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24B1 -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24B1
KR102181224B1 KR1020190021026A KR20190021026A KR102181224B1 KR 102181224 B1 KR102181224 B1 KR 102181224B1 KR 1020190021026 A KR1020190021026 A KR 1020190021026A KR 20190021026 A KR20190021026 A KR 20190021026A KR 102181224 B1 KR102181224 B1 KR 10218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ammer
sensor plug
prevention valve
valve body
hamm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714A (ko
Inventor
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2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5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3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instruments from water hammer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식압력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플러그와 압력감지배관의 사이에 크기가 작은 수격방지밸브를 설치하여 크기가 큰 수격방지기를 설치하기 위한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소화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격방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1000)는, 센서플러그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와, 압력감지배관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와, 수격방지밸브몸체의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1200)과,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300)과,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에 밀착됨과 더불어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에 끼워진 제1누수방지오링(1400)과, 제1누수방지오링의 축중심에 끼워짐과 더불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에 일단이 체결되고 센서플러그와 타단이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에 끼워진 제2누수방지오링(16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ANTI - WATER HAMMERING VALVE FOR ELECTRONICS PRESSURE SWITCH}
본 발명은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압력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플러그와 압력감지배관의 사이에 별도의 수격방지기(챔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소화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격방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에는 화재 발생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화설비에는 소화대상물의 화재진압에 필요한 소화수의 방사압과 토출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압력스위치의 기동에 따라 소화수를 펌핑하여 공급해주는 주 펌프(main pump)와, 비상시를 대비해 주 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예비펌프(stanby pump) 및 배관 내의 누수에 따른 압력을 보충해주는 충압펌프 등이 설치된다.
또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소화설비의 배관 내의 압력 변동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펌프를 기동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압 개폐장치로는 압력챔버, 기동용 압력스위치, 디지털 압력스위치 등이 있다
기존의 압력챔버를 사용하는 수압 개폐장치는 설치되는 압력챔버의 체적용량이 커서 압력챔버의 설치용량에 비례하는 설치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상용 압력과 빈번한 운전으로 인해 전동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의 마그네트 접점이 쉽게 소손되므로 수시로 점검 및 작동 상태를 감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압력의 설정 방법이 복잡하고, 펌프의 기동점과 표시 눈금이 부정확하며, 스프링 장력 및 부르돈(Bourdon)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피로 누적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압력챔버를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압력챔버 상단의 가스켓 부위와 안전밸브 부위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공기에 의한 수격 완충 효과가 상실되고, 따라서 관리를 소홀히 해 적절한 조치를 못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압력스위치의 기동장치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소화설비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압력챔버에 대한 여러 사용상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압력스위치가 개발되었다. 이 전자식 압력스위치는 기존과 같은 체적용량이 큰 압력챔버의 사용을 배제하고, 소화설비 배관에 직결한 구조로 설치되어, 화재발생 또는 점검 시 헤드의 작동이나 소화전 밸브의 개방에 따른 배관 내의 압력 변화를 센서로 검지하여 전자 신호로 펌프를 기동하거나 압력스위치 압력표시부에 기록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엔지니어 및 관리자 등이 상시 확인할 수 있고 압력 값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소방설비의 설치규정에 따르면 펌프의 자동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압력감지배관을 펌프의 출구 단에 설치된 체크밸브와 격리밸브의 중간 배관에서 인출한 다음, 압력스위치로 연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전자식 압력스위치를 채용하고 있는 소화설비도 펌프의 급작스런 기동 및 정지시 발생할 수 있는 수격(Water Hammer)현상 또는 서징(Surging) 현상에 의한 영향을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소화수의 압력변동으로 전자식 압력스위치의 오동작과 이로 인한 펌프의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압력감지배관에 공기챔버 또는 압력변동완화를 위한 댐퍼인 수격방지기를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자식압력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시험밸브가 분기되어 조립되는 센서플러그와 압력감지배관의 사이에 공기챔버 또는 댐퍼인 수격방지기가 설치되는 경우, 이 수격방지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만들도록 설계해야 하므로 설계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와 중량이 큰 수격방지기를 설치하기 위해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140566호 발명의 명칭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플러그에 연결되는 부위에 수격방지기의 역할을 하는 구성을 조립한 구조로 되어, 전자식압력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플러그와 압력감지배관의 사이에 크기가 작은 수격방지밸브를 설치하여 크기가 매우 큰 수격방지기(챔버)를 설치하기 위한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소화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격방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는, 유체를 직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분기되어 시험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센서플러그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와, 펌프의 자동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압력감지배관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력감지배관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축중심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과, 상기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진 압축스프링과,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에 밀착됨과 더불어 센서플러그숫나사부에 