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86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864A
KR20100123864A KR1020107020247A KR20107020247A KR20100123864A KR 20100123864 A KR20100123864 A KR 20100123864A KR 1020107020247 A KR1020107020247 A KR 1020107020247A KR 20107020247 A KR20107020247 A KR 20107020247A KR 20100123864 A KR20100123864 A KR 20100123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eet
crotch
liquid
side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미 오쿠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37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1300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93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79991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액투과성 표면 시트(1003)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1004)와, 표면 시트(1003)와 이면 시트(1004)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1005)로 구성되고,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L)으로 등측 영역(S11), 가랑이 아래 영역(S12), 배측 영역(S13)을 갖는 흡수성 본체(1002)와, 흡수성 본체(1002)의 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1010)를 구비한다. 흡수성 본체(1002)의 하면과 사이드 플랩부(1010)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1004)가 연속한 일체물로 구성된다. 사이드 플랩부(1010)의 폭 방향 단가장자리와 흡수체 측가장자리 사이에서 사이드 플랩부(1010)가 흡수성 본체(1002)의 하면보다 투습성을 갖는 고투습 영역(1006)을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소변 채집 패드 등에 이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 소위 포켓이 형성되는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해당 흡수체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를 액불투과성 부직포에 의해 형성함과 함께, 흡수체와 이면 시트 사이에 멜트 블로우층을 마련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에 되접음부를 형성하고, 이 되접음부에 액불투과성 부직포를 접착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되접음부는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표면 시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흡수체의 가로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같은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플랩부를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와는 별개의 부재인 복합 시트에 의해 형성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복합 시트는 두께가 5 ㎛ 이상, 20 ㎛ 미만의 불투수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평량이 10~25 g/㎡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0437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1113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7-2102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에서는, 누설 방지 기능에 한계가 있다. 표면 시트에 의해 가로막힌 체액에 대하여, 장착자의 심한 움직임에 따른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면, 체액이 표면 시트를 투과하여 표면 시트로부터 가로 누설이 발생한다. 특히, 무른 변과 같은 고점성이며 낮은 표면 장력의 유체에 대해서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에서는 스밈, 누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 하면과 동일한 물성의 필름을 이면 시트에 사용한 경우, 내수압을 높여 배설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체압이 걸리는 흡수체 하면에는, 핀홀이 발생하여 배설물이 새아나올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흡수체 하면에서는 필름을 두껍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체압이 쉽게 걸리지 않는 다른 부분까지도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고 있다. 그 결과, 흡수체 하면은 딱딱해져 촉감이 나쁘고 통기성도 좋지 않기 때문에, 답답함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와 측부의 사이드 플랩부를 접합시키기 때문에, 자재가 중복되어 불필요해진다. 또한, 흡수체와 측부에서 다른 자재를 배치하기 때문에, 자재 개수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가 복잡해진다. 또한, 흡수체와 사이드 플랩부가 접합에 의하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떨어진 경우에는,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새어나올 위험성이 있다.
이상으로부터, 어느 쪽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도, 스밈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답답함을 경감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스밈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통기성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흡수성 물품[예컨대, 기저귀(1001A)]은 액투과성 표면 시트[표면 시트(1003)]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이면 시트(1004)]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흡수체(1005)]로 구성되고,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길이 방향(L)]으로 등측 영역[등측 영역(S11)], 가랑이 아래 영역[가랑이 아래 영역(S12)], 배측 영역[배측 영역(S13)]을 갖는 흡수성 본체[흡수성 본체(1002)]와,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사이드 플랩부(1010)]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성 본체의 하면과 사이드 플랩부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가 연속한 일체물로 구성되고, 사이드 플랩부의 폭 방향 단가장자리와 흡수체 측가장자리 사이에서 사이드 플랩부가 흡수성 본체의 하면보다 투습성을 갖는 고투습 영역[고투습 영역(100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하면과 사이드 플랩부측의 이면 시트를 일체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은 스밈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부가 고투습 영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은 통기도, 투습도가 증가해서 답답함을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밈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통기성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1-B1선 단면도이다.
도 5는 고투습화의 거리를 나타내는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고투습화의 거리를 나타내는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연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종래예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 12(b)는 다른 종래예의 기저귀의 전개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고,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고, 도 13의 A2-A2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고, 도 13의 B2-B2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고, 착용시의 도 13의 B2-B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연신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고, 도 18(a)는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아래 영역의 중앙을 외측으로 인장하기 전의 평면도, 도 18(b)는 한쪽의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아래 영역 중앙의 단부를 외측으로 인장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기저귀(1001A)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인 기저귀(1001A)는 흡수성 본체(1002)와, 흡수성 본체(1002)의 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10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흡수성 본체(1002)의 폭 방향(W)이란, 기저귀(1001A)를 평면에서 보아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흡수성 본체(1002)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1003)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1004)와, 표면 시트(1003)와 이면 시트(1004)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1005)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003)에 있어서, 그 폭 방향(W)의 양단부는, 흡수체(1005)를 감싸도록 접어 넣어져 있다. 표면 시트(1003)가 접힌 개소 및 흡수체(1005)는 이면 시트(1004)에 핫멜트 등의 풀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표면 시트(1003)로서는, 친수성 부직포,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를 갖는 소수성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량이 10 g/㎡인 SMS(스펀 본드와 멜트 블로우의 복합 부직포, 이하 SMS라고 기재함.)가 표면 시트(1003)로서 이용되고 있다.
흡수체(1005)는 액체 흡수 유지성을 갖는 적층체이다. 흡수체(1005)는 흡수성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면 시트(1004)는 무기 재료를 충전재로서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액불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액불투과성 필름에는, 약 50 중량%의 탄산칼슘을 충전재로서 포함하고, 평량이 22.0 g/㎡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투습성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외에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투습성 시트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외에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1002)의 하면과 사이드 플랩부(1010)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1004)가 연속한 일체물로 구성된다. 즉, 사이드 플랩부(1010)는 이면 시트(1004)를 흡수체(1005)의 하면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시킨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부(1010)는 흡수체(1005)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사이드 플랩부(1010)에는, 흡수성 본체(1002)의 하면보다 투습성을 갖는 고투습 영역(1006)이 마련된다. 도 1에 있어서, 고투습 영역(1006)은 높은 투습성을 구비하고 있다. 고투습 영역(1006)은 흡수성 본체(1002)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다. 고투습 영역(1006)의 투습도는 흡수성 본체(1002)의 하면측 투습도에 대하여 1.3~2.5배 이상으로, 액체가 누설되는 일이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액체가 누설되는 일이 없도록 설정된다는 것은, 액체가 누설되는 일이 없는 범위 내에서 고투습 영역(1006)의 투습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고투습 영역(1006)은 액불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플랩부(1010)를 폭 방향(W)으로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이하, 연신 가공이라 기재함.). 연신 가공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1-2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사이드 플랩부(1010)의 폭 방향 외측에는, 액불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장 시트(1011)가 마련된다. 외장 시트(1011)의 측가장자리부에는, 탄성 부재(1012)가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된 개더부가 마련된다. 개더부는 사이드 플랩부(1010)의 고투습 영역(1006)보다 투습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저귀(1001A)에서의 투습도의 관계는 「흡수성 본체(1002)의 하면<고투습 영역(1006)<개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1005)의 하면에는, 액불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1004)가 있기 때문에, 기저귀(1001A)는 체액 등의 스밈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부(1010)를 폭 방향(W)으로 연신함으로써, 연신된 폭만큼 액불투과성 시트[이면 시트(1004)]가 늘려진다. 그 결과, 충전재에 의한 미(微)개공의 구멍 직경이 커져 고투습화된다. 고투습화에 의해 통기도, 투습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저귀(1001A)는 기저귀(1001A) 내의 답답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연신 가공에 의해 자재가 유연화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사용감이 향상된다.
