상의 외주면인 곡면(111a1)을 가지고 있다. 곡면(111a1)에는, 도시하지 않은 키(Key) 홈 또는 볼록형상의 키(Key)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용공간(112a)은, 도 1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보디(1lOa)의 내부(곡면(111a1)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밀폐 공간으로서, 곡면(111a1)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은, 원통형상의 곡면으로서, 곡면(111a1)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벽면(113a)은, 곡면(111a1)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각 수형 도체(120a)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 위에 형성된 도전(導電) 라인으로서, 수용공간(112a) 안에 배치되어 있다. 수형 도체(120a)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렉트 스트럭처링(LDS: Laser Direct Structuring(등록 상표)) 기술에 의해서 벽면(113a) 위에 패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DS 첨가제를 함유한 벽면(113a)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만을 활성화시켜서, 당해 활성화시킨 부분에 금속을 적용함으로써, 도금층(수형 도체(120a))가 형성된다. 도전 라인은, 주지의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벽면(113a) 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형 도체(120a)의 두께를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각 수형 도체(120a)는, 기능부(121a)와, 접속부(122a)를 가지고 있다. 기능부(121a)는, 무선으로 신호 통신 가능한 수형 통신 안테나(도 2a 참조),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 가능한 수형 송전 안테나(도 2b 참조) 및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 가능한 수형 수전 안테나(도 2b 참조) 중 어느 하나이다. 기능부(121a)는, 벽면(113a)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벽면(113a)은 수형 보디(1lO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부(121a)도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이로써, 기능부(121a)로부터 곡면(111a1)까지의 거리가 균일하게 된다. 접속부(122a)는, 벽면(113a)을 따라 만곡되어 있어도 되고(도 2b 참조), 만곡시키지 않고 곧게 뻗어 있어도 된다(도 2a 참조).
각 수형 회로(130a)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형 기판(140a)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 수형 회로(130a)도, 수용공간(112a) 안에 배치되어 있다. 각 수형 회로(130a)는, 수형 도체(120a)의 접속부(1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가 수형 통신안테나인 경우, 수형 회로(130a)는 기능부(121a)에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시키기 위한 IC(통신회로)이다.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가 수형 송전 통신안테나인 경우, 수형 회로(130a)는, 도면 외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자유도방식, 전자계공조방식, 전계결합방식 또는 전파방식으로 송전하기에 적합한 전력(예를 들면,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기능부(121a)에 공급하는 송전 IC(송전 회로)이다.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가 수형 수전 통신안테나인 경우, 수형 회로(130a)는, 기능부(121a)에서 수신한 에너지(전자파 등)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수전 IC(수전 회로)이다.
수형 기판(140a)은, 리지드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또는 PET 기판 등으로서, 수용공간(112a) 안에 배치되어 있다. 수형 기판(140a)은, 도시하지 않은 접속부(예를 들면, 리지드선, 핀, 또는 FPC 등)에 의해서 수형 도체(120a)의 접속부(122a) 또는 수형 회로(13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형 제어부(150a)는, 수형 기판(140a) 위에 각각 실장되어 있다. 수형 제어부(150a)는 접속부 및 수형 기판(140a)을 개재하여 대응하는 수형 회로(130a)에 접속되어 있다. 수형 기판(140a)은 대응하는 수형 회로(130a)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또한, 1개의 수형 제어부(150a)에서 복수의 수형 회로(130a)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블(160a)은, 수형 보디(1lOa)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케이블(160a)은 수형 기판(140a)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암형 커넥터(100b)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암형 커넥터(100b)는, 암형 보디(1lOb)와, 복수의 암형 도체(120b)와, 복수의 암형 회로(130b)와, 복수의 암형 기판(140b)과, 복수의 암형 제어부(150b)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암형 커넥터(100b)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암형 보디(110b)는 절연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암형 보디(1lOb)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구멍(111b)과, 접속구멍(111b)의 내벽면(112b)과, 수용공간(113b)과, 벽면(114b)을 가지고 있다. 