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38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382A
KR20030017382A KR1020020049500A KR20020049500A KR20030017382A KR 20030017382 A KR20030017382 A KR 20030017382A KR 1020020049500 A KR1020020049500 A KR 1020020049500A KR 20020049500 A KR20020049500 A KR 20020049500A KR 20030017382 A KR20030017382 A KR 20030017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main body
liquid impermeable
body portio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자키사토시
요시마사와타루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의 표면이 변형되더라도, 본체부에서 기립하는 샘 방지벽의 형상이 불규칙하게 변화되거나 불규칙하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샘 방지벽에 의한 가로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생리대의 본체부(1) 표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액체 불투과 부재(11, 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 12)의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는 고정부(13, 14)를 기점으로 하여 자유 연부가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서 이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중간 영역에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의 세로 방향의 치수를 단축하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의 전방 단부 영역에 형성된 플랩(11B, 12B)을 이면 시트측에 접어 구부려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부(1)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변형하더라도,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의 기립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PRODUCT}
본 발명은 생리대, 소변 흡수 패드, 기저귀의 흡수 보조 패드 등으로서 이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말하면, 샘 방지벽의 형상을 안정시켜 체배출액의 가로샘 방지 효과를 높인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체배출액의 가로샘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연부의 내측에 샘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이 있다. 상기 샘 방지벽은 그 세로 방향의 양단부 영역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서 떨어질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 영역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중간 영역에서 상기 샘 방지벽은 그 일측 연부가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고정되어 자유 연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서 이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 상기 샘 방지벽에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벽의 양단부 영역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서 흡수성 물품에 세로 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력이 작용하여 흡수성 물품이 만곡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영역에서, 상기 샘 방지벽의 상기 자유 연부가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립한다. 이와 같이 기립한 상태의 상기 샘 방지벽이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으로 흐르고자 하는 체배출액을 막을 수 있어, 체배출액의 가로샘 방지 효과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의 양단부 영역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만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착용중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표면이 변형하면, 상기 표면의 변형이 상기 샘 방지벽에 직접 영향을 주어, 상기 표면의 형상 변화에 따라 샘 방지벽이 불규칙하게 변형하기 쉽다.
예컨대, 생리대의 경우, 이 생리대를 속옷의 크로치부에 장착하여, 속옷을 착용할 때에 상기 크로치부를 신체의 고간부를 향해 강하게 끌어올려지는 경우가 많아, 상기 크로치부에 고정된 흡수성 물품은 중앙 부분이 고간부를 향한 상태의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기 쉽다. 이 때, 종래 구조의 생리대에서는, 그 표면에만 고정되어 있는 상기 샘 방지벽이 상기 볼록 형상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어 자유 연부가 불규칙하게 쓰러지기 쉽다.
또,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이 전체 길이에 걸쳐 흡수성 물품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착용중인 흡수성 물품이 예컨대 폭이 줄어드는 식으로 변형되면, 이 흡수성 물품과 일체의 샘 방지벽이 흡수성 물품의 전체의 변형을 따라 변형하여 속옷의 크로치부와 상기 샘 방지벽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기 쉽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변형에 따라 샘 방지벽이 불규칙하게 변형하면, 샘 방지벽과 착용자 피부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샘 방지벽을 넘어서 측방으로 체배출액이 유출되기 쉽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액체 불투과 부재로 형성되는 샘 방지벽에 불규칙한 변형이 생기기 어렵도록 하여, 샘 방지벽에 의한 가로샘 방지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예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 부재가 본체부 표면에 쓰러 뜨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 부재가 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 쓰러 뜨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대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생리대의 액체 불투과 부재를 접어 포갠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생리대가 속옷의 크로치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의 VII-VII선 단면을 속옷의 단면과 함께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0, 100A, 100B : 생리대
1, 1A : 생리대의 본체부
1a : 본체부의 전연부
1b : 본체부의 후연부
1c : 본체부의 우측 연부
1d : 본체부의 좌측 연부
2 : 표면 시트
3 : 이면 시트
4 : 흡수층
11, 12, 111, 112 : 액체 불투과 부재
11d, 12d, 111d, 112d : 자유 연부
11e, 12e : 자유 연부
11A, 12A, 111A, 112A : 플랩
11B, 12B, 111B, 112B : 샘 방지벽 형성부
11C, 12C : 후방 단부
111C, 112C : 플랩
13, 14, 113, 114 : 고정부
13a, 14a, 113a, 114a : 기점 연부
15 : 탄성 부재
20 : 액체 불투과 시트
21 : 액체 수용 영역
23 : 감압 접착제층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액체 불투과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각 액체 불투과 부재는 세로 방향에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단부 영역과 양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갖고 있고,
각 액체 불투과 부재의 상기 중간 영역은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단축하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여 샘 방지벽을 형성하는 비고정부를 갖고 있고,
각 액체 불투과 부재의 전방과 후방의 단부 영역의 적어도 한 쪽은 플랩을 지니며, 이 플랩이 상기 본체부의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연부를 지나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되접어 꺾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상기 플랩이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1 형태는, 흡수성 물품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단부 영역에 형성된플랩이 본체부의 측연부를 넘어서 이면측으로 말려들도록 접어 포개어지고,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가 미리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플랩이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를 고정하는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2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이 완성된 시점에서, 상기 플랩은 본체부의 표면측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자유 연부가 본체부의 중심측을 향한 상태에서, 액체 불투과 부재가 본체부의 표면에 겹쳐져 있다. 그리고 착용시에,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를 본체부의 좌우 양 외측을 향해 쓰러뜨리도록 변형시키고 상기 플랩을 본체부의 이면측으로 말려들도록 변형시켜 플랩을 이면 시트에 감압 접착제층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시킨다.
