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498A - 유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498A
KR20100137498A KR1020107022248A KR20107022248A KR20100137498A KR 20100137498 A KR20100137498 A KR 20100137498A KR 1020107022248 A KR1020107022248 A KR 1020107022248A KR 20107022248 A KR20107022248 A KR 20107022248A KR 20100137498 A KR20100137498 A KR 2010013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ater flow
cover
signal output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223B1 (ko
Inventor
유키노리 가리하라
Original Assignee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유수감지장치의 스위치류를 보호하는 박스에 대해서 강도나 방수성능을 향상시키고, 또 신호선 결선시나 점검시 등에 있어서 작업성이 좋은 유수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유수감지장치는, 본체(1)의 내부가 첵크밸브 구조를 하고 있고 밸브체(7)의 개방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17)이 본체(1)에 접속한 케이싱(2)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2)은 베이스(B)와 커버(C)로 구성되고, 베이스(B)는 본체(1)와의 접속면인 제1면(B1)과 제1면에서 굴곡하여 형성된 제2면(B2)을 구비한다. 커버(C)는 제1면(B1)에 있어서 제2면(B2)과 반대측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신호출력수단을 덮게 되어 있고 또한 커버(C)의 고정수단을 제2면(B2)의 가장자리에 1군데 설치한다.

Description

유수감지장치{WATER FLOW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소화설비 배관(消火設備配管)상에 설치되는 유수감지장치(流水感知裝置)에 관한 것이다.
유수감지장치는, 스프링클러 설비(sprinkler 設備)나 거품 소화설비 등의 소화설비 배관상에 설치되어 배관내의 유수(流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유수감지장치의 내부는 첵크밸브 구조(check valve 構造)를 하고 있고, 밸브에 의하여 내부가 1차측실(1次側室)과 2차측실로 나누어지고 밸브체(valve體)는 항상 폐쇄상태(閉鎖狀態)에 있다. 1차측실 및 2차측실은 항상 충수(充水)되어 있고, 1차측실에 접속된 배관(이하, 「1차측 배관」이라고 한다)은 수원(水源)과 접속되고, 2차측실에 접속된 배관(이하, 「2차측 배관」이라고 한다)은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나 거품 헤드 등의 살포 헤드(撒布 head)가 설치되어 있다.
유수감지장치는 2차측 배관에 설치된 살포 헤드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어, 예를 들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면, 2차측 배관내에 충수되어 있는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방출됨으로써 2차측 배관내가 압력이 감소한다. 그에 의하여 유수감지장치의 2차측실내의 압력도 감소하고, 밸브체에 작용하고 있는 압력에 의한 힘의 균형이 무너지고, 1차측실측에서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이 2차측실측에서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을 상회(上廻)하여 밸브체가 개방된다.
이 밸브체의 개방을 감지하여 스위치 장치가 작동되어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건물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감시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관리인 등에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한 것을 알린다.
상기에 나타내는 첵크밸브 구조의 유수감지장치는, 밸브체가 착좌(着座)하고 있는 밸브 시트(valve sheet)에 외부로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과 압력 스위치(壓力 switch)가 접속되어 압력 스위치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입(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이나 밸브체의 개방에 의한 변위(變位)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타입(예를 들면 특허문헌2, 3 참조)이 있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공소61-1478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9911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55400호 공보
후자의 타입의 유수감지장치에 있어서, 특허문헌2 및 3의 유수감지장치에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가 스위치 박스나 케이싱에 의하여 덮여져서 쓰레기나 습기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박스 등은 경량화나 저비용화를 위하여 수지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 많다.