접속구멍(111b)은, 암형 보디(1lOb)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 구멍이다. 접속구멍(111b)의 직경은, 수형 커넥터(100a)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접속구멍(111b)에 수형 커넥터(100a)가 삽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구멍(111b)의 내벽면(112b)은, 원통형상의 곡면(112b1)을 가지고 있다. 원통형상의 곡면(112b1)에는, 도시하지 않은 볼록형상의 키부 또는 키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키부는, 수형 커넥터(100a)의 상기 키홈에 대응한 형상이다. 키홈은, 수형 커넥터(100a)의 상기 키부에 대응한 형상이다. 수용공간(113b)은, 암형 보디(1lOb) 내부의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보다도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밀폐 공간으로서, 곡면(112b1)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은, 원통형상의 곡면으로서, 곡면(112b1)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벽면(114b)은,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각 암형 도체(120b)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 위에 형성된 도전 라인으로서, 수용공간(113b) 안에 배치되어 있다. 암형 도체(120b)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렉트 스트럭처링(LDS) 기술에 의해서 벽면(113b) 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LDS 첨가제를 함유한 벽면(114b)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만을 활성화시켜서, 당해 활성화시킨 부분에 금속을 적용함으로써, 도금층(암형 도체(120b))이 형성된다. 도전 라인은, 주지의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벽면(114b) 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암형 도체(120b)의 두께를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각 암형 도체(120b)는, 기능부(121b)와, 접속부(122b)를 가지고 있다. 기능부(121b)는, 무선으로 신호 통신 가능한 암형 통신 안테나(도 4a 참조), 무선으로 전력을 수전 가능한 암형 수전 안테나(도 4b 참조) 및 무선으로 전력을 송전 가능한 암형 송전 안테나(도 4b 참조) 중 어느 하나이다. 기능부(121b)는,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벽면(114b)은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부(121b)도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이로써, 기능부(121b)로부터 곡면(112b1)까지의 거리가 균일하게 된다. 접속부(122b)는, 벽면(114b)을 따라 만곡되어 있어도 되고(도 4b 참조), 만곡시키지 않고 곧게 뻗어 있어도 된다(도 4a 참조).
각 암형 회로(130b)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암형 기판(140b)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암형 회로(130b)도, 수용공간(113b) 안에 배치되어 있다. 각 암형 회로(130b)는, 암형 도체(120b)의 접속부(12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가 암형 통신안테나인 경우, 암형 회로(130b)는 기능부(121b)에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시키기 위한 IC(통신회로)이다.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가 암형 수전 통신안테나인 경우, 암형 회로(130b)는, 기능부(121b)에서 수신한 에너지(전자파 등)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수전 IC(수전 회로)이다.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가 암형 송전 통신안테나인 경우, 암형 회로(130b)는, 도면 외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자유도방식, 전자계공조방식, 전계결합방식 또는 전파방식으로 송전하기에 적합한 전력(예를 들면,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기능부(121b)에 공급하는 송전 IC(송전 회로)이다.
각 암형 기판(140b)은, 리지드 프린트 기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또는 PET 기판 등으로서, 수용공간(113b) 안에 배치되어 있다. 암형 기판(140b)은, 도시하지 않은 접속부(예를 들면, 리지드선, 핀, 또는 FPC 등)에 의해서 암형 도체(120b)의 접속부(122b) 또는 암형 회로(130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암형 제어부(150b)는, 암형 기판(140b) 위에 실장되어 있다. 암형 제어부(150b)는 접속부 및 암형 기판(140b)을 개재하여 대응하는 암형 회로(130b)에 접속되어 있다. 암형 기판(140b)은 대응하는 암형 회로(130b)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또한, 1개의 암형 제어부(150b)에서 복수의 암형 회로(130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수형 커넥터(100a)를 암형 커넥터(100b)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100a) 및 암형 커넥터(100b) 중, 어느 한쪽의 키부가, 다른 한쪽의 키홈에 삽입된다. 키부가 키홈에 가이드 되어, 수형 커넥터(100a)가 암형 커넥터(100b)의 접속구멍(111b)과 끼워맞춤한다.