(제1-2 실시 형태)
도 2~도 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기저귀(1001B)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1-B1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고투습화의 거리를 나타내는 기저귀(1001B)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연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저귀(1001B)는 제1-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흡수성 본체(1002)와, 흡수성 본체(1002)의 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1010)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1002)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1003)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1004)와,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1005)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1005)는 표면 시트(1003)와 이면 시트(100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02)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L)을 따라 등측 영역(S11), 가랑이 아래 영역(S12), 배측 영역(S13)을 갖고 있다. 흡수성 본체(1002)는 착용자의 등측, 가랑이 아래측 및 배측을 덮는다.
이면 시트(1004)는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를 접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1004)가 사이드 플랩부(1010)를 형성하고 있다.
사이드 플랩부(1010)의 측가장자리부에 탄성 부재(1012)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부(1010)에 있어서, 외장 시트(1011)와 액불투과성 시트(1013)가 겹쳐지는 부분에 대하여 폭 방향(W)으로 연신 가공을 행한다. 사이드 플랩부(1010)에 있어서, 연신 가공이 행해진 부분은 고투습화하여 고투습 영역(1006)이 된다.
표면 시트(1003)는 액투과성 시트이다. 표면 시트(1003)로서는, 친수성 부직포,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등 외에 개구를 갖는 소수성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1003)로서, 평량이 10 g/㎡인 SMS가 이용되고 있다.
이면 시트(1004)에 있어서의 액불투과성 시트(1013)는 무기 재료를 충전재로서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액불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액불투과성 시트(1013)는, 투습의 액불투과성 필름이나 이 액불투과성 필름에 부직포를 접합시킨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불투과성 시트(1013)는 약 50 중량%의 탄산칼슘을 충전재로서 포함하고, 평량이 22.0 g/㎡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투습성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충전제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1013)에 이용하는 수지에는, 폴리에틸렌 외에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가 있다.
이면 시트(1004)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1011)는 액불투과성 시트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량이 13 m/㎡인 SMS를 이용하고 있다. 외장 시트(1011)는 흡수성 본체(1002)의 측방에서 이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101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탄성 부재(1012)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1013)는 흡수체(1005)의 측부 바깥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는 감열성 접착제(이하, HMA)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흡수체(1005)는 액체 흡수 유지성의 적층체이다. 흡수체(1005)는 흡수성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등측 영역(S11)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부(1010)의 폭 방향 외측에는, 허리 플랩부(1014)가 마련된다. 허리 플랩부(1014)는 액투과성 또는 액불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진다. 허리 플랩부(1014)는 흡수성 물품(1001B)을 배측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기계 걸림이나 점착 테이프 등의 걸림 부재(1015)를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장 시트(1011)와 액불투과성 시트(1013)를 HMA 등에 의해 접합시켜 이면 시트(1004)를 형성했다. 그 후, 외장 시트(1011)에 탄성 부재(1012)로서의 폴리우레탄계 탄성 실 470 dtex를 한쪽당 2줄씩 배율 2.2배로 신장한 상태로 배치하고, 탄성 실을 외장 시트(1011)로 감싼다. 또한, 사이드 플랩부(1010)의 길이 방향(L) 중앙 영역에 있어서 외장 시트(1011)가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겹쳐지는 부분을 폭 방향(W)으로 연신 가공했다. 흡수체(1005)를 연신 가공한 후의 이면 시트(1004)에 배치했다. 이 가공 순서 이외의 순서라도 좋다.
다음에, 사이드 플랩부(1010)에 마련한 고투습 영역(1006)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투습 영역(1006)은 액불투과성 시트(1013) 및 외장 시트(1011)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1004)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고투습 영역(1006)은 사이드 플랩부(1010)의 폭 방향 단가장자리와 흡수체(1005)의 측단 사이에 마련된다. 고투습 영역(1006)은 이면 시트(1004)를 연신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는 연신 가공을 행하는 부위를 나타낸다. 기저귀(1001B)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가 470 mm인 경우, 이면 시트(1004)는, 흡수체(1005)의 측부에서 폭 방향 외측으로 5 mm 떨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폭 방향 외측으로 20 mm의 폭으로 더 연신 가공을 행한다. 흡수체(1005)의 길이 방향(L)에 대해서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신 가공을 행한다. 또, 연신 가공을 행하는 부위의 길이 방향(L)의 길이에 대해서는, 기저귀의 길이, 흡수체(1005)의 폭 등에 의해 설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약 요건이 되지 않는다. 오픈 타입 기저귀 또는 팬츠 타입 기저귀의 경우에는, 길이 방향 전후로 배치된 사이드 플랩부 사이(팬츠의 경우는 전후 패널 사이)의 길이 전체에 걸쳐 고투습 영역(1006)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시트(1011)와 액불투과성 시트(1013)를 HMA 등으로 접착하여 이면 시트(1004)로 한 후, 도 7에 나타내는 연신 장치(1030)를 이용하여 연신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장치(1030)는 서로 대향하고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연신 날열부(1031)를 갖는다. 이 한 쌍의 연신 날열부(1031)는, 날의 깊이가 2.5 mm, 상하 날의 피치 사이가 1.25 mm, 상하 날의 개수가 17개이다. 연신 날열부(1031)의 설정 온도를 90℃로 해서 연신 가공을 사이드 플랩부(1010)의 일부에 행한다. 연신 가공을 행함으로써, 고투습 영역(1006)은, 연신 전과 비교한 경우에 1.8배로 연신된다. 구체적으로, 고투습 영역(1006)은, 연신 전의 투습도 평균값 1935(Pa·24 hrs)가 연신 후에는 3191(Pa·24 hrs)로 약 1.65배로 고투습화된다(표 1 참조).
