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121A -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 Google Patents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121A
KR20100138121A KR1020090056502A KR20090056502A KR20100138121A KR 20100138121 A KR20100138121 A KR 20100138121A KR 1020090056502 A KR1020090056502 A KR 1020090056502A KR 20090056502 A KR20090056502 A KR 20090056502A KR 20100138121 A KR20100138121 A KR 2010013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composite
arch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731B1 (ko
Inventor
오민수
김평길
박종선
한충성
Original Assignee
(주)청석엔지니어링
(주)삼현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석엔지니어링, (주)삼현피에프 filed Critical (주)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5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7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에 관한 것으로, 아치 구조물의 길이가 길어져 2개 이상으로 분리 시공하는 경우와 지리적 여건 상 대용량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통행을 위한 우회도로를 확보하지 않고 또한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지 않으면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은,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도로(D) 노면에 상호 간에 상기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상기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레일(110)과; 저부에 다수의 바퀴(123)와 스토퍼(124)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를 통해 상기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121), 상기 다수의 수직 지지대 위에 고정되는 발판(122b)을 갖는 작업대(122)로 이루어진 이동프레임(120)과; 양측이 상기 레일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직 지지대에 각각 고정되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30)와; 상기 이동프레임 위에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아치형 본체를 구성하는 거더들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작업대(122)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40), 제1지지프레임(140)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제2,3지지프레임(150,1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은 각각 상기 이동프 레임의 작업대에 세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거더 중 근접되는 2개의 거더들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56502
강합성, 아치 구조물, 가시설, 레일

Description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MOVABLE TEMPORARY STRUCTURE FOR CONSTRUCTING COMPOSITE COVERING ARCH STRUCTURE}
본 발명은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치 구조물의 길이가 길어져 2개 이상으로 분리 시공하는 경우와 지리적 여건 상 대용량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통행을 위한 우회도로를 확보하지 않고 또한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지 않으면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로 철도 등의 수송망이 나날이 발달되는 추세하에서 도로변과 철도변의 자연환경보존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보존차원에서 산을 지나도록 설계된 도로나 철도는 터널공법으로 건설되고 있다.
터널은 도시의 지하철등 지하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도시터널과 지방의 고속 도로와 같이 지하수를 비교적 적게 받는 산악터널로 구분된다. 산악터널을 시공할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환경보존에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표적인 터널 구조물 시공방법으로는 지하도, 터널 등의 터널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곳의 땅을 완전히 개착(開鑿)하여 터널 구조물을 시공한 다음, 그 위에 개착된 흙을 덮어 터널 구조물을 시공하는 오픈 트렌치 공법(Open Trench Method ; 이하 O.T.M.)과 시공하고자 하는 곳의 땅을 개착(開鑿)하지 않고 쉴드 터널링 머신(Shield Tunneling Machine)을 사용한 비개착(非開鑿)으로 하여 터널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터널 안에 터널 구조물을 시공하는 터널 보링 공법(Tunneling Boring Method ; 이하 T.B.M.)이 있다. 그 외에 도로 또는 철도 레일 밑에 터널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부의 토층을 지지한 상태에서 그 아래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파이프 루프 공법(Pipe Roof Method) 등이 있다.
이러한 오픈 트렌치 공법(O.T.M.)과 터널 보링 공법(T.B.M.)방법 중에서 현재 대표적으로 쓰이는 공법은 쉴드 터널 보링 공법(T.B.M.)이나 NATM터널 공법 등이 있다.