수형 커넥터(100a)가 암형 커넥터(100b)의 접속구멍(111b)과 끼워맞춤한 상태(접속상태)에서, 수형 커넥터(100a)의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와 암형 커넥터(100b)의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가, 접속구멍(111b)의 반경방향으로 각각 나열한다. 이로써, 기능부(121a)와 기능부(121b)와의 사이에서, 무선으로 신호 통신 또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수형 커넥터(100a) 및 암형 커넥터(100b)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첫째, 수형 커넥터(100a)의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원통형상의 곡면으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수형 도체(120a)가 수형 보디(110a)의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 위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12a) 안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암형 커넥터(100b)의 암형 보디(110b)의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원기둥형상의 곡면으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암형 도체(120b)가 암형 보디(110b)의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 위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13b) 안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를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수형 보디(110a)의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이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이므로, 수형 도체(120a)를 벽면(113a)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능부(121a)를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를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암형 보디(110b)의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이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이므로, 암형 도체(120b)를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능부(121b)를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기능부(121a), (121b)의 신호 전송 효율 또는 급전 효율이 향상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수형 도체 및 암형 도체의 어느 한쪽의 기능부가 평면형상이고, 다른 한쪽이 곡면형상인 경우, 양 기능부 간의 거리가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커지기 때문에, 양 기능부의 신호 전송 효율 또는 급전 효율이 저하한다. 그러나,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이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므로,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된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로부터,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된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까지의 거리가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기능부(121a), (121b)의 신호 전송 효율 또는 급전 효율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수형 커넥터(100a')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100a')는, 가요성을 가진 수형 절연체(170a)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점 및 수형 도체(120a)가 수형 보디(110a)의 벽면(113a) 위가 아닌, 수형 절연체(170a)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수형 커넥터(100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2에 관한 수형 커넥터의 부호에 대해서는, (100a)에 " ' "를 부여하여, 실시예 1의 수형 커넥터(100a)와 구별한다.
수형 절연체(170a)는, 플렉서블 프린트기판이다. 수형 절연체(170a)는, 수형 보디(110a)의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 위에 고착되고 또한 벽면(113a)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벽면(113a)은,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된 곡면이기 때문에, 수형 절연체(170a)는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수형 도체(120a)는, 수형 절연체(170a) 위에 형성된 도전 라인이다. 수형 절연체(170a)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도, 수형 보디(1lO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암형 커넥터(100b')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암형 커넥터(100b')는, 가요성을 가진 암형 절연체(160b)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점 및 암형 도체(120b)가 암형 보디(110b)의 벽면(114b) 위가 아닌, 암형 절연체(160b)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암형 커넥터(100b)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2에 관한 암형 커넥터의 부호에 대해서는, (100b)에 " ' "를 부여하여, 실시예 1의 암형 커넥터(100b)와 구별한다.
암형 절연체(160b)는, 플렉서블 프린트기판이다. 암형 절연체(160b)는, 암형 보디(110b)의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 위에 고착되고 또한 벽면(114b)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벽면(114b)은, 암형 보디(110b)의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된 곡면이기 때문에, 암형 절연체(160b)는,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암형 도체(120b)는, 암형 절연체(160b) 위에 설치된 도전 라인이다. 암형 절연체(160b)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도,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이하, 수형 커넥터(100a')를 암형 커넥터(100b')와 접속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100a') 및 암형 커넥터(100b')의 어느 한쪽의 키부가, 다른 한쪽의 키홈에 삽입된다. 키부가 키홈에 가이드 되어, 수형 커넥터(100a')가 암형 커넥터(100b')의 접속구멍(111b)과 끼워맞춤한다.