상기 제1과 제2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액체 불투과 부재의 적어도 한 쪽의 단부 영역이 본체부의 측연부에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고간부에 끼워지는 등으로 인해 폭 방향이 오그라드는 식으로 변형하더라도, 액체 불투과 부재로 형성되는 샘 방지벽이 본체부 표면의 변형 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아 샘 방지벽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쓰러지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흡수성 물품이 속옷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은 상기 속옷의 외면을 향해 접어 꺾을 수 있으며, 상기 플랩에는 상기 속옷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3 형태에서는, 액체 불투과 부재의 적어도 한 쪽의 단부 영역이 속옷에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서 속옷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에 변형력이 작용하더라도, 액체 불투과 부재가 속옷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의 크로치부와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와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기 어려워 액체 불투과 부재를 신체의 배설부 양측부의 바람직한 위치에 항상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 부재의 불규칙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형태와 제3 형태에서는, 착용전 상태에서 액체 불투과 부재가 본체부로 쓰러뜨려져 흡수성 물품이 평탄한 형상이기 때문에, 접어 포개어 휴대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개별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의 한 쪽의 단부 영역에 상기 플랩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 영역에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쪽의 단부 영역에만 플랩을 형성하여, 이 플랩을 본체부의 이면측으로 말려 들어가게 하면, 액체 불투과 부재로 형성되는 샘 방지벽이 외측으로 쓰러지기 어렵게 되어 상기 샘 방지벽이 본체부의 표면에서 기립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혹은,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의 양단부 영역의 각각에 상기 플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액체 불투과 부재의 양단부 영역의 각각에 플랩이 형성되면 흡수성 물품의 변형에 대하여 액체 불투과 부재가 영향을 받기 어렵다. 특히 각각의 플랩이 속옷에 고정되어 있으면, 속옷과 액체 불투과 부재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랩이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플랩 전체가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서 이격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플랩 전체가 본체부에서 이격 가능하다면, 플랩을 속옷의 측연부에서부터 외면에 걸쳐서 구부리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랩을 형성하고 있는 단부 영역이, 상기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연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액체 불투과 부재의 세로 치수를 길게 해 두면, 플랩을 이면 시트나 속옷의 외면에 고정했을 때에 액체 불투과 부재로 형성되는 샘 방지벽의 형상이 안정되기 쉽다.
또,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가 본체부에서 이격될 때의 기립 기점이 상기 흡수층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다른 영역보다도 강성이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를 기점으로 하여 액체 불투과 부재를 기립하게 함으로써, 샘 방지벽이 더욱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예의 생리대를 착용시의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체부와 액체 불투과 부재와의 초기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를 좌우 외측으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생리대(10)는 도 1의 상태에서 생리중인 여성이속옷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장착하여 착용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생리대의 본체부(1)의 평면 형상은 거의 원호 형상의 전연부(1a),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인 후연부(1b),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를 지니고,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의 거리, 즉 본체부(1)의 폭 치수는 전방 부분보다도 후방 부분이 약간 크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2),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 상기 표면 시트(2)와 상기 이면 시트(3) 사이에 형성된 액체를 흡수하는 능력과 흡수한 액체를 유지하는 능력을 갖는 흡수층(4)이 겹쳐진 구조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2)와 상기 이면 시트(3)가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의 전연부와 후연부 및 우측 연부와 좌측 연부가 상기 본체부(1)의 전연부(1a), 후연부(1b) 및 우측 연부(1c)와 좌측면부(1d)와 일치하고 있다.
상기 흡수층(4)은 소정 두께를 갖고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연부(4a), 후연부(4b), 우측 연부(4c) 및 좌측 연부(4d)를 갖는 형상이다. 상기 흡수층(4)의 상기 전연부(4a)와 후연부(4b)는 본체부(1)의 상기 전연부(1a) 및 후연부(1b)와 서로 닮은 형상이며, 흡수층(4)의 우측 연부(4c)와 좌측 연부(4d)도 본체부(1)의 상기 우측 연부(1c) 및 좌측 연부(1d)와 서로 닮은 형상이다.
상기 흡수층(4)의 전연부(4a), 후연부(4b), 우측 연부(4c) 및 좌측 연부(4d)는 본체부(1)의 상기 전연부(1a), 후연부(1b), 우측 연부(1c) 및 좌측 연부(1d)보다도 3∼10 mm의 폭을 두고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층(4)의 상기 전연부(4a), 후연부(4b), 우측 연부(4c) 및 좌측 연부(4d)보다도 외측의 영역에서, 상기 표면 시트(2)와 상기 이면 시트(3)가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를 폭 방향으로 이분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O-O로 했을 때에, 상기 중심선(O-O)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가 형성되어 있다. 양 액체 불투과 부재(11, 12)는 폭 방향(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부(1)의 세로 방향(Y 방향)을 향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액체 불투과 부재(11, 12)를 세로 방향으로 삼등분한 영역을 설정하여, 삼등분한 중앙의 영역을 중간 영역, 전연부(1a) 측의 1/3 길이의 영역을 전방 단부 영역, 후연부(1b) 측의 1/3 길이의 영역을 후방 단부 영역이라 정의한다.
또한,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에는 플랩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플랩이란, 중심선(O-O)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었을 때에, 본체부(1)의 우측 연부(1c) 및 좌측 연부(1d)보다도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를 넘어서 이면 시트(3)의 외면에 대면시키는 위치를 향해서 접어 구부리는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또한 이면 시트(3)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면 시트(3)에 대면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 플랩은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의 전방 단부 영역과, 후방 단부 영역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플랩은 전방 단부 영역 또는 후방 단부 영역이 갖는 세로 방향 길이 중의 일부 길이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고, 상기 전방 단부 영역 또는 후방 단부 영역의 세로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상기 플랩이 상기 전방 단부 영역 또는 후방 단부 영역에서 중간 영역의 일부까지 비어져 나와져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간 영역, 전방 단부 영역, 후방 단부 영역 및 플랩의 정의는 이하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하다.
