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74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742A
KR20100135742A KR1020107020413A KR20107020413A KR20100135742A KR 20100135742 A KR20100135742 A KR 20100135742A KR 1020107020413 A KR1020107020413 A KR 1020107020413A KR 20107020413 A KR20107020413 A KR 20107020413A KR 20100135742 A KR20100135742 A KR 20100135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tretched
back side
diaper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미 오쿠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6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66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62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6613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Abstract

액투과성의 톱시트(3)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4)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5)로 적어도 구성되며, 착용시에는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으로 등측 영역(S1), 가랑이 영역(S2), 배측 영역(S3)을 갖는 흡수성 본체(2)와, 흡수성 본체(2)의 폭방향(W)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를 포함하는 기저귀(1A)에 있어서,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 영역(S3)에는, 몸통 둘레방향으로 연신된 배측 연신 영역(15)이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투과성의 톱시트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와, 흡수체로 이루어진 흡수성 본체를 포함하는 기저귀가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톱시트(101a)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101b)와, 시트(101a, 101b)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101c)로 이루어진 흡수성 본체(101)를 포함한다. 흡수체(101c)는, 액체를 흡수하여, 액체를 유지한다.
흡수성 본체(101)는,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으로 등측 영역(S1), 가랑이 영역(S2), 배측 영역(S3)을 가지며, 착용자의 가랑이를 중심으로 등측(Ba)으로부터 배측(Fr)을 덮는다. 흡수성 본체(101)의 폭방향(W)의 양측에는, 톱시트(101a)와 백시트(101b)가 연장됨으로써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1)의 폭방향(W)은, 기저귀(100)를 평면에서 봤을 때,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각각의 사이드 플랩부(110)에는, 길이방향(L)으로 신장 상태로 탄성 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탄성 부재(120)는, 흡수성 본체(101)의 길이방향(L)으로 스트레이트가 아니라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탄성 부재(120) 사이의 거리는, 등측 영역(S1)보다 배측 영역(S3)쪽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 종래예에서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서 기저귀(100)를 피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성이 우수하고, 기저귀(100)의 배측(Fr)과 착용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뇨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뇨가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종래의 기저귀로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00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100)와 마찬가지로, 액투과성의 톱시트(101d)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101e)와, 시트(101d, 101e)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101f)로 이루어진 흡수성 본체(101A)를 포함한다.
한쌍의 탄성 부재(120A) 사이의 거리는, 배측 영역(S3)보다 등측 영역(S1)쪽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기저귀(100)의 구성과 상이하다.
이 종래예에서는, 착용시에 기저귀(100A)를 착용자의 엉덩이를 감싸도록 피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성이 우수하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11-47189호 공보(제2-3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 10-243961호 공보(제3페이지, 도 1)
그러나, 종래의 기저귀(100)(기저귀(100A))에서는, 좌우 한쌍의 탄성 부재(120)(탄성 부재(120A))의 거리가 등측 영역(S1), 가랑이 영역(S2), 배측 영역(S3)에서 상이하도록 만곡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톱시트(101a)(톱시트(101d)) 및 백시트(101b)(백시트(101e))를 곡선형으로 잘라내어 사이드 플랩부(110)(사이드 플랩부(110A))를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톱시트(101a)(톱시트(101d)) 및 백시트(101b)(백시트(101e))를 곡선형으로 잘라내는 경우, 자재의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탄성 부재(120)(탄성 부재(120A))를 만곡시켜 배치시키기 때문에, 가공이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피트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의 가공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액투과성의 톱시트(톱시트(3))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백시트(4))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흡수체(5))로 적어도 구성되며, 착용시에는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으로 등측 영역(등측 영역(S1)),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S2)), 배측 영역(배측 영역(S3))을 갖는 흡수성 본체(흡수성 본체(2))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W)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사이드 플랩부(10))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예를 들어, 기저귀(1A))에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배측 영역에는, 몸통 둘레방향(폭방향(W))으로 연신된 배측 연신 영역(배측 연신 영역(15))이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경우에, 흡수성 본체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배 둘레의 치수는, 배측 연신 영역에 의해 다른 곳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피트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은, 착용성이 우수하고, 흡수성 본체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배측(Fr)과 착용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뇨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뇨가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측 