이 쉴드 터널 보링 공법이나 NATM터널 공법은 주로 도시지역 및 토층이 암반층으로 이루어진 곳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터널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상 건축 구조물(도로 및 건물 등)과 지하 건축 구조물(하수도 및 가스관 등) 및 지상 교통 흐름에 최소한의 영향을 끼치면서 터널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 개착식 터널은 오픈 트렌치 공법(O.T.M.)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방법, 현장 콘크리트 타설 방법, 주름이 있는 강재인 파형강판을 이 용한 방법 등이 있다. 개착식 터널은 터널 상부에 토층 높이가 작거나 토층의 상태가 연약하여 비개착식 터널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개착식 터널은 방수, 차수, 터널 위 성토의 하중 등을 감안하여 설계 시공되어야 하는데, 종래 개착식 터널은 대개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대단면 터널을 적용하기에는 붕괴위험이 따르고, 현장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파형강판은 강판의 구조역학적 강성이 작아서 3차선이상의 폭이 넓은 개착식 터널에는 시공이 곤란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와 파형강판의 역학적 특성상 종래의 터널은 도로의 가운데 기둥을 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2-3차선 이하의 폭만 시공할 수 있고, 도로의 가운데 기둥을 시공할 경우에도 4차선 이상의 폭을 시공할 수 없다. 이때, 도로의 가운데 기둥이 시공되면 터널을 주행 중인 차량의 충돌 가능성이 높고, 동절기 기둥 상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어 고드름이 생기는 등 차량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에 기둥을 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3차선 이상이 무리이므로 왕복 4차선에서 8차선이 대부분인 국도나 고속도로의 대절토부 공사에서 부득이하게 높이 20m에서 40m의 사면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기존 도로를 복개하는 경우에는 터널시공 중 별도의 우회도로를 만들지 않는 한 교통 통제 기간이 약 1개월에서 12개월 정도 필요하므로 우회도로의 시공을 위한 비용손실, 교통통제에 따른 비용손실 및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피에쓰씨 판넬과 강재 거더를 이용한 복개아치합성구조물(특허 제0532248호)이 있다.
선 등록된 특허 제0532248호는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강재 거더와 PSC 판넬의 구조역학적 합성작용에 의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현장 타설에 의한 시공을 최소화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종래에 없는 폭이 넓은 대단면 개착 터널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아치형 본체(10) 및 아치형 본체(10)를 지지하는 기초부(20)로 구성된다.
아치형 본체(10)는 하나 이상의 빔을 통해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최좌측 단부와 최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판(11)이 결합된 강재 거더(12)와; 장방형 판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강재 거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재 거더(12) 상부에 결합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다수의 PSC 판넬(13)로 이루어진다.
기초부(20)는 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며 강재 거더(12)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한편, 선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 복개아치합성구조물(이하 "아치 구조물"이라 약칭함)은 길이가 짧은 경우 아치형 본체(10)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운반하여 시공할 수 있지만, 길이가 긴 경우 예를 들어 40m 이상의 경우 일체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치형 본체를 2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크레인으로 운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아치형 본체(10)의 길이가 긴 경우 종래에는 분리된 아치 형 본체를 거치하여 시공하기 위한 장비들이 없기 때문에 길이가 긴 아치 구조물의 시공이 어렵다.
그리고, 지리적 여건 상 아치형 본체의 분리 이동이 어려운 곳, 대용량 크레인의 사용이 어려운 곳에서 아치형 본체를 거치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역시 아치 구조물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치형 본체의 길이가 길어져 다수개로 분리하여 시공할 경우 또는 지리적 여건 상 대용량의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통행을 위한 우회도로를 확보하지 않고 또한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지 않으면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안전시설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와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은,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도로 노면에 상호 간에 상기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상기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 라 설치되는 다수의 레일과; 상기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이동프레임과; 양측이 상기 레일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직 지지대에 각각 고정되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과; 상기 이동프레임 위에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아치형 본체를 구성하는 거더들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제2,3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에 의하면, 아치형 본체의 길이가 길어져 2개 이상으로 분리할 수밖에 없는 경우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아치형 본체의 연결 지점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아치형 본체의 시공이 가능해지며, 또한, 지리적 여건 상 대용량의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 저용량의 크레인을 이용하여도 아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복개 아치 구조물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아치 구조물의 시공시 이동프레임의 아래쪽 도로를 차량이 주행하며, 이와 동시에 이동프레임의 위쪽에서는 아치 구조물을 시공하여 차량의 통행을 위한 우회도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우회도로의 