여기서, 제1 실시예의 생리대(10)를 도 1에 도시하는 사용 상태로 하기 위한 형태로서 이하의 2개의 예가 있을 수 있다.
제1예에서는, 생리대(10)의 완성 상태, 즉 착용자가 개별 포장을 개봉하여 상기 생리대(10)를 빼낸 사용 직전의 상태에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는 이미 도 1에 도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예에서는, 생리대(10)가 완성된 상태, 즉 상기한 사용 직전의 상태에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가 도 2와 같이 본체부(1)의 표면에 쓰러뜨려진 상태이다. 그리고 착용자 스스로가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를 도 2의 상태에서 좌우 양측으로 쓰러뜨려 도 3의 상태로 만들고, 또한 그 일부를 본체부(1)의 이면측으로 접어 꺾어 도 1과 동일한 상태로 만들고 나서 착용한다.
이와 같이 제1예와 제2예에서 생리대의 완성시의 형태가 다르지만, 상기 본체부(1)의 구조 및 이하에 설명하는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의 형상 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제1 실시예의 생리대(10)를 상기 제1예와 제2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동시에 설명한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L1인 샘 방지벽 형성부(11A)와, 전방 단부 영역에 위치하여 전연부(11a)를 포함하는 길이가 L2인 플랩(11B)과, 후방 단부 영역에 위치하여 후연부(11b)를 포함하는 길이가 L3인 후방 단부(11C)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2)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L1인 샘 방지벽 형성부(12A)와, 전방 영역에 위치하여 전연부(12a)를 포함하는 길이가 L2인 플랩(12B)과, 후방 단부 영역에서 후연부(12b)를 포함하는 길이가 L3인 후방 단부(12C)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액체 불투과 시트(2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음선을 통해 2장 겹침 상태로 접어 포개어 형성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 부재(11)는 플랩(11B)에 있어서 상기 접음선 부분이 자유 연부(11e)로 되어 있다. 또한, 샘 방지벽 형성부(11A)에서는 2장이 겹쳐진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절단된 연부가 자유 연부(11d)로 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와 플랩(11B)에서는 2장이 겹쳐진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의 일부가 폭 치수가 W1이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3)로 되어 있고, 이 고정부(13)가 상기 본체부(1)의 표면에 접착제나 히트시일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는 상기 고정부(13) 이외 부분이 본체부(1)의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는 자유 부분(비고정부)으로 되어 있다.
상기 후방 단부(11C)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의 자유 연부(11d)와 연속되는 연부(11f)가 우측 연부(1c)를 향하게 되도록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접어 포개어져 있고, 상기 후방 단부(11C)에서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의 전체가 상기 본체부(1)의 표면에서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접음 고정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접음 고정부(16)에서는,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접착제 또는 히트시일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2)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와 좌우 대칭의 형상이며, 플랩(12B)의 자유 연부를 12e로 나타내고, 샘 방지벽 형성부(12A)의 자유 연부를 12d로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플랩(12B)과 샘 방지벽 형성부(12A)에서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2)의 일부가 폭 치수가 W1인 고정부(14)로 되어 있고, 이 고정부(14)가 본체부(1)의 표면에 세로 방향을 따라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 부재(12)는 상기 고정부(14) 이외 부분이 본체부(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자유 부분(비고정부)이다. 또한, 후방 단부(12C)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2A)의 자유 연부(12d)와 연속하는 연부(12f)가 본체부(1)의 좌측 연부(1d)를 향하게 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접어 포개어져 있고, 접어 포개어진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2)의 전체가 본체부(1)의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접음 고정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접음 고정부(17)에서는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접착 또는 히트시일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3과 14)는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 및 플랩(11B, 12B)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 및 플랩(11B, 12B)에서는, 상기 고정부(13 또는 14)와 상기 비고정부와의 경계선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점 연부(13a, 14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체 불투과 부재(11)의 상기 기점 연부(13a)와 상기 각 자유 연부(11d 및 11e)로 둘러싸인 상기 비고정부를 본체부(1)의 표면에서 이격하여 우측 연부(1c) 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2)의 상기 기점 연부(14a)와 상기 각 자유 연부(12 및 12e)로 둘러싸인 비고정부를 본체부(1)의 표면에서 이격하여 좌측 연부(1d) 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점 연부(13a, 14a)는 흡수층(4)의 우측 연부(4c)와 좌측 연부(4d)의 내측이며, 또한 상기 흡수층(4) 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와 12A)의 전체 길이에 걸쳐 2장이 겹쳐진 액체 불투과 시트(20) 사이에 탄성 부재(15, 15)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 15)는 세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에 접합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와 12A)에서는 비고정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에 세로 방향의 치수를 단축하고자 하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의 상기 기점 연부(13a, 14a)에서 자유 연부(11d, 12d)까지의 비고정부의 폭 치수를 W2로 하고 상기 플랩(11B, 12B)에서의 기점 연부(13a, 14a)에서 자유 연부(11e, 12e)까지의 비고정부의 폭 치수를 W3으로 했을 때에, 상기 폭 치수(W3)는 상기 폭 치수(W2)보다도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생리대(10)에서는, 상기 기점 연부(13a)와 기점 연부(14a)에 의해 끼워진 영역, 또 흡수층(4)을 덮는 표면 시트(2)가 나타나 있는 영역이 액체 수용 영역(21)이다. 또한 본체부(1)의 이면에서는, 이면 시트(3)의 외면에 본체부 고정 수단으로서 감압 접착제층(22, 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압 접착제층(22, 22)은 핫멜트형이며, 상기 이면 시트(3)의 외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도공되어 있다.