연신 가공시에 있어서는, 날을 가열함으로써 이면 시트(1004)가 연화되고, 저평량화되기 쉽기 때문에, 핀홀을 쉽게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적정한 가열 온도는 자재 융점의 20~3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액불투과성 시트(1013)의 재료 융점을 넘는 온도로 가열하면, 액불투과성 시트(1013)가 용융하여,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면 시트(1004)는 스파이럴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HMA를 직경 15 mm의 크기이며 평량이 5 g/㎡가 되도록 도포하고, 평량이 22.0 g/㎡인 투습 필름[액불투과성 시트(1013)]과, 평량이 13 g/㎡인 액투과성 SMS[외장 시트(1011)]를 접합시킨 것이다. 표 1은 이 연신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도 5 및 도 6은 연신(고투습화)하는 거리를 나타낸다. 연신 가공되는 사이드 플랩부(1010)의 폭은, 기저귀(1001B)를 펼친 상태에서 흡수체(1005)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10)의 가장 흡수체(1005)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012)의 내측 근방까지의 폭(X)으로 한다(도 5). 사이드 플랩부(1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을 폭 방향(W)으로 늘린 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체(1005)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10)의 가장 흡수체(1005)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012)의 내측 근방까지의 폭(Y)으로 한다(도 6). 폭(Y)은 폭(X)에 대하여 1.5배~3.0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Y)이 폭(X)에 대하여 1.5배 미만인 경우는, 고투습 영역(1006)의 연신 폭이 작기 때문에, 기저귀의 장착시에 사이드 플랩부(1010)가 기립하더라도 높이를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피부와 탄성 부재(1012) 배치 부분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간극으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폭(Y)이 폭(X)에 대하여 3.0배보다 큰 경우는, 고투습 영역(1006)의 연신 폭이 크기 때문에, 연신에 의해 고투습화가 진행된다. 그 결과, 자재가 손상받기 쉽고, 찢김이나 구멍이 생기는 등의 자재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재가 파손된 경우에는, 배설물이 파손부로부터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연신 영역[고투습 영역(1006)]에 있어서의 투습도에 대해, 연신 가공 전의 투습도에 대하여 연신 가공 후의 투습도는 1.3~2.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신 가공 전의 투습도란, 다시 말하면 흡수체 하면측의 투습도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리고, 연신 가공 전후에서의 투습도의 차가 1.3배 미만인 경우, 투습도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연신 가공 전과 거의 변화가 없어, 기저귀 내의 답답함 저감 효과가 낮아진다.
또, 연신 가공에 알맞은 액불투과성 시트(1013)는, 필름 파단 신도가 7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단 신도가 750% 미만의 필름에서는, 연신 가공에 의해 핀홀이 발생하기 쉽다. 핀홀의 발생은, 누설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플랩부(1010)에 연신 가공을 행함으로써, 연신된 폭만큼 이면 시트(1004)가 늘려진다. 그 결과, 충전재에 의한 미개공의 구멍 직경이 커져, 연신 가공이 행해진 고투습 영역(1006)은 고투습화된다. 이 때문에, 고투습 영역(1006)은 연신 가공을 행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비해 자재의 평량이 저하되어 투습도가 증가한다(소위 고투습화). 또한, 고투습 영역(1006)은, 고투습화함으로써 고투습 영역(1006)을 구성하는 자재가 유연화된다. 또한, 기저귀(1001b)는, 연신된 폭만큼 탄성 부재(1012)의 배치면을 액투과성 시트의 표면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1001b)는 연신 가공을 행하지 않은 기저귀에 비해 체액을 수용하는 포켓(1016)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저귀(1001b)는,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를 접합시켜 이면 시트(1004)로 하고, 이면 시트(1004)에 있어서의 흡수체(1005) 측가장자리의 사이드 플랩부(1010)에 고투습화된 고투습 영역(1006)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1001b)는 사이드 플랩부(1010)에 필름 소재를 배치한 구조가 되고, 내수압이 높아져, 체액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더해, 기저귀(1001b)는 고투습화의 효과에 의해 통기성·투습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기저귀 내의 답답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신 가공에 의해 유연한 영역이, 기저귀(1001b)의 내측 표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플랩부(1010)에 형성된다. 기저귀(1001b)의 내측 표면이 유연하기 때문에, 기저귀(1001b)는 연신 가공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기저귀에 비해 장착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001b)의 내측 표면이 유연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1012)의 신축성이 높아지고, 사이드 플랩부(1010)의 기저귀 위쪽으로의 기립이 좋아진다. 이 때문에, 기저귀(1001b)는 신체에 피트되기 쉽고 배설물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기저귀(1001b)는, 착용 중에 체압이 가장 걸리는 흡수체(1005)의 하면에는 고투습 영역을 배치하지 않고, 흡수체(1005)의 하면은 고투습 영역(1006)보다 내수압을 높게 하고 있다. 따라서, 기저귀(1001b)를 장시간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저귀(1001b)는 흡수체(1005)의 하면으로부터 배설물이 스며 나오거나 습기가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속옷이나 이불을 젖은 상태로 하지 않는다.
제1-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저귀(1001b)는, 사이드 플랩부(1010)와 흡수체(1005)의 하면에 있어서 동일한 폭 방향(W)으로 연속한 자재를 배치하면서 각각 다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플랩부(1010)는 통기성과 투습성이 우수하고, 흡수체(1005)의 하면은 내수압이 우수하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면 시트(1004)를 구성하는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의 접착은, 스파이럴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HMA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럴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HMA로 접착하면, 자재끼리를 부분적으로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면적이 저밀도이다. 접착 면적이 저밀도인 경우, 액불투과성 시트(1013)의 연신시의 신장은 외장 시트(1011)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연신 가공에 의한 자재 파손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 커튼 코팅 HMA와 같이, 접합시키는 자재끼리의 접착 면적이 고밀도인 경우, 액불투과성 시트(1013)의 연신시의 신장은 외장 시트(1011)에 의해 저해된다. 즉, 접착 면적이 고밀도인 상태에서, 연신 가공을 행하면 자재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또, HMA로 접착하는 경우, 연신 전에 HMA를 가열하여, 연화된 HMA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부재(1012)는, 이면 시트(1004)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부(1010)의 연신 가공을 행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하고 있으면 좋다. 탄성 부재(101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기저귀의 기능 및 설계에 의해 다르더라도 좋다. 사이드 플랩부(1010)에 탄성 부재(1012)를 복수 개 배치하고, 탄성 부재(1012)를 배치하는 영역을 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착용자에게 접촉시키는 경우, 가장 흡수체(1005)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012)는, 고투습 영역(1006)과 비고투습 영역의 경계선 근방의 비고투습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고투습 영역(1006)과 비고투습 영역의 강성 차에 의해, 고투습 영역(1006)과 비고투습 영역의 경계선을 접음선으로서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접음선에 의해, 비고투습 영역은, 일으켜지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부(1010)의 탄성 부재(1012)를 배치하는 영역과 피부와는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피트된다. 이에 따라, 기저귀(1001b)는 시일성이 높아진다.