연신 영역은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일부를 연신시켜 형성하기 때문에, 각 사이드 플랩부의 배측(Fr)을 다른 곳보다 몸통 둘레방향으로 크게 형성, 즉, 배측(Fr)의 몸통 둘레방향의 단부 가장자리를 곡선형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피트시킬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의 배측(Fr)과 착용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가공의 용이화, 이에 따른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액투과성의 톱시트(톱시트(3))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백시트(4))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흡수체(5))로 적어도 구성되며, 착용시에는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으로 등측 영역(등측 영역(S1)),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S2)), 배측 영역(배측 영역(S3))을 갖는 흡수성 본체(흡수성 본체(2))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W)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사이드 플랩부(10))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예를 들어, 기저귀(1E))에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 영역에는, 몸통 둘레방향(폭방향(W))으로 연신된 등측 연신 영역(등측 연신 영역(14))이 각각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착용자가 착용한 경우에,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Ba)의 몸통 둘레폭의 치수가 등측 연신 영역에 의해 넓어지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Ba)에서 엉덩이를 감싸도록 피트시킬 수 있어, 착용성이 우수하다. 또, 흡수성 본체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Ba)에서 엉덩이를 감싼 상태로 착용자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공간에 배출된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배설물이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등측 연신 영역은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일부를 연신시켜 형성하기 때문에, 각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Ba)을 다른 곳보다 몸통 둘레방향으로 크게 형성, 즉, 등측(Ba)의 몸통 둘레방향의 단부 가장자리를 곡선형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착용자의 엉덩이를 감싸도록 피트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가공의 용이화, 이에 따른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에게 피트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의 가공의 용이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예의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예의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착용시의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착용시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제조하는 연신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착용시의 도 12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착용시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형태]
도 3∼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A)를 나타낸다. 도 3은,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착용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착용 상태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기저귀(1A)에서는, 등측(Ba) 및 배측(Fr)이 결정되어 있고, 등측(Ba)으로부터 배측(Fr)으로 향하는 길이방향(L)을 따라서 순서대로 등측 영역(S1)과 가랑이 영역(S2)과 배측 영역(S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인 기저귀(1A)는, 흡수성 본체(2)와, 흡수성 본체(2)의 폭방향(W)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와, 한쌍의 등측 허리 플랩부(20)와, 한쌍의 배측 허리 플랩부(2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등측 허리 플랩부(20)는,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등측(Ba)의 폭방향(W)의 양단에 형성된다. 배측 허리 플랩부(21)는,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Fr)의 폭방향(W)의 양단에 형성된다.
흡수성 본체(2)는, 액투과성의 톱시트(3)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4)와, 톱시트(3)와 백시트(4)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5)로 적어도 구성된다. 흡수성 본체(2)는,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을 따라서, 등측 영역(S1), 가랑이 영역(S2), 배측 영역(S3)을 갖는다. 흡수성 본체(2)는, 착용자의 등측(Ba)과 가랑이측과 배측(Fr)을 덮는다.
톱시트(3)에서, 폭방향(W)의 양단부는, 흡수체(5)를 감싸도록 접혀 넣어져 있다. 톱시트(3)의 접혀 넣어진 부분 및 흡수체(5)는, 백시트(4)에 핫멜트 등의 풀로 접합되어 있다. 톱시트(3)는, 친수성 부직포,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를 갖는 소수성 부직포, 또는, 평량이 10 g/㎡인 스펀본드법/멜트블로우법/스펀본드법으로 제조된 적층 부직포(이하, SMS라고 기재함) 등으로 형성된다.
백시트(4)는, 평량이 23.5 g/㎡인 비통기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백시트(4)는, 투습 또는 비투습성 필름, 이러한 필름에 부직포를 맞붙인 시트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흡수체(5)는, 액체 흡수 유지성을 갖는 적층체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5)는, 흡수성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는, 흡수성 본체(2)의 폭방향(W)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백시트(4)와, 흡수성 본체(2)의 이면과 백시트(4)에 겹쳐친 액불투과성의 외장 시트(11)로 구성되어 있다. 백시트(4)와 외장 시트(11)는, 핫멜트 등의 풀로 접합되어 있다. 외장 시트(11)는, 백시트(4)보다 폭방향(W)의 치수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가랑이 영역(S2)과, 가랑이 영역(S2)을 중심으로 하여, 등측 영역(S1) 및 배측 영역(S3)의 일부의 범위에는, 길이방향(L)으로 신장 상태로 4열의 탄성 부재(12a∼12d)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3열의 탄성 부재(12a∼12c)는, 백시트(4)로부터 폭방향(W)으로 길게 형성된 외장 시트(11)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d)는,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의 거의 중심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12d)는, 외장 시트(11)와 백시트(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 부재(12a∼12d)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이다.