끼워진 제1누수방지오링과, 상기 제1누수방지오링의 축중심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에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센서플러그와 타단이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와,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에 끼워진 제2누수방지오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는,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일단이 체결되어 압력감지배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자식압력스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축중심에 제1유로가 형성됨과 더불어 압력감지배관에 숫나사부로 체결되는 압력감지배관연결부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과 압축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센서플러그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격판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를 통해서 제2유로로 안착되되,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연결된 계단진 측면에 밀착되는 제1유로밀착부와, 상기 제1유로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제1유로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중심으로 끼워지도록 된 스프링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유로밀착부의 중심에는 반구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는, 일단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로 체결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축중심에 작은 직경의 연결부재제1유로가 관통형성된 센서플러그숫나사부와, 상기 센서플러그숫나사부로 부터 연장되어 외부면을 잡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체결파지부와, 상기 체결파지부의 축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로 연통되되,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테이퍼진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는, 유체를 직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분기되어 시험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센서플러그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와, 펌프의 자동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압력감지배관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력감지배관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축중심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과, 상기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져 격판과 일단이 밀착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축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밀판과,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축중심에 끼워져 일단이 밀판에 밀착됨과 더불어 일단부에 형성된 홈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된 밸브파이프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에 제1오링으로 실링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센서플러그와 타단이 제2오링으로 실링되도록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와, 상기 밸브파이프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제1실링수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는, 상기 압력감지배관에 일단이 체결되어 압력감지배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자식압력스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축중심에 제1유로가 형성됨과 더불어 압력감지배관에 숫나사부로 체결되는 압력감지배관연결부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과 압축스프링 및 밸브파이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와, 이 제2유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센서플러그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와, 이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오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오링안착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격판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를 통해서 제2유로로 안착되되,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연결된 계단진 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중심에는 반구형상의 홈이 형성된 제1유로밀착부와, 상기 제1유로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제1유로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중심으로 끼워지도록 된 스프링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밀판은, 일단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끼워지도록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돌기와, 이 위치결돌기의 반대쪽으로 원판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된 밸브파이프지지판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 일단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로 체결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축중심에 작은 직경의 연결부재제1유로가 관통형성되고, 일단에서 연결부재제1유로보다 직경이 더 크게 밸브파이프수용홈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파이프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1실링수단이 안착된 센서플러그숫나사부와, 이 센서플러그숫나사부로 부터 연장되어 외부면을 잡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체결파지부와, 상기 체결파지부의 축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로 연통되되,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테이퍼진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를 갖추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의하면, 압력감지배관에 연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일단으로 격판과 압축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된 수격방지부를 넣은 구조로 되고, 일단이 센서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가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전자식압력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플러그와 압력감지배관의 사이에 크기가 작은 수격방지밸브가 설되되어, 크기가 매우 큰 별도의 수격방지기(챔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소화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의하면, 크기가 큰 수격방지기(챔버)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격방지밸브를 적용한 전자식압력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격방지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격방지밸브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 - 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10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체를 직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분기되어 시험밸브(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센서플러그(110)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100)와, 펌프의 