또, 이하의 제1-3~1-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1, 1-2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3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의 기저귀(1001C)에서는, 이면 시트(1004)가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를 접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003)는 흡수체(1005)를 덮고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표면 시트(1003)는 친수성의 액투과성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표면 시트(1003), 액불투과성 시트(1013) 및 외장 시트(1011)는 접착되어 있다. 접착 부분은 연신 가공(고투습화)되어 있다. 즉, 고투습 영역(1006)은 액불투과성 시트(1013)와, 외장 시트(1011)와, 표면 시트(1003)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001C)는,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체(1005)의 측부로부터 사이드 플랩부(1010)의 고투습 영역(1006)으로 유출된 체액을 친수성 액투과성 시트[표면 시트(1003)]에서 흡수체(1005)로 재차 유도할 수 있다.
(제1-4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의 기저귀(1001D)에서는, 사이드 플랩부(1017, 1018)가 한 쪽에 2열씩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2열의 사이드 플랩부(1017, 1018) 각각에 대하여 연신 가공(고투습화)이 행해져 있다. 흡수체(1005) 측부에 2개의 사이드 플랩부(1017, 1018)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001D)는 2중으로 누설 방지 성능을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면 시트(1004)를 구성하는 액불투과성 시트(1013)가 사이드 플랩(1018)에 덮어지기 때문에, 기저귀(1001D)는 촉감도 양호해진다.
(제1-5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의 기저귀(1001E)에서는, 사이드 플랩부(1010)가 안쪽으로 쓰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연신 가공(고투습화)이 행해져 있다. 기저귀(1001E)는,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체(1005) 표면이 사이드 플랩부(1010)에 덮어지기 때문에, 흡수체(1005)가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배설물이 피부로 되돌아가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제1-6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의 기저귀(1001F)에서는, 고투습 영역(1006)의 길이 방향(L)을 따른, 중앙부(1006a)와 단부(1006b)에 있어서, 중앙부(1006a)가 단부(1006b)보다 더 넓은 영역에서 고투습화되어 있다. 중앙부(1006a)가 단부(1006b)보다 더 넓은 영역에서 고투습화되기 때문에, 중앙부(1006a)의 포켓 폭이 단부(1006b)의 포켓 폭보다 넓어진다. 즉, 기저귀(1001F)는, 배설물이 체류하기 쉬운 가랑이 아래 영역의 용적을 넓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1001F)는 기저귀로부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로 하기 위한 가공으로서는, 단부(1006b)와 중앙부(1006a)의 압입 날의 높이를 바꾼다. 즉, 중앙부(1006a) 날의 압입 높이를 단부(1006b)의 그것보다 높게 함으로써 중앙부(1006a)를 단부(1006b)보다 고투습화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1006a)를 단부(1006b)보다 폭 방향(W)으로 넓은 면적에서 고투습화하는, 즉 고투습화하는 본래의 면적을 중앙부(1006a)와 단부(1006b)에서 바꿈으로써, 중앙부(1006a)를 단부(1006b)보다 고투습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 기저귀는 고투습화(연신 가공)된 부위를 흡수체(1005) 측부에 갖지만, 오픈 타입의 기저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저귀는,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기저귀 본체를 한번 접어 등측·배측의 양 사이드를 걸림 고정한 팬츠 타입이라도 좋다. 이러한 기저귀에 의하면, 배설물이 체류하기 쉬운 고간부의 용적을 넓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로부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생리대나 소변 채집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면 시트(1004)에 이용하는 액불투과성 시트(1013)로서는, 약 50 중량%의 탄산칼슘을 충전제로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필름으로서, 필름의 제조 가공 도중에 연신하여 미다공질을 형성함으로써, 기저귀 가공시의 고투습화 이전보다 투습성을 갖는 필름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필름으로서, 20~70 중량%의 탄산칼슘을 충전제로서 포함하고, 평량이 15~40 g/㎡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제조 가공 도중에 거의 미연신인 비투습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저귀 가공시에 행해지는 연신 가공에 의해 연신된 폭만큼 이면 시트(1004)가 늘려지고, 필름은 충전제에 의해 미개공이 형성되어 투습성이 부여된다.
흡수체(1005) 하면의 체압이 걸리기 쉬운 부분에서는, 필름은, 미다공질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수압을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액불투과성 시트(1013)로부터 액이 스며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으로서 투습성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투습성 필름에 이용되는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불소 수지를, 예컨대, 용융 제막 연신법에 의해 20~40 ㎛의 두께로 성형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8-093816호(2008년 3월 31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배경기술]
종래, 착용자의 피부와 가랑이 아래 영역 사이에 소위 포켓이 형성되는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4). 이 기저귀(2100)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투과성 톱 시트(2101a)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도시하지 않음)와,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2101c)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2101)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2101c)는 톱 시트(2101a)와 백 시트(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101)는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등측 영역(S21), 가랑이 아래 영역(S22), 배측 영역(S23)을 가지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를 중심으로 등측에서 배측을 덮는다. 이 흡수성 본체(2101)의 폭 방향 양측에는, 톱 시트(2101a)와 백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연장됨으로써 사이드 플랩부(2110)가 마련된다. 이 각 사이드 플랩부(21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신장 상태로 탄성 부재(2120)가 마련된다. 또한, 각 사이드 플랩부(2110)의 배측 영역(S23)에는, 되접음부(2130)가 마련된다.
이 종래예의 기저귀(2100)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각 사이드 플랩부(2110)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2120)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밀착함과 함께, 각 사이드 플랩부(21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폭 치수가 배측 영역(S23)의 폭 치수에 비해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공간, 소위 포켓이 생긴다. 이 포켓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뇨, 변 등을 가로 누설 없이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종래예의 기저귀(2150)로서는, 특허문헌 5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기저귀(2150)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투과성 톱 시트(2151a)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2151b)와,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2151c)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본체(2151)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2151c)는, 톱 시트(2151a)와, 백 시트(215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151)는,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등측 영역(S21), 가랑이 아래 영역(S22), 배측 영역(S23)을 가지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를 중심으로 등측에서 배측을 덮는다. 이 흡수성 본체(2151)의 폭 방향 양측에는, 신장 상태로 한 쌍의 탄성 부재(2152)가 마련된다. 각 탄성 부재(2152)는,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서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탄성 부재(2152)의 간격은, 등측 영역(S21) 및 배측 영역(S23)에서 좁고,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서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 밖의 종래예의 기저귀(2150)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흡수성 본체(2151)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2152)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밀착함과 함께, 흡수성 본체(2151)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서는 한 쌍의 탄성 부재(2152)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공간, 소위 포켓이 생긴다. 이 포켓에 의해, 상기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뇨, 변 등을 가로 누설 없이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2-199802호 공보(제6 페이지, 도 4, 도 5)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242645호 공보(제8 페이지, 도 1, 도 2)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기한 2개의 종래예에서는, 착용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 포켓을 형성하기 위해, 포켓을 형성하지 않는 것에 비해 기저귀(2100, 2150)의 폭 방향만큼 여분으로 자재가 필요하다.