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 영역(S3)이며,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에는, 몸통 둘레방향(폭방향(W))으로 연신된 배측 연신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에 형성된 외측 3열의 탄성 부재(12a∼12c)에서, 가장 흡수성 본체(2)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2c)의 내측 근방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연신 가공에 의해 다른 영역보다 저평량화된 영역이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을 따라서 연신량이 작은 밀부(부호를 붙이지 않음)와 연신량이 큰 조부(부호를 붙이지 않음)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연신전과 비교한 경우에 1.5∼3.0배의 범위에서 연신되어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의 연신량이 1.5배 미만이면, 수직방향에서, 사이드 플랩부(10)의 상승 치수가 작아 탄성 부재(12a, 12b, 12c)가 피부에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각 배측 연신 영역(15)의 연신량이 3.0배를 넘으면, 연신에 의한 손상이 커,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등의 자재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의 연신량을 1.5∼3.0배의 범위로 하면, 흡수성 본체(2)와 피부 사이에 공간, 소위 포켓을 자재 파손의 우려없이 형성할 수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는다. 즉, 각 배측 연신 영역(15)의 투과율은, 외부에서 내부를 투과할 수 있는 투과율이다. 빛의 투과율은, 연신 가공에 의해 3% 이상 상승하고, 빛의 투과율이 61% 이상(JIS 규격의 K7105에 준하여 측정)이면,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의 거의 전영역에 걸쳐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배측 영역(S3)의 단부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배측 영역(S3)의 전범위에 걸쳐 사이드 플랩부(10)의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영역(S2)이나 등측 영역(S1)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배측 연신 영역(15)의 구체적인 제작 방법에 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허리 플랩부는, 한쌍의 등측 허리 플랩부(20)와 한쌍의 배측 허리 플랩부(21)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등측 허리 플랩부(20)는,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등측 영역(S1)에 일단측이 고정되어 있다. 각 등측 허리 플랩부(20)의 선단측에는, 걸림 고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부(22)는, 기계적인 고정력으로 고정하는 면패스너나, 점착력으로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이다. 걸림 고정부(22)를 면패스너로 하는 경우에는, 배측 허리 플랩부(21)의 소재는 적어도 표면이 부직포인 시트 소재가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하여, 배측 연신 영역(15)의 제작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8은, 연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사이드 플랩부(10)는, 스파이럴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감열성 접착제(예를 들어, 핫멜트 등. 이하, HMA로 기재함)를 직경 15 ㎜의 크기로, 평량이 5 g/㎡가 되도록 도포하여, 백시트(4)와 외장 시트(11)를 맞붙인 것이다.
백시트(4)는, 평량이 23.5 g/㎡인 비통기성 필름이다. 외장 시트(11)는, 평량이 13 g/㎡인 SMS이다.
배측 연신 영역(15)을 형성하는 연신 장치(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며 맞물릴 수 있는 한쌍의 연신날열부(31)를 갖는다. 각 연신날열부(31)는, 날의 깊이가 2.5 ㎜, 한쌍의 날의 피치 사이가 1.25 ㎜, 날의 갯수가 17개로 설정된다. 연신 장치(30)는, 연신날열부(31)의 설정 온도를 100℃로 하여 연신 가공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신함으로써, 배측 연신 영역(15)은, 연신전과 비교한 경우에 1.8배로 연신할 수 있다.
연신 장치(30)로 연신함으로써, 배측 연신 영역(15)에는 연신량이 작은 밀부와 연신량이 큰 조부가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몸통 둘레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연신 가공되는 배측 연신 영역(15)의 폭은,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를 배치한 경우, 폭(W1)(도 4, 7)에 대하여 폭(W2)(도 6, 도 7)이 1.5배∼3.0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W1)은, 폭방향(W)으로 신장했을 때의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에서의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에 형성된 외측 3열의 탄성 부재(12a∼12c)에서, 가장 흡수성 본체(2)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2c)의 내측 근방까지의 폭이다. 즉, 폭(W1)은, 연신 가공전의 기준이 되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다.
또, 폭(W2)은, 폭방향(W)으로 신장했을 때의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 가장 넓은 부위에서의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12c)측의 내측 근방까지의 폭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 가장 넓은 부위에서,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길이방향(L)으로 신장되는 탄성 부재(12c)의 연장선을 상정하여 상기 폭(W2)을 구한다. 즉, 폭(W2)은, 연신 가공후의 기준이 되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다.
폭(W1)에 대하여 폭(W2)이 1.5배 미만인 경우는, 연신 가공에 의해 저평량화된 배측 연신 영역(15)의 연신량이 짧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2)의 측부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의 탄성 부재 배치 부분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흡수체(5)로부터 새어 나온 뇨의 수용 공간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배설물은 사이드 플랩부(10)의 탄성 부재 배치 부분을 넘어서 기저귀(1A)에서 새어 나온다.
폭(W1)에 대하여 폭(W2)이 3.0배를 넘는 경우는, 연신 가공에 의한 저평량화된 배측 연신 영역(15)의 연신량이 길기 때문에, 자재는 연신에 의한 손상을 받기 쉬워,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등의 자재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자재가 파손된 경우에는, 뇨가 파손부에서 새어 나온다.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a∼12d)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랩부(10)를 폭방향(W)으로 신장했을 때의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측 가장자리의 폭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넓은 폭이 가장 좁은 폭의 1.5배∼3.0배인 것이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기저귀(1A)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12a∼12d)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밀착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측 연신 영역(15)이 형성된 배측 영역(S3)은, 연신 가공으로 연신, 저평량화된 거리만큼 착용시에 폭방향(W)으로 넓어진다.