그러나 최근에, 스위치 박스나 케이싱에도 강도(强度)나 방수성능(防水性能)이 요구되고 있고, 또 취급에 관해서도 감시장치에 접속되는 신호선의 결선작업(結線作業)이 하기 쉬울 것, 스위치 박스나 케이싱의 부착·제거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 등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유수감지장치의 스위치류를 보호하는 박스에 있어서, 강도나 방수성능을 향상시키고, 또 신호선 결선시나 점검시등의 작업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좋은 유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는, 소화설비 배관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첵크밸브 구조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첵크밸브 구조의 밸브체의 개방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은 베이스와 커버를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는 본체와의 접속면인 제1면과 제1면에서 L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제2면을 구비하고 있고, 커버는 베이스의 제1면과 제2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여 고정되어서 신호출력수단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상기 본 발명은, 커버가, 베이스의 제1면에 있어서 제2면과 반대측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베이스의 제2면에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상기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베이스의 제2면의 가장자리의 1군데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상기 본 발명은, 베이스의 제2면이 케이싱의 저면이며, 상기 저면에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외부로부터의 도선의 통과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상기 본 발명은, 베이스에 케이싱의 내부에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상기 본 발명은, 브래킷이,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하측 부착부와, 하측 부착부에서 상방으로 역L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외부로부터의 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를 지지하는 상측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상기 본 발명은, 브래킷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상기 본 발명은, 고정수단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9)상기 본 발명은, 커버의 결합부의 단면형상이, 베이스의 제1면의 상기 테두리에 상방으로부터 결합하는 역U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상기 본 발명은, 베이스의 내측면에 베이스에 대한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게 하는 레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상기 본 발명은, 레일을, 베이스의 제1면의 상기 테두리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상기 본 발명은, 레일을 제1면에서 제2면으로 계속되는 연속형상으로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상기 본 발명은, 레일을 케이싱의 내부측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상기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상기 본 발명은, 커버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본 발명에서는, 케이싱이 베이스와 커버를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가 본체와의 접속면인 제1면과 제1면에서 L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형성한 제2면을 구비하고 있고, 커버가 베이스의 제1면과 제2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여 고정되어서 신호출력수단을 덮는 것이다.
이 때문에 커버를 벗기면, L자 모양의 베이스에 의하여 지지된 케이싱의 내부구조가 크게 노출하기 때문에 케이싱의 내부의 신호출력수단 등의 결선작업이나 점검작업의 작업성이 좋다. 또한 베이스를 L자 모양으로 함으로써 그 제1면과 제2면에 다른 부품이나 구조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의 전체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면에는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설치하고, 제2면에는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외부로부터의 도선의 통과구멍을 형성할 수 있어, 평판형상로 한 베이스에 브래킷과 도선의 통과구멍을 형성할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절약이 된다.
(2)본 발명에서는, 커버가, 베이스의 제1면에 있어서 제2면과 반대측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베이스의 제2면에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즉 커버의 부착시에는 예를 들면 고정수단이 나사인 경우에는 나사 1개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커버를 베이스에 고정할 수 있어, 결선작업이나 점검작업시의 커버의 착탈을 간단하게 작업성 좋게 할 수 있다.
(3)본 발명에서는 고정수단을 베이스의 제2면의 가장자리의 1군데에 설치한다. 이 때문에 커버의 부착시에는 예를 들면 고정수단이 나사인 경우에는 나사 1개를 체결한 것만으로 커버를 베이스에 고정할 수 있어, 결선작업이나 점검작업시의 커버의 착탈을 간단하게 작업성 좋게 할 수 있다.
(4)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의 제2면이 케이싱의 저면이며, 상기 저면에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외부로부터의 도선의 통과구멍을 형성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평판형상으로 한 베이스에 브래킷과 도선의 통과구멍을 함께 형성할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절약이 된다.
(5)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의 제1면에 케이싱의 내부에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설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평판형상으로 한 베이스에 브래킷과 도선의 통과구멍을 함께 형성할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절약이 된다.