또한, 전자의 종래예에서는, 각 사이드 플랩부(2110)에 되접음부(2130)를 마련하기 때문에, 제조시의 가공이 번거롭고 제조 비용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후자의 종래예에서는, 한 쌍의 탄성 부재(2152)를 곡선 형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시의 가공이 번거롭고 제조 비용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소위 포켓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 가공의 용이화,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하를 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액투과성 톱 시트[톱 시트(2003)]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백 시트(2004)]와, 톱 시트와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흡수체(2005)]로 적어도 구성되고,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길이 방향(L)]으로 등측 영역[등측 영역(S21)], 가랑이 아래 영역[가랑이 아래 영역(S22)], 배측 영역[배측 영역(S23)]을 갖는 흡수성 본체[흡수성 본체(2002)]와, 흡수체 본체의 폭 방향[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사이드 플랩부(2010)]와, 각 사이드 플랩부의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마련된 한 쌍의 탄성 부재[예컨대, 탄성 부재(a)]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예컨대, 기저귀(2001A)]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부의 흡수성 본체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연신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예컨대,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이 마련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착용자가 착용하면, 각 사이드 플랩부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밀착함과 함께, 각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아래 영역의 신장 가능한 폭 치수가 한 쌍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에 의해 등측 영역이나 배측 영역의 사이드 플랩부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에 소위 포켓이 생긴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각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아래 영역을 폭 방향으로 연신시켜 마련했기 때문에,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가랑이 아래 영역에 소위 포켓을 형성하지 않는 기저귀와 동일한 폭의 자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이드 플랩부에 되접음부를 마련하지 않고, 각 사이드 플랩부에 탄성 부재를 곡선형으로 마련하지 않으며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포켓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 가공의 용이화,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하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근처의 다리 주위를 덮는 각 사이드 플랩부의 개소가 얇고 부드러운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이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부는, 장착 위화감이 낮고, 착용자의 다리 운동에 대한 추종성이 좋으며, 흡수성 본체에 대하여 기립하기 쉽고, 각 사이드 플랩부의 외주를 지나치게 체결하지 않더라도 다리 주위에 밀착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1 실시 형태)
도 13~도 18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기저귀(2001A)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2-A2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2-B2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착용 상태의 기저귀(2001A)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연신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8(a)는, 기저귀(2001A)의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아래 영역의 중앙을 외측으로 인장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18(b)는 기저귀(2001A) 한쪽의 사이드 플랩부의 가랑이 아래 영역 중앙의 단부를 외측으로 인장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인 기저귀(2001A)는 흡수성 본체(2002)와, 흡수성 본체(2002)의 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2010)와,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2010)의 등측 폭 방향(W)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등측 허리 플랩부(2020)와,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2010)의 배측 폭 방향(W)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배측 허리 플랩부(2021)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2002)는 액투과성 톱 시트(2003)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2004)와, 톱 시트(2003)와 백 시트(2004)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2005)로 적어도 구성된다. 기저귀(2001A)는 등측 및 배측이 결정되어 있고, 등측에서 배측을 향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순서대로 등측 영역(S21), 가랑이 아래 영역(S22), 배측 영역(S23)이 마련된다. 흡수성 본체(2002)는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L)으로 등측 영역(S21), 가랑이 아래 영역(S22), 배측 영역(S23)를 갖고 착용자의 등측과 가랑이 아래측과 배측을 덮는다.
톱 시트(2003)는 그 폭 방향(W)의 양단부가 흡수체(2005)를 감싸도록 접어 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접어 넣어진 톱 시트(2003)의 개소와 흡수체(2005)가 백 시트(2004)에 핫멜트 등의 풀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톱 시트(2003)는 친수성 부직포,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를 갖는 소수성 부직포, 평량이 10 g/㎡인 스펀 본드법/멜트 블로우법/스펀 본드법으로 제조된 적층 부직포(이하, SMS라고 기재함.) 등으로 형성된다.
백 시트(2004)는 투습 또는 비투습성 필름, 이러한 필름에 부직포를 접합시킨 시트 등으로 형성된다. 흡수체(2005)는 액체 흡수 유지성을 갖는 적층체이다. 흡수체(2005)는 흡수성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2010)는 흡수성 본체(2002)의 폭 방향(W)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백 시트(2004)와, 액불투과성 외장 시트(2011)로 구성되어 있다. 외장 시트(2011)는 흡수성 본체(2002)의 이면과 백 시트(2004)에 중첩하여 배치된다.
백 시트(2004)와 외장 시트(2011) 사이는 핫멜트 등의 풀로 접합되어 있다. 외장 시트(2011)는 백 시트(2004)보다 폭 방향(W) 치수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 전역과,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 연속하는 등측 영역(S21) 및 배측 영역(S23)의 일부 영역에는, 길이 방향(L)으로 신장 상태에서 4열의 탄성 부재(2012a~2012d)가 마련된다.
외측 3열의 탄성 부재(2012a~2012c)는 백 시트(2004)보다 폭 방향(W)으로 길게 형성된 외장 시트(2011)의 양측부에 마련된다.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012d)는 흡수성 본체(2002)의 측가장자리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012a)의 거의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2012d)는 외장 시트(2011)와 백 시트(2004) 사이에 마련된다. 각 탄성 부재(2012a~2012d)는, 예컨대 폴리우레탄계 탄성 실이다.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이고, 흡수성 본체(200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012a)와의 사이에는, 폭 방향(W)으로 연신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흡수성 본체(2002)와 외측에서 3열 번째의 탄성 부재(2012c)와의 사이에 마련된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연신 가공에 의해 다른 영역보다 저평량화된 영역이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에는, 사이드 플랩부(2010)의 폭 방향(W)을 따라 연신량이 작은 밀(密)부(부호를 붙이지 않음)와 연신량이 큰 조(粗)부(부호를 붙이지 않음)가 교대로 마련된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연신 전의 폭과 비교한 경우에 1.5~3.0배의 범위로 연신되어 있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시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는다. 즉,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투과율은, 외부에서 내부를 투과할 수 있는 투과율이다. 광의 투과율은, 연신 가공에 의해 3% 이상 상승하고, 광의 투과율이 61% 이상(JIS 규격의 K7105에 준거하여 측정)이면,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흡수성 본체(2002)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012a)와의 사이에 걸쳐 사이드 플랩부(2010)의 폭 방향(W)으로 마련된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전 범위에 걸쳐 사이드 플랩부(2010)의 길이 방향(L)으로 마련된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등측 영역(S21)이나 배측 영역(S23)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구체적인 제작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술한다.