한편, 등측 영역(S1)에는 연신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등측 영역(S1)을 착용시에 폭방향(W)으로 신장하더라도, 등측 영역(S1)은 원래의 폭이상으로 넓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착용시에는 등측 영역(S1)보다 배측 영역(S3)의 폭이 넓어진 상태로 몸에 장착된다. 기저귀(1A)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탄성 부재(12a∼12d)간의 거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등측(Ba)보다 배측(Fr)의 탄성 부재(12a∼12d)간의 거리가 길어진 상태로 몸에 장착된다.
따라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서혜부를 따라서 기저귀(1A)를 피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1A)는 착용성이 우수하다.
또, 기저귀(1A)에는, 흡수성 본체(2)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Fr)과 착용자 사이에 공간, 소위 포켓이 형성된다. 기저귀(1A)는, 포켓에 의해 뇨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뇨가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측 연신 영역(15)은,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일부를 연신시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기저귀(1A)의 제조 과정에서,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Fr)을 다른 곳보다 폭방향(W)으로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기저귀(1A)는, 제조 과정에서, 배측(Fr)의 폭방향(W)의 단부 가장자리를 곡선형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착용자에게 피트시킬 수 있고, 흡수성 본체(2)의 배측(Fr)과 착용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기저귀(1A)로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가공의 용이화, 이에 따른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a, 12b, 12c)를 세로직선형으로 배치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 연신 영역(15)은, 연신 가공에 의해 폭방향(W)으로 당겨져 늘어나 형성되어 있고, 연신 가공전의 사이드 플랩부(10)는, 대략 직선형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1A)의 제조 과정에서는, 도려냄에 의한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가공도 용이해진다.
또, 착용자의 가랑이 근처의 다리 둘레를 덮는 각 사이드 플랩부(10)는, 얇고 부드러운 배측 연신 영역(15)이므로, 기저귀(1A)는 장착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기저귀(1A)는, 착용자의 엉덩이의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배측 연신 영역(15)은, 흡수성 본체(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측 연신 영역(15)은, 배측(Fr)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였지만, 배측(Fr)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배측 연신 영역(15)은, 이 실시형태와 같이 배측(Fr)의 단부 가장자리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한 쪽이,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흡수성 본체(2) 측가장자리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의 폭방향(W)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에서 흡수성 본체(2)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a∼12d)를 형성한 기저귀(1A)라 하더라도, 각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가 부착된 기저귀에 관해서도 가공의 용이화, 이에 따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기저귀(1A)를 착용한 경우에는, 강성차가 있는 위치, 즉, 흡수성 본체(2)와 사이드 플랩부(10)의 경계 위치부터 굴곡되기 시작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부분이 유연성이 있는 배측 연신 영역(15)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 특성이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기 때문에, 배측 연신 영역(15)을 통해서 기저귀(1A) 내부의 배설물의 유무를 외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1A)는, 교환 시기 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배측 연신 영역(15)에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을 따라서 연신량이 작은 밀부와 연신량이 큰 조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1A)의 제조 과정에서는, 배측 연신 영역(15)은, 밀부와 조부에 의해 교대로 접혀서 구성되기 때문에,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측 가장자리는, 돌출되지 않고 직선형이 된다. 즉, 기저귀(1A)는, 제조 과정, 제품 패키징 과정 등에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B)의 평면도이며, 기저귀(1B)를 착용하기 위해 폭을 넓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측 연신 영역(15)이 당겨져 늘어났을 때(착용시)의 폭이, 일률적으로 동일하지 않고,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B)는, 배측 연신 영역(15)에서의 연신량이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B)의 폭방향(W)으로 당겨져 늘어났을 때(착용시)의 가랑이 영역측(T2)의 폭치수(L1)가, 기저귀(1B)의 폭방향(W)으로 당겨져 늘어났을 때의 배측(Fr)의 단부 가장자리측(T1)에서의 폭치수(L2)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폭치수는, 가랑이 영역측(T2)과 배측(Fr)의 단부 가장자리측(T1)에서, 연신 가공하는 폭치수 자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또는 단위길이당 연신 정도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제작 가능하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저귀(1B)는, 기저귀(1B)의 배측(Fr)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큰 공간, 소위 포켓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1B)는 큰 공간에 다량의 뇨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저귀(1B)는, 배설물이 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C)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C)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흡수성 본체(2)의 구성과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 연신 영역(15)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흡수성 본체(2)의 톱시트(3)와 백시트(4)는, 기저귀(1C)의 폭방향(W)의 중앙 부분만이 접합부(6)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기저귀(1C)의 폭방향(W)의 양단부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기저귀(1C)를 평면에서 봤을 때, 흡수성 본체(2)와 겹치는 영역(접합되지 않은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의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명확화를 도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배측 연신 영역(15)은, 흡수성 본체(2)와 겹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측 연신 영역(15)의 폭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1C)는, 기저귀(1C)의 배측(Fr)에 형성되는 공간, 소위 포켓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D)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D)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각 사이드 플랩부(10)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의 외측에서 내측 플랩부(10a)와 외측 플랩부(10b)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내측 플랩부(10a)에는, 촉감이 좋은 시트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내측 플랩부(10a) 및 외측 플랩부(10b)의 쌍방의 선단부에는, 신장 상태로 탄성 부재(12a, 12b, 12c, 12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착용시에는, 다리 둘레에 이중으로 사이드 플랩부(10)가 밀착되기 때문에, 기저귀(1D)는, 옆으로 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기저귀(1D)는, 내측 플랩부(10a)가 촉감이 좋은 시트 소재이므로, 촉감성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의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명확화를 도모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플랩부(10a)와 외측 플랩부(10b)의 쌍방의 선단부에 탄성 부재(12a, 12b, 12c, 12e)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기저귀는, 내측 플랩부(10a)의 선단부에만 신장 상태로 탄성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기저귀는, 소위 내측으로 기울어진 입체 주름 구성이 된다.