확보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이동프레임의 발판을 밟고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중 추락하여도 발판 아래쪽의 도로로는 추락하지 않으면서 작업 공구 등도 발판에 낙하하므로 작업자와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의 승강, 좌우 이동을 통하여 아치 구조물의 제원의 변화에 대응함으로써 하나의 가시설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아치 구조물에 공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하고 보관 등의 취급이 용이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용 가시설(100)은, 지중 아치 구조물의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레일(110),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20), 이동프레임(1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중 아치 구조물의 아치형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레일(110)은 노면에 도로(D)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동프레임(1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2개 이상 바람직하게 3개가 설치된다. 3개의 레일(110)은 도로(D)의 중앙선과 양측 도로변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동프레임(120)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121), 수직 지지대(121)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작업대(122)로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직 지지대(121)는 다수의 빔이 종횡방향 으로 배열되면서 빔이나 판재의 보강재가 결합된 구성일 수 있으며, 하단부에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바퀴(123), 다수의 스토퍼(124)가 갖추어진다. 스토퍼(124)는 예컨대, 높이조절 잭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바퀴(123)와 스토퍼(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120)은 아치형 본체(200)의 시공 위치에 맞춰 이동하는 것이므로 아치형 본체(200)의 조립이 가능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작업대(122)는 수직 지지대(121)들의 위에 장착되어 수평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다수의 수직 지지대(121)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배열되어 저부의 수직 지지대(121)에 체결구 등으로 고정되는 작업대 프레임(122a), 작업대 프레임(122a)의 위에 깔리는 발판(1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대 프레임(122a)은 다수의 빔과 앵글 등이 조합되어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지지대(121)와 작업대(122)는 각각 단품이며, 작업대(122)는 높이조정 잭(125)을 매개로 하여 수직 지지대(121) 위에 연결된다. 이때, 높이조정 잭(125)은 하부와 상부가 수직 지지대(121)와 작업대(122)에 각각 체결구로 체결 고정된다.
이동프레임(120)은 구동수단을 통해 레일(110) 상에서 전후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은 양측이 레일(110)과 이동프레임(120)에 각각 고정되며 유압을 공급받아 이동프레임(120)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30)일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은 전후진 실린더(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 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지지하는 아치형 본체(200)에 대해 설명한다.
아치형 본체(200)는, 하나 이상의 빔을 통해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최좌측 단부와 최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판(211)이 결합된 강재 거더(210), 장방형 판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강재 거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재 거더(210) 상부에 결합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다수의 PSC 판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아치형 본체(200)의 조립시 거더(210)의 마주하는 연결부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것이며, 이동프레임(120)의 작업대(122)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40), 제1지지프레임(140)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제2,3지지프레임(150,160)으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140,150,160)은 각각 포스트, 상기 포스트 위에 설치되며 마주하는 2개의 거더(210)를 지지하는 지지구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제1지지프레임(140)과 제2,3지지프레임(150,160)을 다른 구조로 도시하였으며, 도 2에 도시된 것을 예로 들어 제1지지프레임(140)과 제2,3지지프레임(150,160)을 설명한다.
제1지지프레임(140)은 작업대(12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철재 포스트(141), 포스트(141)의 상부에 설치되며 마주하는 2개의 거더(210)를 지지하는 2 개 이상의 높이조정 지지구(142)로 구성된다.
포스트(141)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빔, 앵글, 판재가 종횡방향으로 결합된 박스 형태일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스트(141)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거더(210)의 안착시 거더(210)의 하중이 포스트(141)에 전가되므로 포스트(141)의 휨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스트(141)의 둘레부에는 작업대(122)에 지지되는 다수의 서포트(143)가 설치된다.
높이조정 지지구(142)는 거더(210)들을 연결할 때 거더(210)들의 비틀림없이 연결되도록 높이가 조정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잭일 수 있다.
제2,3지지프레임(150,160)은 다수의 높이조정용 서포트(151,161), 다수의 높이조정용 서포트(151,161)에 의해 높이조정되며 마주하는 2개의 거더(210)들을 지지하는 지지대(152,162)로 구성된다.
높이조정용 서포트(151,161)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 2개의 파이프가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높이조정노브를 통해 상기 파이프가 신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지지대(152,162)는 높이조정 잭(153,163)을 통해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대(152,162)는 높이조정 잭(153,163)과 힌지로 연결되고, 아울러, 높이조정 서포트(151,161)로 연결된다.