수형 커넥터(100a')가 암형 커넥터(100b')의 접속구멍(111b)과 끼워맞춤한 상태(접속상태)에서, 수형 커넥터(100a')의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와 암형 커넥터(100b')의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가, 접속구멍(111b)의 반경방향으로 각각 나열된다. 이로써, 기능부(121a)와 기능부(121b)와의 사이에서, 무선으로 신호 통신 또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100a')를 암형 커넥터(100b)의 접속구멍(111b)에 끼워맞춤시켜서, 양자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형 커넥터(100a)를 암형 커넥터(100b')의 접속구멍(111b)에 끼워맞춤시켜서, 양자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수형 커넥터(100a') 및 암형 커넥터(100b')는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첫째, 수형 커넥터(100a')의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원통형상의 곡면으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수형 절연체(170a)가 수형 보디(110a)의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에 고정되고, 수형 절연체(170a) 및 수형 절연체(170a) 위의 수형 도체(120a)가 수용공간(112a) 안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암형 커넥터(100b)의 암형 보디(110b)의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원통형상의 곡면으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로서는, 암형 절연체(160b)가 암형 보디(110b)의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에 고정되어, 암형 절연체(160b) 및 암형 절연체(160b) 위의 암형 도체(120b)가 수용공간(113b) 안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를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수형 보디(110a)의 수용공간(112a)의 벽면(113a)이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이므로, 수형 절연체(170a)를 벽면(113a)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수형 절연체(170a) 및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를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를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암형 보디(110b)의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이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이므로, 암형 절연체(160b)를 수용공간(113b)의 벽면(114b)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암형 절연체(160b) 및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를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기능부(121a), (121b)의 신호 전송 효율 또는 급전 효율이 향상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수형 도체 및 암형 도체의 어느 한쪽의 기능부가 평면형상이고, 다른 한쪽이 곡면형상인 경우, 양 기능부 간의 거리가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커지기 때문에, 양 기능부의 신호 전송 효율 또는 급전 효율이 저하한다. 그러나,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이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되어 있으므로, 수형 보디(110a)의 곡면(111a1)을 따라 만곡된 수형 도체(120a)의 기능부(121a)로부터, 접속구멍(111b)의 곡면(112b1)을 따라 만곡된 암형 도체(120b)의 기능부(121b)까지의 거리가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기능부(121a), (121b)의 신호 전송 효율 또는 급전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위에서 기재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형 보디는, 곡면을 가진 외부면과,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형 보디의 외형이 원뿔대의 통형상인 경우, 수형 보디는, 원뿔대 통형상의 곡면인 외부면과,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수형 보디의 외형이 포탄형상인 경우, 수형 보디는, 포탄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외부면과,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수형 보디의 외형이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인 경우, 수형 보디는,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외부면과,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수형 보디는, 상대하는 원호 형상의 한쌍의 곡면을 가지는 외부면과,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수형 보디는, 제1보디와, 이 제1보디에 연결 접속되고 또한 당해 제1보디보다도 외형이 작은 제2보디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보디 및 제2보디의 외부면은, 상기 어느 한 형태의 곡면을 적어도 1개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은, 제1보디 및/또는 제2보디의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은,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보디의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부면이 복수의 곡면을 가지는 경우는, 수용공간이 각 곡면의 안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은, 수형 보디 안의 밀폐 공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절연성을 가지며, 또한, 당해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외부면이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경우, 벽면도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곡면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면이 복수의 곡면을 가지는 경우, 1개의 수용공간 내에 형성된 복수의 벽면을 외부면의 곡면에 각각 대응하여 만곡된 곡면형상으로 하여도 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의 벽면을 외부면의 곡면에 각각 대응하여 만곡된 곡면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위에 기재한 어느 한 형태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만이 절연 처리되어, 수형 보디가 도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도체는, 적어도 1개이면 된다. 