(6)본 발명에서는 브래킷이,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하측 부착부와, 하측 부착부에 상방으로 역L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외부로부터의 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를 지지하는 상측 부착부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케이싱에 수용하는 신호출력수단이나 단자대를 상하 2단으로 나누어서 배치할 수 있어, 케이싱이 공간절약이 된다. 또한 브래킷상에 단자대를 설치하기 때문에, 신호출력수단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단자대가 설치되고, 신호출력수단과 단자대를 접속하는 도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혹은 신호출력수단의 단자와 단자대를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7)본 발명에서는 브래킷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기 때문에, 신호정지수단을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8)본 발명에서는 고정수단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체결부재가 나사인 경우에는 체결하는 것 만으로 커버를 베이스에 고정할 수 있어, 결선작업이나 점검작업시의 커버의 착탈을 간단하게 작업성 좋게 할 수 있다.
(9)본 발명에서는 커버의 결합부의 단면형상이 베이스의 제1면의 상기 테두리에 상방으로부터 결합하는 역U자 모양이기 때문에, 제1면에 커버의 역U자 모양의 단면의 결합부가 끼워지는 구성이 되어, 결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베이스의 내부에 대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비한다.
(10)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의 내측면에 베이스에 대한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게 하는 레일을 설치한다. 이 때문에 레일을 따라 커버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11)본 발명에서는 레일을 베이스의 제1면의 상기 테두리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설치한다. 이 때문에 베이스에 대한 커버의 부착방향, 즉 결합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레일에 의하여 가이드 할 수 있다.
(12)본 발명에서는 레일을 제1면에서 제2면으로 계속되는 연속형상으로서 설치한다. 이 때문에 제1면과 제2면을 레일을 따라 커버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13)본 발명에서는 레일을 케이싱의 내부측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레일이 베이스의 보강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14)본 발명에서는 케이싱의 내부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배치하기 때문에, 점검이나 유지보수시에 신호정지수단을 갖고 다닐 필요가 없다.
(15)본 발명에서는 커버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신호정지수단을 별도의 부품으로서 준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한 신호정지수단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유수감지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X-X 단면도.
도3은, 도2의 Y-Y 단면도.
도4는, 도3의 케이싱 부분의 확대도.
도5는, 신호정지수단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리미트 스위치 주변부의 확대 설명도.
도6은, 도4의 측면도.
도7은, 베이스의 사시도.
도8은, 커버의 사시도.
도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정지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리미트 스위치 주변부의 확대 설명도.
도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의 사시도.
베이스의 제1면은 유수감지장치 본체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면의 가장자리에는 커버의 고정수단이 설치되지만, 상기 고정수단은 커버를 베이스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커버와 베이스를 관통하는 구멍에 나사결합 되는 수나사로 하여도 좋다. 그 이외의 고정수단으로서는, 수나사 대신에 핀을 삽입하는 것이나, 점착 테이프나 밴드 등 커버와 베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베이스 내면측에 형성된 제1면에서 제2면으로 계속되는 레일은, 단면이 볼록한 모양의 돌기로 하였을 경우에, 상기 돌기와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단(段)을 형성하고, 그 단이 돌기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레일을 단면이 오목한 모양으로 한 경우에는, 커버의 단부를 오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제1면에서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브래킷은, 신호출력수단을 리미트 스위치로 하였을 경우에, 베이스에 대하여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브래킷에 리미트 스위치가 고정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브래킷에는 리미트 스위치 이외에, 유수감지장치 본체내의 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동작하는 감지봉의 움직임을 리미트 스위치에 전달하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 및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의 움직임을 지연시키는 지연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와 접속되는 단자대를 브래킷 표면상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단자대와 리미트 스위치의 단자를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브래킷에는, 유수감지장치의 점검시에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적절한 위치에 장착시키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구에 막대 모양의 신호정지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와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 사이에 신호정지수단이 삽입되어,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이 리미트 스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신호정지수단은 케이싱내에 수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여, 케이싱내에 신호정지수단의 보관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혹은 신호정지수단을 커버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1에서부터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X-X 단면도, 도3은 도2의 Y-Y 단면도, 도4는 도3의 케이싱 부분의 확대도, 도5는 신호정지수단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6은 도4의 측면도, 도7은 베이스의 사시도, 도8은 커버의 사시도, 도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정지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의 사시도다. 여기에서, 도면 작성의 편의상, 도4를 제외하고 리미트 스위치와 단자대를 접속하는 도선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1에서부터 도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는, 본체(1), 케이싱(casing)(2), 배수밸브(排水valve)(3)로 구성된다.