일측이 힌지(153,16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높이조정 서포트(151,161)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는, 지지대(152,162)가 각도 조정만 되는 것이므로 높이조정 서포트(151,161)는 각도조정 서포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지지프레임(140)과 제2,3지지프레임(150,160)은 구성이 서로 뒤바뀔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용 가시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지지프레임(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140,150,160))을 갖는 가시설(100)과 4개의 거더(210-1,210-2,210-3,210-4)를 갖는 복개 아치 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a에서 보이는 것처럼, 복개 아치 구조물의 시공시 도 4a 기준 좌우 양측을 터파기하고, 상기 터파기 한 곳에 기초부(20)를 시공한다.
도로(D) 노면에 레일(110)을 각각 설치하고, 본 발명의 가시설(100)을 레일(110) 상에 탑재한다.
가시설(100)은 이동프레임(120),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140,150,160)이 결합된 상태로 레일(110)에 탑재될 수 있다.
가시설(100)을 레일(110)에 탑재한 후, 전후진 실린더(130)를 통해 가시설(100)을 거더의 설치 위치로 이동한다.
가시설(100)은 바퀴(213)를 통해 레일(1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며, 가시설(100)의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140,150,160)이 거더(210)의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214)를 통해 가시설(100)을 고정 셋팅한다.
도 4b에서 보이는 것처럼, 크레인을 이용하여 아치형 본체의 제1거더(210-1)를 좌측 기초부(20)와 제2지지프레임(150)의 지지대(152) 위에 안착하고, 좌측 단 부를 기초부(20)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2거더(210-2)를 우측 기초부(20)와 제3지지프레임(160)의 지지대(162) 위에 안착하고, 우측 단부를 우측 기초부(20)에 고정한다.
이로써, 좌우 양측의 제1,2거더(210-1,210-2)가 각각 기초부(20)에 고정된다. 제1거더(210-1)는 자유단부가 제2지지프레임(150)의 지지대(152)의 절반 정도에만 걸쳐지고, 제2거더(210-2)는 자유단부가 제3지지프레임(160)의 지지대(162)의 절반 정도에만 걸쳐져 있다. 따라서, 제2,3지지프레임(150,160)에는 제3거더(210-3)이 안착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남아 있다.
이어서, 제3거더(210-3)를 제2지지프레임(150)의 지지대(152)와 제1지지프레임(140)의 높이조정 지지구(142) 위에 올리고, 일렬로 배열되는 제1거더(210-1)와 제3거더(210-3)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4거더(210-4)를 제1지지프레임(140)의 높이조정 지지구(142)와 제3지지프레임(160)의 지지대(162)에 올리고, 제4거더(210-4)의 양측 단부를 마주하는 제3거더(210-3)와 제2거더(210-2)에 각각 연결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거더(210-1,210-2,210-3,210-4)를 서로 조립할 때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140,150,160)이 저부에서 지지하여 제1 내지 제4거더(210-1,210-2,210-3,210-4)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거더(210-1,210-2,210-3,210-4)의 연결시 작업 공구 등이 낙하할 경우 작업 공구는 작업대(122)의 발판(122b)에 낙하하는 것이지, 도로(D)에는 낙하하지 않으므로 도로(D)를 통행하는 차량의 파손 등을 막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3거더(140,150,160)의 연결이 완료되면 스토퍼(214)에 의한 가시설(100)의 고정을 해제하고, 본 발명의 가시설(100)을 그 다음 시공 위치로 전진시켜 거더의 설치 위치에 셋팅하며,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거더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가시설(100)을 계속해서 전진시켜 지중 구조물의 길이에 맞는 거더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작업대(122)의 높이 조정,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140,150,160)의 높이 조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아치형 본체(200)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아치형 본체(200)는, 아치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주형(271)의 사이에 다수의 가로보(27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273), 프레임부(273)의 주형(271)이 인서트된 상태로 제작되며 서로 연속되도록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부(274)로 구성된 골조, 상기 골조에 현장 타설되어 마감처리하는 콘크리트 마감부(27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골조는 전술한 아치형 본체(200)의 거더(210)에 대응되는 것이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아치형 본체(200)는, 다수의 주형(281)과 가로보(282)에 의해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아치형의 형태를 갖는 강재 프레임(283),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격자형태로 삽입되며 프레임(283)의 상면에 프레임(283)의 형태를 따라 연속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2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강재 프레임(283)은 전술한 아치형 본체(200)의 거더(210)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아치형 본체는, 하나 이상의 빔을 통해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최좌측 단부와 최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판이 결합된 강재 거더, 상기 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지지프레임(150)을 도 7 기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며, 작업대(122)의 상면에는 좌우 폭방향을 따라 레일(125)이 설치되며, 제2지지프레임(150)은 캐리어(154)를 통해 레일(125)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다.
