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253A -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253A
KR20100134253A KR1020090052775A KR20090052775A KR20100134253A KR 20100134253 A KR20100134253 A KR 20100134253A KR 1020090052775 A KR1020090052775 A KR 1020090052775A KR 20090052775 A KR20090052775 A KR 20090052775A KR 20100134253 A KR20100134253 A KR 2010013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region
conductivity type
base regio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338B1 (ko
Inventor
손영상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9005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3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9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of epitaxial layers by a deposition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3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0405, H01L21/0445, H01L21/06, H01L21/16 and H01L21/18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46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428
    • H01L21/46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428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469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428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4757After-treatment
    • H01L21/47573Etching th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스 영역에서의 저항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 제 2 도전형 베이스 영역 및 소오스 영역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반도체 기판에 상기 소오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을 관통하는 제 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를 매립하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영역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영역을 소정 깊이 식각하여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영역과 동일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의 상부 및 소오스 영역의 측면에 주입하여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에 상기 베이스 영역과 동일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여역만이 제거되도록 제 2 트렌치를 추가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

Description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TRENCH GATE MOSFET}
본 발명은 모스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스 영역에서의 저항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 향상을 위해서 셀(Cell) 디자인의 크기가 점점 줄어드는 경향에 따라서 셀 피치 간 간격도 줄어들면서 콘택 사이즈 또한 선형적인 축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줄어든 콘택 사이즈는 콘택 저항을 증가시켜 소자의 소비전력을 증대시키거나 소자 스피드를 떨어뜨리는 부정적인 요소를 갖게 된다.
이에 디자인 측면의 장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콘택 저항 개선이 필요하며 그 방법 중에 하나가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MOSFET)를 사용하는 것이다.
트렌치 게이트형 MOSFET은 축소된 콘택 사이즈를 실리콘 기판의 표면 아래로 실리콘 기판을 식각하여 콘택을 형성하도록 하게 됨으로 실리콘 영역과 접촉하는 전체 콘택 표면적을 증가시키게 되어 저항 증가를 상세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는 소스와 채널 벌크를 연결 하기 위해 공통으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오믹 콘택(ohmic contact)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런 방식은 소스 콘택의 저항 성분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아 트랜지스터의 Rsp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스 영역에서의 저항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 제 2 도전형 베이스 영역 및 소오스 영역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반도체 기판에 상기 소오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을 관통하는 제 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를 매립하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영역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영역을 소정 깊이 식각하여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영역과 동일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의 상부 및 소오스 영역의 측면에 주입하여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에 상기 베이스 영역과 동일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여역만이 제거되도록 제 2 트렌치를 추가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 터의 제조방법은 제 2 트렌치 내에 틸트를 준 불순물 주입으로 인하여 접촉면의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의 도핑 농도를 높여 저항성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될 때 불순물이 뚫고 들어가는 길이를 깊게 하여 베이스 영역의 전도성 물질은 남게 하여 베이스 영역과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알루미늄 사이의 오믹 콘택(ohmic contact)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 제 1 도전형, 예를 들어 N형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저농도 N형의 에피택셜층(20)을 형성하고, 저농도 에피택셜 층(20) 내에 제 2 도전형, 예를 들어 보론(B)과 같은 P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기판(10)과 반대되는 면의 에피택셜층 표면에 주입된 불순물들이 활성화되어 소정깊이를 갖는 P형의 베이스영역(30)을 형성한다. 다음, 베이스 영역(30) 내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예를 들어 인(P)과 같은 N형의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주입한 다음 어닐링하여 베이스영역(30) 표면에 고농도 제 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4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오스 영역(40)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0)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트렌치가 형성될 영역을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그 다음,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트렌치 식각 공정을 통해 소오스 영역(40)과 베이스 영역(30)을 관통하는 제 1 트렌치(T)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트렌치(T)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전면에 희생산화공정을 수행하여 트렌치 식각공정으로 손상된 트렌치 표면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는 희생산화막(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제 1 트렌치(T)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10) 전면에 게이트 산화막(80)을 열 산화법(thermal oxidation)에 의해 형성한다.
그 다음, 게이트 산화막(80)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불순물이 도우프된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 다음 식각하여 제 1 트렌치(T)를 매립하는 게이트(100)를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100)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10) 전면에 절연물 을 증착한 다음 식각하여 게이트(100)를 절연시키는 층간절연층(12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오스영역(40)에 인접한 베이스 영역(30)을 소정 깊이 식각하여 트렌치 콘택을 위한 제 2 트렌치(T)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트렌치(T)의 깊이는 소오스영역(40)의 깊이보다 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오스 영역(40)과 동일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틸트(tilt)를 주어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30)의 상부 및 소오스 영역(40)의 측면에 주입하여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140)을 형성한다. 여기서, As(Arsenic)의 경우 3~15KeV, 1e14~5e15, 틸트 7~30°의 조건으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불순물 주입으로 인하여 접촉면의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의 도핑 농도를 높여 저항성분을 줄일 수 있다.
이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30)에 베이스 영역(30)과 동일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160)을 형성한다. 이때,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160)은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140)보다 깊게 형성하는 즉,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이 주입될 때 불순물이 뚫고 들어가는 길이를 깊게 하여 베이스 영역(30)의 전도성 물질은 남게 하여 베이스 영역(30)과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알루미늄 사이의 오믹 콘택(ohmic contact)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은 예를 들어 Boron이나 BF2일 수 있으며, B(Boron)의 경우 5~20KeV, 1e13~5e15의 조건으로, BF2의 경우 10~100KeV, 1e13~3e15의 조건으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30) 상부 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140)만이 제거되도록 제 2 트렌치를 추가로 식각한다. 이때, 추가 식각 깊이로는 200~500Å가 바람직하다.
그리고나서,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2 트렌치 내에 알루미늄을 형성하는 등의 공지된 추가 공정을 통해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를 완성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a 내지 1f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Claims (7)