본체(1)는 중공형상(中空形狀)이며 내부는 분리벽(分離壁)(4)에 의하여 1차측실(I)과 2차측실(II)로 나누어져 있다. 분리벽(4)에는 연통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구멍(5)에 있어서 2차측실(II)측에는 환상(環狀)의 밸브 시트(valve sheet)(6)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6)의 위에는 밸브체(valve體)(7)가 착좌(着座)하고 있고, 밸브체(7)의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원통 모양의 베어링(bearing)(8)이 설치되고, 밸브봉(valve棒)(9)이 베어링(8)을 관통하여 본체(1)내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7)는 밸브봉(9)을 축으로 하여 2차측실(II)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밸브체(7)가 회전하면 밸브 시트(6)로부터 밸브체(7)가 떨어져서 1차측실(I)의 유체(流體)가 환상의 밸브 시트(6)내를 통하여 2차측실(II)로 통과 가능하게 된다.
밸브체(7)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0)에 있어서 밸브 시트(6)측의 면(面)에는, 감지봉(感知棒)(11)의 단부(11A)가 접촉하고 있고, 감지봉(11)은 중간에서 축지되어 감지봉(11)은 도면에 있어서 상하로 회전동작 가능한 구성이다.
감지봉(11)에 있어서 밸브체(7)와 접촉하고 있는 끝과 반대측의 끝(11B)은 본체(1)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어 케이싱(2)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끝(11B)에는, 도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스프링 시트(spring sheet)(12)가 설치되고, 스프링 시트(12)의 동축(同軸)상에는 베이스(base)(B)에 설치된 스프링 시트(13)가 위치하고 있고, 양 스프링 시트(12, 13)의 사이에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coil spring)(14)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4)에 의하여 감지봉(11)의 끝(11B)은 평상시에 있어서 도면에서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감지봉(11)의 중간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끝(11B)의 반대측의 단부(11A)는 도면에서 상방 즉 밸브체(7)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지만, 코일 스프링(14)이 작용하는 힘은 밸브체(7)가 개방하지 않을 정도의 약한 힘이다.
또 감지봉(11)의 끝(11B)에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limit switch 加壓手段)(15)에 접촉하는 접촉자(16)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접촉자(16)는, 그 선단에 있는 만곡 형상(彎曲形狀)의 스프링부의 작용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을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접촉자(16)의 선단의 스프링부가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을 가압하는 방향에는 지연기구(遲延機構)(18)가 설치되어 있다. 지연기구(18)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의 동작을 느리게 하는 작용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에어 댐퍼(air damper)나 오일 댐퍼(oil damper)를 사용한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지연기구(18)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 리미트 스위치(17), 지연기구(18)를 덮는 브래킷(bracket)(19)은,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3개의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대향(對向)한 평면(19A)간에 상기 3개의 구성요소 15, 17, 18이 배치되고, 2개의 평면을 관통하는 비스(vis)(19D)에 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브래킷(19)의 평면(19A)의 단부는 베이스(B)의 면(B1)과 평행하게 절곡(折曲)되어 있고 베이스(B)의 면(B1)에 비스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설치된다(도2, 도5 참조).
도3에서부터 도5에 나타내는 브래킷(19)의 2개의 대향하는 평면(19A)과 수직으로 형성된 평면(19B)에는 개구(1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9C)는,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이 리미트 스위치(17)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20)을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19C)에 막대 모양의 신호정지수단(20)의 선단(20A)을 삽입하면,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은 리미트 스위치(17)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5, 도6에서는 신호정지수단(20)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신호정지수단(20)이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기 위하여, 신호정지수단(20)의 중간에 돌출부(20B)를 형성하면 브래킷(19) 내부에 대한 선단(20A)의 삽입량이 제한되어, 적절한 위치에 신호정지수단(20)이 설치된다(도5 참조).