캐리어(154)는 전후진 실린더(미도시) 등을 통해 좌우로 전후진할 수 있다.
제3지지프레임(160)도 제2지지프레임(150)과 동일한 구조를 통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3지지프레임(150,160)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아치 구조물의 크기에 맞는 거더의 연결 위치에 셋팅될 수 있다.
도 8은 제2지지프레임(150)의 좌우 이동과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도 7의 구성에서 승강플레이트(155)와 승강수단이 더 적용된다.
승강플레이트(155)는 캐리어(154) 위에 상기 승강수단을 매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캐리어(154)와 승강플레이트(155) 사이에 개재되는 승강링크(156), 승강링크(156)를 강제로 절첩시키는 승강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150)의 좌우 이동은 도 7과 동일하며, 상기 승강실린더를 통해 승강링크(156)를 펼치면 승강플레이트(155)가 상승하고, 승강링크(156)를 접으며 승강플레이트(155)가 하강한다.
제3지지프레임(160)도 제2지지프레임(150)과 동일한 구조를 통해 좌우로 이동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3지지프레임(150,160)은 좌우 이동 및 승강함으로써 아치 구조물의 크기에 맞는 거더의 연결 위치에 셋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3지지프레임(150,160)은 승강플레이트(155)와 상기 승강수단을 통해 승강 동작만 가능하도록 즉, 좌우 이동되지 않으면서 승강 동작만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에 적용된 이동프레임의 측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을 이용한 거더의 연결 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이 적용된 아치형 본체의 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에 적용된 제2지지프레임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레일, 120 : 이동프레임
130 : 전후진 실린더, 140,150,160 : 지지프레임
200 : 아치형 본체,

Claims (5)

  1. 하나 이상의 빔을 통해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최좌측 단부와 최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판이 결합된 강재 거더, 상기 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을 포함하는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도로(D) 노면에 상호 간에 상기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상기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레일(110)과;
    저부에 다수의 바퀴(123)와 스토퍼(124)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를 통해 상기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121), 상기 다수의 수직 지지대 위에 고정되는 발판(122b)을 갖는 작업대(122)로 이루어진 이동프레임(120)과;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구동수단과;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 위에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의 아치형 본체를 구성하는 거더들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작업대(122)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140), 제1지지프레임(140)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제2,3지지프레임(150,1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프레임은 각각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에 세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거더 중 근접되는 2개의 거더들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3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122)의 상부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12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154)를 매개로 하여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3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의 상부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155)를 통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3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122)의 상부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12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154),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155)를 통해 좌우 이동 및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에 세워지는 포스트(141),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2개 이상의 높이조정 지지구(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3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작업대에 세워지는 다수의 높이조정용 서포트(151,161), 상기 높이조정용 서포트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거더가 지지되는 지지구(152,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가시설.