  1. 제 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 제 2 도전형 베이스 영역 및 소오스 영역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반도체 기판에 상기 소오스 영역과 베이스 영역을 관통하는 제 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를 매립하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영역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 영역을 소정 깊이 식각하여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영역과 동일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의 상부 및 소오스 영역의 측면에 주입하여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에 상기 베이스 영역과 동일한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내의 베이스 영역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불순물 여역만이 제거되도록 제 2 트렌치를 추가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를 제 1 트렌치에 매립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게이트 산화막을 열 산화막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렌치는 상기 소오스 영역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은 As를 틸트를 주어 주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은 Boron 또는 BF2를 주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 영역은 제 1 도전형 불순물 영역보다 깊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렌치는 200~500의 깊이로 추가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090052775A 2009-06-15 2009-06-15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64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75A KR101643338B1 (ko) 2009-06-15 2009-06-15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75A KR101643338B1 (ko) 2009-06-15 2009-06-15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53A true KR20100134253A (ko) 2010-12-23
KR101643338B1 KR101643338B1 (ko) 2016-08-10

Family

ID=4350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775A KR101643338B1 (ko) 2009-06-15 2009-06-15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3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520A (ko) * 1998-09-30 2000-04-25 칼 하인쯔 호르닝어 내부의 링형 게이트를 구비한 버티컬 전계 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0307115A (ja) * 1999-04-01 2000-11-02 Intersil Corp 高密度mosゲート型電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2405A (ja) * 2001-09-19 2003-03-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32080A (ko) * 2005-06-10 2008-04-14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전하 균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520A (ko) * 1998-09-30 2000-04-25 칼 하인쯔 호르닝어 내부의 링형 게이트를 구비한 버티컬 전계 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0307115A (ja) * 1999-04-01 2000-11-02 Intersil Corp 高密度mosゲート型電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2405A (ja) * 2001-09-19 2003-03-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32080A (ko) * 2005-06-10 2008-04-14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전하 균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338B1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3636B2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11796B1 (ko) 급경사 접합 프로파일을 갖는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8776B1 (ko) 리세스드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576786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30045633A (ko)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S605566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948663B1 (ko) 복수의 트렌치 mosfet 셀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얕은 및 깊은 도펀트 주입물 형성 방법
JP200625333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56704B (zh) 准垂直功率mosfet及其形成方法
JP201110091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4146825A (ja) Mosトランジス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33833A1 (en) Metal oxide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12466950A (zh) 一种抗边缘漏电soi mos结构及其形成方法
KR20100074503A (ko)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N112951765A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20100134253A (ko) 트렌치 게이트형 모스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200436355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2466949B (zh) 一种bts型mosfet结构及其制备方法
KR101180500B1 (ko)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1068137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200633223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82967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16646391A (zh) 一种沟槽功率器件及其制造方法
KR20010054163A (ko) 모스팻(mosfet) 제조방법
CN114695552A (zh) 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