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70A -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 Google Patents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370A
KR20100134370A KR1020090052968A KR20090052968A KR20100134370A KR 20100134370 A KR20100134370 A KR 20100134370A KR 1020090052968 A KR1020090052968 A KR 1020090052968A KR 20090052968 A KR20090052968 A KR 20090052968A KR 20100134370 A KR20100134370 A KR 20100134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quiry
document
branch
author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166B1 (ko
Inventor
박병우
한구병
박상록
이태헌
박상곤
Original Assignee
농업협동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협동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농업협동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09005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영업점 상호간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조회하는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영업점 시스템으로부터 장표의 조회를 요청받으면, 메인 시스템에서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을 확인하여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 메인 시스템에서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메인 시스템에서 승인 여부에 따라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여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52968
은행, 영업점, 이미지 데이터, 장표, 신분증, 조회

Description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METHOD FOR ASKING FOR INFORMATION OF DOCUMENT BETWEEN BRANCHES}
본 발명은 은행의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영업점 상호간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조회하는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주요업무를 구분해 보면 크게 수신/영업지원업무, 재산관리업무, 외환관리업무, 가계/기업여신업무, 물류지원업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수신업무는 보통 예금거래신청서를 접수하여 관리하는 업무, 당좌예금의 결제, 수표어음책 교부, 당좌 사후관리업무, 예금의 입출금업무, 법원으로부터 접수된 압류명령서에 따라 예금을 압류처리하는 업무, 받을어음의 수탁 및 반환관리하거나 추심어음의 관리업무, 또는 법률에 따라 일정요건을 갖춘 경우 금융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업무 등을 포괄하는 업무이다. 상기와 같은 은행의 수신업무는 주로 은행의 영업점을 통해 수신서류를 접수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은행의 영업점은 고객과 실제로 접촉하여 은행상품의 판매, 판매활동의 기반이 되는 마케팅활동과 상시적/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대출기일관리/신용장처리 등 제반 업무처리와 같은 프로세싱업무, 서무/계리/출납관리/감사 등의 후방사무업무 등
다양한 업무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은행 영업점은 상호간 업무 협조를 위해서, 각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상호간에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특정 영업점에서 다른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다른 영업점에 장표 조회를 요청하고, 승인 결과에 따라 그 영업점 담당자가 팩스나 우편 등의 방식으로 해당 장표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으로 발송하였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특정 영업점에서 다른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다른 영업점 담당자가 해당 장표를 팩스나 우편을 통해 직접 발송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많은 고객을 상대하는 대외업무를 주로하는 영업점에게는 과중한 업무 부담이 되었으며, 또한 장표 조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각 영업점에서 장표를 이미징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영업점간에 장표 조회를 요청할 경우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장표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은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영업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받으면,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을 확인하여 상기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으로 상기 장표의 리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나열된 리스트 중에서 상기 장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에 조회 사유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조회 사유가 입력되면, 상기 조회 사유를 상기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이미징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업점간 장표 조회시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장표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여 타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편리하고 빠른 시간 내에 열람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간 장표 조회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간 장표 조회 시스템은 은행의 각 영업점마다 영업점 시스템(10)이 설치되고, 각 영업점 시스템(10)은 네트워크(30) 예를 들어, 은행 내부의 자체 공동망 등을 통해 메인 시스템(20)과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영업점 시스템(10)은 은행의 메인 시스템(20)과 연결되어 은행의 대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참고로, 대외적인 업무라 함은 은행상품의 판매, 판매활동의 기반이 되는 마케팅활동과 상시적/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대출기일관리/신용장처리 등 제반 업무처리와 같은 프로세싱업무, 서무/계리/출납관리/감사 등의 후방사무업무 등을 말한다.
영업점 시스템(10)은 영업점의 담당자별로 마련된 다수 개의 단말기(12)가 마련되고, 최소 1개 이상의 스캐너(14)를 구비한다.
단말기(12)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로서,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이 담당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단말기(12)에서의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종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 입력시에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및 네트워크(30)를 통해 다른 영업점 시스템(10) 및 메인 시스템(20)과의 정보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기(12)는 조회하고자 하는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인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조회 가능한 장표의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당 장표의 조회를 요청함과 더불어 조회 사유를 입력하고, 요청 결과, 다른 영업점 서버(16)로부터 장표 조회가 승인되면, 해당 장표의 이미지 데이 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회하고자 하는 조회 사유에는 조회하고자 하는 담당자 업무, 장표의 사용처, 사용시간, 본인확인 등이 있다.