브래킷(19)의 평면(19B)은 도면에서 지연기구(18)의 상부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단자대(21)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17) 등이나 단자대(21)를 케이싱(2) 중에서 상하 2단으로 나누어서 배치할 수 있어, 케이싱(2)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9)상에 단자대(21)를 설치하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17)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단자대(21)를 설치할 수 있어 서로 접속하는 도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단자대(21)의 설치위치는 지연기구(18)의 상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의 브래킷(19)의 평면(19A)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브래킷(19) 이외의 장소 예를 들면 베이스(B)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7에 나타내는 케이싱(2)의 베이스(B)는 평판을 L자 모양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하고 있고, 감지봉(11)이 관통하여 본체(1)와 접속되는 「제1면」으로서의 면(B1)과, 면(B1)로부터 굴곡하여 형성된 「제2면」으로서의 면(B2)을 구비한다. 면(B1)에는 브래킷(19)의 평면(19A)의 단부가 접속되고, 면(B2)에는 외부로부터 단자대(21)에 접속되는 도선을 케이싱(2)의 내부에 삽입하는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베이스(B)를 L자 모양으로 굴곡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면(B1)과 면(B2)에 서로 다른 부품이나 구조요소를 배치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베이스를 한 장의 평판형상으로 하고 그것에 브래킷이나 도선의 통과구멍을 형성하는 것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케이싱(2)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B)의 내면측에는, 면(B1)으로부터 면(B2)으로 계속되는 레일(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23)이 있으므로 커버(C)의 착탈시에 베이스(B)에 대한 커버(C)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고, 또 베이스(B)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레일(23)의 단면형상은 볼록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면(B2)에 있어서 면(B1)과 대향하는 변(24)에는, 베이스(B)를 덮는 커버(C)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25)을 구비하고 있고 구멍(25)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C)는, 베이스(B)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7)나 지연기구(18), 단자대(21)를 덮어 쓰레기나 물방울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이 커버(C)를 벗기면 L자 모양의 베이스(B)에 지지된 케이싱(2)의 내부구조가 많이 노출하기 때문에, 케이싱(2)에 수용하는 리미트 스위치(17)나 단자대(21) 등의 결선작업이나 점검작업의 작업성이 좋다. 커버(C)는 베이스(B)의 레일(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단차부(26)가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커버(C)에 있어서 베이스(B)의 면(B1)의 상단에 대응하는 부분은, 단면형상이 역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C)를 베이스(B)에 설치했을 때에 「결합부」로서의 역U자 형상 부분(27)이 베이스(B)의 면(B1)의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4 참조). 따라서 커버(C)를 베이스(B)에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한 그 결합구조에 의하여 베이스(B)의 내부에 대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커버(C)에는, 베이스(B)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베이스(B)의 면(B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25)의 축과 동축인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8)에 비스를 통과시켜 베이스(B)측의 구멍(25)내의 암나사와 나사결합 시키면 커버(C)가 베이스(B)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베이스(B)에 대한 커버(C)의 착탈작업은, 비스 1개를 체결하거나 푸는 것 만이므로, 간단하여 결선작업이나 점검작업의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신호정지수단(20)은 커버(C)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8과 같이 커버(C)에 「신호정지수단」으로서의 돌출부(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은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호정지수단(20)을 별도의 부품으로서 준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했을 때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혹은 커버(C)의 내면측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신호정지수단(20)은,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B)에 보관구멍(29)을 형성하여, 신호정지수단(2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2)의 안에 배치하여 둘 수 있어, 점검이나 유지보수시에 신호정지수단(20)을 갖고 다닐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배수밸브(3)는, 점검이나 유지보수시에 본체(1)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로서 케이싱(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배수밸브(3)의 내부는 앵글 밸브 구조(angle valve 構造)로 되어 있고, 배출구는 도1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수밸브(3)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은 전방측에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이 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유수감지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유수감지장치는 소화설비 배관에 설치되고, 1차측실(I)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펌프 및 수원(水源)으로 통하는 배관과 접속되고, 2차측실(II)에 접속된 배관의 말단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소화설비 배관내는 충수된 상태로 있고, 유수감지장치의 본체(1)의 내부도 1차측실(I) 및 2차측실(II)은 충수상태에 있다. 평상시에 있어서, 밸브체(7)는 밸브 시트(6)상에 착좌하고 있어, 1차측실(I)로부터 2차측실(II)에 대한 통수(通水)는 차단되어 있다.