허리 플랩부는, 한 쌍의 등측 허리 플랩부(2020)와 한 쌍의 배측 허리 플랩부(2021)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등측 허리 플랩부(2020)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2010)의 등측 영역(S21)에 일단측이 고정되어 있다. 각 등측 허리 플랩부(2020)의 선단측에는, 걸림부(2022)가 마련된다.
각 걸림부(2022)는 기계적인 걸림력으로 걸리는 면 패스너나 점착력에 의해 걸리는 점착 테이프이다. 걸림부(2022)를 면 패스너로 하는 경우에는, 배측 허리 플랩부(2021)의 소재는 적어도 표면이 부직포인 시트 소재가 된다.
다음에,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제작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사이드 플랩부(2010)는 스파이럴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감열성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등. 이하, HMA라고 기재함.)를 직경 15 mm의 크기이고 평량이 5 g/㎡가 되도록 도포하여, 백 시트(2004)와 외장 시트(2011)를 접합시킨 것이다. 또, 백 시트(2004)는 평량이 23.5 g/㎡인 비통기성 필름이다. 또한, 외장 시트(2011)는 평량이 13 g/㎡인 SMS이다.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을 형성하는 연신 장치(203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고,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연신 날열부(2031)를 갖는다. 각 연신 날열부(2031)는, 날의 깊이가 2.5 mm, 한 쌍의 날의 피치 사이가 1.25 mm, 날 수가 17개로 설정된다. 연신 장치(2030)는 연신 날열부(2031)의 설정 온도를 100℃로 해서 연신 가공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신함으로써,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연신 전과 비교한 경우에 1.8배로 연신할 수 있다.
연신 장치(2030)로 연신함으로써,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에는 연신량이 작은 밀부와 연신량이 큰 조부가 사이드 플랩부(2010)의 폭 방향(W)으로 교대로 마련된다.
연신량은 상기한 제 조건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가변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중앙을 외측으로 인장하기 전[도 18(a)]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폭(W21)에 대하여, 도 18(b)의 폭(W22)이 1.5~3.0배의 범위에 있다.
또, 폭(W22)은, 한쪽의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 중앙의 단부를 외측으로 인장한 상태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폭이다. 즉, 폭(W22)이 폭(W21)에 대하여 연신 비율(1.5~3.0배)만큼 신장 가능해진다. 따라서,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은 등측 영역(S21)이나 배측 영역(S23)의 폭 치수에 비해 연신 비율(1.5~3.0배)만큼 최대로 신장 가능해진다.
외부에서 내부가 투과되는 투과율은, 사이드 플랩부(2010)의 시트 소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시트 소재의 종류에 따라 연신량을 조정하여, 외부에서 내부가 투과되는 투과율을 얻는다.
상기 구성의 기저귀(2001A)를 착용자가 착용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외주가 각 탄성 부재(2012a, 2012b)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밀착한다. 또한,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신장 가능한 폭 치수가, 한 쌍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에 의해 등측 영역(S21)이나 배측 영역(S23)의 사이드 플랩부(2010)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공간, 소위 포켓(P)이 생긴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을 폭 방향(W)으로 연신시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 소위 포켓(P)을 형성하지 않는 기저귀와 동일한 폭의 자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2001A)는, 종래예와 같이 각 사이드 플랩부(2010)에 되접음부를 마련하지 않고, 또한, 다른 종래예와 같이 각 사이드 플랩부(2010)에 탄성 부재(2012)를 곡선 형상으로 마련하지 않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포켓(P)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기저귀(2001A)는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 가공의 용이화,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하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2001A)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근처의 다리 주위를 덮는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개소가 얇고 부드러운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이기 때문에, 기저귀(2001A)에 있어서, 장착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고, 착용자의 다리 운동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흡수성 본체(2002)에 대하여 기립이 용이하고,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외주를 지나치게 체결하지 않고 다리 주위에 밀착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흡수성 본체(2002) 측가장자리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012a) 사이를 폭 방향(W)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보다 흡수성 본체(2002)측의 영역에도 마련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기저귀(2001A)를 착용한 경우에는, 강성 차가 있는 위치, 즉, 흡수성 본체(2002)와 사이드 플랩부(2010)의 경계 위치로부터 굴곡되기 시작하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개소가 유연성이 있는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립 특성이 좋아, 소위 포켓(P)이 형성되기 쉽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저귀(2001A)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2010)의 등측 영역(S21)과 배측 영역(S23)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등측 허리 플랩부(2020) 및 배측 허리 플랩부(2021)를 갖는다. 그리고,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범위 내에만 마련된다. 따라서, 기저귀(2001A)를 등측 허리 플랩부(2020) 및 배측 허리 플랩부(2021)를 이용하여 착용할 때, 등측 허리 플랩부(2020) 및 배측 허리 플랩부(2021)의 체결력은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에 직접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2001A)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의 포켓 형성에 지장이 없고, 또한, 기저귀(2001A)의 강도 저하도 초래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시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기 때문에, 기저귀(2001A)는,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을 통해 기저귀(2001A) 내부의 배설물 유무를 외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2001A)는 교환 시기 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에는, 사이드 플랩부(2010)의 폭 방향(W)을 따라 연신량이 작은 밀부와, 연신량이 큰 조부가 교대로 마련된다. 따라서, 기저귀(2001A)의 제조 과정에서는,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이 밀부와 조부에 의해 교대로 절첩되기 때문에,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바깥 가장자리가 돌출되지 않고 직선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기저귀(2001A)는 제조 과정, 제품 패키징 과정 등에서 취급성이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은, 연신 전과 비교한 경우에 1.5~3.0배의 범위에서 연신되어 있다. 여기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연신량이 1.5배 미만이면, 사이드 플랩부(2010)의 기립 치수가 작아 탄성 부재(2012)가 피부에 밀착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연신량이 3.0배를 넘으면, 사이드 플랩부(2010)의 소재에 대하여 연신에 의한 손상이 커 찢김이나 구멍이 생기는 등의 자재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연신량을 1.5~3.0배의 범위로 하면, 기저귀(2001A)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에 공간, 소위 포켓을 자재 파손의 우려도 없이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1 실시 형태의 각 변형예)
제2-1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플랩부(2010)는 외장 시트(2011)와 백 시트(2004)의 2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 사이드 플랩부(2010)는 백 시트(2004)의 1층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사이드 플랩부(2010)는, 외장 시트(2011)의 1층으로 구성하면, 외장 시트(2011)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부(2010)는, 외장 시트(2011)와 백 시트(2004)와 톱 시트(2003)의 3층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사이드 플랩부(2010)는, 외장 시트(2011)와 백 시트(2004)와 톱 시트(2003)의 3층으로 구성하면,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백 시트(2004)로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에 해당하는 개소와 그 이외의 개소에서는, 다른 시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의 개소에서는, 연신 가공에 알맞은 시트 소재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개소에서는, 흡수성 본체(2002)의 백 시트로서 알맞은 시트 소재를 사용하면, 연신 가공성과 액불투과성 양쪽이 우수한 백 시트(2004)가 된다.