또한, 스캐너(12)에 의해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면,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와, 장표가 발생된 영업점에 대한 영업점 정보, 장표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와 이 권한자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이들 정보를 메인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스캐너(12)는 각 영업점에 구비되어 업무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실명증표와 장표를 이미징(imaging)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캐너(12)가 각 영업점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업점 이외에 은행의 본점에도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스캐너(12)는 이미징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에 빛을 조사하고 이 대상에 반사되어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증폭 및 변환 과정을 거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표에는 예금/신탁 거래신청서, 본인확인용 제신고서, 인감/서명 조회, 전자금융 관련 장표, 원장변경/등록해제표 및 제신고서 등과 같은 기타 제장표, 신규거래 신분증, 제신고/기타거래신분증 등이 있다.
상기한 장표들은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로 제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장표 이외에도 다양한 장표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아울러, 실명증표와 장표는 영업점 뿐만 아니라, 메인 시스템(20)에서도
메인 시스템(20)은 메인 서버(22)와 데이터베이스(24)를 구비한다.
메인 서버(22)는 영업점의 각 단말기(12)에 의해 생성된 정보와 스캐너(14)에 의해 생성된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또한, 영업점에 구비된 소정의 단말기(12)로부터 장표 조회 요청이 있으면, 이 장표가 생성된 영업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영업점에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의 단말기(12)로 장표에 대한 장표 정보, 장표 조회를 요청한 담당자가 장표 조회를 요청한 조회 사유 및 장표의 조회 요청이 있음을 통보한다.
이 후,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의 단말기(12)로부터 조회 승인 여부가 통보되면, 조회 승인을 접수하고, 해당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4)에서 추출하여 조회를 요청한 단말기(12)로 전송하여 장표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불승인이 통보되면, 이를 접수하고, 불승인을 조회를 요청한 단말기(12)로 통보한다.
데이터베이스(24)는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 장표가 발생된 영업점에 대한 영업점 정보 및 장표에 대한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와 이 권한자의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메인 서버(22)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메인 서버(22)에 입력한다.
이 경우, 장표의 조회 권한이 있는 권한자는 조회 요청 사유가 정당한 사유인 지를 판단하여 정당한 사유인 지를 판단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각 영업점에 구비된 단말기(12)는 업무 처리 과정에서 장표가 발생되면, 이 장표를 이미징 처리하여 각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장표가 발생된 영업점에 대한 영업점 정보, 장표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 및 이 권한자의 단말기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메인 서버(22)로 전송한다.
메인 서버(22)는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이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일측 영업점의 담당자가 장표를 조회하고자, 자신의 단말기(12)(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회 요청측 단말기'라 한다)를 통해 메인 시스템(20)에 접속하면(S10), 메인 서버(22)는 조회 가능한 장표의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24)에서 추출하여 조회 요청측 단말기(12)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조회 요청측 단말기(12)에는 이 리스트가 나열되고 나열된 리스트 중에서 조회하고자 하는 장표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장표를 요청한 담당자가 일일이 장표를 검색하거나 찾을 필요없이 편리하게 장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22)는 조회 요청측 단말기(12)로부터 조회하고자 하는 장표가 선택되면(S20), 선택된 장표를 조회하고자 하는 조회 사유를 입력하도록 한다.
조회하고자 하는 조회 사유에는 조회하고자 하는 담당자 업무, 장표의 사용처, 사용시간, 본인확인 등이 있다.
조회 요청측 단말기(12)로부터 조회 사유가 입력되고(S30), 해당 장표의 조 회 요청이 입력되면(S50), 메인 서버(22)는 데이터베이스(24)에서 해당 장표의 발생된 영업점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장표가 발생된 영업점을 확인(S50)한다.
또한, 해당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 및 이 권한자의 단말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에서 추출함으로써 장표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를 확인한다(S60)
이와 같이, 장표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권한자가 확인되면, 이 권한자의 단말기 정보에 따라, 권한자의 단말기(12)로 장표 정보, 조회 사유 및 조회 요청이 있음을 통보한다(S70).
이에 따라, 권한자는 장표 정보, 조회 사유 및 조회 요청이 있음을 통보받게 되고, 권한자의 단말기(12)는 장표 조회 승인 여부를 체크(S80)하고, 그 결과에 따라 메인 서버(22)에 조회 승인을 통보하거나(S90) 또는 불승인을 통보한다(S130).
참고로, 조회 승인 요청시 사유를 입력하도록 하고, 그 사유가 정당한 사유인 지를 판단하는 것은 무분별한 장표 조회에 따른 금융사고를 예방하고, 장표에 기재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유가 정당한 사유인 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장표의 사용처가 장표 조회를 요청한 담당자의 업무에 적절한 지와, 사용시간, 본인확인 여부 등을 체크하여 판단한다.
한편, 메인 서버(22)는 권한자의 단말기(12)로부터 조회 승인을 통보받으면, 데이터베이스(24)에서 해당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S100), 이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장표 조회를 요청한 단말기(12)로 전송한다(S110). 이에 따라, 장 표 조회를 요청한 단말기(12)는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한다(S120).
반면에, 메인 서버(22)는 권한자의 단말기(12)로부터 조회 불승인을 통보받으면, 조회 불승인을 접수하고(S140), 장표 조회를 요청한 단말기(12)로 조회 불승인을 통보한다(S150). 이에 따라, 장표 조회를 요청한 단말기(12)는 장표 조회가 불승인되었음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영업점에서 발생된 장표를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여 차후 다른 영업점에서 장표 조회 요청이 있으면, 기 저장된 해당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장표 조회를 요청한 다른 영업점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팩스나 우편을 통하지 않고 편리하게 장표를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간 장표 조회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영업점 시스템 12: 단말기
14: 스캐너 16: 영업점 서버
30: 네트워크