화재가 발생하여 2차측실(II)측의 배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하면, 2차측실(II)측의 배관내의 물은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방출되므로 점차로 압력이 내려간다. 밸브체(7)을 폐쇄하고 있었던 2차측실(II)의 물의 압력이 감소함으로써 1차측실(I)의 물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체(7)는 들어올려져 축(9)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한다.
밸브체(7)가 밸브 시트(6)로부터 떨어져서 개방됨으로써 1차측실(I)의 물은 2차측실(II)측으로 보내진다. 그와 함께 밸브체(7)에 접촉하고 있었던 감지봉(11)도 코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케이싱(2)측의 끝(11B)이 도4에 있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끝(11B)의 접촉자(16)가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으로부터 떨어지고,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은 리미트 스위치(17)측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지연기구(18)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 경과후에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15)은 리미트 스위치(17)를 작동시켜, 단자대(21)에 접속된 도선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17)의 신호는 관리인실에 설치된 감시장치로 보내진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17)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의 펌프가 기동되어, 수원에 의하여 작동한 스프링클러 헤드로 송수(送水)가 시작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는 연속하여 물이 살포되어 불을 끈다.
1 유수감지장치 본체
2 케이싱
3 배수밸브
6 밸브 시트
7 밸브체
9 밸브축
11 감지봉
12, 13 스프링 시트
14 코일 스프링
15 리미트 스위치 가압수단
17 리미트 스위치
18 지연기구
19 브래킷
20 신호정지수단
21 단자대
23 레일
B 베이스
C 커버

Claims (15)

  1. 소화설비 배관(消火設備配管)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첵크밸브 구조(check valve 構造)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첵크밸브 구조의 밸브체의 개방(開放)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信號出力手段)을 수용하는 케이싱(casing)을 구비하는 유수감지장치(流水感知裝置)에 있어서,
    케이싱은 베이스(base)와 커버(cover)를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는 본체와의 접속면인 제1면과 제1면에서 L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제2면을 구비하고 있고, 커버는 베이스의 제1면과 제2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여 고정되어 신호출력수단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는, 베이스의 제1면에 있어서 제2면과 반대측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결합부(結合部)와, 베이스의 제2면에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固定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베이스의 제2면의 가장자리의 1군데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제2면이 케이싱의 저면(底面)으로서, 상기 저면에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외부로부터의 도선(導線)의 통과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제1면에 케이싱의 내부에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브래킷(bracket)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브래킷이, 신호출력수단을 지지하는 하측 부착부(下側附着部)와, 하측 부착부에서 상방으로 역L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신호출력수단과 접속되어 외부로부터의 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端子臺)를 지지하는 상측 부착부(上側附着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브래킷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信號停止手段)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開口)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는 체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의 결합부의 단면형상이, 베이스의 제1면의 상기 테두리에 상방으로부터 결합하는 역U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내측면에 베이스에 대한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가능하게 하는 레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레일을, 베이스의 제1면의 상기 테두리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레일을 제1면에서 제2면으로 계속되는 연속형상으로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일을 케이싱의 내부측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내부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에, 신호출력수단의 신호출력을 저지하는 신호정지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감지장치.