(제5 실시형태)
도 12∼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E)를 나타낸다. 도 12는,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C-C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의 D-D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착용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착용 상태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플랩부의 배측 영역(S3)에 배측 연신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5∼제9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 영역(S1)에 등측 연신 영역(14)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등측 영역(S1)이며,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에는, 몸통 둘레방향(폭방향(W))으로 연신된 등측 연신 영역(14)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에 형성된 외측 3열의 탄성 부재(12a∼12c)에서, 가장 흡수성 본체(2)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2c)의 내측 근방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연신 가공에 의해 등측(Ba)에서 배측(Fr)까지의 길이방향(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인 폭방향(W)으로 연신됨으로써, 다른 영역보다 저평량화된 영역이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을 따라서 연신량이 작은 밀부(부호를 붙이지 않음)와 연신량이 큰 조부(부호를 붙이지 않음)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연신전과 비교한 경우에 1.5∼3.0배의 범위에서 연신되어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의 연신량이 1.5배 미만이면, 수직방향에서 사이드 플랩부(10)의 상승 치수가 작아 탄성 부재(12a, 12b, 12c)가 피부에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각 등측 연신 영역(14)의 연신량이 3.0배를 넘으면, 연신에 의한 손상이 커,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등의 자재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의 연신량을 1.5∼3.0배의 범위로 하면, 공간, 소위 포켓을 자재 파손의 우려없이 확실하게 기저귀(1E)를 형성할 수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는다. 즉, 각 등측 연신 영역(14)의 투과율은, 외부에서 내부를 투과할 수 있는 투과율이다.
또, 이 실시형태의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의 거의 전영역에 걸쳐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등측 영역(S1)의 단부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등측 영역(S1)의 전범위에 걸쳐 사이드 플랩부(10)의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영역(S2)이나 배측 영역(S3)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등측 연신 영역(14)의 구체적인 제작 방법에 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배측 연신 영역(15)의 제작 방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연신 가공되는 등측 연신 영역(14)의 폭은,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를 배치한 경우, 폭(W3)(도 13, 16)에 대하여 폭(W4)(도 15, 도 16)이 1.5배∼3.0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W3)은, 폭방향(W)으로 신장했을 때의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에서의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에 형성된 외측 3열의 탄성 부재(12a∼12c)에서, 가장 흡수성 본체(2)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2c)의 내측 근방까지의 폭이다. 즉, 폭(W3)은, 연신 가공전의 기준이 되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다.
또, 폭(W4)은, 폭방향(W)으로 신장했을 때의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 가장 넓은 부위에서의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12c)측의 내측 근방까지의 폭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 가장 넓은 부위에서,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길이방향(L)으로 신장되는 탄성 부재(12c)의 연장선을 상정하여 상기 폭(W4)을 구한다. 즉, 폭(W4)은, 연신 가공후의 기준이 되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이다.
폭(W3)에 대하여 폭(W4)이 1.5배 미만인 경우는, 연신 가공에 의해 저평량화된 등측 연신 영역(14)의 연신량이 짧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2)의 측부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의 탄성 부재 배치 부분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흡수체(5)로부터 새어 나온 배설물의 수용 공간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배설물은 사이드 플랩부(10)의 탄성 부재 배치 부분을 넘어서 기저귀(1E)에서 새어 나온다.
폭(W3)에 대하여 폭(W4)이 3.0배를 넘는 경우는, 연신 가공에 의한 저평량화된 등측 연신 영역(14)의 연신량이 길기 때문에, 자재는 연신에 의한 손상을 받기 쉬워,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등의 자재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자재가 파손된 경우에는, 배설물이 파손부에서 새어 나온다.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a∼12d)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랩부(10)를 폭방향(W)으로 신장했을 때의 흡수성 본체(2)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측 가장자리의 폭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넓은 폭이 가장 좁은 폭의 1.5배∼3.0배인 것이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로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등측(Ba)에서 엉덩이를 감싼 상태로 착용자와 흡수성 본체(2) 사이에 큰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저귀(1E)는, 배출된 다량의 배설물을 이 큰 공간에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저귀(1E)는, 배설물이 새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연신 가공에 적합한 외장 시트의 재료로는, 필름 파단 신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파단 신도가 750% 미만인 것에서는, 연신 가공될 때 핀홀이 발생하여 쉬워, 핀홀 발생에 의해 배설물이 새는 것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등측 연신 영역(14)에서의 투과율은, 사이드 플랩부(10)의 시트 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시트 소재의 종류에 따라 연신량을 조정하여, 외부에서 내부를 투과하는 투과율을 얻는다.