자동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압력감지배관(200)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격방지밸브(10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와, 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축중심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1200)과, 이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300)과,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에 밀착됨과 더불어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에 끼워진 제1누수방지오링(1400)과, 이 제1누수방지오링의 축중심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타단 축중심에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센서플러그(110)와 타단이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와, 이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에 끼워진 제2누수방지오링(16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는 부피가 매우 작아서 상기 전자식압력스위치(100)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플러그(110)와 압력감지배관(200)의 사이에 수격방지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적게 필요하여 소화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별도의 크기가 큰 수격방지기(챔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일단으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은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유로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300)의 탄발력에 의해 지지된 격판(1200)에 의해 완충되면서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를 통해서 센서플러그(110)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100)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는,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일단이 체결되어 압력감지배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자식압력스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축중심에 제1유로(11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압력감지배관에 숫나사부(1112)로 체결되는 압력감지배관연결부(1110)와, 상기 제1유로(1111)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1200)과 압축스프링(1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1120)와, 이 제2유로(1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가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1111)로 들어온 유체는 격판(1200)과 압축스프링(1300)에 의해 완충되어 제2유로(1120)를 통해서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에 체결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를 통해서 센서플러그(110)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격판(1200)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의 축중심으로 끼워져 제2유로(1120)의 축중심에 안착되되, 상기 제1유로(1111)와 제2유로(1120)의 연결된 계단진 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중심에는 반구형상의 홈(1211)이 형성된 제1유로밀착부(1210)와, 상기 제1유로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제1유로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200)의 중심으로 끼워지도록 된 스프링위치결정돌기(12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1300)의 중심에 스프링위치결정돌기(1220)가 끼워진 상태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아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제2유로(1120)측에서 제1유로(1140)쪽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격판(1300)이 제2유로(1160)에서 압축스프링(120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잘못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스프링(1300)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제1유로(111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압이 일정 유압 이상이면 상기 격판(1200)이 밀리도록 일정한 스프링 상수를 갖추어 일단이 상기 격판(1200)의 스프링위치결정돌기(1220)에 끼워짐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로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에 의해 밀착되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격판(1200)의 스프링위치결정돌기(1220)에 끼워져 상기 격판(1200)의 제1유로밀착부(1210)를 상기 제1유로(1111)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1200)과 압축스프링(1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1120)의 안쪽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는, 일단이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로 체결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축중심에 작은 직경의 연결부재제1유로(1511)가 관통형성된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와, 이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로 부터 연장되어 외부면을 잡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체결파지부(1520)와, 상기 체결파지부의 축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1511)로 연통되되,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15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테이퍼진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와 체결파지부(1520)의 경계면에는 상기 제1누수방지오링(1400)이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1511)와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의 경계면에는 제2누수방지오링(1600)이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에 격판(1200)과 압축스프링(1300) 및 제1,2누수방지오링(1400,1600)이 안착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의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로 센서플러그(11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으로 갑자기 큰 압력이 수격방지밸브(1000)로 들어오게 되어도 제2유로(1120)에 설치된 격판(1200)과 압축스프링(130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센서플러그(110)와 전자식압력스위치(100)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식압력스위치(100)와 압력감지배관(200)의 사이로 설치된 센서플러그(110)에는 유로가 분기되어 시험밸브(300)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격방지밸브(20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와, 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축중심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2200)과, 이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져 격판과 일단이 밀착된 압축스프링(2300)과, 이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축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밀판(2400)과,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축중심에 끼워져 일단이 밀판에 밀착됨과 더불어 일단부에 형성된 홈(2510)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된 밸브파이프(2500)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에 제1오링(2601)으로 