KR1020090056502A 2009-06-24 2009-06-24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KR10104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02A KR101040731B1 (ko) 2009-06-24 2009-06-24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02A KR101040731B1 (ko) 2009-06-24 2009-06-24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121A true KR20100138121A (ko) 2010-12-31
KR101040731B1 KR101040731B1 (ko) 2011-06-10

Family

ID=4351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02A KR101040731B1 (ko) 2009-06-24 2009-06-24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7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39B1 (ko) * 2013-11-14 2015-06-26 (주)나우기술 아치형 라멘구조타입 터널 시공 방법
CN109457615A (zh) * 2018-10-29 2019-03-12 合肥市公路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异形系杆拱桥拱圈的安装施工方法
CN109914266A (zh) * 2019-04-17 2019-06-2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大型钢管拱纵移及提升安装施工方法
CN111549671A (zh) * 2020-05-11 2020-08-18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基于下承式钢桁梁的柔性拱施工方法
CN111945572A (zh) * 2020-08-18 2020-11-17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多联拱桥架桥机及多联拱桥架桥方法
CN112709141A (zh) * 2020-12-24 2021-04-27 中铁重工有限公司 一种带刚性连接发散钢拱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2038B (zh) * 2019-11-11 2021-06-25 山东交通学院 一种系杆拱桥横梁高空现浇用自走吊模工具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999A (ja) 1996-12-25 1998-07-14 Okabe Co Ltd ア−チコンクリ−トの型枠移動式工法
KR100582984B1 (ko) 2003-04-12 2006-05-25 홍석희 아치 구조물 설치를 위한 이동식 아치형 동바리 장치 및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39B1 (ko) * 2013-11-14 2015-06-26 (주)나우기술 아치형 라멘구조타입 터널 시공 방법
CN109457615A (zh) * 2018-10-29 2019-03-12 合肥市公路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异形系杆拱桥拱圈的安装施工方法
CN109914266A (zh) * 2019-04-17 2019-06-2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大型钢管拱纵移及提升安装施工方法
CN109914266B (zh) * 2019-04-17 2020-07-10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大型钢管拱纵移及提升安装施工方法
CN111549671A (zh) * 2020-05-11 2020-08-18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基于下承式钢桁梁的柔性拱施工方法
CN111945572A (zh) * 2020-08-18 2020-11-17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多联拱桥架桥机及多联拱桥架桥方法
CN111945572B (zh) * 2020-08-18 2022-02-25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多联拱桥架桥机及多联拱桥架桥方法
CN112709141A (zh) * 2020-12-24 2021-04-27 中铁重工有限公司 一种带刚性连接发散钢拱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731B1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731B1 (ko)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 시공용 이동식 가시설
CN103255693B (zh) 一种装配式立体城市道路系统及快速安装工法
CN105568866A (zh) 跨越既有道路的大跨径钢箱梁顶推施工方法
KR20100138122A (ko)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지중 아치 라멘식 구조물의 기초부 및 이 시공 방법
CN112609912B (zh) 一种高架运营地铁车站新建雨棚的施工方法
CN112727134A (zh) 一种改扩建既有高架运营地铁车站建筑主体结构的施工方法
JP2020090785A (ja) 拡幅用構造体、拡幅構造、床版拡幅工法、床版更新工法
JP2005290889A (ja) 掘割道路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3276648B (zh) 装配式立体城市道路系统及快速安装工法
JP5187969B2 (ja) 直上高架橋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CN112610244B (zh) 用于扩建既有高架运营地铁车站站台的预制构件及其安装方法
JP4685341B2 (ja) 高架橋の施工方法
CN111945572B (zh) 多联拱桥架桥机及多联拱桥架桥方法
CN211285316U (zh) 一种采用消能减震连接的桥建混合式高架车站结构
JP4263935B2 (ja) 工事方法および高架式迂回路
KR10143940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복개아치 합성구조물의 힌지식 기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복개아치 합성구조물 시공 공법
CN203284707U (zh) 一种装配式立体城市道路系统
JP3940587B2 (ja) 分割橋体式交通路の構築方法
KR101932118B1 (ko) 다중 아치 터널용 필러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 방법
CN217758368U (zh) 现浇箱梁
CN112523087A (zh) 一种用于梁板架设的提梁站
JP2002155501A (ja) 立体式迂回路の構築方法
JP3682247B2 (ja) 高架式交通路の構築方法
CN114737479B (zh) 组合梁上盖既有交通的防护系统、拆卸装置及施工方法
KR10110916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터널 시공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