상기 구성의 기저귀(1E)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12a∼12d)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밀착된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측 연신 영역(14)이 형성된 등측 영역(S1)에서는, 연신 가공으로 연신, 저평량화된 거리만큼 착용시에 폭방향(W)으로 넓어진다.
한편, 배측 영역(S3)에는 연신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시에 배측 영역(S3)을 폭방향(W)으로 신장하더라도, 배측 영역(S3)은 원래의 폭이상으로 넓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저귀(1E)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배측 영역(S3)보다 등측 영역(S1)의 폭이 넓어진 상태로 몸에 장착된다. 기저귀(1E)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한쌍의 탄성 부재(12a∼12d) 사이의 거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배측(Fr)보다 등측(Ba)의 탄성 부재(12a∼12d)간의 거리가 길어진 상태로 몸에 장착된다.
따라서, 등측(Ba)에서 착용자의 엉덩이를 감싸도록 피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1E)는 착용성이 우수하다.
또, 기저귀(1E)는, 엉덩이를 감싼 상태로 착용자와 기저귀(1E) 사이에 공간적 여유를 형성하기 때문에, 무른 변이 배설된 경우라도 무른 변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저귀(1E)는, 흡수체에서 샌 무른 변이 바로 다리 둘레의 탄성 부재(12a∼12d)를 넘어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등측 연신 영역(14)은, 연신 가공에 의해 폭방향(W)으로 연신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연신 가공전의 사이드 플랩부(10)로서 대략 직선형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1E)의 제조 과정에서는, 도려냄에 의한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가공도 용이해진다.
또, 착용자의 가랑이 근처의 다리 둘레를 덮는 각 사이드 플랩부(10)는, 얇고 부드러운 등측 연신 영역(14)이므로, 기저귀(1E)는 장착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기저귀(1E)는, 착용자의 엉덩이의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등측 연신 영역(14)은, 흡수성 본체(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기 쉽고,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주를 지나치게 조이지 않더라도 엉덩이에 피트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등측 연신 영역(14)은, 등측(Ba)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도달했지만, 등측(Ba)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등측 연신 영역(14)은, 이 실시형태와 같이 등측(Ba)의 단부 가장자리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한 쪽이,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흡수성 본체(2) 측가장자리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의 폭방향(W)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에서 흡수성 본체(2)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12a, 12b, 12c)를 형성한 기저귀라 하더라도, 각 사이드 플랩부(10)에 탄성 부재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가 부착된 기저귀에 관해서도 가공의 용이화, 이에 따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기저귀(1E)를 착용한 경우에는, 강성차가 있는 위치, 즉, 흡수성 본체(2)와 사이드 플랩부(10)의 경계 위치부터 굴곡되기 시작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부분이 유연성이 있는 등측 연신 영역(14)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 특성이 좋고, 엉덩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기 때문에, 등측 연신 영역(14)을 통해서 기저귀(1E) 내부의 배설물의 유무를 외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1E)는 교환 시기 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등측 연신 영역(14)에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을 따라서 연신량이 작은 밀부와 연신량이 큰 조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1E)의 제조 과정에서는, 등측 연신 영역(14)은, 밀부와 조부에 의해 교대로 접혀서 구성되기 때문에,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측 가장자리는, 돌출되지 않고 직선형이 된다. 즉, 기저귀(1E)는, 제조 과정, 제품 패키징 과정 등에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제6 실시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F)의 평면도이며, 기저귀(1F)를 착용하기 위해 폭을 넓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F)는, 등측 연신 영역(14)에서의 연신량이 제5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F)의 폭방향(W)으로 당겨져 늘어났을 때(착용시)의 가랑이 영역측(T4)의 폭치수(L3)가, 기저귀(1F)의 폭방향(W)으로 당겨져 늘어났을 때의 등측(Ba)의 단부 가장자리측(T3)에서의 폭치수(L4)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저귀(1F)는, 착용시에 엉덩이와 흡수성 본체(2) 사이에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1F)는 다량의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저귀(1F)는, 배설물이 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G)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에서의 등측 영역(S1)에 등측 연신 영역(14)을 형성하고, 배측 영역(S3)에 배측 연신 영역(15)을 형성한다. 이 것에 의해, 가랑이 영역(S2)보다 등측 영역(S1) 및 배측 영역(S3)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기저귀(1G)는, 등측(Ba) 및 배측(Fr)의 쌍방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1G)에서는, 흡수성 본체(2) 및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배측(Fr)에서도 고간부를 감싼 상태로 착용자와 흡수성 본체(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기저귀(1G)는, 배출된 다량의 배설물을 등측(Ba) 및 배측(Fr)의 쌍방의 공간에 일시적으로 유지가 가능하여, 배설물이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배측 연신 영역(15)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랑이측 영역과 등측 영역 사이에서 연신량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성이 우수한 기저귀로 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H)의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H)는, 제5 실시형태에 비하여, 흡수성 본체(2)의 구성과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등측 연신 영역(14)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흡수성 본체(2)의 톱시트(3)와 백시트(4)는, 폭방향(W)의 중앙 부분만이 접합부(6)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폭방향(W)의 양단부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기저귀(1H)를 평면에서 봤을 때, 흡수성 본체(2)와 겹치는 영역(접합되지 않은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의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명확화를 