본 발명의 수형 도체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기능부를 가지며, 이 기능부가 수형 통신안테나, 수형 송전안테나 및 수형 수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능부는, 위에서 설명한 어느 한 형태의 수용공간의 곡면형상의 벽면 또는 곡면형상으로 만곡된 수형 절연체 위에 형성된 도전 라인으로서, 당해 벽면 또는 수형 절연체를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기능부는, 위에 설명한 어느 한 형태의 수용공간의 곡면형상의 벽면 또는 곡면형상으로 만곡된 수형 절연체 위의 바닥부에 직선형상으로 뻗은 도전 라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수형 도체의 기능부는 만곡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수형 도체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코일이나 단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형 절연체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절연체는, 수형 도체의 수에 따라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절연체는, 수형 도체가 복수인 경우에 1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형 절연체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형 절연체는,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수형 보디의 곡면을 따라 만곡된 절연성을 가지는 스페이서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절연체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의 벽면 위에 고착되어 있어도 되고, 고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수형 회로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회로는, 수형 도체의 수에 따라 1개 또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기판 및/또는 수형 제어부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형 기판 및/또는 수형 제어부는 1개 또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략될 경우, 수형 회로, 수형 기판 및/또는 수형 제어부는, 수형 커넥터 외부에 형성되면 된다.
본 발명의 암형 보디는, 접속구멍과, 곡면을 가진 접속구멍의 내벽면과, 당해 암형 보디 내의 접속구멍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암형 보디는, 원뿔대 통형상의 접속구멍과, 접속구멍의 원뿔대 통형상의 곡면인 내벽면과, 당해 암형 보디 내의 접속구멍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암형 보디는, 포탄형상의 접속구멍과, 접속구멍의 포탄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내벽면과, 당해 암형 보디 내의 접속구멍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암형 보디는,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접속구멍과, 접속구멍의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곡면을 가지는 내벽면과, 당해 암형 보디 내의 접속구멍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암형 보디는, 접속구멍과 상대하는 원호 형상의 한쌍의 곡면을 가지는 접속구멍의 내벽면과, 당해 암형 보디 내의 접속구멍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암형 보디는, 제1보디 및 제1보디와 연통되고 또한 당해 제1보디보다도 직경이 작은 제2보디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보디 및/또는 제2보디의 접속구멍의 내벽면이, 상기 어느 한 형태의 곡면을 적어도 1개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은, 접속구멍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은,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의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속구멍의 내벽면이 복수의 곡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수용공간이 각 곡면의 바깥쪽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은, 암형 보디 안의 밀폐 공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절연성을 가지며, 또한,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접속구멍의 내벽면이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곡면을 가진 경우, 벽면도 반 원통형상 또는 반 원뿔대의 통형상의 곡면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구멍의 내벽면이 복수의 곡면을 가지는 경우, 1개의 수용공간 내에 형성된 복수의 벽면을 접속구멍의 곡면에 각각 대응하여 만곡된 곡면형상으로 하여도 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의 벽면을 접속구멍의 곡면에 각각 대응하여 만곡된 곡면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은, 수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의 벽면만이 절연 처리되어, 암형 보디가 도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도체는, 적어도 1개이면 된다. 본 발명의 암형 도체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기능부를 가지며, 이 기능부가 암형 통신안테나, 암형 송전안테나 및 암형 수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능부는, 위에서 설명한 어느 한 형태의 수용공간의 곡면형상의 벽면 또는 곡면형상으로 만곡된 암형 절연체 위에 형성된 도전 라인으로서, 당해 벽면 또는 암형 절연체를 따라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기능부는, 위에 설명한 어느 한 형태의 수용공간의 곡면형상의 벽면 또는 곡면형상으로 만곡된 암형 절연체 위의 바닥부에 직선형상으로 뻗은 도전 라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암형 도체의 기능부는 만곡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암형 도체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코일이나 단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암형 절연체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절연체는, 암형 도체의 수에 따라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절연체는, 암형 도체가 복수인 경우에 1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암형 절연체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암형 절연체는,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접속구멍의 곡면을 따라 만곡된 절연성을 가지는 스페이서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절연체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의 수용공간 내의 벽면 위에 고착되어 있어도 되고, 고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암형 회로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회로는, 암형 도체의 수에 따라 1개 또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기판 및/또는 암형 제어부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암형 기판 및/또는 암형 제어부는 1개 또는 복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략될 경우, 암형 회로, 암형 기판 및/또는 암형 제어부는, 암형 커넥터 외부에 형성되면 된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수형 실드케이스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수형 보디가 수형 실드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의 접속구멍은, 수형 실드케이스의 외형에 따른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는, 암형 실드케이스를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암형 보디가 암형 실드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의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기재된 실시예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상호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00a: 수형 커넥터