이 생리대(10)에서는, 도 2의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의 비고정부가 상기 기점 연부(13a, 14a)를 기점으로 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 외측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또한 플랩(11B와 12B)을 본체부(1)의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를 지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이면측으로 접어 구부릴 수 있게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예에서는 상기 플랩(11B, 12B)이 본체부(1)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의 고정 수단은 용이하게 이탈 분리할 수 없는 것이며,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고정, 히트시일에 의한 고정, 혹은 봉합 등이다.
상기 제1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1B, 12B)이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정된 상태가 생리대의 완성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접어 포개어지는 등에 의해 포장 시트로 개별 포장된다.
다음에, 상기 제2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3)의 외면에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으로서 감압 접착제층(23, 23)이 형성되어 있다. 혹은, 플랩(11B, 12B)의 도 2 상태에서 바로 앞에 나타나 있는 외면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혹은, 플랩(11B, 12B)의 상기 외면과, 상기 이면 시트(3)의 외면의 한 쪽에 면 파스너의 수(雄)시트가, 다른 쪽에 암(雌)시트가 마련되고, 상기 플랩(11B, 12B)과 이면 시트(3)가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제2예에서는, 사용전의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가 본체부(1)의 전방면에 있어서 액체 수용 영역(21)을 덮도록 쓰러뜨려져 있고, 이 때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의 자유 연부(11d, 12d)와 플랩(11B, 12B)의 자유 연부(11e, 12e)는 상기 고정부(13, 14) 및 기점 연부(13a, 14a)보다도 중심선(O-O)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플랩(11B)과 플랩(12B)이 서로 겹쳐져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도 2 상태의 생리대(10)가 더욱 포개어져 포장 시트에 의해 개별 포장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개별 포장을 개봉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 전개한다. 그리고, 착용자 스스로가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를 상기 기점 연부(13a, 14a)를 기점으로 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 외측으로 접어 구부리고, 또한 플랩(11B, 12B)을 본체부(1)의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를 지나 본체부(1)의 이면측으로 접어 구부린다. 그리고, 상기 감압 접착제층(23, 23) 등의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랩(11B, 12B)을 본체부(1)의 이면 시트(3)의외면에 고정하여 도 1의 상태로 만든다. 제2예에서는, 착용자 스스로가 도 1의 상태로 만들고 나서 생리대(10)를 착용하게 된다.
제1 실시예의 생리대(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도 1의 상태로 되어 있거나, 혹은 착용자 스스로가 도 1의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에 탄성 부재(15, 15)에 의해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탄성 수축력에 의해서 본체부(1)가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 만곡 변형하여, 그 결과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의 자유 연부(11d, 12d)가 본체부(1)의 표면에서 기립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가 좌우 양측으로 구부려지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연부(11d, 11e 및 12d, 12e)가 중심선(O-O) 측으로 향하게 된 상태에서 고정부(13, 14)가 본체부(1)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에서는 자유 연부(11d, 12d)가 중심선(O-O)을 향하는 상태에서 비스듬히 기립하려고 한다. 그러나, 플랩(11B, 12B)이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를 넘어서 이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 중의 플랩(11B, 12B)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자유 연부(11d, 12d)가 외측[(i)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후방 단부(11C, 12C)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자유 연부(11d, 12d)가 내측[(ⅱ) 방향]으로 향하게 된 상태가 된다.
이 생리대(10)를 착용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이면 시트(3)에 형성된 감압 접착제층(22, 22)을 통해 속옷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고착시켜 속옷과함께 신체에 착용하여 본체부(1)의 액체 수용 영역(21)을 신체의 고간부에 댄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는 그 플랩(11B, 12B)이 본체부(1)의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에 감아 붙여져 이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에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착용중에 본체부(1)의 표면이 변형되더라도 이 표면의 변형이 샘 방지벽의 형상에 직접 영향을 주기 어렵게 되어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부분이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게 되고 후방 부분이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향하게 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상기 속옷을 끌어올리는 식으로 착용하면 속옷의 크로치부에 고정된 생리대의 본체부(1)는 그 폭 치수가 줄어들도록 변형하려고 하여 본체부(1)의 표면이 물결 모양으로 변형하기 쉽다. 이와 같이 본체부(1)의 표면이 물결 모양으로 변형하더라도 플랩(11B, 12B)이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불투과 부재(11, 12)의 형상이 변화되기 어려워 고간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샘 방지벽은 도 1에 나타내는 기립 상태를 유지하여 샘 방지벽이 불규칙하게 쓰러지거나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체부(1)의 액체 수용 영역(21)에서 양측으로 흘러나오고자 하는 체배설액은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에 의하여 쉽게 차단하게 된다.
또,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부분에 있어서 자유 연부(11d, 12d)가 중심선(O-O)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와 본체부(1) 표면과의 사이에 포켓부(25, 25)가 형성되며, 게다가 이 포켓부(25, 25)는 불규칙하게 변화되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포켓부(25, 25)에서 체배설액을 막을 수 있어 체배설액의 가로샘을 방지하기 쉽다. 또한, 후방 부분에 상기 포켓부(25, 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의 둔부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체배설액의 가로 방향으로의 샘을 방지하기 쉽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의 기립 기점이 흡수층(4) 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흡수층(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비교적 강성이 높기 때문에 본체부(1)가 변형되었을 때에 샘 방지벽에 주어지는 변형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에서의 상기 기점 연부(13a, 14a)에서 자유 연부(11d, 12d)까지의 폭 치수(W2)는 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만이면 이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에 의한 액의 차단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폭 치수(W2)의 상한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넘으면, 폭 치수(W2)가 지나치게 크게 되어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가 체압을 받았을 때에 꺽이거나 주름지기 쉽게 된다.