도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등측 연신 영역(14)은, 흡수성 본체(2)와 겹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등측 연신 영역(14)의 폭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1H)는, 엉덩이를 감싸는 치수나 기저귀(1H)의 등측(Ba)에 형성되는 공간, 소위 포켓을 크게 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I)의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I)는, 제5 실시형태에 비하여,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각 사이드 플랩부(10)는,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의 외측에서 내측 플랩부(10a)와 외측 플랩부(10b)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내측 플랩부(10a)에는, 촉감이 좋은 시트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내측 플랩부(10a) 및 외측 플랩부(10b)의 쌍방의 선단부에는, 신장 상태로 탄성 부재(12a, 12b, 12c, 12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착용시에는, 다리 둘레에 이중으로 사이드 플랩부(10)가 밀착되기 때문에, 기저귀(1I)는 옆으로 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기저귀(1I)는, 내측 플랩부(10a)가 촉감이 좋은 시트 소재이므로, 촉감성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의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명확화를 도모한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변형예 등)
각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가랑이 영역(S2)에서의 사이드 플랩부(10)의 흡수성 본체(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12a) 사이에 가랑이측 연신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가랑이측 연신 영역은, 사이드 플랩부(10)에서의 가랑이 영역(S2)에 대하여 폭방향(W)으로 연신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랑이측 연신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변형예에 따른 기저귀는, 착용되는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밀착된다.
또,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가랑이 영역(S2)의 신장 가능한 폭치수가, 가랑이측 연신 영역에 의해 가랑이 영역(S2)이나 배측 영역(S3)의 사이드 플랩부(10)의 폭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측에 공간, 소위 포켓이 생긴다. 따라서, 변형예에 따른 기저귀는, 각 사이드 플랩부(10)를 접지 않고, 또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단부 가장자리를 곡선형으로 형성하거나, 각 사이드 플랩부(10)의 폭방향(W)의 단부 가장자리의 곡선형을 따라서 탄성 부재를 곡선형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가랑이측에 포켓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예에 따른 기저귀의 제조 과정에서는, 사용 자재의 저감화, 가공의 용이화, 이에 따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시트(4)와 외장 시트(11)에 대하여 배측 연신 영역(15)이나 등측 연신 영역(14)을 형성하고 있지만, 배측 연신 영역(15)이나 등측 연신 영역(14)은 백시트(4)만을 연신 가공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부직포의 사용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배측 연신 영역(15)이나 등측 연신 영역(14)으로는, 톱시트(3), 백시트(4) 및 외장 시트(11)의 3장의 자재의 접착 부분을 연신 가공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흡수체(5)에서 유출된 체액을 친수성의 톱시트(3)에 의해 다시 흡수체(5)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10)의 외장 시트(11)에 대하여, 백시트(4)와 상이한 재질의 액불투과성 시트를 적층하고, 외장 시트(11) 및 이 액불투과성 시트의 적층 부분에 연신 가공을 하여, 배측 연신 영역(15)이나 등측 연신 영역(14)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액불투과성 시트로서 연신 가공에 적합한 시트 소재를 이용하고, 흡수체(5) 하측의 백시트(4)로서 통기성 필름이나 핀홀 대책을 위한 단위면적당 중량이 높은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부위마다 적합한 자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사이드 플랩부(10)에 4개의 탄성 부재(12a∼12d)가 형성되어 있지만, 사이드 플랩부(10)의 측단부에 1열 또는 2열만 형성해도 되고, 탄성 부재의 갯수 및 배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오픈 타입의 기저귀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팬티 타입의 기저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저귀 이외의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37919호(2008년 2월 19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37922호(2008년 2월 19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26246호(2009년 2월 6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26255호(2009년 2월 6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에게 피트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의 가공의 용이화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4)

  1. 액투과성의 톱시트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며,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방향으로 등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배측 영역을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배측 영역에는, 몸통 둘레방향으로 연신된 배측 연신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연신 영역은, 배측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영역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형성된 탄성 부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배측 연신 영역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측 연신 영역은, 상기 가랑이 영역측이 배측의 단부 가장자리측보다 당겨져 늘어났을 때의 폭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측 연신 영역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측 연신 영역은, 1.5∼3.0배의 범위에서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액투과성의 톱시트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와, 상기 톱시트와 상기 백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며,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방향으로 등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배측 영역을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등측 영역에는, 몸통 둘레방향으로 연신된 등측 연신 영역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연신 영역은, 등측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적어도 가랑이 영역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형성된 탄성 부재를 각각 가지며,