110a: 수형 보디
111a: 외부면
111a1: 곡면
112a: 수용공간
113a: 벽면
120a: 수형 도체
121a: 기능부
122a: 접속부
130a: 수형 회로
140a: 수형 기판
150a: 수형 제어부
160a: 케이블
100b: 암형 커넥터
110b: 암형 보디
111b: 접속 구멍
112b: 내벽면
112b1: 곡면
113b: 수용공간
114b: 벽면
120b: 암형 도체
121b: 기능부
122b: 접속부
130b: 암형 회로
140b: 암형 기판
150b: 암형 제어부
100a': 수형 커넥터
170a: 수형 절연체
100b' 암형 커넥터
160b: 암형 절연체

Claims (17)

  1. 수형 보디와,
    수형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형 보디는, 곡면을 가지는 외부면과,
    상기 수형 보디 내부의 밀폐공간으로서,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수형 도체는 기능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기능부가, 수형 통신안테나, 수형 송전안테나 및 수형 수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의 전체가 상기 외부면의 상기 곡면의 일부를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보디는,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의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수형 절연체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는 상기 수형 절연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보디는,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형 절연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고착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외부면의 상기 곡면은 원통형상이며,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은,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원통형상인 수형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형 회로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형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부가하여 가지고 있는 수형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보디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형 회로 또는 상기 수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수형 기판과,
    상기 수형 기판 위에 설치된 수형 제어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수형 커넥터.
  9. 암형 보디와,
    암형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암형 보디는, 접속구멍과,
    곡면을 가지는 상기 접속구멍의 내벽면과,
    상기 암형 보디 내부의 밀폐 공간으로서, 당해 암형 보디 내부의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암형 도체는 기능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기능부가, 암형 통신안테나, 암형 수전안테나 및 암형 송전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의 전체가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곡면의 일부를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보디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곡면형상의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암형 절연체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는 상기 암형 절연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보디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된 상기 수용공간의 벽면을 부가하여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형 절연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 위에 고착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내벽면의 상기 곡면은 원통형상이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벽면은,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에 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원통형상인 암형 커넥터.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형 회로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암형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부가하여 가지고 있는 암형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곡면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보디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 회로 또는 상기 암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암형 기판과,
    상기 암형 기판 위에 설치된 암형 제어부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암형 커넥터.
  17.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수형 커넥터 및 상기 암형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형 커넥터는, 수형 보디와,
    수형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형 보디는, 곡면을 가진 외부면과,
    상기 수형 보디 내의 밀폐 공간으로서, 당해 수형 보디의 상기 곡면보다 안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형 도체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당해 수형 도체는 기능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가, 수형 통신 안테나, 수형 송전 안테나 및 수형 수전 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의 전체가 상기 외부면의 상기 곡면의 일부를 따라서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커넥터는, 암형 보디와,
    암형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암형 보디는, 접속 구멍과,
    곡면을 가진 상기 접속 구멍의 내벽면과,
    상기 암형 보디 내의 밀폐공간으로서, 당해 암형 보디 내의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곡면보다 바깥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형 도체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암형 도체는 기능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가, 암형 통신 안테나, 암형 수전 안테나 및 암형 송전 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의 전체가, 상기 접속 구멍의 상기 곡면의 일부를 따라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수형 커넥터가 상기 암형 커넥터의 상기 접속 구멍에 끼워 맞춤하고, 상기 수형 커넥터의 상기 외부면의 상기 곡면과 상기 암형 커넥터의 상기 접속구멍의 상기 내벽면의 상기 곡면이 서로 당접한 상태에서, 상기 수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와 상기 암형 도체의 상기 기능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균일해지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와의 접속구조.