(제2-2 실시 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B)의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B)는, 상기 제2-1 실시 형태에 비해 흡수성 본체(2002)의 구성과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의 구성이 다르다. 즉, 흡수성 본체(2002)의 톱 시트(2003)와 백 시트(2004)는, 폭 방향(W)의 중앙 개소만이 접합부(2006)에 의해 접합되고, 폭 방향(W)의 양단부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은 흡수성 본체(2002)와 겹쳐지는 영역(접합되어 있지 않은 개소)까지 연장하여 마련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도면의 동일 구성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명확화를 꾀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은, 흡수성 본체(2002)와 겹쳐지는 영역까지 연장하여 마련되므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의 폭 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2001B)는, 기저귀(1D)의 가랑이 아래측에 형성되는 공간, 소위 포켓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제2-3 실시 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2-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C)의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C)는, 상기 제2-1 실시 형태에 비해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구성만이 다르다. 각 사이드 플랩부(2010)는 사이드 플랩부(2010)의 폭 방향(W) 외측에서 내측 플랩부(2010a)와 외측 플랩부(2010b)의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내측 플랩부(2010a)에는, 촉감이 좋은 시트 소재가 사용되어 있다. 내측 플랩부(2010a) 및 외측 플랩부(2010b) 양쪽의 선단부에는, 신장 상태에서 탄성 부재(2012a, 2012b, 2012c, 2012e)가 각각 마련된다. 즉, 기저귀(2001C)를 착용할 때는, 다리 주위에 2중으로 사이드 플랩부(2010)가 밀착하기 때문에, 기저귀(2001C)는 가로 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기저귀(2001C)는 내측 플랩부(2010a)가 촉감이 좋은 시트 소재이기 때문에, 촉감성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도면의 동일 구성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명확화를 꾀한다.
(제2-3 실시 형태의 변형예)
제2-3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플랩부(2010a) 및 외측 플랩부(2010b) 양쪽의 선단부에 탄성 부재(2012a, 2012b, 2012c, 2012e)가 마련되지만, 기저귀(2001C)는, 내측 플랩부(2010a)의 선단부에만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기저귀(2001C)는 소위 안쪽으로 쓰러지는 입체 개더 구성이 된다.
(제2-4 실시 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2-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D)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4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D)는, 상기 제2-1 실시 형태에 비해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의 구성만이 다르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은,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L)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연신 영역부가,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길이 방향 양단의 연신 영역부에 비해, 폭 방향(W)으로 연장했을 때의 폭 치수가 커지도록 마련된다. 이것은,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은 길이 방향(L)에 걸쳐 연신 가공이 행해진 폭 치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L)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연신 영역부의 폭 치수가, 길이 방향 양단의 연신 영역부의 폭 치수에 비해 길게 설정되어 있다.
기저귀(2001D)에 의하면,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의 단부는,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이 아닌 개소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에서의 기립 치수가 작고, 중심부에서 가장 기립 치수가 큰 포켓 형상이 되기 때문에, 포켓을 형성함에 있어서 낭비가 없는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b)은, 길이 방향(L)에 걸쳐 연신 가공이 행해진 폭 치수를 동일하게 하고, 단위 길이당 연신량을 다르게 함으로써, 길이 방향(L)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연신 영역부가, 길이 방향 양단의 연신 영역부에 비해 연장했을 때(착용시)의 폭 치수가 커지도록 마련하더라도 좋다.
(제2-5 실시 형태)
도 22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E)의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5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2001E)는, 상기 제2-1 실시 형태에 비해 한 쌍의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의 구성만이 다르다.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은,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뿐만 아니라 등측 영역(S21)과 배측 영역(S23)에 함께 연장하여 마련된다. 단,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의 등측 단부 및 배측 단부는, 사이드 플랩부(2010)의 등측 단가장자리 및 배측의 단가장자리에까지 이르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저귀(2001E)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소위 포켓이 가랑이 아래 영역(S22) 외에 등측 영역(S21) 및 배측 영역(S23)에도 형성되기 때문에, 기저귀(2001E)는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다량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기저귀(2001E)는 변과 뇨 양쪽의 가로 누설 방지에 유효하다.
(제2-5 실시 형태의 각 변형예)
제2-5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을,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보다 등측 영역(S21)으로만 연장하여 마련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기저귀는, 기저귀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소위 포켓이 가랑이 아래 영역(S22) 외에 등측 영역(S21)에도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변의 가로 누설 방지에 유효하다.
제2-5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는,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2013A)을, 각 사이드 플랩부(2010)의 가랑이 아래 영역(S22)보다 배측 영역(S23)으로만 연장하여 마련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밖의 변형예에 의하면, 기저귀는, 기저귀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소위 포켓이 가랑이 아래 영역(S22) 외에 배측 영역(S23)에도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뇨의 가로 누설 방지에 유효하다.