실링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센서플러그(110)와 타단이 제2오링(2602)으로 실링되도록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와, 상기 밸브파이프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제1실링수단(27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는 기존의 챔버형 수격방지밸브와 비용하여 부피가 매우 작아서 상기 전자식압력스위치(100)의 하부에 설치된 센서플러그(110)와 압력감지배관(200)의 사이에 수격방지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적게 필요하여 소화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별도의 크기가 큰 수격방지기(챔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일단으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은 수격방지밸브몸체의 내측 밀폐유로에 설치된 압축스프링(2300)의 탄발력에 의해 지지된 격판(1200)에 의해 1차로 완충되고, 이후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 및 밸브파이프(2500)의 홈(2510)에 의해 형성된 내측 밀폐유로에 갖추어진 공기층에 의해 2차로 완충된 후 상기 밸브파이프(2500)의 축중심과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의 축중심을 통해 센서플러그(110)로 감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는,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일단이 체결되어 압력감지배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자식압력스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축중심에 제1유로(21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압력감지배관에 숫나사부(2112)로 체결되는 압력감지배관연결부(2110)와, 상기 제1유로(2111)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2200)과 압축스프링(2300) 및 밸브파이프(25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2120)와, 이 제2유로(2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가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와, 이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오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오링안착홈(214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2111)로 들어온 유체는 격판(2200)과 압축스프링(2300)에 의해 완충되어 제2유로(2120)를 통해서 공기층에 의해 완충된 후 밸브파이프(2500)의 홈(2510)을 따라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에 체결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를 통해서 센서플러그(110)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격판(2200)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를 통해서 제2유로(2120)로 안착되되, 상기 제1유로(2111)와 제2유로(2120)의 연결된 계단진 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중심에는 반구형상의 홈(2211)이 형성된 제1유로밀착부(2210)와, 상기 제1유로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제1유로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200)의 중심으로 끼워지도록 된 스프링위치결정돌기(22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2300)의 중심에 스프링위치결정돌기(2220)가 끼워진 상태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아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제2유로(2120)측에서 제1유로(2111)쪽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격판(2200)이 제2유로(2120)에서 압축스프링(230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잘못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스프링(2300)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제1유로(211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압이 일정 유압 이상이면 상기 격판(2200)이 밀리도록 일정한 스프링 상수를 갖추어 일단이 상기 격판(2200)의 스프링위치결정돌기(2220)에 끼워짐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로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에 의해 밸브파이프(2500)와 밀판(2400)과 밀착되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판(2400)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격판(2200)의 스프링위치결정돌기(1220)에 끼워져 상기 격판(2200)의 제1유로밀착부(2210)를 상기 제1유로(2111)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2200)과 압축스프링(2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2120)의 안쪽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 상기 밀판(2400)은, 일단이 상기 압축스프링(2300)의 타단에 끼워지도록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돌기(2410)와, 이 위치결돌기의 반대쪽으로 원판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된 밸브파이프지지판부(24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돌기(2410)는 압축스프링(2300)에 끼워지고, 상기 밸브파이프지지판부(2420)는 홈(2510)이 형성된 쪽의 밸브파이프(2500)와 밀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300)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파이프(2500)를 밸브파이프지지판부(2420)가 가압하게 됨은 물론, 상기 제1유로(2111)로 유입된 유체가 홈(2510)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파이프(2500)는, 일정한 직경과 길이의 파이프부재이면서 일단면에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요홈형태의 홈(25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2510)이 형성된 단부는 밀판(2400)의 밸브파이프지지판부(2420)에 밀착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단은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에 끼워져 제1실링수단(2700)으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는, 일단이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로 체결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축중심에 작은 직경의 연결부재제1유로(2611)가 관통형성되고, 일단에서 연결부재제1유로(2611)보다 직경이 더 크게 밸브파이프수용홈(2612)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파이프(250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1실링수단(2700)이 안착된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와, 이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로 부터 연장되어 외부면을 잡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체결파지부(2620)와, 상기 체결파지부의 축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2611)로 연통되되,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26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테이퍼진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2630)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가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로 체결되면서 상기 제2유로(2120)와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제1유로(2111)로 들어오는 큰 압력을 공기층에 의해 완충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파이프수용홈(2612)에 설치된 밸브파이프(2500)가 제1실링수단(2700)에 의해 실링되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밸브파이프(2500)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실링수단(2700)은, 두께가 얇은 상기 밸브파이프(2500)의 