또, 상기 플랩(11B, 12B)의 상기 폭 치수(W3)는 15∼4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이면, 본체부(1)의 이면을 향해 구부러지기 쉽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 실시예의 일례로서의 생리대(100)를 표면측에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액체 불투과 부재를 상기 생리대(100)의 양 연부측으로 접어 구부린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생리대(100)를 속옷에 고착시킨 상태에서 생리대(100)를 도 6의 VII-VII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속옷의 단면과 함께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생리대(100) 본체부(1)의 평면 형상 및 그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본체부(1)를 폭 방향으로 이분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O-O로 했을 때에, 상기 중심선(O-O)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가 형성되어 있다. 양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는 폭 방향(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부(1)의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L11인 샘 방지벽 형성부(111A)와, 전방 단부 영역에 위치하여 전연부(111a)를 포함하는 길이가 L12인 전방의 플랩(111B)과, 후방 단부 영역에 위치하여 후연부(111b)를 포함하는 길이가 L13인 후방의 플랩(111C)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2)는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L11인 샘 방지벽 형성부(112A)와, 전방 단부 영역에 위치하여 전연부(112a)를 포함하는 길이가 L12인 전방의 플랩(112B)과, 후방 단부 영역에 위치하여 후연부(112b)를 포함하는 길이가 L13인 후방의 플랩(112C)을 갖고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액체 불투과 시트(20)를 2장 겸침 상태로 접어 포갠 것이다. 상기 플랩(111B) 및 플랩(111C)에서는 상기 접음선 부분이 자유 연부(111e) 및 자유 연부(111f)로 되어 있다. 또 샘 방지벽 형성부(111A)에서는 2장이 겹쳐진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절단된 연부가 자유 연부(111d)로 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 부재(111)의 기초부에는 폭 치수가 W1이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부(1)의 표면에 접착제나 히트시일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2)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와 좌우 대칭의 형상이며, 플랩(112B)과 플랩(112C)의 자유 연부를 112e, 112f로 나타내고, 샘 방지벽 형성부(112A)의 자유 연부를 112d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폭이 W1인 고정부를 114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고정부(113, 114)는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플랩(111C, 112C)의 후연부까지 연장되고 있다.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 및 플랩(111C, 112C)에서는 상기 고정부(113, 114)의 경계부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점 연부(113a, 114a)로 되어, 상기 기점 연부(113a, 114a)와 상기 각 자유 연부(111d, 111f 및 112d, 112f)로 둘러싸인 자유 부분(비고정부)이 본체부(1)의 표면에서 이격 가능하게 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점 연부(113a, 114a)가 흡수층(4)의 우측 연부(4c)와 좌측 연부(4d)의 내측에서 상기 흡수층(4)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전방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플랩(111B, 112B)은 그 전체가 본체부(1)의 표면에 고정되는 일없이 자유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의 전체 길이에 걸쳐, 2장이 겹쳐진 액체 불투과 시트(20) 사이에 탄성 부재(15, 15)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 15)는 세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에 접합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와 112A)에서는 비고정부에 세로 방향의 치수를 줄이고자 하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의 상기 기점 연부(113a, 114a)에서 자유 연부(111d, 112d)까지의 비고정부의 폭 치수를 W2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111B, 112B) 및 플랩(111C, 112C)에서의 기점 연부(113a, 114a)에서 자유 연부(111e, 111f 및 112e, 112f)까지의 비고정부의 폭 치수를 W3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폭 치수(W3)는 상기 폭 치수(W2)보다도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전방의 플랩(111B)과 후방의 플랩(111C)은 도 5의 상태일 때에 표면에 나타나는 면에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으로 되는 감압 접착제층(23, 23)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랩(112B)과 플랩(112C)에도, 도 5의 상태일 때에 표면에 나타나는 면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23, 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감압 접착제층(23)을 대신하게 되는 고정 수단으로서 속옷의 외면에 기계적으로 걸리는 가느다란 다수의 훅을 갖는 면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의 기점 연부(113a)와 액체 불투과 부재(112)의 기점 연부(114a)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 또 상기 흡수층(4)을 덮는 표면 시트(2)가 나타나고 있는 영역이 액체 수용 영역(21)이다.
다음에, 상기 생리대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를 착용하기 직전의 상태에서는,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는 본체부(1)의 액체 수용 영역(21)의 표면에 겹쳐져 있고, 이 때 상기 자유 연부(111d, 111e, 111f) 및 상기 자유 연부(112d, 112e, 112f)는 상기 기점 연부(113a 및 114a)보다도 중심선(O-O)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본체부(1)의 표면에서 플랩(111B, 112B)이 서로 겹치거나 혹은 플랩(111C, 112C)이 서로 겹쳐 있더라도 좋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생리대(100)는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 때, 상기 본체부(1)를 크로치부(30a)의 중앙 부분에 설치하여 본체부(1)의 이면측에 형성된 감압 접착제층(22, 22)을 상기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접착시켜 본체부(1)를 크로치부(30a)에 고정한다.
그리고, 액체 불투과 부재(111)를 기점 연부(113a)를 기점으로 하여 측연부(1c) 측으로 쓰러뜨리고, 액체 불투과 부재(112)를 기점 연부(114a)를 기점으로 하여 측연부(1d) 측으로 쓰러뜨린다. 그리고, 플랩(111B, 112B)을 상기 크로치부(30a)의 양 측연부를 지나서 속옷(30)의 외면에 휘감길 수 있도록 접어 구부리고, 상기 플랩(111B, 112B)을 감압 접착제층(23, 23)에 의해 속옷(30)의 외면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플랩(111B, 112B)은 그 전체가 본체부(1)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이기 때문에 플랩(111B, 112B)을 크로치부(30a)의 외면을 향해서 구부리기 쉽게 되어 있고, 따라서 플랩(111B, 112B)을 속옷(30)의 외면에 고착시키는 장착 조작이 용이하다.