Claims (3)

  1.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영업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받으면,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을 확인하여 상기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장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으로 상기 장표의 리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나열된 리스트 중에서 상기 장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 조회가 요청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장표의 조회를 요청한 영업점 시스템에 조회 사유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조회 사유가 입력되면, 상기 조회 사유를 상기 장표의 조회 승인 권한이 있는 영업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KR1020090052968A 2009-06-15 2009-06-15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KR10106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68A KR101068166B1 (ko) 2009-06-15 2009-06-15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68A KR101068166B1 (ko) 2009-06-15 2009-06-15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70A true KR20100134370A (ko) 2010-12-23
KR101068166B1 KR101068166B1 (ko) 2011-09-27

Family

ID=4350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68A KR101068166B1 (ko) 2009-06-15 2009-06-15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1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7655A1 (en) * 1996-12-20 1998-08-27 Financial Services Technology Consortium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lectronic documents
KR20090000819A (ko) * 2007-04-05 2009-01-08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거래 현장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04101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하나은행 전자문서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32266B1 (ko) * 2007-10-12 2009-12-16 주식회사 하나은행 전자문서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166B1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5508B (zh) 财务类文件的通知方法和装置
US20100017327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transaction queue
WO2017056309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4717073A (zh) 个人信息共享系统及其个人信息共享方法和身份认证方法
US86767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currency
JP2001312673A (ja) ネットワーク基盤の勤労者福利厚生システム
TW201804390A (zh) 使用通用一次性密碼以將一用戶與多個服務提供者進行認證之方法及系統
JP6325701B1 (ja) 口座管理システム、口座管理方法及び口座管理プログラム
KR101068166B1 (ko) 영업점간 장표 조회 방법
CN107423984B (zh) 交易金额超限授权方法及系统
JP5525361B2 (ja) 送金指図電文制御システム
JP2015064699A (ja) 仮想統合口座システム及び仮想統合口座方法
JP6735374B1 (ja) 顧客情報管理装置及び顧客情報の管理方法
KR20140066463A (ko) 양방향 세무 회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9250A (ko) 고객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고객 관리 서버,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JP2006215666A (ja) 電子手形管理システム
JP693403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40240B1 (ko) 이디시 매출전표 관리 및 이디시 처리내역 정보 제공 방법
KR101109250B1 (ko) 고객 신용 정보 조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4617A (ko) 통합정산 지원 시스템
KR100489426B1 (ko) 온라인 상의 기업의 휴폐업 정보 제공을 통한 전자문서발행 및 수취 시스템 및 그 방법
Lam et al. The Development and Regulation of Mobile Payment: Chinese Experiences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KR20110016258A (ko) 고객 유형별 고객 관리 방법
TWI693569B (zh) 使用通用一次性密碼以將一用戶與多個服務提供者進行認證之方法及系統
WO2023129071A1 (en) A system for preventing fraud by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