KR1020150040609A 2014-05-12 2015-03-24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KR102280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8981A JP6247592B2 (ja) 2014-05-12 2014-05-12 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雄コネクタと雌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JP-P-2014-098981 2014-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605A KR20150129605A (ko) 2015-11-20
KR102280019B1 true KR102280019B1 (ko) 2021-07-20

Family

ID=5301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09A KR102280019B1 (ko) 2014-05-12 2015-03-24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28905B2 (ko)
EP (1) EP2945231B1 (ko)
JP (1) JP6247592B2 (ko)
KR (1) KR102280019B1 (ko)
CN (1) CN105098538B (ko)
TW (1) TWI638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0207B1 (en) * 2017-01-11 2024-03-20 Canon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080A (ja) 1998-10-01 2000-04-2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磁誘導型コネクタ
JP2000513880A (ja) * 1997-05-09 2000-10-17 バルテック コンポネンテン ウント システム ゲーエムベーハー プラグ及びソケット接続部
JP2007208201A (ja) * 2006-02-06 2007-08-16 Nippon Soken Inc 非接触型電力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335A (en) * 1979-11-08 1981-08-25 Motorola, Inc. Coaxial dual antenna connection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s apparatus
US5046952A (en) * 1990-06-08 1991-09-10 Amp Incorporated Right angle connector for mounting to printed circuit board
JPH0553219A (ja) * 1991-08-23 1993-03-05 Omron Corp 画像入力装置
JPH0553219U (ja) * 1991-12-19 1993-07-1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5936581A (en) * 1997-03-03 1999-08-10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switch assembly
DE19962437A1 (de) * 1999-12-22 2001-07-05 Ims Connector Systems Gmbh Buchsenteil, Steckerteil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Buchsenteil und/oder Steckerteil
FR2804250B1 (fr) * 2000-01-24 2002-05-31 Radiall Sa Element de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et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comportant un tel element
DE10055090A1 (de) 2000-11-07 2002-05-08 Conducta Endress & Hauser Steckverbinder zum Anschluss einer Übertragungsleitung an mindestens einen Sensor
US6685383B2 (en) * 2001-11-02 2004-02-03 Radio Frequency Systems Inc. Antenna and radio interface
US6935866B2 (en) * 2002-04-02 2005-08-30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rd edge coaxial connector
US6860761B2 (en) * 2003-01-13 2005-03-01 Andrew Corporatio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EP1688025A4 (en) 2003-11-27 2009-01-21 Ls Cable Ltd HEAT TRANSFER DEVICE WITH FLAT PLATE
JP2006049276A (ja) * 2004-07-06 2006-02-16 Hosiden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324059B2 (ja) * 2004-09-03 2009-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cタグ実装ハーネス
JP4585324B2 (ja) * 2005-01-26 2010-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気機器の制御システム
US7150648B1 (en) * 2005-11-02 2006-12-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GB2444295A (en) * 2006-11-28 2008-06-04 Robert John Gray Contactless electrical connector or power isolation means when members of a connector are separated.
FR2915324B1 (fr) * 2007-04-17 2009-07-03 Radiall Sa Embase de connexion coaxiale 7-16.