(기타)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사이드 플랩부(2010)에 4열의 탄성 부재(2012a~2012d)가 마련되지만, 탄성 부재는 사이드 플랩부(2010)의 측단부에 1열 또는 2열만 마련되더라도 좋다. 탄성 부재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오픈 타입의 기저귀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팬츠 타입의 기저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 이외의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8-037916호(2008년 2월 19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스밈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통기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소위 포켓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 자재의 저감화, 제조시 가공의 용이화,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하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8)

  1.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로 구성되고,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등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배측 영역을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하면과 상기 사이드 플랩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면 시트가 연속한 일체물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폭 방향 단가장자리와 흡수체 측가장자리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 플랩부가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하면보다 투습성을 갖는 고투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무기 재료를 충전재로서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액불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투습 영역이 상기 액불투과성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액불투과성 시트와 외장 시트를 접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는 무기 재료를 충전재로서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액불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투습 영역이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 및 상기 외장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액불투과성 시트와 외장 시트를 접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는 무기 재료를 충전재로서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질의 액불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투습 영역이 상기 액불투과성 시트와, 상기 외장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영역의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마련된 좌우 한 쌍의 허리 플랩부가 형성되고,
    상기 허리 플랩부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착용시에 상기 배측 영역의 상기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에 결합 가능한 한 쌍의 걸림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부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배치된 개더부는,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고투습 영역보다 투습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습 영역이,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폭 방향 단가장자리와 상기 흡수체 측가장자리 사이를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연신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습 영역의 투습도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하면측 투습도에 대하여 1.3~2.5배 이상으로, 액체가 새는 일이 없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액투과성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로부터 적어도 구성되고, 착용시에는 등측에서 배측까지의 길이 방향으로 등측 영역, 가랑이 아래 영역, 배측 영역을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체 본체의 폭 방향 양측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와,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마련된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상기 흡수성 본체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연신된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상기 흡수성 본체 측가장자리와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부재 사이를 폭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보다 상기 흡수성 본체측의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각 사이드 플랩부의 상기 등측 영역과 상기 배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의 상기 등측 영역과 상기 배측 영역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하도록 마련된 허리 플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겹쳐지는 영역까지 연장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장착시에 외부에서 내부의 배설물을 시인할 수 있는 투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의 연신 영역부가 상기 각 사이드 플랩부의 길이 방향 양단의 연신 영역부보다 연장했을 때의 폭 치수가 커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상기 사이드 플랩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신량이 작은 밀부(密部)와 연신량이 큰 조부(粗部)가 교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랑이 아래측 연신 영역은, 1.5~3.0배의 범위에서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20247A 2008-02-19 2009-02-17 흡수성 물품 KR201001238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7916A JP5130075B2 (ja) 2008-02-19 2008-02-19 吸収性物品
JPJP-P-2008-037916 2008-02-19
JP2008093816A JP5379991B2 (ja) 2008-03-31 2008-03-31 吸収性物品
JPJP-P-2008-093816 2008-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864A true KR20100123864A (ko) 2010-11-25

Family

ID=4098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247A KR20100123864A (ko) 2008-02-19 2009-02-1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10137275A1 (ko)
EP (1) EP2263624A4 (ko)
KR (1) KR20100123864A (ko)
CN (1) CN101765417A (ko)
AU (1) AU2009216276A1 (ko)
CA (1) CA2715993A1 (ko)
CO (1) CO6300837A2 (ko)
EA (1) EA018691B1 (ko)
MA (1) MA32196B1 (ko)
MX (1) MX2010009133A (ko)
SG (1) SG188109A1 (ko)
TW (1) TWI480029B (ko)
WO (1) WO2009104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7688B2 (ja) 2009-12-28 2013-1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US9889052B2 (en) * 2014-01-16 2018-02-13 Livedo Usa,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two or more absorbing cores
EP3352715B1 (en) 2015-09-24 2019-06-26 Coloplast A/S An ostomy appliance with a release liner with an enclosure
CN109124890A (zh) * 2017-06-17 2019-01-04 天津市宝坻区美洁卫生制品有限公司 防侧漏男女通用成人纸尿裤
JP7025172B2 (ja) 2017-10-12 2022-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伸縮性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吸収性物品
JP2022546808A (ja) * 2019-08-28 2022-11-09 エシティ・ハイジーン・アンド・ヘルス・アクチエボラグ バックシート配置を伴う衛生用品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83B2 (ja) 1986-02-20 1994-02-09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4887602A (en) * 1988-01-11 1989-12-19 Weyerhaeuser Company Ventilated diaper or incontinent garment
SE464109B (sv) * 1989-07-06 1991-03-11 Moelnlycke Ab Elastiskt material och absorberande engaangsartikel framstaelld daerav
JP2587116B2 (ja) * 1989-10-02 1997-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2859743B2 (ja) 1990-12-28 1999-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607538Y2 (ja) 1993-09-20 2001-11-12 王子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571096A (en) * 1995-09-19 1996-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breathable side panels
US20020188268A1 (en) * 1999-06-30 2002-12-12 Mark James Kline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US6328723B1 (en) * 1998-03-10 2001-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microporous film
US6570056B1 (en) * 1999-08-27 2003-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zoned directional stretching
JP2001104372A (ja) 1999-10-13 2001-04-1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3819657B2 (ja) * 1999-12-22 2006-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バックシートを備えた生理用ナプキン及び前記バ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US6572595B1 (en) * 2000-05-30 2003-06-03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such as a diaper or training pants and a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2003190209A (ja) * 2001-12-26 2003-07-08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20040002690A1 (en) * 2002-07-01 2004-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outer leg cuff
US20050010188A1 (en) * 2003-07-10 2005-01-13 Glaug Frank S. Efficiently manufacturable absorbent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JP2005211131A (ja) 2004-01-27 2005-08-11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及びインナー吸収性物品
JP2006305104A (ja) * 2005-04-28 2006-11-09 Oji Nepia Kk 使い捨ておむつ
JP3962752B2 (ja) * 2005-10-14 2007-08-22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972335B2 (ja) * 2006-02-09 2012-07-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JP4824452B2 (ja) * 2006-03-30 2011-11-30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029484B2 (en) * 2007-07-27 2011-10-04 Dicarlo Mary Margaret Universal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0009133A (es) 2010-09-24
US20110137275A1 (en) 2011-06-09
MA32196B1 (fr) 2011-04-01
TW201008556A (en) 2010-03-01
EP2263624A1 (en) 2010-12-22
EA201001318A1 (ru) 2011-04-29
EP2263624A4 (en) 2013-01-16
CN101765417A (zh) 2010-06-30
WO2009104580A1 (ja) 2009-08-27
SG188109A1 (en) 2013-03-28
TWI480029B (zh) 2015-04-11
CO6300837A2 (es) 2011-07-21
CA2715993A1 (en) 2009-08-27
AU2009216276A1 (en) 2009-08-27
EA018691B1 (ru)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706B2 (en) Absorptive article
CN105455962B (zh) 吸收性物品
KR100645339B1 (ko) 생리대
KR20090091318A (ko) 흡수성 물품
JP2021130046A (ja) 男性使用者に特に適合した使い捨てパンツ型吸収材物品
JP493461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669500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00123864A (ko) 흡수성 물품
JP2007143696A (ja) 吸収性物品
JP4584751B2 (ja) 吸収性物品
JP2015211740A (ja) 吸収性物品
KR20100135742A (ko) 흡수성 물품
JP2016189819A5 (ko)
JP4522303B2 (ja) 吸収性物品
JP4912810B2 (ja) 生理用ショーツ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JP5379991B2 (ja) 吸収性物品
JP5406963B2 (ja) 吸収性物品
JP563830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WO2009104673A1 (ja) 吸収性物品
KR20100121652A (ko) 흡수성 물품
JP516702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117203B2 (ja) 吸収性物品
JP6999319B2 (ja) 男性用吸収性物品
JP2023048759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