    상기 각 등측 연신 영역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측 연신 영역은, 가랑이 영역측이 등측의 단부 가장자리측보다 당겨져 늘어났을 때의 폭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측 연신 영역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치는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측 연신 영역은, 1.5∼3.0배의 범위에서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배측 영역에는, 몸통 둘레방향으로 연신된 배측 연신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에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상기 흡수성 본체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연신된 가랑이측 연신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20413A 2008-02-19 2009-02-18 흡수성 물품 KR20100135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7919 2008-02-19
JP2008037922 2008-02-19
JPJP-P-2008-037922 2008-02-19
JP2008037919 2008-02-19
JP2009026246A JP5566612B2 (ja) 2008-02-19 2009-02-06 吸収性物品
JP2009026255A JP5566613B2 (ja) 2008-02-19 2009-02-06 吸収性物品
JPJP-P-2009-026255 2009-02-06
JPJP-P-2009-026246 2009-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742A true KR20100135742A (ko) 2010-12-27

Family

ID=4294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413A KR20100135742A (ko) 2008-02-19 2009-02-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118690A1 (ko)
EP (1) EP2263625A4 (ko)
KR (1) KR20100135742A (ko)
CN (1) CN101945630A (ko)
AU (1) AU2009216229A1 (ko)
CA (1) CA2715756A1 (ko)
EA (1) EA201001316A1 (ko)
MA (1) MA32197B1 (ko)
MX (1) MX2010009135A (ko)
SG (1) SG188108A1 (ko)
TW (1) TW200950753A (ko)
WO (1) WO2009104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5910B2 (ja) * 2010-09-30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66407B1 (ja) * 2012-03-30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628454B1 (ja) * 2014-06-06 2014-11-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愛玩動物用の吸収性物品
JP7025172B2 (ja) 2017-10-12 2022-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伸縮性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83B2 (ja) * 1986-02-20 1994-02-09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246433A (en) * 1991-11-21 1993-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ized disposable training pa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807368A (en) * 1993-06-14 1998-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garment formed from an elastic film laminate
US5554145A (en) * 1994-02-28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tructural elastic-like film web extensible waist feature
US5685874A (en) * 1996-02-22 1997-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pant
JPH09313534A (ja) * 1996-05-28 1997-12-09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おむつ
JPH10243961A (ja) 1997-03-06 1998-09-14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JPH1147189A (ja) 1997-08-01 1999-02-23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US6262331B1 (en) * 1998-06-05 2001-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topsheet that includes selectively openable and closable openings
JP3527437B2 (ja) * 1999-07-01 2004-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6572595B1 (en) * 2000-05-30 2003-06-03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such as a diaper or training pants and a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20040010241A1 (en) * 2002-07-15 2004-01-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regions providing improved comfort
JP4036766B2 (ja) * 2003-02-05 2008-01-23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A2580565A1 (en) * 2004-09-30 2006-04-13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re-fastenable closures
US8043274B2 (en) * 2007-12-05 2011-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stretch areas for optimal f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8108A1 (en) 2013-03-28
CA2715756A1 (en) 2009-08-27
TW200950753A (en) 2009-12-16
CN101945630A (zh) 2011-01-12
AU2009216229A1 (en) 2009-08-27
MA32197B1 (fr) 2011-04-01
WO2009104626A1 (ja) 2009-08-27
MX2010009135A (es) 2010-09-28
US20110118690A1 (en) 2011-05-19
EA201001316A1 (ru) 2011-02-28
EP2263625A4 (en) 2013-09-04
EP2263625A1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1617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06689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645339B1 (ko) 생리대
TWI508717B (zh) Dispose of items with disposable dessert
JP5383018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90091318A (ko) 흡수성 물품
JP5306690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03282003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WO2016103873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38479B2 (ja) 尿吸収物品
JP2007061335A (ja) トランクス型おむつ
JP2009240695A5 (ko)
JP4809812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20100135742A (ko) 흡수성 물품
JP457631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20100123864A (ko) 흡수성 물품
CN111526842A (zh) 内裤型吸收性物品
KR20030017382A (ko) 흡수성 물품
JP5094008B2 (ja) 吸収性物品
WO2016103866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1125578A (ja) 生理用ナプキン
JP5566612B2 (ja) 吸収性物品
JP5566613B2 (ja) 吸収性物品
WO2009104673A1 (ja) 吸収性物品
JP5902900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