KR1020107022248A 2008-04-23 2009-04-23 유수감지장치 KR101611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1057 2008-04-23
WOPCT/JP2008/001057 2008-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498A true KR20100137498A (ko) 2010-12-30
KR101611223B1 KR101611223B1 (ko) 2016-04-11

Family

ID=4121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248A KR101611223B1 (ko) 2008-04-23 2009-04-23 유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48745A1 (ko)
KR (1) KR101611223B1 (ko)
CN (1) CN102015034B (ko)
WO (1) WO2009130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344B1 (ko) * 2016-10-19 2018-10-04 신영공업 주식회사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DE102017117417A1 (de) * 2017-08-01 2019-02-07 Minimax Gmbh & Co. Kg Feuerlöschanlagenventil, insbesondere Nassalarm-, Trockenalarm-, oder Sprühwasserventil sowie Steuermodul für selbiges und Feuerlöschanlage mit selbigem
DE102017117426A1 (de) 2017-08-01 2019-02-07 Minimax Gmbh & Co. Kg Feuerlöschanlagenventil
JP7197127B2 (ja) * 2018-12-28 2022-12-27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JP7135249B2 (ja) * 2018-12-28 2022-09-1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97A (en) * 1976-10-18 1978-02-14 Hutchinson Harold D Fluid responsive sealed pivot arm means
US4791414A (en) * 1985-10-15 1988-12-13 Pittway Corporation Water-flow detector
US5154080A (en) * 1986-10-29 1992-10-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check valve testing system
US5140263A (en) * 1990-04-20 1992-08-18 Liberty Technology Center, Inc.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n internal, movable conductive element
JP3238442B2 (ja) * 1991-10-11 2001-12-17 株式会社東芝 小形電子機器
JP3325687B2 (ja) * 1994-01-19 2002-09-17 株式会社大洋バルブ製作所 流量検出装置
US5939688A (en) * 1996-04-04 1999-08-17 Harwil Corporation Fluid responsive switch pivot arm seal
US6007353A (en) * 1998-04-22 1999-12-28 Webster; Stephen L.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US6563064B2 (en) * 2000-12-21 2003-05-1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flow switch sensing device having a test button
JP2004117240A (ja) * 2002-09-27 2004-04-15 Yamato Protec Co 流水検知装置
JP3113681U (ja) * 2005-06-14 2005-09-15 徳松 林 接続及び収容が容易なコンピュータケーブル装置
JP2007029584A (ja) * 2005-07-29 2007-02-08 Maeda Corp 流水検知装置における軸の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8745A1 (en) 2011-03-03
CN102015034A (zh) 2011-04-13
WO2009130903A1 (ja) 2009-10-29
CN102015034B (zh) 2012-11-07
KR101611223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7498A (ko) 유수감지장치
US8393922B2 (en) Connection system enabling the tightening torque of a screw terminal to be indicated
JP5462965B2 (ja) 流水検知装置
JP2010131160A (ja) 消火栓装置
JP5248601B2 (ja) 流水検知装置
KR20170110846A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알람 스위치를 가지는 알람밸브
KR102181224B1 (ko)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CN211175608U (zh) 漏水保护器
JP5863514B2 (ja)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CN110702181A (zh) 一种防水抗压型超声波水表
TWI507229B (zh) Water detection device
KR20120015806A (ko) 차단기용 가스밸브
JP2011152182A (ja) 流水検知装置
EP2241866B1 (en) Gas meter
KR101936832B1 (ko)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US11542687B2 (en) Assembly for measuring a leakage in a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and pressure reducer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WO2009057237A1 (ja) 流水検知装置
KR20200124393A (ko) 압력 상태가 확인 가능한 옥내 소화전
KR200360555Y1 (ko) 전선배선공간을 형성한 소화전함
JP5331296B2 (ja) マイコンガスメーター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CN208892494U (zh) 洗碗机主控板盒安装结构
CN207722270U (zh) 一种自动末端试水装置
JP3211933U (ja) ガス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