단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파이프수용홈(2612)에 안착된 오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파이프(2500)의 외주면과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의 밸브파이프수용홈(2612)의 사이로 누수되는 유체를 제1실링수단(2700)에 의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실링수단(2700)은 밸브파이프(2500)의 외주면과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의 밸브파이프수용홈(2612)의 사이로 누수되는 유체를 차단하는 구조라면 용이하게 변경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파이프수용홈(2612)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오링을 삽입후 밸브파이프(2500)를 끼우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 상기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와 체결파지부(2620)의 경계면에는 제1누수방지오링(2601)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2611)와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2630)의 경계면에는 제2누수방지오링(2602)이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에 격판(2200)과 압축스프링(2300) 및 제1,2누수방지오링(2601,2602)이 안착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의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2630)로 센서플러그(11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으로 갑자기 큰 압력이 수격방지밸브(2000)로 들어오게 되어도 제2유로(2120)에 설치된 격판(2200)과 압축스프링(2300), 밀판(2400), 밸브파이프(250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됨과 더불어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제2유로(2120)와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제1유로(2111)로 들어오는 큰 압력을 공기층에 의해 완충하게 되어 센서플러그(110)와 전자식압력스위치(100)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또, 상기 전자식압력스위치(100)와 압력감지배관(200)의 사이로 설치된 센서플러그(110)에는 유로가 분기되어 시험밸브(300)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1100: 수격방지밸브몸체
1110: 압력감지배관연결부 1111 제1유로
1120: 제2유로 1130: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
1200: 격판 1210: 제1유로밀착부
1220: 스프링위치결정돌기 1300: 압축스프링
1400: 제1누수방지오링 1500,: 센서플러그연결부재
1510: 센서플러그숫나사부 1520: 체결파지부
1530: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 1600: 제2누수방지오링
2000: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2100: 수격방지밸브몸체
2110: 압력감지배관연결부 2111: 제1유로
2120: 제2유로 2130: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
2140: 오링안착홈 2200: 격판
2210: 제1유로밀착부 2211: 홈
2220: 스프링위치결정돌기 2300: 압축스프링
2400: 밀판 2410: 위치결정돌기
2420: 밸브파이프지지판부 2500: 밸브파이프
2510: 홈 2600: 센서플러그연결부재
2610: 센서플러그숫나사부 2611: 연결부재제1유로
2612: 밸브파이프수용홈 2620: 체결파지부
2630: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 2700: 제1실링수단

Claims (5)

  1. 유체를 직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분기되어 시험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센서플러그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와, 펌프의 자동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압력감지배관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축중심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1200)과, 상기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300)과,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에 밀착됨과 더불어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에 끼워진 제1누수방지오링(1400)과, 상기 제1누수방지오링의 축중심에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타단 축중심에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센서플러그(110)와 타단이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와,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에 끼워진 제2누수방지오링(1600)을 포함하고,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는,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일단이 체결되어 압력감지배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자식압력스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축중심에 제1유로(11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압력감지배관에 숫나사부(1112)로 체결되는 압력감지배관연결부(1110)와, 상기 제1유로(1111)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1200)과 압축스프링(1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1120)와, 상기 제2유로(1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가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판(1200)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의 축중심으로 끼워져 제2유로(1120)의 축중심에 안착되되, 상기 제1유로(1111)와 제2유로(1120)의 연결된 계단진 측면에 밀착되는 제1유로밀착부(1210)와, 상기 제1유로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제1유로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300)의 중심으로 끼워지도록 된 스프링위치결정돌기(1220)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1500)는, 일단이 수격방지밸브몸체(1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1130)로 체결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축중심에 작은 직경의 연결부재제1유로(1511)가 관통형성된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와, 상기 센서플러그숫나사부(1510)로 부터 연장되어 외부면을 잡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체결파지부(1520)와, 상기 체결파지부의 축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1511)로 연통되되,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15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153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2. 삭제
  3. 유체를 직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분기되어 시험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센서플러그를 갖춘 전자식압력스위치와, 펌프의 자동기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장치의 일부분인 압력감지배관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연통되도록 일단이 체결되는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으로 축중심 내부 유로에 끼워져 수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격판(2200)과,
    상기 격판으로 전달되는 수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 내부에 끼워져 격판과 일단이 밀착된 압축스프링(2300)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축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밀판(2400)과,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축중심에 끼워져 일단이 밀판에 밀착됨과 더불어 일단부에 형성된 홈(2510)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된 밸브파이프(2500)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의 타단 축중심에 제1오링(2601)으로 실링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센서플러그(110)와 타단이 제2오링(2602)으로 실링되도록 체결되어 유로가 연통되도록 된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와,