마찬가지로, 후방의 플랩(111C, 112C)을 크로치부(30a)의 측연부를 지나 속옷(30)의 외면에 겹치도록 꺾고 상기 플랩(111C, 112C)을 상기 감압 접착제층(23, 23)에 의해 상기 외면에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리대가 장착된 속옷(30)을 착용하면 이 속옷(30)의 크로치부(30a)가 착용자의 고간부 형상을 따라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다. 그 결과,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는 탄성 부재(15, 15)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그 세로 방향 치수가 줄어들도록 수축하여 자유 연부(111d, 112d)가 본체부(1)의 표면에서 떨어지도록 기립한다. 그리고, 상기 자유 연부(111d, 112d) 및 그 근방의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부에서 주로 회음부에 접촉한다.
여기서, 전방의 플랩(111B, 112B) 및 후방의 플랩(111C, 112C)이 함께 속옷(30)의 크로치부(30a)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와 상기 크로치부(30a)의 양측 연부와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기 어렵다.
속옷(30)을 끌어올리는 식으로 착용하면 크로치부(30a)에 위치한 생리대의 본체부(1)는 중앙선(O-O) 부분이 신체 방향으로 일어나도록 볼록형으로 변형하려고 하여, 그 결과 본체부(1)의 폭 치수가 줄어드는 식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이 때,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는 그 전후에 설치된 플랩이 크로치부(30a)의 측연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어려워,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가 액배설부 양측의 회음부 부근에서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체배출액 즉 경혈은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 사이의 액체 수용 영역(21)에서 확실하게 받아내어지게 되어,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를 넘어서 측방으로 흘러나오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는 크로치부(30a)의 양측 연부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가 체압에 의해서 불규칙하게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는 자유 연부(111d와 112d)가 약간 가로 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된 경사 상태를 유지하여, 이 상태 그대로 신체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상기 액체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와 신체의 고간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다.
또 생리대의 후방 부분이 신체의 둔부에 닿으면, 본체부(1)의 중앙 부분이 둔부의 홈으로 들어가도록 변형되기 쉽게 되는데, 이 때도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는 불규칙하게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는 회음부 부근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의 기립 기점이 되는 상기 기점 연부(113a, 114a)가 흡수층(4) 위에 위치하고 있다. 생리대의 폭 치수를 짧게 하는 변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는 어느 정도 높은 강성의 흡수층(4)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가 불규칙하게 변형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는 자유 연부(111d, 112d)가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가 중심선(O-O)을 향해 쓰러지는 일이 없고, 이로써 액체 수용 영역(21)에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가 겹치지 않아 액체 수용 면적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폭 치수(W1, W2, W3)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전방측의 플랩(111B, 112B)과 후방측의 플랩(111C, 112C)의 적어도 한 쪽 측에서의 상기 폭 치수(W3)를 10∼25 mm 정도로 하고, 상기 플랩(111B, 112B)과 플랩(111C, 112C)의 적어도 한 쪽을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8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 실시예의 생리대(100A)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A) 외연의 형상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체부(1)와 차이가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본체부(1A)에서는,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의 일부분이 본체부(1A)를 세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심보다도 전방 영역에서 폭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날개부(31, 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31, 32)의 이면에서는 이면 시트(3)의 외면에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으로 되는 감압 접착제층(33, 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31, 32)는 상기 이면 시트(3)와 상기 표면 시트(2)가 핫멜트 접착제로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를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 시트(20)의 기단부가 상기 날개부(31, 32)까지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31, 32)에 있어서 이면 시트(3)와 상기 액체 불투과 시트(20)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 도 8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액체 불투과 부재(111)의 고정부(113)가,흡수층(4)의 우측 연부(4c)와 본체부(1A)의 우측 연부(1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 부재(112)의 고정부(114)도 흡수층(4)의 좌측 연부(4d)와 본체부(1A)의 좌측 연부(1d)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날개부(31, 32) 이외의 각 부재의 형상 및 구조와,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와 액체 불투과 부재(112)의 고정부(113, 114)가 형성되어 있는 장소의 차이 이외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8에서는 이들 각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생리대를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장착할 때에는, 액체 수용 영역(21)의 이면측에 형성된 감압 접착제층(22, 22)을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고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날개부(31, 32)를 크로치부(30a)의 양측 연부를 감아들이도록 변형시켜 상기 날개부(31, 32)를 상기 감압 접착제층(33, 34)을 통해 속옷(30)의 외면에 고착시킨다.