US7753726B2 (en) * 2008-04-16 2010-07-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mposit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2246364B (zh) * 2008-12-16 2014-01-29 株式会社藤仓 线缆连接器以及天线元件
US8228260B2 (en) * 2009-05-08 2012-07-24 Sonoco Development, Inc. Structure having an antenna incorporated therein
TWM391240U (en) * 2010-06-01 2010-10-2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Earphone plug having tv antenna
KR101135606B1 (ko) * 2011-02-09 2012-04-17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차량용 소형 안테나
TWM424630U (en) * 2011-08-31 2012-03-11 Mascot Electric Co Ltd Antenna device
EP2581993B1 (en) * 2011-10-13 2014-06-11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ntactless plug connector and contactless plug connector system
DE102012107270A1 (de) * 2012-08-08 2014-02-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Gehäuse mit einem RFID-Transponder
TW201413162A (zh) * 2012-09-27 2014-04-01 Justing Tech Taiwan Pte Ltd 發光二極體燈管之連接器
US8790136B2 (en) * 2012-10-04 2014-07-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assem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casing
US8747121B1 (en) * 2013-01-24 2014-06-10 Cresta Technology Corporation Television tuner module having a shielded housing mounted on an outer circuit board and having an inner circuit board with a tuner chip
US9496600B2 (en) * 2013-10-14 2016-11-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rray of antennas in housing cavity
JP6474968B2 (ja) * 2013-12-26 2019-02-27 ホシデン株式会社 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雄コネクタと雌コネクタと接続構造
US9496000B2 (en) * 2014-05-16 2016-1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udio modification for adjustable playback rate
KR102231232B1 (ko) * 2015-02-27 2021-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880A (ja) * 1997-05-09 2000-10-17 バルテック コンポネンテン ウント システム ゲーエムベーハー プラグ及びソケット接続部
JP2000114080A (ja) 1998-10-01 2000-04-2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磁誘導型コネクタ
JP2007208201A (ja) * 2006-02-06 2007-08-16 Nippon Soken Inc 非接触型電力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5231A1 (en) 2015-11-18
US9728905B2 (en) 2017-08-08
TWI638493B (zh) 2018-10-11
EP2945231B1 (en) 2019-11-20
CN105098538A (zh) 2015-11-25
TW201607184A (zh) 2016-02-16
US20150325959A1 (en) 2015-11-12
JP6247592B2 (ja) 2017-12-13
CN105098538B (zh) 2019-01-29
KR20150129605A (ko) 2015-11-20
JP2015216057A (ja)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0542B2 (ja) 弾性公差補正手段を有する同軸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US8456253B2 (en) Microstrip to waveguide coupler having a broadened end portion with a non-conductive slot for emitting RF waves
KR102652776B1 (ko) 저손실 플러그 연결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플러그 연결 배열체를 갖는 시스템
US9894769B2 (en) Board and cable connection board
CN110226267B (zh) 用于将波导连接到至少一个电导体的插头连接器
US11482766B2 (en) Interconnection including a hybrid cable assembly and a circuit board assembly
US11316276B2 (en) Trifurcated antenna radiator and circuitous transmission line assembly
US10305549B2 (en)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ale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KR20230019919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80019B1 (ko)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CN106299780A (zh) 板间射频连接系统
US20190333694A1 (en) Connector and power supply system
JP6159476B2 (ja) Nfcアンテナ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備える移動通信装置
JP6694040B2 (ja) 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雄コネクタと雌コネクタと接続構造
US20200388969A1 (en) Base board module
WO201900806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269374B1 (ko) 고주파용 커넥터
WO2009061099A2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US20100123550A1 (en) Coaxial Antenna Connection
KR200450297Y1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KR20090088717A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CN115398813A (zh) 用于无线数据和能量传输的耦合装置以及用于无线数据和能量传输的耦合系统
JP2009301717A (ja) インナーターミナル
JP2017073679A (ja) アンテナ装置
KR20100110587A (ko) 무선통신단말기용 인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