    상기 밸브파이프와 센서플러그연결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제1실링수단(2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는, 상기 압력감지배관(200)에 일단이 체결되어 압력감지배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자식압력스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축중심에 제1유로(21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압력감지배관에 숫나사부(2112)로 체결되는 압력감지배관연결부(2110)와, 상기 제1유로(2111)와 연통되도록 타단에서 상기 격판(2200)과 압축스프링(2300) 및 밸브파이프(25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제2유로(2120)와, 이 제2유로(2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가 체결되는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와, 이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오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오링안착홈(2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판(2200)은, 상기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의 축중심으로 끼워져 제2유로(2120)의 축중심에 안착되되, 상기 제1유로(2111)와 제2유로(2120)의 연결된 계단진 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중심에는 반구형상의 홈(2211)이 형성된 제1유로밀착부(2210)와, 상기 제1유로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 제1유로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300)의 중심으로 끼워지도록 된 스프링위치결정돌기(2220)가 구비되며,
    상기 밀판(2400)은, 일단이 상기 압축스프링(2300)의 타단에 끼워지도록 돌출형성된 위치결정돌기(2410)와, 이 위치결돌기의 반대쪽으로 원판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된 밸브파이프지지판부(2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플러그연결부재(2600)는, 일단이 수격방지밸브몸체(2100)의 센서플러그체결나사부(2130)로 체결되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축중심에 작은 직경의 연결부재제1유로(2611)가 관통형성되고, 일단에서 연결부재제1유로(2611)보다 직경이 더 크게 밸브파이프수용홈(2612)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파이프(2500)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1실링수단(2700)이 안착된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와, 이 센서플러그숫나사부(2610)로 부터 연장되어 외부면을 잡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체결파지부(2620)와, 상기 체결파지부의 축중심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2611)로 연통되되, 상기 연결부재제1유로(26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센서플러그체결암나사부(263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수단(2700)은, 두께가 얇은 상기 밸브파이프(2500)의 단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밸브파이프수용홈(2612)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KR1020190021026A 2019-02-22 2019-02-22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KR10218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26A KR102181224B1 (ko) 2019-02-22 2019-02-22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26A KR102181224B1 (ko) 2019-02-22 2019-02-22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14A KR20200102714A (ko) 2020-09-01
KR102181224B1 true KR102181224B1 (ko) 2020-11-24

Family

ID=7245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26A KR102181224B1 (ko) 2019-02-22 2019-02-22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0275B (zh) * 2021-12-02 2024-03-12 江苏天氟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特氟龙衬层快装直管
CN117167513B (zh) * 2023-11-03 2024-02-23 福建省南安市恒骏铸造有限公司 一种轴座与主阀体分离的阀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852A (ja) 1999-12-27 2001-07-0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逆止弁
KR100926402B1 (ko) * 2009-02-23 2009-11-10 셔틀밸브(주) 수격현상 방지용 체크밸브
KR101936832B1 (ko) 2018-05-10 2019-04-09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1501A1 (de) * 1991-09-21 1993-03-25 Bosch Gmbh Robert Daempfervorrichtung
KR20170140566A (ko) * 2016-06-13 2017-12-21 신영공업 주식회사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852A (ja) 1999-12-27 2001-07-0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逆止弁
KR100926402B1 (ko) * 2009-02-23 2009-11-10 셔틀밸브(주) 수격현상 방지용 체크밸브
KR101936832B1 (ko) 2018-05-10 2019-04-09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14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6568C (en)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US5390744A (en) Combined alarm and back-flow prevention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sprinkler system
US6968851B2 (en) Double block valve with proving system
US4991655A (en) Combined alarm and back-flow prevention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sprinkler system
KR200412367Y1 (ko)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KR102181224B1 (ko)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US10201723B2 (en)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WO2002027685A9 (en) Double check valve assembly for fire suppression system
US4971094A (en) Safety valve system
US10598293B2 (en) Temperature actuated electromechanical pressure relief valve
JP2017140076A (ja) 流水検知装置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US7213611B2 (en) Valve assembly
US20210244984A1 (en) Pilot actuator for actuating a control valve
KR101936832B1 (ko) 전자식압력스위치용 수격방지밸브
JP2020168265A (ja) 一斉開放弁並びにチャッキ弁構造
WO1998057077A1 (en) Retrofittable safety shut-off valve for gas or liquid meter
AU2001270905A1 (en) Testing fluid systems
JP5863514B2 (ja)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US6363963B1 (en) Excess flow shutoff valve
WO2020132359A1 (en) Pilot actuator for actuating a control valve
CA1308332C (en) Combined alarm and back-flow prevention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sprinkler system
US5234027A (en) Fluid flow inhibitor for use in a static flow system device
JPS6041267B2 (ja) 感震遮断弁
JPH02271169A (ja) ガス放出防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