또, 전방의 플랩(111B, 112B)과 후방의 플랩(111C, 112C)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로치부(30a)의 양측 연부를 감아들이도록 변형시켜 속옷(30)의 외면에 고착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A)가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있어서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시에 본체부(1A)의 양측 연부(1c, 1d)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더욱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가 중심측으로 다가가는 식의 변형이 더욱 생기기 어렵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생리대(100B)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각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의 형상 및 구조도 역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9에 도시하는 제4 실시예에서는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의 세로 방향의 치수(L14)가 길고, 또한 전방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길이(L15)의 플랩(111B, 112B)이 본체부(1)의 전연부(1a)를 넘어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후방 단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길이(L16)의 플랩(111C, 112C)도 본체부(1)의 후연부(1b)를 넘어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있다. 그리고, 플랩(111B, 112B)과 플랩(111C, 112C)은 그 거의 전체가 본체부(1)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샘 방지벽 형성부(111A, 112A)의 전방 도중에서 플랩(111B, 112B)에 걸친 부분과 플랩(111C, 112C)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가 본체부(1)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플랩(111B, 112B)과 플랩(111C, 112C)을 양측 쪽으로 쓰러트렸을 때에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를 넘어서 측방으로 길게 늘릴 수 있다. 따라서, 플랩(111B, 112B) 및 플랩(111C, 112C)을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외면으로 되접어 꺾기 쉽게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액체 불투과 부재(111)의 고정부(113) 및 액체 불투과 부재(112)의 고정부(114)가 흡수층(4)의 우측 연부(4c)와 좌측 연부(4d)보다도 외측에, 본체부(1)의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의 형상과 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으로 동일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의 전방 단부 영역과 후방 단부 영역의 양 영역에 플랩(111B, 112B) 및 플랩(111C, 112C)이 형성된 각 실시예의 생리대(100, 100A, 100B)의 구조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예, 제2예와 유사한 생리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플랩(111B, 112B) 및 플랩(111C, 112C)의 각각을 미리 본체부(1) 또는 본체부(1A)의 이면 시트(3)를 향해서 되접어 꺽어 두고 각각의 플랩을 핫멜트형 접착제나 히트시일 등에 의하여 상기 이면 시트(3)의 외면에 용이하게 이탈 분리할 수 없도록 강고히 고정해 두어 이와 같이 플랩이 고정된 것이 최종적인 제품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라도 좋다.
혹은, 플랩(111B, 112B) 및 플랩(111C, 112C)의 각각을 사용 전에 착용자 스스로에 의하여 본체부(1) 또는 본체부(1A)의 이면 시트(3)를 향해서 되접어 꺾고, 감압 접착제층(23) 등의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을 이용해 각각의 플랩과 이면 시트(3)를 고정하여 그 상태에서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내측에 장착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플랩(111B, 112B) 및 플랩(111C, 112C)을 본체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본체의 표면에 물결 상태 등의 변형이 생겼을 때에 액체 불투과 부재(111, 112)로 형성되는 샘 방지벽이 그 변형을 받기 어려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반대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생리대(10)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실시예의 생리대(10)를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설치했을 때에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를 좌우의 양 외측으로 되접어 꺾고, 플랩(11B, 12B)을 크로치부(30a)의 양연부를 감아 들이도록 변형시켜, 상기 플랩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층 등의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플랩을 속옷(30)의 외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사용 형태에서는 생리대(10)가 그 폭 치수가 줄어들도록 변형하더라도 액체 불투과 부재(11, 12)로 형성되는 샘 방지벽이 속옷(30)에 구속되어 변형하기 어려운 상기 제2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 단부 영역에만 형성된 플랩을 속옷(30)의 외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생리대로서의 보다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도 10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생리대(10A)에서는 본체부(1)의 형상 및 구조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조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액체 불투과 부재(11과 12)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L17인 샘 방지벽 형성부(11A, 12A)에서부터 세로 방향의 길이가 L19인 후방 단부(11C, 12C)에 걸친 범위에서 본체부(1)에 고정하는 고정부(13, 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단부(11C, 12C)에서는 액체 불투과 부재(11, 12)의 전체가 중심선(O-O')을 향해서쓰러트려진 상태로 본체부(1)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방향의 길이가 L8인 플랩(11B, 12B)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 부재(11, 12)는 본체부(1)에 고정되는 일이 없는 자유 상태로 되어 있고, 이 플랩에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으로서 감압 접착제층(23, 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생리대(10A)를 장착할 때에는 본체부(1)의 이면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층(22, 22)을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내면에 고착시키고 플랩(11B, 12B)을 좌우 양 외측으로 쓰러뜨려 이 플랩을 속옷(30)의 크로치부(30a)의 양측 연부에서 되접어 꺽어 속옷(30)의 외면에 고착한다.
도 10에서는 플랩(11B, 12B) 전체가 본체부(1)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이기 때문에, 이 플랩을 속옷(30)의 외면을 향해서 되접어 꺾기 쉽게 된다. 또한 플랩(11B, 12B)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L18)를 더욱 길게 하여 플랩(11B, 12B)이 본체부(1)의 전연부(1a)보다도 더욱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더욱 플랩을 속옷(30)의 외면으로 되접어 꺾기 쉽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 부재(11, 12 또는111, 112)를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 시트(20, 20)가 본체부(1)의 우측 연부(1c)와 좌측 연부(1d)까지 연장되고 있는 구조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에 한정되지 않고 속옷 또는 일회용 기저귀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소변 흡수 패드, 소변이나 대변을 포착하는 보조 패드 등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어서 각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상기 표면 시트(2)는 친수 처리된 PP 섬유, PE 섬유, PET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이며, 서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또한, 친수 처리되어 있지 않은 상기 합성 섬유 혹은 친수 처리된 상기 합성 섬유에 아세테이트레이온, 비스코스레이온, 코튼, 펄프 섬유 등과 같은 친수성의 천연 섬유 또는 재생 섬유가 5∼30 질량% 포함된 것이더라도 좋다. 혹은 개공 처리가 실시된 수지 시트라도 좋다.
상기 이면 시트(3)는 액체 불투과성의 수지 필름이나 발수 처리된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상기 흡수층(4)은 분쇄 펄프 혹은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 등에 의해 형성되어, 분쇄 펄프 혹은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이 티슈 등의 흡수성 시트로 둘러싸인 것이다.
상기 탄성 부재(15)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태로서는 실형, 필라멘트형, 필름형, 띠형(벨트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기타 엘라스틱 스펀본드 부직포나 엘라스틱 멜트블로 부직포 등의 신축성 부직포로부터 절단한 것 등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11, 12, 111, 112)를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 시트(20)는 발수 처리된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체 불투과 부재의 적어도 한 쪽 단부 영역에 본체부의 측연부를 말아들이는 플랩이 형성되어 있다.따라서, 본체부가 불규칙하게 변형하더라도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샘 방지벽이 이것을 따라 불규칙하게 쓰러지거나 변형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샘 방지벽의 기립 상태가 안정적이 되기 쉽다. 이로써 샘 방지벽에 의한 가로샘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Claims (9)

  1.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을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액체 불투과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각 액체 불투과 부재는 세로 방향에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단부 영역과 양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갖고 있고,
    각 액체 불투과 부재의 상기 중간 영역은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단축하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여 샘 방지벽을 형성하는 비고정부를 갖고 있고,
    각 액체 불투과 부재의 전방과 후방의 단부 영역의 적어도 한 쪽은 플랩을 지니며, 이 플랩이 상기 본체부의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연부를 지나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되접어 꺾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이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의 적어도 한 쪽에, 상기 플랩이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플랩과 상기 이면 시트를고정하는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속옷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은 상기 속옷의 외면을 향해 접어 구부릴 수 있으며, 상기 플랩에는 상기 속옷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착탈이 자유로운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의 한 쪽의 단부 영역에 상기 플랩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의 양단부 영역의 각각에 상기 플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플랩 전체가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서 이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연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 부재가 본체부로부터 이격될 때의 기립 기점이, 상기 흡수층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20049500A 2001-08-21 2002-08-21 흡수성 물품 KR20030017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0084 2001-08-21
JPJP-P-2001-00250084 2001-08-21
JPJP-P-2001-00281905 2001-09-17
JP2001281905 2001-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82A true KR20030017382A (ko) 2003-03-03

Family

ID=2662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500A KR20030017382A (ko) 2001-08-21 2002-08-2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40731A1 (ko)
EP (1) EP1285643A3 (ko)
KR (1) KR20030017382A (ko)
CN (1) CN14083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4959A1 (en) * 2003-12-09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asymmetric protective wing portions
US7662745B2 (en) 2003-12-18 2010-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s having high permeability
US7772456B2 (en) 2004-06-30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with low superaborbent shake-out
US7618404B2 (en) * 2005-06-23 2009-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doubled side flaps and backsheet strips
JP4976123B2 (ja) * 2006-12-27 2012-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08006155A (es) * 2008-05-09 2009-11-09 Grupo P I Mabe Sa De C V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amigable con el medio ambiente.
WO2010132000A1 (en) * 2009-05-12 2010-11-18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barrier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via a connecting member
JP4906935B2 (ja) * 2010-01-29 2012-03-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24869B2 (ja) * 2011-03-30 2016-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CN103099712B (zh) * 2013-02-06 2014-09-10 黄山富田精工制造有限公司 体液吸收用的卫生用品及其制造设备和制造方法
USD763441S1 (en) * 2014-12-04 2016-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DE112016002063T5 (de) 2015-06-24 2018-01-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ierender artikel mit mechanischer bekleidungsbefestigung
CN106309022A (zh) * 2015-06-29 2017-01-11 小护士(天津)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5687B1 (fr) * 1991-04-29 1998-10-23 Kaysersberg Sa Serviette periodique a soufflets lateraux.
CA2219047C (en) * 1991-10-01 2001-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CA2071961C (en) * 1992-01-13 1997-11-11 Masaki Murakami Sanitary napkin
JP3419476B2 (ja) * 1992-07-30 2003-06-23 サイティック株式会社 吸収体製品
BR9204863A (pt) * 1992-11-25 1994-03-01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intimo feminino descartavel
JPH07299093A (ja) * 1994-05-10 1995-11-14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着用物品
GB2296445B (en) * 1994-12-27 1998-12-30 Kao Corp Sanitary napkin
SE9702158L (sv) * 1997-06-06 1998-12-07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läckageskydd
US6375645B1 (en) * 1997-11-14 2002-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KR20000013499A (ko) * 1998-08-10 2000-03-06 문국현 부드럽고 안락한 측면 패널을 갖는 측면이 탄성화된 흡수 패드
SE517863C2 (sv) * 1999-01-22 2002-07-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vätskebarriä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40731A1 (en) 2003-02-27
CN1408332A (zh) 2003-04-09
EP1285643A3 (en) 2004-09-08
EP1285643A2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311B2 (en) Sanitary napkin
JP3262172B2 (ja) フラップと示差延伸性区域とを有する吸収性衛生製品
KR10077539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1225349B1 (ko) 생리용 냅킨
JP4148594B2 (ja) 吸収性物品
US6458113B2 (en) Absorbent article
PL173053B1 (pl) Wyrób chłonny i sposób wytwarzania wyrobu chłonnego
JP2002000656A (ja) 吸収性物品
JP2007275491A (ja) 吸収性物品
KR20020077282A (ko) 동적 착용감이 좋은 복합 생리대
AU774456B2 (en) Absorbent article
JP3902648B2 (ja) 下着の側部を自動的に覆う下着被覆構成要素を有する吸収物品
KR20030017382A (ko) 흡수성 물품
JP6761238B2 (ja) 吸収性物品
JP4173703B2 (ja) 吸収性物品
JP5149104B2 (ja) 吸収性物品
JP2007135943A (ja) 吸収性物品
JP6074184B2 (ja)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94127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149105B2 (ja) 吸収性物品
JP3662102B2 (ja) 吸収性製品
JP6620336B2 (ja) 吸収性物品
AU742352B2 (en) Sanitary absorbent article with flaps capable of gathering the undergarment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JP2024018560A (ja) 被包装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